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097A -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097A
KR20140064097A KR1020120131033A KR20120131033A KR20140064097A KR 20140064097 A KR20140064097 A KR 20140064097A KR 1020120131033 A KR1020120131033 A KR 1020120131033A KR 20120131033 A KR20120131033 A KR 20120131033A KR 20140064097 A KR20140064097 A KR 2014006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naged
soc
manage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172B1 (ko
Inventor
강정수
조태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13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는, 전극 탭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장치가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고, 배터리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배터리의 SOC가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생략될 수 있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ssembly an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ppli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트북이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각종 동력 이동수단, 정전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백업 장치, 대용량의 전력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다른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 등에 이차전지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 중에서 리튬을 이용한 이차전지는 다른 종류의 이차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 및 작동 전압이 높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라고 불리는 배터리 관리 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 장치는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적정한 수준으로 제어하고 과방전, 과충전, 과열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이차전지의 충전이나 방전을 중단시켜 이차전지의 폭발이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배터리 관리 장치는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관리 대상인 이차전지 또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나 상용 전원과 같은 별도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한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 장치는 관리 대상인 이차전지의 사용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이차전지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 하면서 지속적으로 이차전지에 대한 관리 동작을 유지한다.
배터리 관리 장치가 관리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관리 대상인 이차전지로부터 공급 받는 경우에 있어서, 이차전지가 장시간 미사용 된다면 배터리 관리 장치에 의한 전력 소모로 인해 이차전지의 SOC(State Of Charge)가 허용 범위 이하로 떨어짐으로써 배터리 관리 장치가 배터리 관리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배터리 관리 장치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전 사고 등에 의해 동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비상 시에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따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마다 별도로 이러한 무정전 전원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필요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개수만큼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의 관리 동작을 위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수단이 구비된 배터리 관리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동작은,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조절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관리대상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보조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출력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관리대상 배터리 및 상용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관리대상 배터리 및 상용 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SOC가 기준 값 미만이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SOC가 기준 값 미만이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 제3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관리대상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보조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상용 전원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 또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와는 별도로 연결된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와는 별도로 연결된 상용 전원 및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 및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유지 여부에 따라 전력 공급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장치가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배터리의 SOC가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생략될 수 있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는 관리대상 배터리(B)와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10) 및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B)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집합체로서 다수의 배터리 셀이 연결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연결된 배터리 팩 또는 전력 저장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이차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0)는 관리대상 배터리(B)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센싱부(11), 제어부(12), 제1 스위치부(13a), 제2 스위치부(13b), 제1 접속 포트(P1) 및 제2 접속 포트(P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동작이란, 관리대상 배터리(B)가 갖는 적정 SOC(state of charge) 범위 내에서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관리 동작은, 그 밖에도 관리대상 배터리(B)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위 셀들 각각의 SOC가 균일해지도록 조절하는 밸런싱 동작을 비롯한 다양한 배터리 관리 동작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싱부(11)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출력 전압 값이나 전류 값 등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센싱부(11)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전압이나 전류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기 및/또는 전류 측정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센싱부(11)에서 출력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를 추정한다. 이러한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는, 예를 들어 센싱부(11)로부터 출력되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전압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추정된 SOC가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연결되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20)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은 차단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제1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10)를 구동시키는 전력 공급원은 관리대상 배터리(B)가 된다.
반면, 상기 제어부(12)는, 추정된 SOC가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20)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은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제2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10)를 구동시키는 전력 공급원은 보조 배터리(20)가 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값은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종류나 용량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관리대상 배터리(B)가 동작 가능한 SOC 허용 범위의 하한 값보다는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위치부(13a)는 관리대상 배터리(B)와 제어부(12)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2)가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스위치 온(on) 상태가 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0)는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관리대상 배터리(B)로부터 직접 공급 받게 된다.
반면, 상기 제1 스위치부(13b)는 제어부(12)가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스위치 오프(off) 상태가 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0)는 더 이상 관리대상 배터리(B)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스위치부(13b)는 보조 배터리(20)와 제어부(12)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2)가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스위치 온(on) 상태가 됨으로써 보조 배터리(20)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0)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게 된다.
반면, 상기 제2 스위치부(13b)는 제어부(12)가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스위치 오프(off) 상태가 됨으로써 보조 배터리(20)와 제어부(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0)는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관리대상 배터리(B)로부터 직접 공급 받게 된다.
상기 제1 접속 포트(P1)는 관리대상 배터리(B)가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단자로서, 관리대상 배터리(B)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단자 및 관리대상 배터리(B)가 갖는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접속 포트(P2)는 보조 배터리(20)가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단자로서, 보조 배터리(20)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20)는 전극 조립체(21), 전극 조립체(21)에 구비된 전극 탭(21a)과 연결되는 전극 리드(22) 및 전극 리드(2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수용부(S) 내에 전극 조립체(21)를 수용하는 셀 케이스(23)를 포함하는 하나의 배터리 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보조 배터리(20)가 하나의 배터리 셀 형태로 구현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보조 배터리(2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의 관리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의 양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배터리 셀이 복수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20)는 전극 리드(22)가 제2 접속 포트(P2)와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관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로써 비상 시에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는 보조 배터리(20)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에 따라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대한 전원 공급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아 안정적인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 인해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가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가 사용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와 관리대상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는 배터리 관리 장치(30)에 대한 전력 공급 수단으로서 관리대상 배터리(B) 및 보조 배터리(20) 이외에 상용 전원(C)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와 비교할 때, 제어부(12a)의 기능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는 상용 전원(C)이 배터리 관리 장치(30)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3 접속 포트(P3) 및 제어부(12a)와 상용 전원(C)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제3 스위치부(13c)를 더 구비한다.
그러나, 그 밖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 중점적을 설명하고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2a)는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가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 스위치부(13a)가 스위치 온(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2 스위치부(13b) 및 제3 스위치부(13c)는 스위치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30)를 구동시키는 전력 공급원은 관리대상 배터리(B)가 된다.
반면, 상기 제어부(12a)는 추정된 SOC가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용 전원(C)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스위칭 신호 또는 제3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a)는 추정된 SOC가 기준 값 미만이고 상용 전원(C)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 스위치부(13b)가 스위치 온(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1 스위치부(13a) 및 제3 스위치부(13c)는 스위치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2a)로부터 제2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30)를 구동시키는 전력 공급원은 보조 배터리(20)가 된다. 한편, 상기 상용 전원(C)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는 것은 정전의 발생 등에 의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12a)는 추정된 SOC가 기준 값 미만이고 상용 전원(C)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3 스위칭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3 스위치부(13c)가 온(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1 스위치부(13a) 및 제2 스위치부(13b)는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2a)로부터 제3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장치(30)를 구동시키는 전력 공급원은 상용 전원(C)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는 보조 배터리(20)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 및 상용 전원(C)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차단 여부에 따라 배터리 관리 장치(30)에 대한 전력 공급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아 안정적인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200)는 배터리 관리 장치(30)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 인해 관리대상 배터리(B)의 SOC가 허용 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대상 배터리(B)가 사용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100,200)에 대한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 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에 따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200: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10,30: 배터리 관리 장치 11: 센싱부
12,12a: 제어부 13a: 제1 스위치부
13b: 제2 스위치부 13c: 제3 스위치부
P1: 제1 접속 포트 P2: 제2 접속 포트
P3: 제3 접속 포트 20: 보조 배터리
21: 전극 조립체 21a: 전극 탭
22: 전극 리드 23: 셀 케이스
S: 수용부 B: 관리대상 배터리
C: 상용 전원

Claims (14)

  1.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및 관리대상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동작은,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조절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관리대상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보조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출력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8.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관리대상 배터리 및 상용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관리대상 배터리 및 상용 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SOC가 기준 값 미만이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제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SOC가 기준 값 미만이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 제3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관리대상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보조 배터리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상용 전원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11.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로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 또는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와는 별도로 연결된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3. 관리대상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로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와는 별도로 연결된 상용 전원 및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관리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 및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유지 여부에 따라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관리대상 배터리의 SOC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1020120131033A 2012-11-19 2012-11-19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10154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3A KR101549172B1 (ko) 2012-11-19 2012-11-19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3A KR101549172B1 (ko) 2012-11-19 2012-11-19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97A true KR20140064097A (ko) 2014-05-28
KR101549172B1 KR101549172B1 (ko) 2015-09-01

Family

ID=5089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33A KR101549172B1 (ko) 2012-11-19 2012-11-19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5128A1 (en) * 2017-11-03 2019-05-09 Lg Chem,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61955A (ko) * 2017-11-28 2019-06-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한 배터리관리시스템의 전원 안정화 장치
US11271256B2 (en) 2020-01-10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Externally mode-switchable battery pack and method for externally switching mode of battery pack
KR102403469B1 (ko) * 2021-03-15 2022-05-30 한국도로공사 터널 내에 배치된 제트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
EP4234939A3 (en) * 2022-02-25 2023-11-22 Korea Expressway Corp.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jet fan disposed in tunnel and jet fan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4114B2 (ja) 2006-08-28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蓄電機能を有する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5128A1 (en) * 2017-11-03 2019-05-09 Lg Chem,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50637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0576844B2 (en) * 2017-11-03 2020-03-03 Lg Chem,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61955A (ko) * 2017-11-28 2019-06-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한 배터리관리시스템의 전원 안정화 장치
US11271256B2 (en) 2020-01-10 2022-03-08 Lg Energy Solution, Ltd. Externally mode-switchable battery pack and method for externally switching mode of battery pack
KR102403469B1 (ko) * 2021-03-15 2022-05-30 한국도로공사 터널 내에 배치된 제트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
EP4234939A3 (en) * 2022-02-25 2023-11-22 Korea Expressway Corp.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jet fan disposed in tunnel and jet fa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72B1 (ko)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410B1 (ko) 배터리 시스템 관리 장치 및 방법
TWI472446B (zh) 混合動力電源系統
KR101497602B1 (ko)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US881006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EP3678272B1 (en) Apparatus,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in battery and sub battery
US201102606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US11689031B2 (en) Balancing apparatus,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549172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150014890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6007385B2 (ja) 蓄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電源装置
KR20130101235A (ko)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JP5664310B2 (ja) 直流電源装置
US20120032513A1 (en) Battery management circu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KR20130053262A (ko) 전자기기 전원공급장치
US11114703B2 (en) Battery pack
KR101540425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101439233B1 (ko) 보조 전원을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TWI415363B (zh) 電池管理電路、電池模組與電池管理方法
KR101555656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30107278A (ko) 동력 전지의 충전 방법, 충전 장치 및 충전 시스템
KR101479554B1 (ko) 분산형 보호회로를 갖는 배터리시스템
KR100954944B1 (ko)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이용한 무정전시스템
JP5845408B2 (ja) 太陽光発電の給電システム
JP2012043581A (ja) エネルギー蓄積装置
KR20210114757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