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130A -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130A
KR20140066130A KR1020140028658A KR20140028658A KR20140066130A KR 20140066130 A KR20140066130 A KR 20140066130A KR 1020140028658 A KR1020140028658 A KR 1020140028658A KR 20140028658 A KR20140028658 A KR 20140028658A KR 20140066130 A KR20140066130 A KR 2014006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germanium
per
planting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조
Original Assignee
박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조 filed Critical 박만조
Priority to KR102014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130A/ko
Publication of KR2014006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게르마늄 성분이 0.13~9.5ppm 함유된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GERMANIUM GINSE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정량의 게르마늄을 인삼의 재배에 있어 시비함으로써 어느 정도 정량적인 사포닌 및 게르마늄 함유량을 구비한 인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르마늄 (Germanium, atomic number 32; atomic weight 72.59; melting point 937.4℃; boiling point 2830℃)은 유기물이나 무기물의 다양한 형태로 돌과 흙, 식물과 동물에 존재한다. 지각에 대략 7 ppm 정도 포함되어 있고, 미국 기준으로 흙에서는 0.6-1.3 mg Ge/kg, 물에서는 0.004-0.6 mg Ge/L이 발견되는 미량원소(trace element)이다.
게르마늄 화합물은 크게 무기 게르마늄 화합물 (inorganic germanium compound)과 유기 게르마늄 화합물 (organic germanium compound)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게르마늄-탄소 결합이 부족한 염이나 산화물들을 무기 게르마늄으로 분류한다. 대표적인 무기 게르마늄인 GeO2 (germanium dioxide)나 게르마늄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germanium citrate lactate)는 신장독성 (nephrotoxicity)을 가지고 있어 급성 신부전증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도 한다. 무기 게르마늄의 독성은 게르마늄이 생체 조직에 축적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유기 게르마늄은 게르마늄-탄소 결합을 가지고 있는데, 이 결합은 게르마늄이 탄소와 같은 14족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생체 내에서도 쉽게 결합이 깨지지 않으며, 생체 조직에 쌓이지 않고 쉽게 배출되어 독성이 거의 없다.
1980 년대에는 유기 게르마늄 화합물이 항암효과와 면역조절 기능을 가진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암과 AIDS의 진행을 막고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항암효과를 가진 면역강화제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유기 게르마늄 화합물들은 1950년대 처음으로 러시아의 Mironov에 의해서 다양하게 합성되기 시작했고, 1966년 bis (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3(GeCH2CH2COOH)2)를 합성했다. 그 바로 직후인 1967년, 같은 물질인 bis (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3(GeCH2CH2COOH)2)가 일본 도쿄의 아사이 게르마늄 연구소(Asai Germanium Research Institute)에서 합성되었고, 이를 Ge-132라 명명하였다. 이 Ge-132 화합물에 대한 화학적 구조와 물리화학적 성질은 이미 보고되었다. 이후 Ge-132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Ge-132가 면역 강화 효능을 가지고, 인터페론 유도 (IFN induction), NK 세포 활성의 증가, 세포독성 대식세포(cytotoxic macrophages)의 생성, 항암 효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학적 효능을 보인다는 것을 밝혀왔다.
한편, 현재까지 밝혀진 인삼의 사포닌의 성분별 효과는 아래와 같다.
Rb1 : 간기능 회복, 피로회복.
Rb2 : 당뇨조절, 비만 및 동맥경화방지, 간세포증식.
Rh1 : 간기능개선, 피로회복, 혈소판응집억제.
Rh2 : 항암 및 면역력 증강.
Rg1 : 기억력강화 및 치매예방, 당뇨조절, 비만방지, 피로회복.
Rg2 : 기억력강화 및 치매예방, 혈소판응집억제.
Rg3 : 항암제 및 항암제내성억제기능, 면역력증강.
Re : 간 보호, 골수세포생성촉진, 기억력강화 및 치매에방.
기타 Rf, Ro, Rd 등 : 지질과산화억제, 뇌신경세포 진통작용, 알코올해독, 염증치료, 단백질 및 지질합성촉진,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촉진작용 등
이와 같이, 인삼의 사포닌은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며, 인삼의 주요 효능은 사실적으로 이 사포닌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게르마늄의 성분이 다량 함유된 갖가지 식품들이나 식물들이 개발되고 공개되도 있으나, 아직까지 인삼의 게르마늄과 사포닌의 관계에 대하여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일 예로, KR 10-2008-0073000 A "인삼 숙성된 식용유지 및 발효 인삼 조성물"은 "인삼을 깨끗이 세척하여 선별하고 통풍이 잘되는 태양 빛에 1일간 건조시킨 후 3~4등분으로 슬라이스 된 인삼 5kg 와 식물성 식용유지 18ℓ를 발효기에 투입하고 온도 35℃에서 1초당 45~50회의 교반 속도로 6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식용유지 13ℓ를 제거하고 숙성된 인삼 배지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여 반죽한 발효 인삼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더라도 사포닌의 인체 획득에는 큰 향상효과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삼의 재배시 게르마늄 수용을 시비함으로써 정량적인 사포닌의 함유가 상당히 높은 인삼 및 그 재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7300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정량의 게르마늄을 인삼의 재배에 있어 시비함으로써 어느 정도 정량적인 사포닌 및 게르마늄 함유량을 구비한 인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르마늄 인삼은, 게르마늄 성분이 0.13~9.5ppm 함유된다.
상기 인삼은 5년근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사포닌 성분이 6000~9000ppm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게르마늄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은,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삼포에 평당 50~150주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1평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1.5~2.5ℓ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파종단계는 11월에 수행하며, 파종시에는 이랑의 너비를 10~15cm, 깊이를 3~5cm로 형성하여 파종하며 흙을 덮은 후 게르마늄수용액을 시비할 수 있다.
상기 파종단계는, 파종된 토양을 수분증발방지층으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방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종단계는, 다음해 3월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단계는 다음해 11월에 수행하며, 식재시에는 모종간 간격을 5~10cm로 하고, 깊이를 3~5cm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장뇌삼으로써 재배하는 방법은,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산에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모종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5~20cc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재단계는 모종의 뿌리가 머리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식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에 따르면, 게르마늄의 함유에 따른 사포닌 함유량이 확연히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더욱이 사포닌 함유량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정량적인 게르마늄 시비의 정도를 정하고 그에 따른 올바른 재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 농가의 소득 창출과 국가 위상의 상승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인삼은 게르마늄 성분이 0.13~9.5ppm 및 사포닌 성분이 6000~9000ppm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좋은 환경에서 재배된 인삼에 비해 게르마늄이 많게는 3000배 이상 함유되고, 특히 사포닌의 함량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삼은 5년근 이상의 경우로써, 물론 재배 년도가 작은 경우에도 미량의 차이는 있겠지만, 적어도 5년근 이상의 경우에는 그 함량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게르마늄 및 사포닌 고 함량의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은,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삼포에 평당 50~150주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1평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1.5~2.5ℓ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종단계는 11월에 수행하며, 파종시에는 이랑의 너비를 10~15cm, 깊이를 3~5cm로 형성하여 파종하며 흙을 덮은 후 게르마늄수용액을 시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종단계는, 파종된 토양을 수분증발방지층으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방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한, 상기 파종단계는, 다음해 3월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단계는 다음해 11월에 수행하며, 식재시에는 모종간 간격을 5~10cm로 하고, 깊이를 3~5cm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삼을 장뇌삼으로써 산에서 재배하기 위한 방법의 경우에는,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산에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모종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5~20cc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재단계는 모종의 뿌리가 머리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식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수행한 실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본다.
우선, 게르마늄 인삼의 재배를 위해 당해 11월에 이랑을 동북방향으로 하여 직사광선의 입사를 피하였으며, 인삼씨를 1평당 약 200개 기준이 되도록 뿌렸다. 평당 이랑의 너비를 10~15cm, 깊이를 3~5cm로 형성하여 파종하며 흙을 덮는다.
그리고 나서 이산화게르마늄 파우더 수용액을 1g/ℓ 농도로 제조한 다음 1평을 기준으로 1ℓ씩 초기 시비하였다.
그 후 토양의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볏짚으로 3cm 가량이 되도록 토양을 덮어준다.
그 후 다음해 3월 경 직사광선과 산성비를 피하고자 측면과 지붕에 차양막을 설치하였다.
그 후 돌아온 11월에 토양으로부터 모종을 들어내고 이를 인삼재배 삼포에 식재하였다. 이 경우 모종은 식재시에는 모종간 간격을 5~10cm로 하고, 깊이를 3~5cm로 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평당 108주를 기준으로 하여 식재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약 2ℓ 내외로 시비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시비는 1년에 한번 씩 수행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1년에 2회씩 수행하기도 하였고, 일부의 모종에는 게르마늄수용액의 시비량을 줄여 다양하게 시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에도 인삼을 심어 장뇌삼을 재배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산에 심어 재배하는 장뇌삼 재배방법의 경우에는,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산에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모종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5~20cc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일반 삼포에서의 재배와 유사하나, 단지 식재단계에 있어 모종의 뿌리가 머리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식재하도록 하며, 산에서도 항상 그늘이 진 지점에 인삼 모종을 식재하도록 함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재배된 인삼과 그렇지 않은 인삼 간의 성분시험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시험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 5년근 장뇌삼의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인삼은 게르마늄 함량과 사포닌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7년근 장뇌 용삼의 경우부터 5년근 풍기 용삼의 경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삼의 경우에 있어 게르마늄의 함량이 높을수록 사포닌의 함량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종래에 어떠한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신규의 인삼 재배로서, 게르마늄을 일정량만큼 주기적으로 시비하여 인삼을 재배할 경우 크게는 3배 이상의 사포닌을 인삼에서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게르마늄을 과도하게 시비할 경우에는 오히려 사포닌의 함량이 낮아지는바(5년근 장뇌용삼 데이터 참조), 일정범위에서의 게르마늄수용액 시비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그래프로 정리하면 도 1과 같다. 도 1은 상기 시험결과를 정리한 것으로서, 해당 그래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게르마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사포닌의 함량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띄다가, 게르마늄의 함량이 12.8ppm이 되었을 경우에는 오히려 게르마늄이 9.5ppm이었던 경우보다 사포닌의 함량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포닌 다량 함유의 인삼을 재배하기 위하여는 인삼내 게르마늄 성분을 0.13~9.5ppm로 제한하여 6000~9000ppm 범위의 한정된 사포닌 함유량을 띄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함유량의 유지를 정량적으로 지키기 위해서는 파종단계에서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도록 하며, 시비단계에서 식재된 모종에 1평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1.5~2.5ℓ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도록 함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한편, 이것이 장뇌삼인 경우에는 식재된 모종에 모종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5~20cc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함이 중요함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특히, 사포닌의 성분 중 Rg3는 항암제 및 항암제내성억제기능, 면역력증강의 효과를 크게 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인삼에 따르면 사포닌 성분 중에서도 이러한 Rg3 성분의 증가가 매우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한국인삼연초연구원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일반 6년근 흑삼근(주 뿌리)의 경우 Rg3가 0.41㎎/g 함유되고 흑삼미(잔 뿌리)의 경우 1.24㎎/g 함유되며, 홍삼근의 경우 0.18㎎/g 함유되고 홍삼미의 경우 0.10㎎/g 함유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9년근 장뇌삼의 흑삼의 경우,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속의 생명과학연구센터에서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Rg3가 14.658 확인되고, 6년근 일반 인삼 흑삼의 경우는 7.584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발급번호 생참 1110-273호 / 1207-219호).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에 따르면, 게르마늄의 함유에 따른 사포닌 함유량이 확연히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더욱이 사포닌 함유량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정량적인 게르마늄 시비의 정도를 정하고 그에 따른 올바른 재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 농가의 소득 창출과 국가 위상의 상승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1. 게르마늄 성분이 0.13~9.5ppm 및 사포닌 성분이 6000~9000ppm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5년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3. 청구항 1의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서,
    인삼씨를 1평당 150~250개 뿌리고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0.5~1.5ℓ만큼 시비하는 파종단계;
    상기 파종에 의해 성장한 모종을 삼포에 평당 50~150주 식재하는 식재단계; 및
    상기 식재된 모종에 1평당 0.5~1.5g/ℓ 농도의 게르마늄수용액을 1평당 1.5~2.5ℓ 시비하되, 매년 1회 내지 2년 1회의 주기로 시비하는 시비단계;를 포함하는 게르마늄 인삼 재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종단계는 11월에 수행하며, 파종시에는 이랑의 너비를 10~15cm, 깊이를 3~5cm로 형성하여 파종하며 흙을 덮은 후 게르마늄수용액을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재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종단계는, 파종된 토양을 수분증발방지층으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방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재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종단계는, 다음해 3월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재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재단계는 다음해 11월에 수행하며, 식재시에는 모종간 간격을 5~10cm로 하고, 깊이를 3~5c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인삼 재배방법.
KR1020140028658A 2014-03-12 2014-03-12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20140066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58A KR20140066130A (ko) 2014-03-12 2014-03-12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58A KR20140066130A (ko) 2014-03-12 2014-03-12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800A Division KR101438022B1 (ko) 2012-11-22 2012-11-22 게르마늄 장뇌삼 및 그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130A true KR20140066130A (ko) 2014-05-30

Family

ID=5089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58A KR20140066130A (ko) 2014-03-12 2014-03-12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1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054A (zh) * 2015-07-02 2015-09-23 安徽恩赐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集微量元素的人参种植方法
KR20200001639A (ko) * 2018-06-26 2020-01-07 김승기 게르마늄수용액을 이용한 기능성 새싹인삼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기능성 새싹인삼
KR20210054624A (ko) * 2019-11-05 2021-05-14 김도진 수용성 게르마늄과 각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054A (zh) * 2015-07-02 2015-09-23 安徽恩赐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集微量元素的人参种植方法
KR20200001639A (ko) * 2018-06-26 2020-01-07 김승기 게르마늄수용액을 이용한 기능성 새싹인삼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기능성 새싹인삼
KR20210054624A (ko) * 2019-11-05 2021-05-14 김도진 수용성 게르마늄과 각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92932A (zh) 含有壳寡糖与氨基酸的增效组合物
CN104303797A (zh) 一种无公害羽衣甘蓝的大棚栽培方法
CN107125086A (zh) 一种薄壳核桃的高产种植方法
CN105850638A (zh) 一种大棚水果黄瓜早春栽培方法
CN106613373B (zh) 一种辣椒育苗种植方法
CN105123369A (zh) 一种富硒水稻的栽培方法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CN105052643A (zh) 有机水稻种植方法
KR101438022B1 (ko) 게르마늄 장뇌삼 및 그 재배방법
KR20140066130A (ko) 게르마늄 인삼 및 그 재배방법
CN104429772A (zh) 一种文冠果种子育苗方法
CN102523862A (zh) 一种苦碟子注射液用抱茎苦荬菜的栽培与质量控制方法
KR100676132B1 (ko) 차가버섯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KR20070115155A (ko) 홍경천 재배방법
CN105325135A (zh) 一种辣椒的栽培方法
RU2524085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эхинацеи пурпурной в защищенном грунте
CN104642028A (zh) 富硒杂交水稻栽培方法
RU2731579C1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в технологии возделывания картофеля на серых лесных почвах центрального нечерноземья
CN106688530A (zh) 一种茄子的种植方法
WO2018070459A1 (ja) 植物成長促進剤及び植物栽培方法
CN107182502A (zh) 一种砖红壤套种荔枝、云南大叶茶和三七的方法
CN107593309A (zh) 一种罗汉果的育苗方法
CN102715160A (zh) 棉花营养钵育苗培育壮苗的增效调节剂及其应用
Ibiyeye et al. Effect of coconut coir and poultry manure on the growth and yield of Amaranthus hybridus L.
CN106613100A (zh) 一种提高旱藕淀粉含量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