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512A -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 Google Patents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512A
KR20140064512A KR1020120131923A KR20120131923A KR20140064512A KR 20140064512 A KR20140064512 A KR 20140064512A KR 1020120131923 A KR1020120131923 A KR 1020120131923A KR 20120131923 A KR20120131923 A KR 20120131923A KR 20140064512 A KR20140064512 A KR 2014006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ip portion
lifting
grip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9831B1 (en
Inventor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8919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645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현욱
Priority to KR102012013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31B1/en
Publication of KR2014006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apparatus for an expandable support for a fruit tree and, more specifically, to which the said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xpandable support for the fruit tree in an easy manner; extends, with little force and effort, the expandable support for the fruit tree that supports the ground and a branch of the fruit tree; and stably supports the expandable support for the fruit tree which supports the branch of the fruit tree.

Description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본 발명은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지반과 과수의 가지를 지지한 과수 지지대를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신장시켜, 과수 지지대를 통한 과수 가지의 안정된 지지상태를 형성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apparatus for a stretchable water support b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support apparatus which is easily installed in a stretchable water support base and is capable of easily stretching a water support base supporting a ground and a branch of a fruit tree with a small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water fin supporter which forms a stable state of supporting a plurality of branches.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수목의 가지는, 가지에 결식된 과수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처짐이 발생되고, 이러한 가지의 처짐에 의해 가지가 원가지에서 찢어지기도 하고, 또 가지에 결식된 과수가 땅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As is known, the branches of various trees are sagged as the weight of the fruit juices that have been soaked in the branches increases, and the branches are torn from the original branches by the sagging of these branches, A problem that is damaged by the contact is caused.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처짐의 발생이 예상되는 과수의 가지와 지면 사이, 또는 처짐의 발생이 예상되는 가지와 인접한 가지 사이에 과수 지지대를 설치하여 가지의 처짐을 예방하고 있다.Therefore, in this field, a water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of the fruit tree where the sagging is expected to occur and the ground, or between the branch where the sag is expected to occur and the adjacent branch, thereby preventing branch sagging.

그리고, 전통적인 과수 지지대는 단순히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로 이루어진 관계로 길이조절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따라 보관이나 휴대성이 불편하고, 특히 각 지지상황에 맞게 적합한 길이로 지지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traditional fruit support is simply made of a bag having a certain length,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Therefore, the storage and portability are inconvenient and the support height can not be adjusted to a length suitable for each support situation .

예컨대, 가지와 지면 사이의 간격보다 과수 지지대의 길이가 길거나 짧게 되면, 해당 가지의 안정된 지지가 어렵고, 물론 길이가 긴 과수 지지대를 절단시켜 지지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매번 가지와 지반 사이의 간격에 따라 과수 지지대를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되고, 또 추후 재사용이 어려운 한계성이 발생된다.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fruit support is longer or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ranches and the ground,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branch, an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ort height by cutting the long fruit support, It is troublesome to cut the fruit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ruit support part and the end par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부 지지관과 상부 지지관을 신축구조로 설치하여 상부 지지관의 거상 인출길이에 따라 지지높이가 가변되도록 신축형 과수 지지대가 보급되고 있고, 특히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 0994536호를 통해 거상 인출된 상부 지지관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토핑 구조를 갖는 과수 지지대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stretchable water support has been widely deployed so that the support height of the lower support pipe and the upper support pip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lifting length of the upper support pipe, A flooded support having a stopping structure capable of easily and stably fixing an upper support pipe withdrawn from a lift through the No. 0994536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신축형 과수 지지대는 상부 지지관의 거상 인출을 통해 가지의 지지높이를 자유롭고 조절할 수 있고, 또 휴대 및 보관의 용이성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된다.Such a stretchable water support can freely adjust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branch through the lift of the upper support pipe, and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ing is ensured.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하고 있는 과수 지지대에 형성된 스토핑 구조를 통해 상부 지지관의 거상 인출을 통해 조절된 가지의 지지높이가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branch adjusted through the lift-out of the upper support pipe can be easily and stably fixed through the stopping structure formed on the fruit support stan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

한편, 상기 신축형 과수 지지대를 통한 과수 가지의 지지과정은, 소정의 지지높이를 갖는 과수 지지대를 지면과 가지 사이에 배치하고, 이후 작업자가 수 조작으로 파지한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시켜 가지의 지지높이를 보정하거나, 작업자가 지지높이를 예측하여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시켜 과수 지지대가 예측된 지지높이를 갖도록 하고, 이를 수작업을 통해 지면과 가지 사이에 억지로 진입시켜서 가지를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fruit branch through the stretchable fruit support base, a fruit support base having a predetermined support height is dispos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branch, and then the operator lifts the upper support pipe gripped by the hand operation, The operator elevates the upper support tube by predicting the support height to allow the operator to have the support height predicted by pulling the upper support tube out of the upper support tube and manually pushing it between the ground and the branch to support the branch .

그러나, 이러한 작업형태, 즉, 작업자가 수많은 과실이 달린 가지를 지지한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많은 체력소비가 요구되므로 노동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체력이 약한 작업자의 경우 상부 지지관을 요하는 높이 만큼 거상 인출하지 못하여 가지의 지지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However, this type of work, that is, repeating the process of lifting up the upper support tube which supports the operator with many fruits, requires a lot of power consumption, so labor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in the case of workers with low fitness, The support can not be lifted up to a height required by the support tube, and the support state of the branch may become poor.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형 과수 지지대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지반과 과수의 가지를 지지한 과수 지지대를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신장시켜, 과수 지지대를 통한 과수 가지의 안정된 지지를 도모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asily and efficiently extending a supernatant supporting base supporting a foundation and a fruit branch by a small force, And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ing a stable support.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는, The lift device for a stretchable water f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거상 인출을 통해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상부 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신축형 과수 지지대에 장착되어,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것으로, And an upper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pport pipe a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pport pipe to extend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fruit branch through a lift, By extend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branches,

과수 지지대의 하부 지지관에 지지, 또는 고정되는 지지 그립부와; A support grip portion supported or fixed to the lower support pipe of the fruit water support;

상기 지지 그립부에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과수 지지대의 하부 지지관에 삽입된 상부 지지관에 고정되는 승강 그립부; 및 A lifting and lowering grip por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structure and is fixed to an upper support pipe inserted into a lower support pipe of the fruit water support; And

상기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를 거상시켜 하부 지지관에 삽입된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하는 거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grip portion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and lifting up the upper support pipe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그립부와 승강 그립부에는 관 진입구가 형성된 'C'형의 그립이 형성되어, 지지 그립부와 승강 그립부의 'C'형의 그립에는 과수 지지대의 해당 부위가 관 진입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support grip portion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are formed with a 'C' type grip formed with a tube inlet an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uit support tube is introduced into the 'C' type grip of the support grip portion and the lifting / .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그립부에 형성된 'C'형의 그립과, 승강 그립부에 형성된 'C'형의 그립에는 관 진입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More preferably, the 'C' type grip formed on the fixed grip portion and the 'C' shaped grip formed on the lifting grip portion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거상부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구조를 포함하여,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변환시켜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를 거상하도록 구성된다.The elevating part includes a power converting structure for converting a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feed force, and is configured to convert a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by manual or electric power into a rectilinear feed force so as to elevate the lift grip part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

또한, 상기 동력 전달구조는 승강 그립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지지 그립부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며, 승강 그립부에 형성된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니언 기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의 거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Further,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es a rack gear formed on the lifting grip portion; And a pinion gear provid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in a pivoting manner and meshing with a rack gear formed on the lifting grip portion so that the lifting grip portion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s constructed.

또한, 상기 지지 그립부에는 견착돌기가 형성된 지렛대 레버가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지렛대 레버의 견착돌기에 정방향으로 걸림되는 래치편들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래치휠이 고정되어, The pinion gear is fixed to the pinion gear with a ratchet wheel having a releasing structure in which the latch pieces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lever lever in a forward direction,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정방향 회전을 통해 견착돌기를 견착시켜 래치휠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지렛대 레버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pinion gear is rotatable in a forward direction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a lever lever for rotating the latch wheel in a forward direction by fixing the fastener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그리고, 상기 지지 그립부에는 래치휠의 래치편을 정방향으로 걸림시켜,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멈춤레버가 힌지구조로 설치된다.The support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structure for latching the latch piece of the latch wheel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latch whee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반과 과수의 가지 사이를 가 설정한 지지높이로 지지한 신축형 과수 지지대에 장착되어, 신축형 과수 지지대의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도록 하는 전용의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unted on a telescopic type water support which is supported between a ground and a branch of a fruit tree at a set support height, so that the upper support tube of the stretchable water support is pulled up to lift the support height And the like.

이러한 장치가 보급되면, 작업자가 과수가 열린 가지를 지지한 상부 지지관을 수조작으로 거상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상승시키는 고된 작업 없이, 거상부를 작동, 또는 조작하여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과수 지지대의 설치에 따른 편이성과 노동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When such a device is introduced, the operator elevates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fruit branch by operating or operating the elevation portion without performing a hard work of elevat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fruit branch by elevating the upper support pipe supporting the branches with open branches, It is advantageous in that ease of installation and labor productivity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fruit support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은 지지 그립부와 승강 그립부에는 'C'형의 그립이 형성되어, 별도의 기구적 조작 없이 신축형 과수 지지대의 각 부위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므로, 조작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된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 type grips are form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stretchable fruit support base without any mechanical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채택하고 있는 거상부는, 지렛대 레버의 반복적인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그립부의 거상을 도모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의 거상이 가능하고, 또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 동력원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고장 발생률이 낮은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elevation portion adop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levating the lifting / lowering grip portion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even with a small force because the elevation grip portion is raised by repetitiv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ever lever, It has a mechanical structure and does not require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has a low fault occurrence rat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조립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의 장착상태와, 과수 지지대의 지지높이의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 거상부의 상세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 1 and FIG. 2 are exploded and assembled state views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lift apparatus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 supporter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ing supporter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djustment state of the support height of the fruit support.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ion portion of the lift device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ing supporter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ing member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조립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의 장착상태와, 과수 지지대의 지지높이의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 거상부의 상세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1 and 2 are exploded and assembled state views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shaft support suppose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ifting support device for lifting supporter,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ifting support for lifting support,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지지관(110)과, 상기 하부 지지관(110)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거상 인출을 통해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상부 지지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에 장착되어, 상부 지지관(120)을 거상 인출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것이다.1 to 4, the lifting device 1 for a stretchable fruit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upport pipe 110 and a lower support pipe 110, And is mounted on a telescopic water supporter (100) including an upper support tube (120) extending the support height, so that the upper support tube (120) is lifted up to extend the support height of the branches.

통상, 상부 지지관(120)은 하부 지지관(110)에 텔레스코프 구조로 삽입되어 거상 인출을 통해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부 지지관(110)의 상단에는 스토핑부(130)가 형성되어 거상 인출된 상부 지지관(120)이 재하강을 방지한다. Typically, the upper support tube 1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tube 110 in a telescopic structure to regulate the support height of the fruit branch through the escap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tube 110 is provided with a stopping portion 130 So that the upper support tube 120 withdrawn by the lift is prevented from falling again.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관(120)의 상부에는 안착부재(121)가 형성되어, 과수의 가지는 상부 지지관(120)에 형성된 안착부재(121)에 안착하여 지지된다.A seating member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pport tube 120 so that the fruit holder is seated and supported on a seating member 121 formed on the upper support tube 1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1)는, 과수 지지대(100)의 하부 지지관(110)에 지지, 또는 고정되는 지지 그립부(10)와; 상기 지지 그립부(10)에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과수 지지대(100)의 상부 지지관(120)에 고정되는 승강 그립부(20); 및 상기 상부 지지관(120)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20)를 거상시켜, 하부 지지관(110)에 삽입된 상부 지지관(120)을 거상 인출시켜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의 지지높이를 신장시키는 거상부(30)를 포함한다.The lift apparatus 1 for a stretchable fruit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grip portion 10 supported or fixed to a lower support pipe 110 of a fruit support stand 100; A lifting grip portion 20 installed on the supporting grip portion 10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structure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ing pipe 120 of the fruit water supporting table 100;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20 to which the upper support pipe 120 is fixed is lifted so that the upper support pipe 120 inserted in the lower support pipe 110 is lifted up to raise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expandable fruit water support 100 (30).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지지 그립부(10)를 통해 하부 지지관(110)에 지지된 상부 그립부(20)가, 거상부(30)에 의해 거상되면서 상부 지지관(120)을 하부 지지관(110)에서 거상 인출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게 된다.The upper grip portion 20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tube 110 through the support grip portion 10 is lifted by the upper portion 30 so that the upper support tube 120 is lifted up by the lower support tube 110) to extend the support height of the branch.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1)를 구성하는 지지 그립부(10)와 승강 그립부(20)에 각각 개량된 그립(11, 21)을 형성하여, 별도의 기구적 조작 없이 지지 그립부(10)와 승강 그립부(20)를 과수 지지대(100)의 해당 부위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grips 11 and 21 are formed in the support grip portion 10 and the lift grip portion 20 constituting the lift device 1 for the stretchable shaft support, respectively, So that the supporting grip portion 10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20 can be easily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uit water supporting stand 100.

이를 상술하자면, 도 3a와 같이 상기 지지 그립부(10)와 승강 그립부(20)에 형성되는 그립(11, 21)은 측부에 관 진입구(11a, 21a)가 형성된 'C'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관 진입구(11a, 21a)를 통해 과수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하부 지지관(110), 또는 상부 지지관(120)을 측방향으로 진입시켜 그립한다.3A, the grips 11 and 21 form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10 and the lift grip portion 20 are formed in a 'C' shape having a tube entrance 11a and a tube entrance 21a formed on the side thereof, The lower support pipe 110 or the upper support pipe 120 constituting the fruit support stand 100 or the upper support pipe 120 is sideways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11a and 21a for gripping.

이때, 상기 고정 그립부(10)와 승강 그립부(20)에 형성된 'C'형의 그립(11, 21)은 관 진입구(11a, 21a)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고정 그립부(10)에 형성된 그립(11)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관 진입구(11a)를 형성하고, 승강 그립부(20)에 형성된 그립(21)에는 이와 직교하는 측방으로 개방된 관 진입구(21a)를 형성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C' type grips 11 and 21 formed on the fixed grip portion 10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20 are formed in the fixed grip portion 10 without forming the pipe entrance 11a and 21a in the same direction, The grip 11 is formed with a tube entrance 11a opened frontward and a grip 21 formed in the elevation grip portion 20 is formed with a tube entrance 21a which is opened sideways perpendicular to the grip.

그리고, 상기 고정 그립부(10)에는 그립(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승강 그립부(20)에는 그립(21)이 힌지축(21b)을 통해 힌지구조로 설치되어서, 승강 그립부(20)의 그립(21)은 힌지축(21b)을 중심으로 상하 절곡되도록 한다.A grip 1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ed grip portion 10 and a grip 21 is installed on the lift grip portion 20 through a hinge shaft 21b in a hinge structure, (21) is bent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21b).

따라서, 상기 지지 그립부(10)는 그립의 전방에 형성된 관 진입구(11a)로 하부 지지관(110)의 상단을 진입시켜서, 하부 지지관(110)의 상단에 지지, 및 고정되고, 승강 그립부(20)는 그립의 측방에 형성된 관 진입구(21a)로 상부 지지관(20)을 진입시켜서, 지지 그립부(10)는 하부 지지관(110)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승강 그립부(20)는 상부 지지관(120)의 일지점에 고정된다.Therefore, the support grip portion 10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pipe 110 by enter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pipe 110 into the pipe inlet 11a formed at the front of the grip, 20 extend into the upper support tube 20 with a tube entrance 21a formed at the side of the grip so that the support grip 10 is supported or fixed to the lower support tube 110, And is fixed at one point of the support tube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그립부(10)의 그립(11)을 하부 지지관(110)의 상단에 견착시켜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지지 그립부(10)의 그립(11)을 하부 지지관(10)으로 진입시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The grip 11 of the support grip portion 10 can be hel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pipe 110 and the grip 11 of the support grip portion 10 can be held on the lower support pipe 10 ), Which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상부 지지관(120)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20)의 거상을 도모하는 거상부(30)는, 실린더와 같이 신축을 통해 승강 그립부를 거상하도록 구성된 형태, 전동모터나 수조작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전환하여 승강 그립부를 거상하도록 구성된 형태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The upper portion 30 for elevating the elevation grip portion 20 to which the upper support pipe 120 is fixed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configured to elevate the elevation grip portion through expansion and contraction like a cylinder,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force is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and the elevating grip portion is elevated.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그립부(10)에 지렛구조로 설치된 지렛대 레버(32)의 반복적인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 그립부(20)가 점차적으로 거상되도록 한 형태의 거상부(30)를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시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ion portion 30 in which the elevation grip portion 20 is gradually elevated by the repetitiv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elevation lever 32 provided in a girdle structure to the supporting grip portion 10 is form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

상기 거상부(30)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구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승강 그립부(20)의 외벽에 랙기어(22)를 형성하고, 지지 그립부(10)에 승강 그립부(20)의 랙기어(22)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1)를 회동구조로 설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rack gear 22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lifting and gripping portion 20, and a support grip portion 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and gripping portion 20, And a pinion gear 31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22 of the lifting and lowering grip portion 20 is provided in a rotating structure.

따라서, 상기 거상부(30)는 기본적으로 외력에 의한 피니언 기어(31)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부 지지관(120)의 일지점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20)의 거상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elevation portion 30 is basically elevate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1 by the external force, thereby elevating the elevation grip portion 20 fixing one point of the upper support pipe 12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거상부(30)에, 걸림돌기(32a)가 힌지핀(32b)을 통해 힌지구조로 설치된 지렛대 레버(32)를 지지 그립부(10)에 회동구조로 축(S) 설치하는 한편, 상기 지지 그립부(10)에 축 설치된 피니언 기어(31)에는 정방향 걸림구조를 갖는 래치편(33a)들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래치휠(33)을 고정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lever 32, which is provided in the hinge structure through the hinge pin 32b, is pivoted to the supporting grip portion 10, And a latch wheel 33 having a latching structure 33a having a forwardly engaging structure is fixed to the pinion gear 31 provid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10 in a radial manner.

또한, 상기 지지 그립부(10)에는 래치휠(33)의 래치편(33a)을 정방향으로 걸림하는 멈춤레버(34)를 힌지핀(34a)을 통해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지렛대 레버(32)로부터 정 회전력을 인가받아 정방향으로 회전된 래치휠(33), 및 이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31)의 역회전을 방지한다.A stopping lever 34 for latching the latching piece 33a of the latching wheel 33 in the forward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supporting gripping portion 10 through a hinge pin 34a in a hinge structure, The latch wheel 33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receiving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and the pinion gear 31 fixed thereto are prevented from rotating backwar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1)를 이용한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의 설치과정은, 도 3a와 같이 최초 작업자가 지반과 과수 가지 사이에 소정 길이의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를 가설치하고, 상기 가설치된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의 측방향에서 지지 그립부(10)와 승강 그립부(20)에 형성된 'C'형의 그립(11, 21)을 각각 진입시킨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tretchable fruit support 100 using the lift device 1 for a fruit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first operator inserts a stretchable fruit support 100 C 'type grips 11 and 21 form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10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2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stalled stretchable water support base 1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지지 그립부(10)는 하부 지지관(110)의 상단에 지지하여 고정되고, 승강 그립부(20)는 상부 지지관(120)의 일지점에 견착하여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grip part 10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pipe 110, and the lift grip part 20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upper support pipe 120.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3b와 같이 거상부(30)를 조작하여 상부 지지관(20)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20)를 점차 거상하고, 이러한 승강 그립부(20)의 거상에 의해 과수 가지를 지지한 상부 지지관(120)은 하부 지지관(110)에서 점차 거상 인출되면서, 과수 가지의 지지에 요구되는 지지높이로 신장된다.3B, the operator elevates the elevating grip portion 20 to which the upper supporting tube 20 is fixed by gradually elevating the elevating grip portion 20. By this elevation grip portion 20, The upper support tube 120 is gradually lifted up from the lower support tube 110 and is extended to a support height required for support of the fruit branch.

이를 상술하자면, 작업자가 도 3b와 도 4b와 같이 거상부(30)에 마련된 지렛대 레버(32)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등각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31)에 고정된 래치휠(33)의 래치편(33a)은 정방향으로 선회하는 지렛대 레버(32)의 걸림돌기(32a)에 견착되어서 함께 선회하고, 결과적으로 래치휠(33) 및 이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31)의 정방향 회전이 이루어진다.3B and 4B, when the operator repeatedly rotates the lever lever 3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30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 latch wheel 33 fixed to the pinion gear 31 The latch piece 33a is attached to and pivots together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32a of the lever lever 32 pivo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consequentl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latch wheel 33 and the pinion gear 31 fixed thereto is achieved.

따라서, 상기 지지 그립부(10)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31)와 랙기어(22)를 통해 치합된 승강 그립부(20)는, 정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지렛대 레버(32)로부터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작용력을 인가받아 거상된다.Therefore, the lifting grip portion 20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1 provid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10 through the rack gear 22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repeatedly applying an action force repeatedly provided from the lever lever 32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 will be rewarded.

그리고, 상기 승강 그립부(20)에 의해 하부 지지관(110)에서 거상 인출되어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시킨 상부 지지관(120)은 하부 지지관(110)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핑부(130)에 의해 거상 인출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The upper support pipe 120 is lifted up by the lifting grip part 20 from the lower support pipe 110 to extend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branching support pipe 110. The upper support pipe 120 is supported by a stopping part 130 And is fixed in position in a state of being pulled out by a force.

이후, 상기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승강 그립부(20)의 거상을 통해 신축형 과수 지지대(100)의 지지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각 'C'형의 그립(11, 21)에 형성된 관 진입구(11a, 21a)를 통해 과수 지지대(100)를 배출시켜 본 장치(1)와 과수 지지대를 분리하고, 이후 새로운 과수 지지대에 장착하여 과수 지지대의 지지높이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한다.
When the adjustment of the support height of the stretchable water support base 100 is completed via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grip portion 20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above, (1) is separated from the fruit water support by discharging the fruit water support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s (11a, 21a) and then mounted on a new fruit water support so that the support height of the fruit water suppor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ed.

1.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
10. 지지 그립부 11. 'C'형 그립
11a. 관 진입구
20. 승강 그립부 21. 'C'형 그립
21a. 관 진입구 21b. 힌지축
30. 거상부 31. 피니언 기어
31a. 축
32. 지렛대 레버 32a. 견착돌기
32b. 힌지핀
33. 래치휠 33a. 래치편
34. 멈춤레버 34a. 힌지핀
100. 신축형 과수 지지대 110. 하부 지지관
120. 상부 지지관 121. 안착부재
130. 스토핑부
1. Lifting device for stretchable water support
10. Support grip part 11. 'C' type grip
11a. Vestibule entry
20. Lift grip part 21. 'C' type grip
21a. Vessel entrance 21b. Hinge axis
30. Overhead 31. Pinion gear
31a. shaft
32. Lever lever 32a. Adherent projection
32b. Hinge pin
33. Latch wheel 33a. Latching piece
34. Pull Lever 34a. Hinge pin
100. Retractable fruit support 110. Lower support tube
120. Upper support tube 121. Retaining member
130. Stopping part

Claims (7)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거상 인출을 통해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상부 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신축형 과수 지지대에 장착되어,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시켜 과수 가지의 지지높이를 신장하는 것으로,
과수 지지대의 하부 지지관에 지지, 또는 고정되는 지지 그립부와;
상기 지지 그립부에 승강구조로 설치되어, 과수 지지대의 하부 지지관에 삽입된 상부 지지관에 고정되는 승강 그립부; 및
상기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를 거상시켜 하부 지지관에 삽입된 상부 지지관을 거상 인출하는 거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
And an upper support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pport pipe a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pport pipe to extend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fruit branch through a lift, By extending the support height of the branches,
A support grip portion supported or fixed to the lower support pipe of the fruit water support;
A lifting and lowering grip por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grip portion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structure and is fixed to an upper support pipe inserted into a lower support pipe of the fruit water support; And
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grip portion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and lifting up the upper support pipe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그립부와 승강 그립부에는 관 진입구가 형성된 'C'형의 그립이 형성되어, 지지 그립부와 승강 그립부의 'C'형의 그립에는 과수 지지대의 해당 부위가 관 진입구를 통해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grip portion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are formed with a C-shaped grip formed with a tube entrance, and the C-shaped grip of the supporting grip portion and the lifting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uit support base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에 형성된 'C'형의 그립과, 승강 그립부에 형성된 'C'형의 그립에는 관 진입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 type grip formed on the fixed grip portion and the 'C' shaped grip formed on the lift grip portion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상부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구조를 포함하여,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회전력을 직진 이송력으로 변환시켜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를 거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The elevation grip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on portion includes a power converting structure for converting a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feed force, and includes a lift grip portion for fixing the upper support pipe by converting a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lift device for a stretchable water fin suppo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구조는 승강 그립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지지 그립부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며, 승강 그립부에 형성된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니언 기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부 지지관을 고정한 승강 그립부의 거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omprises: a rack gear formed on the lifting grip; And a pinion gear provided on the supporting grip portion in a pivotal manner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formed on the lifting grip portion so that the lifting grip portion fixing the upper supporting pipe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s formed A lifting device for a stretchable water suppor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그립부에는 견착돌기가 형성된 지렛대 레버가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지렛대 레버의 견착돌기에 정방향으로 걸림되는 래치편들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래치휠이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정방향 회전을 통해 견착돌기를 견착시켜 래치휠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지렛대 레버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
[Claim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upport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lever lever having a hook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and the pinion gear is fixed to the pinion gear with a ratchet wheel having a ratchet- Became,
Wherein the pinion gear is rotatable in a forward direction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a lever lever for rotating the latch wheel in a forward direction by fixing the fastener protrusion through forward rot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그립부에는 래치휠의 래치편을 정방향으로 걸림시켜,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멈춤레버가 힌지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7.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pport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structure for latching the latch piece of the latch wheel in a forward direction to prevent reverse rotation of the latch wheel.
KR1020120131923A 2012-11-20 2012-11-20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KR101409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23A KR101409831B1 (en) 2012-11-20 2012-11-20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23A KR101409831B1 (en) 2012-11-20 2012-11-20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12A true KR20140064512A (en) 2014-05-28
KR101409831B1 KR101409831B1 (en) 2014-06-19

Family

ID=5089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23A KR101409831B1 (en) 2012-11-20 2012-11-20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3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5324A (en) * 2016-08-18 2017-01-11 合肥信诺捷科节能服务有限公司 Roadside tree safety protection device
KR20200012344A (en) * 2018-07-27 2020-02-05 강경순 Supports for fruit trees
CN112166939A (en) * 2020-09-03 2021-01-05 句容市乡土树种研究所 Native tree species tree cultivation fixing device
CN113057068A (en) * 2021-03-24 2021-07-02 安庆市茂祥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Frame is planted to fig that plants effectually
CN117643248A (en) * 2024-01-30 2024-03-05 山东青山绿水农林科技有限公司 Forestry fruit tree cultivates with preventing weighing down branch frame of drawing 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549Y1 (en) * 1987-07-31 1990-03-30 김동범 Supports for trees
KR950002973Y1 (en) * 1992-08-12 1995-04-19 김기섭 Holder for boughs of fruit tree
KR200257393Y1 (en) * 2001-09-06 2001-12-24 김종운 taping machine with drilling function fixed apparatus
KR100994536B1 (en) * 2009-12-31 2010-11-15 문경시 Supporting device for a tre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5324A (en) * 2016-08-18 2017-01-11 合肥信诺捷科节能服务有限公司 Roadside tree safety protection device
KR20200012344A (en) * 2018-07-27 2020-02-05 강경순 Supports for fruit trees
CN112166939A (en) * 2020-09-03 2021-01-05 句容市乡土树种研究所 Native tree species tree cultivation fixing device
CN112166939B (en) * 2020-09-03 2022-07-05 句容市乡土树种研究所 Native tree species tree cultivation fixing device
CN113057068A (en) * 2021-03-24 2021-07-02 安庆市茂祥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Frame is planted to fig that plants effectually
CN113057068B (en) * 2021-03-24 2023-10-24 安庆市茂祥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Fig planting frame
CN117643248A (en) * 2024-01-30 2024-03-05 山东青山绿水农林科技有限公司 Forestry fruit tree cultivates with preventing weighing down branch frame of drawing in
CN117643248B (en) * 2024-01-30 2024-04-16 山东青山绿水农林科技有限公司 Forestry fruit tree cultivates with preventing weighing down branch frame of drawing 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831B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831B1 (en) Extensible lift for supproting fruit trees
US9790065B2 (e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US10676323B2 (en) Flue mounted hoist
KR101874637B1 (en) Lifting device for orchard working
JP2016152698A (en) Cable lifting device and cable laying method
CN203998708U (en) A kind of simple and easy controller switching equipment lifting appliance
US20160096710A1 (en) Hoist Assembly
US7997846B2 (en) Drywall panel lifter
CN203308113U (en) Portable cement electric pole centering device
JP2017022826A (en) High place attachment device for electrical machine
CN105036022A (en) Safety tool for opening well lid
CN209799316U (en) Safe type scaffold frame for construction
CN104150393A (en) Micro power electric equipment rotating and hoisting device
CN108706488A (en) A kind of base station equipment lifting auxiliary device
CN207733909U (en) The platform-type high-order item taking-placing device of one kind and shelf
CN202149284U (en) Pipeline pipe threading device and pipe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formed by same
JP2011032022A (en) Crane, crane set, load hoisting tool, and support base arranging instrument
CN210764221U (en) Well cover opening device
CN109066453B (en) Special tool for repairing overhead lightning conductor of power transmission line
CN206203762U (en) Telescoping cable trench cover drawing device
KR20220099776A (en) Cable Drum Extractor
KR200486390Y1 (en) A folding hoist
CN104555836B (en) Portable cable trench cover opening device
CN220098464U (en) Installation lifting mechanism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205687455U (en) A kind of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50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906

Effective date: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