KR20140066859A -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859A
KR20140066859A KR1020120129138A KR20120129138A KR20140066859A KR 20140066859 A KR20140066859 A KR 20140066859A KR 1020120129138 A KR1020120129138 A KR 1020120129138A KR 20120129138 A KR20120129138 A KR 20120129138A KR 20140066859 A KR20140066859 A KR 2014006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me
information
user
location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화
윤화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859A/en
Priority to PCT/KR2013/007869 priority patent/WO2014077500A1/en
Publication of KR2014006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themes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location and theme information as a user inputs; a POI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them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theme information; a text mining device for collecting web documents h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theme and location information,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me information including words expo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collected web documents, and produc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ccording to themes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mes and user information regist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mes while providing a list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recommendable themes for the terminal device by alloc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mes.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rt and recommend location such as restaurants and stores according to themes based on the user location and provide the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mes. Also, a user can register selected interesting locations in each theme, share the same with other users, and recommend location information in each theme while arranging the same in order of popularity and newest.

Description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점이나 매장 등의 장소를 테마에 따라 분류하여 추천하거나 테마별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테마별 장소정보를 인기순/최신 순 등의 정렬 규칙에 따라 정렬하여 추천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based on a user location, which can register selected point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mes and share them with other users, and can arrange theme information by sorting according to sorting rules such as popularity / latest.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식당이나 매장 등의 장소정보를 웹 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하거나 각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진행중인 이벤트 등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real - 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ased on user 's location is diversified. For examp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nearby restaurants or stores can be provided on the basis of a web or map appli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oupons and ongoing events available at each location Services are being provided

종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되는 웹 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장소정보 서비스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 내에 등록된 매장, 식당 등의 장소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해당 장소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The web or map application-base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to the conventional user terminal device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stores, restaurants, etc., register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searches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place information.

그런데,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장소정보는 무수히 많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상업적 이해관계에 있는 업체의 홍보성 정보이거나 일반인에 의해 작성된 사변적인 정보를 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이나 필요에 부합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are a lot of place information provid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but most of them are publicity information of a company having a commercial interest, or speculative information written by a general person, so that it is suitable for each individual's taste or need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information.

또한, 동일한 종류의 식당 혹은 매장을 방문하더라도 방문 당시의 사용자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특정 장소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검색어를 포함하는 장소정보가 일괄적으로 검색 및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user visits a restaurant or a shop of the same kind, the user's desired atmosphe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visit. However, even when the user searches for specific place information, since the pl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rch word is simply searched and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45331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도 기반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53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prefer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점이나 매장 등의 장소를 테마에 따라 분류하여 추천하거나 테마별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arch result by classifying a place such as a restaurant or a store according to a the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a user location based on a theme that enables sharing with other user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장소정보와 테마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상기 장소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POI 관리장치; 상기 테마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테마정보 관리장치; 상기 장소정보 및 테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소정보를 포함하는 웹 문서를 수집하고, 수집된 웹 문서에 포함된 단어 중 기준 횟수 이상 노출되는 단어를 포함하는 테마정보를 상기 장소정보와 매핑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생성하는 텍스트 마이닝 장치; 및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와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렬 규칙에 따라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리스트로 제공하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place information and theme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 POI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place information; A them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theme information; The them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web site including the place information, and the theme information including the words exposed by the reference number of times or more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collected web document is mapped to the place information, A text mining dev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And a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stor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for register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arrang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is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점이나 매장 등의 장소를 테마에 따라 분류하여 추천하거나 테마별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ace information such as a restaurant or a store based on a user's position, Can be registered according to a theme and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테마별 장소정보를 인기순, 최근 등록 순 등의 정렬 규칙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장소정보를 배경화면에 표시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according to a theme, wherein the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is sorted according to a sorting rule such as a popularity order or a latest registration order, So tha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따라 업종이나 카테고리 별 검색결과를 해당 테마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according to the user location can provide 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or category according to the search conditions inputt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반경을 자동 조절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earch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테마별 장소정보 검색 시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순서로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earch results by sorting the place information in order of relevance to the user when searching for the place information by theme.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테마별 장소정보의 제공화면과 외부 사이트의 웹페이지, SNS 등과 연동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장소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detailed information or share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a screen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 a web page of the external site, S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메인 화면 표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메뉴화면 표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화면 표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화면 표시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표시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 표시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화면과 화면 제어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업종별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상세조건 검색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세조건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검색결과 오류 신고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검색결과 오류 신고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결과의 지도 기반 표시 상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 결과화면과 친구정보 표시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의 삭제기능 제공 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에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를 다른 사이트와 연동하기 위한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ain screen display state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menu screen display stat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 theme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 theme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state according to a them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display stat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and a screen control state of each typ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screen of each type in FIG. 12; FIG.
FIG. 1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detailed condition search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the detailed condition search result screen of Fig.
16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error report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error report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map-based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for each category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screen for each category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screen of a business type and a friend information display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user-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eletion function of the activity information screen for each user in Fig.
2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creen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per-user activity information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creen for linking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a user location-based theme to another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장치(30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 POI(Point Of Interest) 관리장치(100) 테마 관리장치(150) 및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장치(150)를 포함한다.1,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includes a user terminal 300 of a user who receives a servic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of a theme, a POI (Point Of Interest) Management device 150 and a text mining device 150. [

단말장치(30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받는다. 단말장치(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송신하고 그에 따른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단말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장소정보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300)에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nd receives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The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to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to the user. Also, the terminal device 300 can register the plac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heme. In this terminal device 300, an application for accessing a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provided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using the service.

POI 관리장치(100)는 특정 지역이나 지물 혹은 식당, 매장 등의 특정 지점의 이름, 위치, 상세 설명 등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POI 관리장치(100)는 운영자 혹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POI 정보를 입력받아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POI management apparatus 10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such as a name, a lo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a specific area such as a specific area, an object, a restaurant, a store, and the like. The POI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receive and update new POI information from an operator or a user.

테마 관리장치(150)는 사용자 혹은 시스템 운영자가 업종 카테고리와 사용자가 직면할 수 있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테마를 관리한다.The theme management device 150 manages the theme created by the user or the system operator based on the category of industry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face.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테마 관리장치(150)로부터 수신된 테마 정보와 POI 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POI정보를 포함하는 웹 문서를 검색한다.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블로그, 트윗터, 페이스북 등 기 설정된 서비스의 웹 문서에서 POI 관리장치(100)가 제공한 POI 정보가 포함된 웹 문서들을 수집한다.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수집된 웹 문서를 분석하여 빈번하게 노출되는 포함하는 테마에 해당 POI를 맵핑한다.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맵핑 결과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수집된 웹 문서로부터 POI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여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text mining apparatus 130 searches the web document including the the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eme management apparatus 150 and the POI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I management apparatus 100. [ The text mining device 130 collects web documents including POI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OI management apparatus 100 in a web document of a predetermined service such as a blog, twitter, or facebook. The text mining device 130 analyzes the collected web documents and maps the corresponding POIs to the included themes that are frequently exposed. The text mining device 130 provides the mapping result to the the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In addition, the text mining device 130 may extract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POI from the collected web documents and provide the extracted evaluation information to 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텍스트 마이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테마별 장소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300)가 접속하면, 해당 단말장치(3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테마별 장소정보를 검색하여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 또한,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따라 테마별 장소정보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할 수 있다.The subject-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tinuously updates and manages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xt mining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theme,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earches for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300. In addition,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a place information search result by a theme according to a search condition input by a user, registers a point of interest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the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 각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혹은 이벤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사이트의 웹페이지 혹은 SNS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들 간에 테마별 장소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provide coupon or event information available at each place when providing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can shar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mong users through a web page or SNS of an external site .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테마별 장소정보를 인기순, 최근 등록 순 등의 정렬 규칙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장소정보를 배경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소정보 검색을 위해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업종이나 카테고리 별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반경을 자동 조절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arrange and display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orting rules such as popularity, recent registration, or display the user plac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n the background screen.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various conditions for the user. For example,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can provide 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or category, and can automatically provide a place-by-theme place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earch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또한,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순서로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지인이 추천했거나 방문한 장소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arch result is displaye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for a theme may provide search results by sorting the place information in order of relevance to the user. For example, a place recommended or visited by the user's acquaintance can be preferentially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의 제어블럭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50), 테마 수집부(270),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부(260),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280), 사용자정보 DB(210), 테마별 장소정보 DB(220), POI 수집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2, the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50, a theme collection unit 270, a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60,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80, A location information DB 220 for a theme, a POI collection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사용자정보 DB(210)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와 사용자가 연동하도록 설정한 사이트 정보, 사용자의 친구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user information DB 210 stores user login information, sit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o be linked with the user, frien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ike.

테마별 장소정보 DB(220)에는 테마별로 분류된 장소정보 등이 저장된다. 테마별 장소정보 DB(220)에 저장된 정보들은 테마 및 POI의 생성과 삭제,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에서 수신되는 테마별 장소정보의 변경 등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DB 220 stores place information sorted by them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DB 220 can be constantly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tion and deletion of the theme and the POI, the change of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xt mining device 130, and the like.

데이터 송수신부(250)는 단말장치(300) 측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장치(300)로부터 로그인 정보, 장소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 등을 수신하고, 단말장치(300) 측에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테마별 장소정보의 검색결과 등을 송신한다.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and receives login information and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plac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50 transmits the recommended place information, A search result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theme, and the like.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28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8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connected to 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

POI 수집부(230)는 단말장치(300)로부터 새로운 POI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부(250)를 통해 POI 관리장치(100)에 송신한다. The POI collecting unit 230 receives the new POI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new POI information to the POI manag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50.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부(260)는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로부터 테마별 장소정보를 수신하여 테마별 장소정보 DB(220)에 저장한다.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60 receives the theme-based place information from the text mining device 130 and stores it in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DB 220.

테마 수집부(270)는 단말장치(300)로부터 새로운 테마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부(250)를 통해 테마 관리장치(150)에 송신한다. The theme collection unit 270 receives a new theme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new theme to the theme management device 150 via the data transmission /

제어부(240)는 데이터 송수신부(250), 테마 수집부(270),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부(260),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280) 및 POI 수집부(23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단말장치(300)에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50, the theme collection unit 270, the the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260,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80, and the POI collection unit 230, 300).

제어부(240)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280)를 통해 단말장치(3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단말장치(300)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테마별 장소정보를 검색하여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 제어부(240)는 테마별 장소정보를 인기순, 최근 등록 순 등의 정렬 규칙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장소정보가 단말장치(300)의 배경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장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through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80 and sear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hem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terminal device 300, ). The control unit 240 may arrange and display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orting rules such as popularity order, recent registration order, or provide user plac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plac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300 have.

제어부(240)는 데이터 송수신부(250)로 수신된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따라 테마별 장소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업종이나 카테고리 별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 반경을 자동 조절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순서로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searches for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condition of the user received b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50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to the terminal device 300. Here, the control unit 240 can provide search results for each type of business or category, and can automaticall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hem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earch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search result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240 may sort the place information in order of relevance to the user and provide search results.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 장소정보 DB(220)에 등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서비스 사이트와 연동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외부 사이트의 웹페이지 혹은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240 registers the point of interes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DB 220, and allows the user to shar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with other service sites set by the user through a web page or SNS of the external site do.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제어블럭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단말 제어부(340) 및 메모리(350)를 포함한다.3, the terminal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n input unit 320, a display unit 330, a terminal control unit 340, and a memory 350.

통신부(31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 측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로그인 정보, 장소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 등을 송신하고,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테마별 장소정보의 검색결과 등을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theme, and transmits login information and a search word fo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to the the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e search result of the recommended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the search result of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입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을 단말 제어부(340)로 전달한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 장소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 등을 입력 받는다.The input unit 320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The input unit 320 receives login information from a user,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place informat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330)는 단말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30)에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메뉴가 표시되며,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테마별 장소정보의 검색결과 등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various menus for using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of recommended themes provided by the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Etc. are displayed.

메모리(350)에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테마별 장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테마별 장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말 제어부(340)에 의해 실행되어 서비스 이용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the memory 350, a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service provided by the theme-based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stored. 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according to user sel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320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rvice use and management.

단말 제어부(340)는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모리(350)에 저장된 테마별 장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330)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한다. 단말 제어부(340)는 입력부(320)로 입력된 로그인 정보, 장소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 등을 통신부(310)를 통해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340)는 통신부(310)로 수신된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테마별 장소정보의 검색결과 등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displays various menus for using the service on the display unit 330 by executing the the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35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320. [ 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transmits the login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320, a search word fo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and the lik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the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340 processes the search result of the recommended theme location information, the them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displays the result on the display unit 33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장소정보와 테마정보가 등록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FIG. 4 is a control flowchart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 location-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process of registe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me information by a us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장치(30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 POI 관리장치(100), 테마 관리장치(150) 및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장치(300)에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300)에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테마별 장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4,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each user location based theme includes a user terminal 300, a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 POI management device 100, a theme management device 150, and text mining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devices 130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 location based theme to the terminal device 300. Here, the terminal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a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service provided by the theme-based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단말장치(30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테마정보와 장소정보를 송신한다(S110). 여기서, 단말장치(30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테마별 장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테마 정보 및 장소정보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theme information and place information to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110). Here, the terminal device 300 may execute the theme-base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350, and may transmit the theme information and the pla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300)가 등록한 테마가 새로운 테마인지를 판단하고(S115), 새로운 테마일 경우 이를 테마 관리장치(150)에 등록한다(S120).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theme registered by the terminal device 300 is a new theme (S115). If the theme is a new theme, it registers the theme in the theme management device 150 (S120).

이에, 테마 관리장치(150)는 새로 업데이트된 테마 정보를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에 제공한다(S125).The theme management device 150 provides the newly updated theme information to the text mining device 130 (S125).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300)가 등록한 장소정보가 새로운 장소정보인지를 판단하고(S130), 새로운 장소정보일 경우 이를 POI 관리장치(100)에 등록한다(S135).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terminal device 300 is new location information (S13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ew location information, it registers it in the POI management device 100 (S135).

이에, POI 관리장치(100)는 새로 업데이트된 장소정보를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에 제공한다(S140).Then, the POI management apparatus 100 provides newly updated place information to the text mining apparatus 130 (S140).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수신된 POI 정보와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블로그 등의 웹 문서를 검색하고, PO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웹 문서를 분석하여 빈번하게 노출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테마에 해당 POI를 매핑한다(S145). The text mining device 130 searches a web document such as a blog including the received POI information and theme information, analyzes a web documen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OI,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OI (S145).

텍스트 마이닝 장치(130)는 맵핑 된 테마별 장소정보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S150).The text mining device 130 provides the mapped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to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150).

이에,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테마별 장소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Accordingly,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updates and manages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서, 사용자에게 테마별 장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장치(300)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검색하고자 하는 업종 카테고리, 혹은, 상황 관련 키워드를 송신한다(S210).The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the business category or the keyword related to the search to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21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수신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테마를 검색하고(S220), 검색된 테마목록을 단말장치에 송신한다(S230).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earches for a them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keyword (S220), and transmits the found theme list to the terminal device (S230).

이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테마를 입력받아(S240), 선택된 테마와 현재 위치정보를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에 송신한다(S250).Then,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 specific theme from the user (S240), and transmits the selected the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25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에 대응되는 POI를 검색한다(S260).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earches POIs corresponding to the theme selected by the user within a specific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S260).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검색된 테마별 장소정보를 단말장치(300)에 송신한다(S270). 여기서,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200)는 해당 장소정보에 대한 평가정보에 따라 테마별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단말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transmits the found subject-specific pla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300 (S270). Here,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arrange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place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terminal device 3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메인 화면 표시 상태도이다.6 is a main screen display state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메인 화면은 스크롤 영역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단에서 하단으로 드래깅(dragging)시 '새로 고침' 기능이 제공된다.When the main screen of the the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oll area, a 'refresh' function is provided when drag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타이틀 영역(A)에는 메뉴버튼(610), 화면 타이틀(테마 장소), 멥뷰 아이콘(620)이 제공된다. 메뉴버튼(610)을 선택하면 관심업종, 장소정보 등록하기, 다른 사용자 소식, 쿠폰, 서비스 설정, 공지사항 등의 메뉴가 제공된다. 여기서, '내 주변 소식' 또는 '공지사항이' 메뉴에 알림 사항이 있는 경우 메뉴버튼(610)에는 알림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title area A, a menu button 610, a screen title (theme place), and a preview icon 620 are provided. When the menu button 610 is selected, menus such as interest category,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other user news, coupons, service settings, and announcements are provided. Here, if there is a notification item in the 'news about me' or 'announcement' menu, a notificatio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menu button 610.

위치 표시 및 추천 스팟 영역(B)에는 변경버튼, 위치 정보, 스팟버튼이 제공된다. 위치 표시 및 추천 스팟 영역(B)은 화면 진입 시 표시되고 N초 후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다. 변경버튼이 선택되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추천 스팟버튼이 선택되면 추천 스팟 정보가 표시된다. 추천 스팟은 설정된 위치 정보와 가까운 AOI를 일정 개수만큼 표시할 수 있다. AOI를 표시하는 텍스트가 길어질 경우 좌우 드래깅으로 탐색이 가능하고 각 AOI는 토글 방식으로 선택 혹은 해제가 가능하다.The position indication and recommendation spot area B are provided with a change button, position information, and a spot button. The position indication and recommendation spot area (B) are displayed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creen and are automatically slid up after N seconds. When the change button is selected, a menu for changing the position is provided. When the recommended spot button is selected, the recommended spot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recommended spot can display a certain number of AOIs close to the set location information. If the text that displays the AOI is long, it can be searched by left and right dragging, and each AOI can be toggled on or off.

검색 영역(C)에는 검색어 입력 필드와 '업종별 찾기' 버튼이 제공된다.In the search area C, a search word input field and a 'search by industry' button are provided.

핫 테마 영역(D)에는 가장 인기 있는 테마의 순위, 테마명 및 해당 테마를 선택한 사용자 수가 표시되고 'more'버튼을 선택하면 더 많은 테마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The hot theme area (D) displays the ranking of the most popular themes, the name of the theme, and the number of users who selected the theme. If you select the 'more' button, you will be taken to a screen where you can check more themes.

관심 있을 만한 장소 표시영역(E)에는 사용자가 관심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POI가 제공되고, 배너 영역(F)에는 광고용 배너가 표시된다.In the place display area E that is of interest, a POI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is provided, and a banner for advertisement is displayed in the banner area F. [

관심 업종(G) 표시 영역에는 좌측 정렬로 사용자가 많이 선택한 인기 순으로 관심 업종이 표시된다. 화면 내에 최대 N개의 관심 업종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업종의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In the interest category (G) display area, the interested industries are displayed in order of popular popularity in the left sort order. Up to N interesting industries can be displayed in the screen, and when the corresponding button is selected, the search result of the business type is displayed.

인기 피플(H) 영역에는 다른 사용자에게 많은 추천을 받은 사용자 정보가 표시되고, 내 주변소식(I) 영역에는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활동 상황이 표시되며, 이벤트(J) 영역에는 진행중인 이벤트 내용이 표시된다.In the popular people (H) area, user information that has been highly recommended to other users is displayed. In the neighboring news (I) area, the activity status of users registered as a friend of the user is displayed. The contents are display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메뉴화면 표시 상태도로서, 도 6의 타이틀 영역(A)에 있는 메뉴버튼(610)을 선택하는 경우 메뉴화면 표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FIG. 7 is a menu screen display state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nu button 610 in the title area A of FIG. 6 is selected, It is.

메인화면(a)에서 메뉴버튼(610)을 선택(tap)하면, 메뉴화면(A', A'')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표시된다(화면 b). 화면 b에는 메인 화면(A, B)와 메뉴화면(A', A'')이 동시에 표시된다. 여기서, 메뉴화면이 닫힐 때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사라진다. 메인화면은 화면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우측에 남아 보여진다(화면 c).When the menu button 610 is tapped on the main screen a, the menu screens A 'and A' 'are slid from left to right and displayed (screen b). On the screen b, the main screens A and B and the menu screens A 'and 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Here, when the menu screen is closed, it slide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nd disappears. The main screen remains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screen c).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화면 표시 상태도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 theme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기능버튼(810), 화면 타이틀, 완료버튼(820)이 제공된다. 기능 버튼완료버튼이 제공된다. 기능버튼(810)은 진입 경로에 따라 다른 기능 버튼을 제공한다. 예컨대, 메뉴화면을 통해서 진입한 경우 메뉴버튼을 제공하고, 그 외의 경우 '이전' 버튼을 제공한다. 완료버튼(820)은 평상시에 비활성화되어 제공되고, 테마장소 등록이 시작되면 활성화된다In the title area A, a function button 810, a screen title, and a finish button 820 are provided. Function button Complete button is provided. The function button 810 provides different function buttons according to the entry path. For example, if a user enters through a menu screen, a menu button is provided. Otherwise, a 'previous' button is provided. A completion button 820 is normally provided in a disabled state, and is activated when the theme place registration starts

사용자 입력영역(B)에는 테마 등록 영역(830)과 장소 등록 영역(850)이 제공된다. 테마 등록 영역(830)과 장소 등록 영역(850)에는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를 입력하여 테마 및 장소를 등록할 수 있다. 추천 테마 확장 버튼(840)은 추천 테마 팝업을 제공한다.In the user input area B, a theme registration area 830 and a place registration area 850 are provided. The user can directly enter text in the theme registration area 830 and the place registration area 850 to register the theme and place. The recommended theme extension button 840 provides a recommended theme popup.

선택 입력영역(C)에는 사용자의 사진 등록, 함께 있는 친구 등록(860), 리뷰, 감성 평가, 'wish' 평가, 공유메뉴(870)를 선택할 수 있다. 함께 있는 친구 등록(860) 메뉴에는 등록된 친구 수(With N)와 친구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공유메뉴(870)에는 공유할 사이트가 버튼으로 제공된다.In the selection input area C, a user can select a photo registration, a friend registration (860), a review, a sensitivity evaluation, a "wish" evaluation, and a sharing menu (870). In the friend registration (860) menu together, the number of registered friends (With N) and the friend's icon are displayed. In the sharing menu 870, a site to be shared is provided as a butt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화면 표시 상태도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a theme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취소버튼(910)과 확인버튼(920)이 제공된다. 취소버튼(910) 선택 시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고, 확인버튼(920) 선택 시 장소 등록 추가 화면으로 이동한다.In the title area A, a cancel button 910 and an OK button 920 are provided. When the cancel button 910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previous screen, and when the OK button 920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place registration addition screen.

위치정보영역(B)에는 위치 정보가 제공되고, 지도 드래깅 시 변경되는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주소가 반영된다.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rea B, and the address is automatical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map is dragged.

위치 선택 지도영역(C)의 지도는 더블 태핑 시 지도가 N배율로 확대되고, 지도를 드래그하여 다른 지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도상에서 핀치 인/아웃(pinch in/out)동작을 통해 지도를 확대/축소할 수 있다.The map of the position selection map area C can be enlarged at N times magnification when double-tapping, and dragged to move to another map screen. In addition, the map can be zoomed in / out by pinching in / out operations on the map.

위치 선택 지도영역(C)에는 위치 선택 포커스(930), 현재 위치 핀(940) 및 현 위치 버튼(950)이 표시된다. 위치 선택 포커스(930)는 화면 중앙에 고정으로 제공되고, 지도를 드래깅 하여 위치 선택 포커스(930)에 설정할 장소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영역(B)에 표시된다. 현재 위치 핀(940)은 지도의 중심에 위치하고 지도 드래깅 시 함께 이동한다. 현 위치 버튼(950)을 선택하면 현재 위치 핀(940)이 지동의 중심이 되도록 지도가 이동하여 해당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영역(B)에 표시된다.The position selection focus area 930, the current position pin 940 and the current position button 950 are displayed in the position selection map area C. [ The position selection focus 930 is fixed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position to be set in the position selection focus 930 can be positioned by dragging the map. At this time, the set pos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osition information area B. The current location pin 94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p and moves together when dragging the map. When the current position button 950 is selected, the current position pin 940 is mov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pin 94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rism,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osition information area B.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테마별 장소정보 표시 상태도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state according to a them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테마보기 메뉴를 선택하면 기 설정된 개수, 예컨대, 20개의 테마 리스트가 순위와 함께 표시된다. 표시되는 리스트의 개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스크롤 영역이 최상단일 경우 상단에서 하단으로 드래깅 시 '새로 고침' 기능이 제공된다. 테마 리스트 태핑 시에는 하위 메뉴, 예컨대, 선택된 테마에 대한 장소보기 화면으로 이동한다.When the theme view menu is se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20 theme lists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anking. The number of displayed lists can be customized. When the scroll area is at the top, a 'refresh' function is provided when dragging from top to bottom. At the time of theme list tapping, a submenu, for example, a location view screen for the selected theme, is displayed.

테마보기 메뉴의 리스트는 순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1 내지 3위의 테마는 순위 및 테마명과 함께 장소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상에 표시된 'picker'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테마를 등록한 사용자들을 팝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list of the theme view menu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nking. For example, a theme of the first to third rank may provide place information together with a rank and a theme name. Also, when the 'picker' button displayed on the list is selected, users registered with the theme can be provided as a popup.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 표시 상태도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display stat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메뉴버튼(11100), 사용자 닉네임, 설정버튼(1120)이 제공된다. 메뉴버튼(11100)은 선택 시 메뉴 화면으로 이동하고, 설정버튼(1120) 선택 시 해당 사용자와 연동하게 된다.In the title area A, a menu button 11100, a user nickname, and a setting button 1120 are provided. The menu button 11100 moves to the menu screen when selected and is linked to the user when the setting button 1120 is selected.

기본정보영역(B)에는 배경화면, 프로필 이미지(1130), 사용자 닉네임, 연동 SNS 아이콘(1140)이 표시된다. 배경화면과 프로필 이미지(113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연동 SNS 아이콘(1140)은 사용자가 연동한 SNS 아이콘을 표시한다.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B, a background screen, a profile image 1130, a user's nickname, and an interlocking SNS icon 1140 are displayed.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profile image 11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interworking SNS icon 1140 displays the SNS icon linked with the user.

프로필 및 타임라인 탭 영역(C)은 각각 프로필 메뉴를 표시하거나 타임라인을 표시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탭을 제공한다.The profile and timeline tab regions C provide tabs for selecting to display the profile menu or to display the timeline, respectively.

프로필 영역(D)은 나의 테마, 내가 팔로잉 한 테마, 나의 테마 팔로워, 내가 팔로잉한 사람, 나의 팔로워 리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의 테마' 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의 타이틀을 리스트로 표시하며, 태핑 시 해당 테마 보기 화면이 표시된다. '내가 팔로잉 한 테마' 리스트는 사용자가 팔로잉 선택한 테마개수를 표시하며, 태핑 시 팔로잉한 사용자 화면으로 이동한다. '나의 테마 팔로워' 리스트는 사용자의 테마를 팔로잉하는 사람의 숫자를 표시한다. '내가 팔로잉한 사람' 리스트는 사용자가 팔로잉하는 사람의 숫자를 표시하고, 태핑 시 팔로잉 화면이 표시된다. '나의 팔로워 리스트'는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의 숫자를 표시한다.The profile area (D) can be composed of my theme, the theme I follow, my theme follower, my follower, my follower list, and so on. The 'My Theme' list displays the titles of the them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theme view screen is displayed when tapping. The 'Themes I follow' list displays the number of themes you have selected to follow, and moves to the user screen that you follow when tapping. The 'My theme followers' list displays the number of people following your theme. The 'My followers' list displays the number of people you are following, followed by a tapping screen. My follower list displays the number of people following you.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화면과 화면 제어 상태도이다.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and a screen control state of each type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메뉴 버튼, 화면 타이틀 및 '관심 업종'버튼이 제공된다. '관심 업종'버튼은 '관심 업종'을 설정하는 버튼으로서, 태핑 시 사용자가 관심 업종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The title area A is provided with a menu button, a screen title, and an 'interest category' button. The 'Interests' button is a button for setting the 'industry of interest', and provides a screen for users to select and manage the industry of interest when tapping.

카테고리 리스트 영역(B)에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 이름이 표시되고, 카테고리 이름 선택 시 세부 카테고리 화면이 제공된다. 카테고리 리스트 영역(B)에는 1뎁스(depth) 카테고리와 그 세부 카테고리인 2뎁스(depth) 카테고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tegory list area (B), a predetermined category name is displayed, and when a category name is selected, a detailed category screen is provided. In the category list area B, one depth category and two depth categories, which are subcategories thereof, can be displayed together.

1뎁스(depth) 카테고리의 경우, 아이콘과 카테고리명(1260)이 표시되고, 태핑 시 해당 카테고리의 업종별 찾기 결과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업종별 찾기 결과리스트 화면은 추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뎁스(depth) 카테고리에서 관심 업종으로 선택된 경우 관심 업종 선택 아이콘(1270)이 표시된다. 또한, 해당 카테고리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테마와 아이콘(1280)이 표시되고 이를 선택하면, 해당 테마의 테마별 장소보기 화면으로 이동한다. 'more' 버튼(1290) 선택 시에는 해당 카테고리의 테마 보기화면으로 이동한다.In the case of the 1 depth category, an icon and a category name 1260 are displayed, and the screen is moved to the category list screen for category search in the tapping. Here, the searched result list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interest category is selected in the 1 depth category, the interest selection icon 1270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most popular theme and icons 1280 in the category are displayed. When the icon 1280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theme-based place view screen of the theme. When the 'more' button 1290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theme view screen of the category.

2뎁스(depth) 카테고리의 경우, 아이콘과 카테고리명(1210)이 표시되고 선택 시 해당 카테고리의 업종별 찾기 결과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업종별 찾기 결과리스트 화면은 추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세부 카테고리 확장 버튼(1220)은 드랍 앤 다운(dorp&down) 버튼으로 사용자가 세부 카테고리를 열거나 닫도록 선택할 수 있다. 세부 카테고리 제공 영역(1230)은 가변 영역으로 세부 카테고리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세부 카테고리에서 관심 업종으로 선택된 경우 관심 업종 선택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해당 카테고리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테마와 아이콘(1240)이 표시되고 이를 선택하면, 해당 테마의 테마별 장소보기 화면으로 이동한다. 'more' 버튼(1250) 선택 시에는 해당 카테고리의 테마 보기화면으로 이동한다.In the case of the two depth category, an icon and a category name 1210 are displayed, and when the selection is made, the screen is moved to the search result list screen of the category. Here, the searched result list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detail category extension button 1220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o open or close the detail category with a drop & down button. The sub-category providing area 1230 is a variable area and depends on the number of sub-categories. If you are selected as an interest category in the sub-category, the icon for selecting the category of interest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most popular theme and icon 1240 in the category are displayed. When the icon 1240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theme-based place view screen of the theme. When the 'more' button 1250 is selected, the theme view screen of the category is displayed.

도 13은 도 12의 업종별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FIG. 1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screen of each type in FIG. 12; FIG.

타이틀 영역(A)에는 이전 버튼(1310), 화면 타이틀 및 맵뷰 버튼(1320)이 제공된다. '관심 업종'버튼은 '관심 업종'을 설정하는 버튼으로서, 태핑 시 사용자가 관심 업종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In the title area A, a previous button 1310, a screen title, and a map view button 1320 are provided. The 'Interests' button is a button for setting the 'industry of interest', and provides a screen for users to select and manage the industry of interest when tapping.

위치 표시 및 설정 영역(B)에는 변경 버튼, 위치 정보, 검색 반경 정보 및 설정 컴포넌트(1330)가 제공된다. 위치 표시 및 설정 영역(B)은 화면 진입 시 표시되고 N초 후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다. 검색 반경 정보 및 설정 컴포넌트(1330)는 사용자가 검색 반경을 500m, 1Km, 4Km, 16K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검색 반경이 전국으로 설정된 경우 반경 설정 컴포넌트(1330)은 제공되지 않는다. The location display and setting area B is provided with a change button, location information, search radius information, and a setting component 1330. The position display and setting area (B) is displayed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creen and is automatically slid up after N seconds. The search radius information and setting component 1330 provides a user setting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search radius to 500 m, 1 Km, 4 Km, 16 Km, etc. If the search radius is set to nationwide, the radius setting component 1330 is not provided Do not.

검색결과 인덱스 영역(C)에는 검색결과 개수, 상세조건 버튼(1340), 소팅 버튼(1350)이 제공된다. 상세조건 버튼(1340) 선택 시 각 업종별 검색 시 검색 상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소팅 버튼(1350) 선택 시에는 결과 리스트를 거리순, 인기순, 혜택순 등으로 소팅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search result index area C, a number of search results, a detailed condition button 1340, and a sort button 1350 are provided. When the detailed condition button (1340) is selected, search screen for each type of business is displayed. When the sorting button 1350 is selected, the sorting criterion can be changed to a result list in descending order, popularity order, benefit order, or the like.

리스트 영역(D)에는 검색된 POI 리스트가 표시된다.In the list area D, the searched POI list is displayed.

여기서, 리스트 영역(D)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화면을 상단에서 하단으로 스크롤 하는 경우, 위치 표시 및 설정 영역(B)와 검색결과 인덱스 영역(C)는 고정되고 리스트 영역(D)만 스크롤된다. Here, when scrolling the screen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check the result of the list area D, the position display and setting area B and the search result index area C are fixed and only the list area D is scrolled .

반면, 화면을 하단에서 상단으로 스크롤 하는 경우, 고정영역 없이 (B)~(D) 영역이 모두 스크롤 된다. 여기서, 화면 (나) 내지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영역은 화면 스크롤 시 함께 스크롤되다가 (A) 영역 하단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creen is scroll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ll the areas (B) to (D) are scrolled without a fixed area. Here, as shown in screens B to D, the area (C) is scrolled together when the screen is scrolled, and is fixed at the bottom of the area (A).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상세조건 검색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FIG. 1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detailed condition search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이전 버튼(1410) 및 화면 타이틀이 표시된다. In the title area A, a previous button 1410 and a screen title are displayed.

상세조건 리스트 영역(B)에는 조건 초기화 메뉴(1420)와 상세조건 항목 리스트(1430) 및 검색버튼(1440)이 제공된다.In the detail condition list area B, a condition initialization menu 1420, a detailed condition item list 1430, and a search button 1440 are provided.

상세조건 항목 리스트(1430)는 기 설정된 상세조건 항목을 제공하여, 예산, 세부조건, 맞춤조건 등에 따라 원하는 장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The detailed condition item list 1430 provides a predetermined condition item and can quickly and easily retrieve a desired place according to a budget, a detailed condition, a fitting condition and the like.

도 15는 도 14의 상세조건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15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the detailed condition search result screen of Fig.

타이틀 영역(A)에는 이전 버튼, 화면 타이틀 및 맵뷰 버튼이 제공된다. The title area A is provided with a previous button, a screen title, and a map view button.

POI 간략 정보와 기능 제공 영역(B)에는 POI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간략 정보가 표시된다.In the POI brief information and function providing area (B), brief information such as name,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of the POI is displayed.

여기서, POI의 전화번호 링크를 선택하면 (b) 또는 (c)와 같은 형태의 연락처 팝업이 표시된다. 연락처 팝업 제공 시에는 백그라운드가 어둡게(Dimmed) 처리되어 팝업 이외의 영역을 선택하여도 별도의 인터렉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연락처 팝업 화면에는 전화걸기 버튼, 연락처 저장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b) 및 (c)의 연락처 팝업은 단말장치의 OS나 시스템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Here, if a phone number link of the POI is selected, a contact pop-up such as (b) or (c) is displayed. When a contact pop-up is provided, the background is dimmed and no other interaction is provided even if a region other than the pop-up is selected. In the contact pop-up screen, a call button, a contact save button, and a cancel button may be displayed. The contact pop-ups (b) and (c)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OS or system setting of the terminal apparatus.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검색결과 오류 신고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16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error report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by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영자에게 신고하기 화면(1610) 제공 시에는 백그라운드가 어둡게(Dimmed) 처리되어 팝업 이외의 영역을 선택하여도 별도의 인터렉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운영자에게 신고하기 화면(1610)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소, 잘못된 전화번호, 잘못된 주소/위치, 잘못된 세부 정보 등을 신고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At the time of providing the report to the operator screen 1610, the background is dimmed and no other interaction is provided even if an area other than the pop-up is selected. On the report to operator screen 1610, a selection menu may be displayed to report a nonexistent location, an incorrect phone number, an incorrect address / location, and incorrect details.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검색결과 오류 신고화면의 표시 상태도로서, 잘못된 전화번호를 신고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FIG. 17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error report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incorrect phone number is reported.

잘못된 전화번호를 신고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a)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 영역(A)과 제보 영역(B)으로 구성된 신고화면이 표시된다.When a user wants to report a wrong telephone number, when a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a) a notification screen composed of a title area A and a notification area B is displayed as shown in the screen.

(a)화면에서 전화번호 정보 입력 메뉴(1710)를 선택하면, (b)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메뉴가 표시된다.(a) When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input menu 1710 is selected on the screen, (b) an input menu for inputting the area number and the phone number as shown in the screen is displayed.

(b)화면에서 지역번호 입력메뉴(1720)를 선택하면 (c)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b) When the area code input menu 1720 is selected on the screen, a menu for selecting the area code is displayed as shown in (c).

(c)화면에서 지역번호를 선택하면, (d)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740)가 표시된다. 이에, 키패드(174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잘못된 전화번호에 대한 신고가 완료된다.(c) When the area code is selected on the screen, (d) a keypad 1740 for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as shown in the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button after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using the keypad 1740, reporting of the wrong telephone number is completed.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결과의 지도 기반 표시 상태도이다.FIG. 18 is a map-based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for each category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업종별 검색결과는 지도 기반으로도 표시되며, 이에, 검색결과 화면에는 검색된 장소의 위치와 반경 정보가 표시된다. Search results by industry are also displayed on a map basis, and the search result screen displays the location and radiu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place.

화면(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에는 검색된 POI 위치 표시 아이콘(1810)과, 버블 팝업 형태의 POI 정보(1820), 지도 상에서의 중심지점 표시 아이콘(1830) 및 현재 위치 버튼(1840)이 표시된다.As shown in the screen (a), the map displays the searched POI position display icon 1810, POI information 1820 in a bubble pop-up form, a center point display icon 1830 on the map, and a current position button 1840 do.

여기서, POI 정보 버블 팝업(1820)이 없는 상태에서 지도화면을 태깅하면, 타이틀 영역(A)과 위치표시 및 설정 영역(B)이 화면 상단으로 밀리며 사라지고 지도만 표시되는 화면(c)가 표시된다.Here, when the map screen is tagged with no POI information bubble pop-up 1820, the title area A and the position display and setting area B are pushed to the top of the screen and a screen c is displayed in which only the map is displayed .

POI 정보 버블 팝업(1820)이 있는 상태에서 지도화면을 태깅하면, 지도가 N배율로 확대된다.When the map screen is tagged with the POI information bubble pop-up 1820, the map is enlarged at N times magnification.

이러한 화면(a)에서 지도를 드래그 하면 다른 지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핀치 인/아웃(pinch in/out) 동작을 수행하면 설정된 반경이 실시간으로 반영된다.In this screen (a), dragging the map can move to another map screen. When the pinch in / out operation is performed, the set radius is reflected in real time.

한편, 검색 결과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검색 반경이 확대된다. 검색 반경은 500m-> 1km -> 4km -> 16km 순으로 자동 확대될 수 있다. 검색 반경이 최대까지 확대된 상태에서도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 화면(b)와 같이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안내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earch result, the search radius is automatically enlarged. Search radius can be enlarged automatically in order of 500m-> 1km -> 4km -> 16km. If there is no search result even when the search radius is enlarged to the maximum, a guideline of "no search result" as shown in the screen (b) can be provided.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업종별 검색 결과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19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earch result screen for each category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틀 영역(A)에는 이전 버튼, 화면 타이틀 및 맵뷰 버튼이 제공된다. '관심 업종'버튼은 '관심 업종'을 설정하는 버튼으로서, 태핑 시 사용자가 관심 업종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The title area A is provided with a previous button, a screen title, and a map view button. The 'Interests' button is a button for setting the 'industry of interest', and provides a screen for users to select and manage the industry of interest when tapping.

위치 표시 및 설정 영역(B)에는 변경 버튼, 위치 정보, 검색 반경 정보 및 설정 컴포넌트가 제공된다. In the position display and setting area B, a change button, position information, search radius information, and setting components are provided.

검색결과 인덱스 영역(C)에는 검색결과 개수, 상세조건 버튼, 소팅 버튼이 제공된다. The search result index area C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search results, a detailed condition button, and a sort button.

리스트 영역(D)에는 검색된 POI 리스트가 표시된다. 리스트 영역(D)에는 POI의 이름, 주소, 테마명, 등의 정보와 함께, 해당 장소정보를 선택한 사용자(picker)의 수와 평가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picker) 아이콘(2010)을 선택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들의 상세 정보(2020)가 표시된다.In the list area D, the searched POI list is displayed. In the list area D, the number of users (pickers) who selected the place information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OI name, address, theme name, and the like. Here, if the picker icon 2010 is selected, detailed information 2020 of each use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여기서 해당 장소정보를 선택한 사용자들의 상세 정보(2020)는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순서, 예컨대, 사용자의 친구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해당 장소정보를 선택한 다른 사용자들 중 친구인 경우 친구인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팔로잉하고 있는 사용자와 사용자를 팔로잉 하고 있는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detailed information 2020 of the users who have selected the place information may display the order of the user, for example, the friend of the user. That is, a friend who is a friend of other users who selected the place information is displayed preferentially. It is also possible to preferentially display the user who is following and the user who is following the user.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21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user-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은 "내 주변 소식"이라는 타이틀 영역(A)과 소식 영역(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er-user activity information screen may be composed of a title area (A) and a news area (B) called "inside news ".

소식 영역(B)에는 글 작성자의 프로필 사진(2210)과 함께할 것으로 등록한 친구(도 8 참조) 중 N명의 프로필 사진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등록된 친구가 N명을 초과하는 경우 총 인원수 아이콘(2120)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news area B, N profile pictures of friends registered with the author 2210 of the author (see FIG. 8) can be displayed together. If the number of registered friends exceeds N, the total number of people icon 2120 may be displayed.

도 22는 도 21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의 삭제기능 제공 상태도이다.2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eletion function of the activity information screen for each user in Fig.

도 21의 화면과 같이 표시된 소식 영역(B)을 좌우 혹은 우좌로 플리킹(flicking)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소식 영역(B)에 '삭제' 버튼이 표시된다. 이에, '삭제' 버튼을 선택하면 "내 주변 소식" 목록에서 해당 글과 댓글 목록이 삭제된다. 그리고, '삭제' 버튼 이외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삭제 모드가 해제된다.When the news area B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21 is flicked to the right or left, a 'delete' button is displayed in the news area B as shown in FIG. If you select the 'Delete' button, the corresponding posts and comments will be deleted from the "Nearby" list. When selecting an area other than the " delete " button, the delete mode is canceled.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별 활동정보 화면에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2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creen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per-user activity information screen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의 화면과 같이 표시된 소식 영역(B)에 표시된 내 주변 소식의 문장에는 볼드(bold) 처리된 단어들이 제공된다. 이에, 볼드(bold) 처리된 단어를 선택하면 화면(나) 또는 화면 (다)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옵션 팝업(2310, 2320)이 표시된다.Bold words are provided in the sentences of the inner news items displayed in the news area B shown in the screen of FIG. If the bolded word is selected, the option pop-ups 2310 and 2320 are displayed as shown on the screen B or the screen B, respectively.

옵션 팝업(2310)에는 사용자의 닉네임, 테마명, POI명,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이에, 옵션 팝업(2310)에 표시된 닉네임을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표시 화면으로 이동하고, 테마명을 선택하면 해당 테마별 장소보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POI명을 선택하면 해당 POI의 상세정보 화면으로 이동하고, 취소 버튼을 선택하면 옵션 팝업(2310, 2320)이 사라진다.The option pop-up 2310 displays the nickname, theme name, POI name, and cancel button of the user. If the nickname displayed on the option pop-up 2310 is selected, the user is moved to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screen of the user, and if the user selects the theme name, the user can move to the theme-specific place viewing screen. If the POI name is selected, the detailed information screen of the POI is displayed. If the user selects the cancel button, the option popups 2310 and 2320 disappear.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서비스의 장소정보를 다른 사이트와 연동하기 위한 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2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screen for linking place information of a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based t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other site.

(가)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화면에서 공유메뉴를 선택하면, 공유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화면이 표시된다. (A) When the sharing menu is selected on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as shown in the screen, an option screen for selecting the sharing means is displayed.

여기서, 공유A 사이트를 선택하면 (나)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화면이 표시되고, 이에, 사용자는 (다)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Here, if the user selects the shared A site, a user input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b) of FIG. 6, and the user can input his or her own comment as shown in (c) of FIG.

(다)화면에서 코멘트를 입력한 후 '보내기'메뉴 혹은 키패드의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장소정보가 A 사이트와 공유된다. (C) If you enter a comment on the screen and then select the 'Send' menu or the 'Transfer' menu on the keypad, the place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A site.

공유에 성공한 경우 (라)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사이트에 공유하였습니다" 메시지가 N초 간 표시된 후, (마)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표시되었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화면이 표시된다.When the sharing is successful (D) As shown in the screen, the message "Shared to A site" is displayed for N seconds, and then the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that was initially displayed as shown on the screen is displayed.

그리고, 테마별 장소정보가 공유된 A 사이트에는 (바)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공유 사실이 게시될 수 있다.Then, the A-site where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is shared can be posted by the user as show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점이나 매장 등의 장소를 테마에 따라 분류하여 추천하거나 테마별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지점을 테마별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user location based on a user's location, in which a place such as a restaurant or a store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theme to provide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a theme, a user can register a point of interest selected by a the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heme.

100 : POI 관리장치 150 : 텍스트 마이닝 장치
200 :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 210 : 사용자정보 DB
220 : 테마별 장소정보 DB 230 : POI 수집부
240 : 제어부 250 : 데이터 송수신부
260 : 테마 수집부 270 : 테마별 장소정보 등록부
280 :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 300 : 단말장치
310 : 통신부 320 : 입력부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단말 제어부
350 : 메모리
100: POI management device 150: text mining device
200: Pl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each theme 210: User information DB
220: Place information DB 230 for each theme; POI collecting unit
240: control unit 250: data transmission /
260: theme collection unit 270: pl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by theme
280: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0:
310 communication unit 320 input unit
330: Display unit 340:
350: Memory

Claims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장소정보와 테마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상기 장소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POI 관리장치;
상기 테마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테마정보 관리장치;
상기 장소정보 및 테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소정보를 포함하는 웹 문서를 수집하고, 수집된 웹 문서에 포함된 단어 중 기준 횟수 이상 노출되는 단어를 포함하는 테마정보를 상기 장소정보와 매핑하여 테마별 장소정보를 생성하는 텍스트 마이닝 장치; 및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와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렬 규칙에 따라 상기 테마별 장소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추천 테마별 장소정보 리스트로 제공하는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place information and theme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 POI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place information;
A them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theme information;
The them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web site including the place information, and the theme information including the words exposed by the reference number of times or more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collected web document is mapped to the place information, A text mining dev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And
And a theme-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stor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for register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nd arranging the theme-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nd providing the them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s a recommended plac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by User Location Based Theme.
KR1020120129138A 2012-11-14 2012-11-14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20140066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138A KR20140066859A (en) 2012-11-14 2012-11-14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PCT/KR2013/007869 WO2014077500A1 (en) 2012-11-14 2013-08-3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position-based place information for each t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138A KR20140066859A (en) 2012-11-14 2012-11-14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859A true KR20140066859A (en) 2014-06-03

Family

ID=5112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138A KR20140066859A (en) 2012-11-14 2012-11-14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85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485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케이티 Geofenc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88770A (en) * 2015-01-16 2016-07-26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101677749B1 (en) 2015-05-28 2016-11-21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ervice server for recommendation of considering individual personality
KR20180034180A (en)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of sharing photo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485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케이티 Geofenc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88770A (en) * 2015-01-16 2016-07-26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20210068345A (en) * 2015-01-16 2021-06-09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20210146277A (en) * 2015-01-16 2021-12-03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20220039689A (en) * 2015-01-16 2022-03-29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101677749B1 (en) 2015-05-28 2016-11-21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ervice server for recommendation of considering individual personality
KR20180034180A (en)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of sharing photo based locatio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85B2 (en) Client termi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acts
US11709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evaluating entities
US2019017133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action related to user selection
US91895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y based navigation
US20190129966A1 (en) Creating and utilizing map channels
KR20120137603A (en) Operating method for personnel social information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CN104077047A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AU2019229847A1 (en) Search engine scoring and ranking
US20170228109A1 (en) Information Interactive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101719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38474A (en) User interface providing localized search capabilities
US8990700B2 (en) Rating and review interface
KR20150042894A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profile image card
RU2741479C2 (en) Mobile advertisement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JP6335210B2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connected to search service,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executing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US11121991B2 (en) User terminal and search server providing a search service using emotico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53761A1 (en) Domain-based visualizations of messaging content
KR20140066859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20140068283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AU2019229843A1 (en) User created content referral and search
WO2018088638A1 (en) User-centric, context aware user interface
KR20140062683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20140062684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US20210294464A1 (en) Metho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KR20140062685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related theme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