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534A - 다면 상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면 상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534A
KR20140063534A KR1020140008309A KR20140008309A KR20140063534A KR 20140063534 A KR20140063534 A KR 20140063534A KR 1020140008309 A KR1020140008309 A KR 1020140008309A KR 20140008309 A KR20140008309 A KR 20140008309A KR 20140063534 A KR20140063534 A KR 2014006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image
correction
projected
manage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철
강수련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534A/ko
Publication of KR2014006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면 상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관리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서로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면 상영 시스템{Multi-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은 다면 상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예: projector)와 이러한 투사 장치들을 제어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관객들에게 다면 상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극장에서 영화, 광고 등의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상영관의 정면에 배치된 단일의 스크린에 2차원 영상을 투사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극장 시스템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영관의 후방에 위치한 프로젝터에서 상영관의 정면에 설치된 단일의 스크린상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관객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 관객들은 평면적인(2 Dimension, 2D) 영상만을 감상할 수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관객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3D TV, 3D 영화관과 같은 3D 영상 관련 기술이 개발되었다. 3D 영상 기술은 사람의 좌측 눈과 우측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가고 뇌에서 합쳐지는 경우 평면 영상에서도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영상 촬영 시 서로 다른 편광 필터가 장착된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고, 영상 시청시 편광 필터가 장착된 안경 등을 써서 좌측 눈과 우측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3D 기술은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여전히 단일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감상하는 것에 불과하여 영상 자체에 대한 몰입도가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관객들이 느끼는 입체감의 방향이 단일 스크린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한정된다는 한계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3D 기술은 영상 시청 시 편광 필터가 장착된 안경 등을 착용해야하므로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었고, 좌측 눈과 우측 눈에 인위적으로 서로 다른 영상을 강제로 주입시키기 때문에 민감한 관객들은 어지러움이나 울렁거림을 느낄 수 있었다.
따라서, 단일 스크린 기반을 기반으로 하는 종래의 상영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관객들에게 다양한 시점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관객의 몰입도와 입체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영상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복수의 투사면에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하여 관객들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른바 다면 상영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은,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관리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서로 동기화된 영상이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투사 장치는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될 영상을 보정 하고, 보정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별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의 영상들에 대하여 이미지 워핑(image warping) 보정, 마스킹(masking) 보정 또는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워핑 보정은, 그리드에 상관없이 임의의 점을 임의의 위치로 옮겨서 키스톤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영상 파일에 대하여 마스킹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각 투사 장치들은 투사 시에 별도의 마스킹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의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각 투사장치가 투사하는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의 투사면에 설치된 구조물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할 영상을 보정 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각 투사 장치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보정 프로파일 정보에는, 이미지 워핑 보정 정보, 에지 블렌징 보정 정보 또는 마스킹 보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 DCP(Digital Cinema Package) 또는 DSA(Digital Screen Advertising)에 의한 메인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 및 상기 메인 영상과 매칭(matching)되는 보조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DCP 또는 DSA에 의한 단일 영상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을 각 투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의 배치 정보 또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의 설치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스크린 및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스크린 및 벽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에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DSA 또는 DCP의 타임 코드 정보를 바탕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하여 병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보조 서버는, 하나 이상의 투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각 투사 장치들이 투사할 영상들을 보정 하고, 보정된 영상을 각 보조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별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에 대하여 이미지 워핑(image warping) 보정, 마스킹(masking) 보정 또는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보조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보정된 영상을 렌더링(rendering)한 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에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각 보조 서버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바탕으로 자신과 연결된 투사 장치의 영상 투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 데이터들은, 하나의 장면을 둘 이상의 시점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 데이터들은,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또는 표준화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영관에 구축된 DSA 시스템, DCP 시스템 또는 Automation 시스템과 연동 된 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재생함으로써 관객에게 입체감 및 몰입도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객을 둘러싸고 있는 복수의 투사면에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하여 관객에게 다 시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객은 영상에 묘사되는 공간 안에 실재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관리 장치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동기화되므로,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걸쳐서 서로 동기화되고 일체감 있는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될 영상을 일괄적으로 보정 하지 않고, 각 투사 장치별로 독립적인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영관에 배치된 복수의 투사면 모두에 최적화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투사 장치별로 독립적인 영상 보정을 수행할 때, 각 투사 장치의 정보(설치정보, 성능 정보, 투사하는 투사면의 정보 등)를 고려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투사면 각각에 최적화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될 각 영상들을 보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성질이 다른 복수의 투사면을 통해서도 서로 동기화되고 일체감 있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크린과 다수의 벽면만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상영관에서도 다면 상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영관에 설치된 각 투사장치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를 사전에 DB(DataBase)화 시켜 놓고, 이러한 DB를 활용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B화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 보정 프로세스의 자동화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영할 영상이 교체되어도 새로운 정보의 입력 없이 영상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보정된 영상을 즉시 생성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보정과 재생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 컨텐츠가 아닌 경우에도, 해당 영상 컨텐츠와 매칭(matching)되는 보조 영상을 삽입시키거나, 해당 영상 컨텐츠를 분할하여 다면 상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 상영 시스템을 통해 재생할 영상 컨텐츠(Digital Cinema Package 혹은 Digital Screen Advertising)가 종래의 단일 스크린에서 상영되던 단일 시점의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영상의 배경과 매칭되는 보조 영상을 삽입하거나 분할하여 다면 상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영 시스템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면 상영 시스템이 적용된 상영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을 살펴본다.
이하에서 살펴볼 다면 상영 시스템이란, 관객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투사면에 서로 동기화되고 일체감을 줄 수 있는 영상을 재생하여, 관객이 영상에 묘사된 공간 안에 실재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는 상영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은,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관리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서로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서로 동기화되고 일체감 있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일체감 있는 하나의 영상(각 투사면이 전체 영상의 일부분을 투사하고, 전체 투사면 상에서 하나의 영상이 구현)이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 투사면에 독립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다면 상영 시스템에서 투사 면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에 의해 동기화된 영상이 투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투사면에 서로 다른 별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이 상영관의 정면에 배치되는 스크린에만 영상을 투사하고 관객은 2차원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감상하는 방식이거나, 평면상에 재생되는 영상 자체에 3D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었다면, 이와 대비되는 본 발명은 복수의 투사면을 서로 평행하지 않게 입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영상 자체에 3D 기술 등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입체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투사면을 통해 관객에게 입체감 및 몰입도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바람직하게는 상영관 내의 관객석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통해 구현되는 일체감 있는 영상을 통해 관객들은 영상에 의해 창조된 공간 안에 둘러싸여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관객이 느끼는 입체감, 몰입감 및 가상현실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특정 각도로 한정되지 않으며, 관객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서로 결합 인접한 형태로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 된 형태로도 배치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관객석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첨부된 도면은 상기 복수의 투사면이 관객석을 기준으로 정면, 좌측면, 우측면에 배치된 실시예이고, 도 5에 첨부된 도면은 상기 복수의 투사면이 관객석을 기준으로 정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에 배치된 실시예이다. 또한, 도 6에 첨부된 도면은 상기 복수의 투사면이 관객석을 기준으로 정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에 배치된 실시예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서로 다른 종류의 투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스크린과 벽면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스크린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크린과 다수의 벽면만을 포함하는 종래의 일반 상영관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다면 상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환경에서는 스크린과 벽면의 이질감(색상, 반사율 등)으로 인해 복수의 투사면에 재생되는 영상의 일체감이 감소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상기 관리 장치(100)의 영상 보정 동작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스크린 및 벽면의 상대적인 성질(색상, 반사율 등)을 고려하여 각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독립적으로 보정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투사면의 종류가 상이하더라도 모든 투사면에 표출되는 색상 및 반사율이 최대한 일치되도록 상기 관리 장치가 각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때문에, 관객들은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이 투사되는 것을 보면서도 그 복수의 투사면이 서로 다른 종류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200)의 개수는 각 투사면의 크기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투사면에는 2개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영상을 함께 투사하여 해당 투사면이 담당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투사면에는 1개의 투사 장치(200)만으로도 해당 투사면이 담당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투사면에 2개 이상의 투사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에 각 투사 장치(200)의 영상이 중첩되는 부분이 매끄럽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관리 장치(100)의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의 영상 보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투사 장치(200)들은 광학계와 같은 발열부를 가질 수 있고, 화상들을 화면에 확대 투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사장치들은 음극선관(CRT)를 사용하는 방식, 액정디스플레이(LCD)를 사용하는 방식,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는 디지털 광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방식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상영관 내부에 분산되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사면의 개수보다 많은 수로 설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투사 장치(200)가 하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지만, 투사면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단일 투사면의 영역을 분할한 뒤에 함께 영상을 투사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200)는 상기 투사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거나 적은 수로도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투사 장치(200)의 개수가 상기 투사면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하나의 투사 장치(200)가 둘 이상의 투사면에 동시에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투사면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데, 상기 복수의 투사면 상에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하거나, 동일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은 서로 동기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에는 전체 투사면의 관점에서 일체감 있는 영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황에 따라 각 투사면에 일체감 없는 별개의 영상이 투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통해, 관객들은 각 투사면이 배치된 다양한 시점 방향에서 일체감 있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을 통해 관객들이 느끼는 입체감 및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들은, 상기 관리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리 장치(1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들은 상기 관리 장치(100)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서 통합적인 제어와 개별적인 제어가 모두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들은 상기 관리 장치(100)에 의해 통합적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걸쳐서 일체감 있고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장치(200)들은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자신이 투사할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각 투사 장치(200)는 상기 관리 장치(100)로부터 자신이 투사할 영상을 개별적으로 전달받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각 투사 장치(200)가 일체감 있는 전체 영상의 일부 영역을 담당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투사 장치(200)에는 서로 다른 영상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각 투사 장치(200)에 영상이 전달된 이후의 재생은 상기 관리 장치(1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들에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들이 전송된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함께 투사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투사면에 동일한 영상이 재생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관리 장치(100)의 제어 하에 각 투사 장치(200)에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다면 상영 시스템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장치로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을 관리하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거나 여러 가지 전자 장치가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100)는 하나의 서버(server) 장치로 구현되거나, 2개 이상의 서버가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서버와 다른 전자 장치들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서버 이외의 다른 연산 장치들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관리할 수 있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와 병렬적인 연결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투사 장치(200)들을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영상 관리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영상 관리 동작에는 영상 데이터 준비, 영상 데이터 보정, 영상 데이터 전달, 영상 재생 관리 등의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준비란, 상기 관리 장치(100)가 다면 상영을 위한 영상들을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영관에 설치된 각 투사 장치(200)에서 투사할 영상 데이터들을 준비하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영상 데이터와 특정 투사 장치(200)를 매칭(matching)시키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의 준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3가지의 방식을 간략히 검토한다.
첫 번째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다면 상영을 위해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을 상영관에 설치된 각 투사 장치(200)들과 매칭(matching)시키는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이란, 다면 상영을 위하여 다양한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면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좌측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우측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상측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하측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들을 의미하며, 시점의 종류에 따라 둘 이상의 영상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영상 데이터들의 시점 정보와 각 투사 장치(200)의 시점 정보를 고려하여 각 영상 데이터들과 각 투사 장치(200)들을 매칭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다면 상영을 위한 영상 데이터들을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은,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및 표준화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과 표준화된 크기가 향후의 영상 보정 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은 향후의 영상 데이터 보정 과정에서 투사면들의 정보(크기, 모양을 포함하는 형태, 색상, 재질, 반사율 등)나 투사 장치의 정보(해상도, 밝기, 투사면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보정되는데,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가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과 크기를 가진다면 이러한 보정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가 표준화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었던, 다양한 데이터 포맷 및 크기에 대하여 다수의 영상 보정 솔루션을 준비해야 했던 문제점, 특정 데이터 포맷 또는 크기에 대해서는 영상 보정을 통해서도 투사면에 알맞은 영상을 구현할 수 없었던 문제점 등이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투사면들의 형태 정보를 고려하는 영상 데이터 보정과 관련하여,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을 표준화(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및 표준화된 크기)시키는 것의 장점을 살펴보면,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투사면을 가지는 다양한 다면 상영관에서 재생될 수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각 상영관에 배치된 투사면의 형태에 따라 보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을 표준화시키면 이러한 투사면의 형태를 고려한 보정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들은, 네모 형태, 돔 형태, 밑면이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투사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면 상영관에서 재생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들을 표준화(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및 표준화된 크기)시킨다면, 상기 특수 제작된 영상들을 각 투사면의 형태에 맞게 보정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영상의 데이터 포맷이나 크기가 자유롭게 구성된다면, 특정 형태의 투사면에서는 영상 보정에 요구되는 기초 데이터가 부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전하지 못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단일의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식으로 각 투사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영관에 설치된 투사 장치(200)들의 개수 정보와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단일의 영상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상 데이터들과 각 투사 장치(200)를 매칭시켜서 영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 상영관 내부에, 좌측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A), 정면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B), 우측 투사면이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C)가 존재한다면,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단일 영상 데이터를 좌측에 투사할 영상 데이터(a), 정면에 투사할 영상 데이터(b), 우측에 투사할 영상 데이터(c)로 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 분할된 영상 데이터들을 각 투사 장치와 매칭(A-a, B-b, C-c)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단일의 영상 데이터에 복수의 보조 영상 데이터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각 투사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투사면의 투사 장치(200)에는 단일의 영상 데이터가 매칭되고, 다른 투사면들의 투사 장치(200)에는 상기 관리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준비한 보조 영상 데이터가 매칭된다. 이러한 세 번째 방식은, 메인 투사면에는 단일 시점의 영상을 그대로 투사하고, 그 외의 투사면들에는 상기 단일 시점 영상과 일체화될 수 있는 보조 영상(ex: 메인 영상과 일체감 있게 연결될 수 있는 배경 영상, 메인 영상과 연관성 있는 영상 등)들을 투사하여 관객들에게 입체감 및 몰입감을 주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데이터(예:원본 영상 데이터, 특수 제작 영상 데이터)들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100)는, 저장 매체를 매개로 상기 기초데이터를 전달받거나, 기초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기초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종 네트워크나 인터넷 망을 통해서도 상기 기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이란, 관객들에게 몰입감, 입체감, 일체감 높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관리 장치(100)가 투사 이전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들을 보정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를 통해 투사되는 모든 영상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보정 하지 않고,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별로 독립적인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보정 과정에서 각 투사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보정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투사 장치(200)의 모델명, 투사 장치(200)의 해상도,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 투사면까지의 거리, 투사면과 이루는 각도, 투사면의 재질, 색상, 반사율 등 각 투사 장치(2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고려하여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데이터 보정의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보면,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각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워핑(image warping) 보정, 마스킹 보정(masking),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보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워핑(image warping) 보정이란, 지오메트리(geometry) 보정 기술의 일종으로 투사면의 구조에 적합하게 키스톤을 맞추는 보정이다. 이러한 상기 이미지 워핑 보정은, 바람직하게는 그리드에 상관없이 임의의 점을 임의의 위치로 옮겨서 키스톤을 맞추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미지의 변형을 훨씬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지 블렌딩 보정(edge blending)이란, 영상이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정이다.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하고, 전체로서 하나의 영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이 중첩되는 부분을 매끄럽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에지 블렌딩 보정을 통해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이 중첩되는 부분이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킹(masking) 보정이란, 투사되는 영상이 관객석에 비춰지면서 발생하는 방해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정이다. 이러한 마스킹 보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상기 관리 장치(100)가 영상 파일에서 마스킹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각 투사 장치(200)들은 투사 시에 별도의 마스킹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투사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을 보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사면의 상대적인 성질에는, 상대적인 재질 차이, 상대적인 반사율 차이, 상대적인 색상 차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투사 면의 상대적인 성질 차이는 각 투사면에 재생되는 영상들 사이에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명도, 채도 또는 색상의 차이는 관객들에게 주는 영상의 일체감을 반감시키고 관객의 몰입도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투사 면들의 상대적인 성질차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명도, 채도, 색상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명도, 채도, 색상의 상대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서로 다르게 보정 한다. 예를 들어, 특정 투사면이 다른 투사면에 비해 투사되는 영상의 명도 또는 채도를 감소시키면, 해당 감소분만큼의 명도 또는 채도를 영상 보정 과정에서 증가시킨다. 또한, 특정 투사면의 색상 차이도 영상의 색상 보정에 반영하여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보정은 상기 복수의 투사면을 서로 다른 종류로 구성할 때 유용한데, 서로 다른 종류로 구성된 투사면들 사이에는 재질, 반사율, 색상 등의 성질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면의 표면 정보를 이용하여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할 영상을 보정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투사면 중 일부에는 요철 등의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거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렇게 요철이 형성된 부분이나 구조물(예: 스피커)이 설치된 부분에서는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상기 요철 또는 구조물에 의해 발생 되는 영상의 왜곡은 관객들의 몰입감을 저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 장치(200)가 투사할 투사면의 표면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투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이나 구조물의 외형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형을 지오메트리(geometry) 보정에 반영하여 표면의 요철이나 구조물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보정과 관계된 투사 환경에 대한 정보를 DB(DataBase)화 하여 내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DB를 활용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DB화 되는 정보에는, 투사면의 재질, 색상, 반사율, 밝기, 투사 장치(200)의 모델명, 투사 장치(200)의 해상도,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 투사면과 투사장치 사이의 거리, 투사면에 설치된 구조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이외에도 영상 보정 과정에서 참조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자신의 투사 환경과 매칭되는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 자체를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에는, 각 투사 장치(200)를 위한 이미지 워핑 보정 정보, 에지 블렌딩 보정 정보, 마스킹 보정 정보, 색상 보정 정보, 명도 보정 정보, 채도 보정 정보, 기타 지오메트리(geometry) 보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프로파일 정보는 각 투사 장치(200)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다면 상영관에 재생할 영상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새로운 정보의 입력 없이 내부의 DB를 이용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DB화된 보정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즉시 보정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보정과 영상의 재생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의 DB에는, 다양한 유형(경우의 수)의 투사 환경에 대한 다수의 영상 프로파일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양한 유형(경우의 수)의 투사 환경과 영상 보정 프로파일들이 서로 매칭(matching)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장치(100)의 DB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스크린과 석고 재질의 벽면으로 복수의 투사면이 구성될 때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투사 장치들 사이의 밝기 차이가 500 안시(ANSI Lumens)인 경우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복수의 투사면이 2개의 텍텀 재질의 투사면과 1개의 PVC 재질의 투사면으로 구성될 때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투사면의 형태가 사다리꼴 모양인 경우의 지오메트리 보정 프로파일 정보, 투사면의 색상이 백색과 갈색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 투사면의 특정 위치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영상 프로파일 정보, 투사면들 사이에 10%의 반사율 차이가 있는 경우의 영상 프로파일 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투사 환경과 영상 프로파일 정보들이 매칭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 살펴본 예들은 전체 유형 중에 지극히 일부에 불과한 예들이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DB에서 자신의 현재 투사 환경과 매칭되는 특정 영상 프로파일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특정 영상 프로파일 정보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1) 투사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상기 관리 장치(100)가 새로운 투사 환경에 대한 영상 보정을 손쉽게 수행(DB에서 새로운 투사 환경과 매칭되는 영상 보정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으며, 2) 다양한 다면 상영관(A 다면 상영관, B 다면 상영관, C 다면 상영관 등)에 설치되는 관리 장치들을 표준화시키고 서로 호환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전달이란, 상기 관리 장치(100)가 보정이 완료된 영상들을 렌더링(rendering)한 뒤에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상의 전달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투사 장치(200)에 대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전체적으로는 일체감 있는 영상을 형성하지만, 개별적으로는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하기 때문에,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 장치(200)와 각 영상 데이터의 매칭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전송한다.
영상 재생 관리란, 상기 관리 장치(100)가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에 영상 데이터를 전달한 뒤에,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영상을 투사하여 재생시키는 동작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각 투사 장치(200)가 서로 동기화된 상태에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모든 투사 장치(200)에 공통적인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공통적인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투사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동기화된 영상이 투사되며,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 걸쳐서 일체감 있는 영상이 재생된다.
한편, 영상이 재생될 때, 1) 모든 투사면에 항상 영상이 투사될 수도 있고, 2) 어느 특정 장면에서만 모든 투사면에 영상이 투사(예: 기본적으로 정면의 투사면에서만 영상이 재생되다가, 특정 장면에서는 복수의 투사면을 사용하여 영상을 재생)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장치(100)가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가 전송하는 동기화 신호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신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영화 컨텐츠(예: DCP) 또는 광고 컨텐츠(예: DSA 시스템을 통한 광고 영상) 등의 타임 코드 자체를 동기화 신호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관리 장치(100)는, DCP 또는 DSA에 의한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프레임별 타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별 타임코드를 바탕으로 하는 동기화 제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들의 싱크(sync)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데이터 준비, 상기 영상 데이터 보정, 상기 영상 데이터 전달, 상기 영생 재생 관리 동작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 준비, 상기 영상 데이터 보정, 상기 영상 데이터 전달 과정은 영상 재생 이전에 완료되거나,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은, 다양한 영상 컨텐츠들을 활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다면 상영 시스템은 다면 상영을 위해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 제작된 영상 데이터들이란, 다면 상영을 위하여 다양한 시점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들을 의미하며, 시점의 종류에 따라 둘 이상의 영상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수 제작 영상에는 기본 벡터 방향(기본 영상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상기 기본 벡터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방향(주변 영상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다면 상영 시스템 내부의 각 투사면과 매칭 되어서 재생된다. 구체적으로, 기본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이 정면의 메인 투사면에 투사되고, 기본 시점의 우측 방향으로 촬영된 주변 영상은 메인 투사면을 기준으로 우측 투사면에 투사된다. 또한, 기본 시점의 좌측 방향으로 촬영된 주변 영상은 메인 투사면을 기준으로 좌측 투사면에 투사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면 시스템은 DCP(Digital Cinema Package) 또는 DSA(Digital Screen Advertising) 등의 단일 시점의 영상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시점의 영상은 상기 관리 장치(100)에 의해 분할되고, 분할된 영상은 각 투사 장치(200)를 통해 각 투사면에 투사되며, 각 투사면에 분할 투사된 영상들은 복수의 투사면 전체에서 다시 결합 되어서 관객에게 일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이 관객석을 둘러싸는 복수의 투사면을 통해 동기화되어 재생되므로, 비록 원본의 영상 컨텐츠는 단일 시점의 영상 컨텐츠라도 해당 영상이 관객들을 둘러싸는 상태로 재생되므로, 관객들에게 몰입감 및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의 배치 정보 또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설치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면 시스템은, DCP 또는 DSA 등의 단일 시점의 영상에 복수의 보조 영상을 결합시키고, 결합 된 영상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일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200)는 단일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투사하며, 그 외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200)들은 상기 관리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결합시킨 보조 영상들을 투사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영상들은 상기 단일 시점의 영상들에 포함된 배경 영상들과 매칭될 수 있는 영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일 시점의 영상들의 배경과 일체감 있게 연결될 수 있는 영상들일 수 있다. 따라서 관객들은 정면의 메인 스크린을 통해 단일 시점의 메인 영상을 감상하되, 보조 영상들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영상을 감상하게 되므로, 영상이 묘사하는 장면 상에 실제로 들어와 있는 몰입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보조 영상은 상기 단일 시점의 영상들의 배경과 일체감 있게 연결될 수 있는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영상은 상기 단일 시점의 영상과 연관성이 있는 독립적인 영상일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관리 장치(100)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들의 일례를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장치(100)는, 영상 보정부(110), 동기화 관리부(120), 투사 장치 동작 관리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술한 상기 관리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보정부(110)는, 위에서 설명한 상기 관리 장치(100)의 영상 보정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영상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보정부(110)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영상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중복 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 동기화 관리부(120)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동기화 관리부(120)는 시간 정보가 포함된 동기화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각 투사 장치(200)에 전송한다. 한편, 동기화 신호를 전송받은 각 투사 장치(200)들은 전송받은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참조면서 영상을 투사하므로, 투사 장치(200) 전체에 걸쳐서 동기화된 영상이 투사된다. 따라서, 관객을 둘러싸는 투사면에는 동기화된 영상들이 형성하는 일체감 있는 영상이 재생되고, 관객들이 느끼는 일체감 및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기화 관리부(120)가 전송하는 동기화 신호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으며, 특정 DCP 또는 DSA에 포함된 타임 코드 정보를 활용하여서도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 장치 동작 관리부(130)는, 상기 관리 장치(100)와 연결된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각 투사 장치(200)의 ON/OFF 동작, 영상을 투사하는 방향, 각도 등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와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는 병렬적인 연결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병렬적인 연결을 통해 상기 투사 장치 동작 관리부(130) 각 투사 장치(2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다면 상영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되며, 이 외에도 상기 관리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40)에는, 영상 데이터, 각 투사 장치(200)의 개별 정보, 투사 환경의 유형(경우의 수)별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 각 투사면의 정보, 동기화 신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관리 장치(100)가 외부의 장치들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망과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통신부(150)를 통해 다면 상영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50)을 통해 DCP, DSA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보정된 영상을 각 투사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PC, 노트북 등)와 연결되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영상 보정부(110), 동기화 관리부(120), 투사 장치 동작 관리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 외에도 상기 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영관에 구축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들과 연동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상영관에 구출될 수 있는 DSA 시스템, DCP 시스템, Automation 시스템 등과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다른 시스템들과의 연동을 통해, 상영관에 구축되는 다양한 시스템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면 상영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DSA 시스템은, 광고 영상 컨텐츠의 한 종류인 DSA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상기 DSA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서버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장치(100)와 연동 되어서, 상기 관리 장치(100)에 DSA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DCP 시스템은, 영화 영상 컨텐츠의 한 종류인 DCP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상기 DCP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서버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장치(100)와 연동 되어서, 상기 관리 장치(100)에 DCP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Automation 시스템은, 상영관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컨트롤 하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Automation 시스템은, 상영관 내에 설치된 조명 장치, 커텐 장치, 오디오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상기 Automation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서버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리 장치(100)와 연동 되어서,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 상영 시스템은, 상기 관리 장치가 하나의 메인 서버(180)와 복수의 보조 서버(190)들이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가 둘 이상의 투사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서버(190), 및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서버(18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 동작이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 동작이 1) 메인 서버(180)가 복수의 보조 서버(190)들을 제어하는 1단계 제어 동작, 2) 복수의 보조 서버(190)들이 각 보조 서버(190)에 연결된 투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2단계 제어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180)와 복수의 보조 서버(190)들 사이의 연결은 병렬적인 연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서버(190)들이 병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80)는, 위에서 살펴본 상기 관리 장치의 영상 데이터 준비, 영상 데이터 보정, 영상 데이터 전달, 영상 재생 관리 동작 등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메인 서버(18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각 투사 장치(200)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각 투사 장치(200)를 제어하는 각 보조 서버(19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80)는 각 영상들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신호도 각 투사 장치(200)에 직접 전달하지 않으며, 각 투사 장치(200)를 제어하는 각 보조 서버(190)에 전달한다. 즉, 상기 메인 서버(180)는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190)만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의 직접적인 제어는 상기 보조 서버(19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19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서버(180)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180)에 의해 병렬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각 보조 서버(190)는 하나 이상의 투사 장치(200)들과 연결되고, 연결된 하나 이상의 투사 장치(200)들을 제어한다.
상기 각 보조 서버(19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각 보조 서버(190)는 상기 메인 서버(180)로부터 자신이 제어하는 투사 장치(200)들의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는 상기 메인 서버(180)에 의해 보정이 완료된 상태이며, 상기 각 보조 서버(190)는 보정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를 렌더링(rendering)한 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보조 서버(190)들은, 상기 메인 서버(180)로부터 동기화 신호와 함께 영상 재생 명령이 전달되면, 렌더링 된 영상을 자신과 연결된 각 투사 장치(200)에 전달하며, 각 투사 장치(200)가 전달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각 보조 서버(190)들은 상기 메인 서버(180)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신호를 바탕으로 각 투사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들이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관리 장치 110 : 영상 보정부
120 : 동기화 관리부 130 : 투사 장치 동작 관리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180 : 메인 서버
190 : 보조 서버 200 : 투사 장치

Claims (18)

  1. 복수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둘 이상의 투사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을 관리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서로 동기화된 영상이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관객석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투사 장치는 서로 동기화된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에 투사될 영상을 보정 하고, 보정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투사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별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들에 대하여 이미지 워핑(image warping) 보정, 마스킹(masking) 보정 또는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하는 투사면의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사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각 투사장치가 투사하는 영상을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의 투사면에 설치된 구조물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투사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각 투사 장치가 투사할 영상을 보정 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투사 장치의 영상 보정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 프로파일 정보에는, 이미지 워핑 보정 정보, 에지 블렌징 보정 정보 또는 마스킹 보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사면은 스크린 및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스크린 및 벽면의 상대적인 성질을 고려하여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에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는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둘 이상의 투사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하여 병렬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 서버는, 하나 이상의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복수의 보조 서버에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각 보조 서버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를 바탕으로 자신과 연결된 투사 장치의 영상 투사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KR1020140008309A 2014-01-23 2014-01-23 다면 상영 시스템 KR2014006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09A KR20140063534A (ko) 2014-01-23 2014-01-23 다면 상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09A KR20140063534A (ko) 2014-01-23 2014-01-23 다면 상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108A Division KR101391377B1 (ko) 2012-07-12 2012-11-16 다면 상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534A true KR20140063534A (ko) 2014-05-27

Family

ID=5089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09A KR20140063534A (ko) 2014-01-23 2014-01-23 다면 상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59B1 (ko) * 2014-07-16 2015-01-29 김진갑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노래방 시스템
WO2016069175A1 (en) * 2014-10-28 2016-05-06 Barco, Inc. Synchronized media servers and projectors
US9838675B2 (en) 2015-02-03 2017-12-05 Barco, Inc. Remote 6P laser projection of 3D cinema cont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59B1 (ko) * 2014-07-16 2015-01-29 김진갑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노래방 시스템
WO2016010360A1 (ko) * 2014-07-16 2016-01-21 김진갑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노래방 시스템
WO2016069175A1 (en) * 2014-10-28 2016-05-06 Barco, Inc. Synchronized media servers and projectors
US9838675B2 (en) 2015-02-03 2017-12-05 Barco, Inc. Remote 6P laser projection of 3D cinema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377B1 (ko) 다면 상영 시스템
US9298071B2 (en) Multi-projection system
US97562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wo-way interactive 3D experience
KR101489261B1 (ko) 상영관 파라미터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8287120A (ja) 立体映像の投影方法及び立体映像の投影装置
CN110248175B (zh) 用于多投影的附加效果系统和方法
JP6322290B2 (ja) 多面上映システムのシミュレーション映像を提供するためのシミュレーション映像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492970A (zh) 使用内表面作为投影表面的多投影系统
KR101526294B1 (ko)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63534A (ko) 다면 상영 시스템
CN104202589A (zh) 多通道立体电影视频同步播放方法
KR101553266B1 (ko)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62782A (ko) 다면 상영관의 컨텐츠 사이즈 노멀라이징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8287262A (ja) 立体映像の投影装置及び立体映像の投影方法
US113883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KR10145566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관람용 의자를 포함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979866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패널을 이용한 다면상영관 및 다면상영방법.
CN106162151A (zh) 一种沉浸式播放系统
KR101457904B1 (ko) 다면 상영을 위한 부가 효과 시스템 및 방법
Song et al. A Survey on Projector-Based PC Cluster Distributed Large Screen Displays and Shader Technologies.
Peikert et al. Immersive 3D-Stereo surround cine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