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45A -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3345A KR20140063345A KR1020120133884A KR20120133884A KR20140063345A KR 20140063345 A KR20140063345 A KR 20140063345A KR 1020120133884 A KR1020120133884 A KR 1020120133884A KR 20120133884 A KR20120133884 A KR 20120133884A KR 20140063345 A KR20140063345 A KR 201400633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tablet computer
- base
- mounting groove
- mov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전자기기는 주변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착 홈;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상기 장착 홈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에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 상기 삽입 홈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 턱;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 상기 걸림 턱과 반대쪽에 설치된 밀림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변장치에 대해 분리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장치에 설치되며, 태블릿 컴퓨터를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휴대용 컴퓨터로서 노트북 컴퓨터가 많이 사용되었다. 노트북 컴퓨터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어 편리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로서 이동성이 좋으며 터치 입력을 사용하는 태블릿 컴퓨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태블릿 컴퓨터는 데이터 입력을 터치로만 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노트북과 같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다량의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성을 확장할 수 있는 키보드를 태블릿 컴퓨터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연결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태블릿 컴퓨터는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세워놓을 수 없으므로, 태블릿 컴퓨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탠드가 필요하므로, 태블릿 컴퓨터를 스탠드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연결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태블릿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용량이 작으므로 보조 배터리 팩을 연결하여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태블릿 컴퓨터와 보조 배터리 팩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연결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키보드, 스탠드, 보조 배터리 팩 등과 같은 주변장치에 태블릿 컴퓨터를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 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태블릿 컴퓨터와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를 주변장치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착 홈;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상기 장착 홈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에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 상기 삽입 홈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 턱;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 상기 걸림 턱과 반대쪽에 설치된 밀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림 돌기와 상기 후크의 머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크의 걸림 길이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 턱 사이의 걸림 길이 이상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가 상기 밀림 돌기를 상측 방향으로 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 돌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 돌기를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분리 버튼; 및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을 누르면, 상기 분리 버튼의 가압 돌기가 상기 이동 부재의 경사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밀림 돌기를 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후크를 둘러싸는 보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변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주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복수 개의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보조 가압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는 키보드, 스탠드, 보조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변장치와 태블릿 컴퓨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착 홈;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의 아래에 상기 장착 홈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홈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장착 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일단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 돌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 돌기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분리 버튼; 및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이 눌리면, 상기 분리 버튼의 가압 돌기가 상기 이동 부재의 경사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원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상기 분리 버튼이 설치되는 버튼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후크를 둘러싸는 보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주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키보드 유닛에 장착되기 전의 태블릿 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가 키보드 유닛의 연결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로 키보드 유닛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a는 분리 버튼이 눌리기 전의 분리 버튼, 이동 부재, 후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분리 버튼이 눌린 경우에 분리 버튼, 이동 부재, 후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연결 장치의 후크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삽입되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b는 연결 장치의 후크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완전히 삽입되어 걸림 턱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c는 분리 버튼이 눌린 경우, 연결 장치의 후크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의 밀림 돌기가 밀리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형성되는 밀림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a는 태블릿 컴퓨터가 연결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후크와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서 분리 버튼에 의해 후크가 이동하였을 때, 후크와 커넥터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가 상측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 장치에 설치되는 보조 가압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연결 장치에 설치되는 보조 가압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가 키보드 유닛의 연결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로 키보드 유닛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a는 분리 버튼이 눌리기 전의 분리 버튼, 이동 부재, 후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분리 버튼이 눌린 경우에 분리 버튼, 이동 부재, 후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연결 장치의 후크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삽입되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b는 연결 장치의 후크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완전히 삽입되어 걸림 턱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c는 분리 버튼이 눌린 경우, 연결 장치의 후크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의 밀림 돌기가 밀리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태블릿 컴퓨터의 삽입 홈에 형성되는 밀림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a는 태블릿 컴퓨터가 연결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후크와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서 분리 버튼에 의해 후크가 이동하였을 때, 후크와 커넥터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가 상측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 장치에 설치되는 보조 가압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연결 장치에 설치되는 보조 가압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와 연결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가 키보드 유닛의 연결 장치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가 키보드 유닛의 연결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형 전자기기에서 태블릿 컴퓨터로 키보드 유닛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1)는 태블릿 컴퓨터(10)와, 태블릿 컴퓨터(10)를 필요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주변장치(20), 및 상기 태블릿 컴퓨터(10)와 주변장치(20)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30)를 포함한다.
태블릿 컴퓨터(10)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11)이 마련된다. 태블릿 컴퓨터(10)의 일단, 즉 태블릿 컴퓨터(10)의 4개의 측면 중 한 개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12)과 커넥터 홈(15)이 마련된다. 삽입 홈(12)은 연결 장치(30)의 후크(6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후크(6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연결 장치(30)에 2개의 후크(60)가 마련되므로 태블릿 컴퓨터(10)에도 2개의 삽입 홈(12)이 형성된다. 커넥터 홈(15)은 2개의 삽입 홈(12) 사이에 형성되며, 연결 장치(30)의 커넥터(35)가 삽입된다. 커넥터 홈(15)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접점(16)(도 9a 및 도 9b 참조)이 마련된다.
도 7a는 연결 장치(30)의 후크(60)가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에 삽입되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7b는 연결 장치(30)의 후크(60)가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에 완전히 삽입되어 걸림 턱(13)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c는 분리 버튼(70)이 눌린 경우, 연결 장치(30)의 후크(60)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의 밀림 돌기(14)가 밀리는 순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삽입 홈(12)은 태블릿 컴퓨터(10)의 일 측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삽입 홈(12)의 일 측면(12a)에는 일정 거리 돌출된 걸림 턱(13)이 형성된다. 걸림 턱(13)은 후크(60)의 코(61)에 간섭되어 후크(60)가 삽입 홈(12)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삽입 홈(12)의 타 측면(12b), 즉 걸림 턱(13)이 형성된 삽입 홈(12)의 측면(12a)과 반대되는 방향의 측면(12b)에는 밀림 돌기(14)가 마련된다. 밀림 돌기(14)는 후크(60)의 머리부(62)와 간섭되어 태블릿 컴퓨터(10)를 상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a, 도 7b, 도 7c에는 밀림 돌기(14)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밀림 돌기(14)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크(60)의 머리부(62)와 간섭되어 태블릿 컴퓨터(10)를 상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생할 수 있으면, 밀림 돌기(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삽입 홈(12)에 형성된 밀림 돌기(14')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밀림 돌기(14')는 후크(60)의 머리부(62)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60)의 머리부(62)가 밀림 돌기(14')의 경사면을 가압하면, 태블릿 컴퓨터(10)는 상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태블릿 컴퓨터(10)를 연결 장치(3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후크(60)가 삽입 홈(12)에 삽입될 때, 후크(60)의 머리부(62)가 밀림 돌기(14)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 턱(13)에서 삽입 홈(12)의 측면(12b)까지의 거리(A)는 후크(60)의 너비(B)보다 크게 형성한다. 다시 말해, 후크(60)와 걸림 턱(13) 사이의 걸림 거리(C)보다 밀림 돌기(14)와 후크 머리부(62) 사이의 거리(D)를 더 크게 형성한다. 여기서, 후크(60)의 너비(B)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0)가 삽입 홈(1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삽입 홈(12)의 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의 너비를 의미한다.
커넥터 홈(15)은 연결 장치(30)에 마련된 수 커넥터(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넥터 홈(15)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접점(16)이 마련된다.
키보드 유닛(20)은 태블릿 컴퓨터(10)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하여 사용되는 주변장치들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주변장치로는 키보드 유닛(20) 외에 스탠드나 보조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 유닛(20)은 전면에는 태블릿 컴퓨터(10)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22)와 터치 패드(24)가 마련되고, 일 측면에는 연결 장치(30)가 설치된다. 키보드(22)와 터치 패드(24)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 및 터치 패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1)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 장치(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장치(30)는 베이스(40), 이동 부재(50), 분리 버튼(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는 키보드 유닛(2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40)의 양단에는 회전축(32)이 마련되고, 이 회전축(32)이 키보드 유닛(20)에 마련된 힌지 구멍(미도시)에 결합된다.
베이스(4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32)에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 홈(43)이 형성된다. 장착 홈(43)은 태블릿 컴퓨터(10)의 일 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장착 홈(43)의 바닥면에는 후크(60)와 커넥터(35)가 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홈(43)의 일 측면은 베이스(40)에 비해 양측으로 날개(42a)가 태블릿 컴퓨터(10)의 측면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 홈(43)의 일 측면(42a)을 길게 연장하면, 태블릿 컴퓨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컴퓨터(1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장착 홈(43)의 일 측면(42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40)는 분리 가능한 상부 베이스(41)와 하부 베이스(42)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41)의 양단에는 회전축(32)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분리 버튼(70)이 삽입되는 버튼 구멍(49)이 마련된다. 상부 베이스(41)에는 장착 홈(43)의 바닥면(43a)이 연장되어 있다. 바닥면(43a)의 중앙에는 하부 베이스(42)에 설치된 커넥터(35)가 돌출될 수 있는 개구부(46)가 마련된다. 또한, 중앙의 개구부(46) 양측으로는 이동 부재(50)의 후크(60)가 돌출될 수 있는 2개의 관통공(44)이 형성된다. 관통공(44)의 주위에는 후크(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돌기(47)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42)는 상기 상부 베이스(41)의 하부에 조립되어 베이스(40)를 형성한다. 상부 베이스(41)와 하부 베이스(42) 사이에는 이동 부재(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부 베이스(41), 이동 부재(50), 및 하부 베이스(42)를 조립하면 하부 베이스(42)와 상부 베이스(41) 사이에는 이동 부재(50)가 베이스(40)의 회전축(32) 방향, 즉 베이스(40)의 길이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동 부재(50)는 베이스(40)에 대해 베이스(4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세하게, 이동 부재(50)는 베이스(40)의 장착 홈(43)의 바닥면(43a) 아래, 즉 베이스(40) 내부에서 장착 홈(43)에 대해 평행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 부재(50)는 원상 복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이동 부재(50)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이스(40)에 고정되어 이동 부재(50)를 일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59)를 포함한다. 가압부재(59)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50)의 전면에는 후크(60)와 경사 돌기(51)가 마련된다. 후크(60)는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2개의 후크(60)가 일 직선상으로 이동 부재(5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후크(60)는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에 삽입되는 머리부(62)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 걸리는 코(61)를 포함한다. 후크(60)의 코(61)는 후크(60) 몸체에서 일정 높이(C)로 돌출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후크(60)는 후크 코(61)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후크(60)의 코(61)의 높이(C)는 후크(60)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 사이의 걸림 거리(C)가 된다. 후크(60)의 머리부(62)는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에 형성된 밀림 돌기(14)와 간섭되어 밀림 돌기(14)를 상측으로 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삽입 홈(12)의 밀림 돌기(14)와 접촉하는 후크(60)의 머리부(62)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크(60)의 머리부(62)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 돌기(51)는 분리 버튼(70)의 수직 이동을 수평 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이동 부재(50)의 2개의 후크(60) 사이의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경사 돌기(51)는 2개의 후크(60)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35)와 간섭되지 않도록 2개의 후크(60)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경사 돌기(51)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리 버튼(70)의 수직 이동을 이동 부재(50)의 수평 이동으로 안정적으로 변환하기 위해 경사 돌기(51)는 2개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 돌기(51)의 경사면(51a)은 분리 버튼(70)의 가압 돌기(73)의 경사면(73a)과 대응되는 경사로 형성된다.
분리 버튼(70)은 태블릿 컴퓨터(10)를 연결 장치(30)에서 분리하기 위해 후크(6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40)의 버튼 구멍(49)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분리 버튼(70)은 베이스(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버튼(70)은 버튼부(71), 가압 돌기(73)를 포함한다. 버튼부(71)는 베이스(40)의 버튼 구멍(49)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버튼부(71)의 일 측면에는 분리 버튼(70)이 베이스(40)의 버튼 구멍(49)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5)가 마련된다. 버튼부(71)의 하면에는 이동 부재(50)의 2개의 경사 돌기(51)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가압 돌기(73)가 형성된다. 가압 돌기(73)는 이동 부재(50)의 경사 돌기(51)의 경사면(51a)과 대응되는 경사면(73a)을 갖는다. 따라서, 분리 버튼(70)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가압 돌기(73)의 경사면(73a)이 이동 부재(50)의 경사 돌기(51)의 경사면(51a)과 접촉하여 이동 부재(50)를 베이스(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가압 돌기(73)의 일 측면에는 분리 버튼(70)이 베이스(40)의 버튼 구멍(49)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5)가 마련된다. 분리 버튼(70)의 가압 돌기(73)가 이동 부재(50)의 경사 돌기(51)를 누르는 경우, 이동 부재(50)는 후크(60)의 머리부(62)가 삽입 홈(12)의 밀림 돌기(14)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분리 버튼(70)의 하면과 베이스(40) 사이에는 탄성부재(79)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71)를 누르면, 탄성부재(79)가 가압되어 분리 버튼(70)이 아래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버튼부(71)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재(79)에 의해 분리 버튼(70)이 원위치하게 된다.
커넥터(35)는 베이스(40)의 장착 홈(43)의 바닥면에 2개의 후크(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커넥터(35)는 태블릿 컴퓨터(10)와 주변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커넥터(35)는 복수 개의 포고 핀(pogo pin)(36)을 구비할 수 있다. 포고 핀(36)은 하부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 일정한 힘으로 포고 핀(36)의 상단을 가압하면 일정 거리 눌리고, 상부의 힘이 제거되면 포고 핀(36)이 상승하여 원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커넥터(35)가 삽입되는 태블릿 컴퓨터(10)의 커넥터 홈의 바닥면에는 커넥터(35)의 복수 개의 포고 핀(36)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접점(16)이 마련된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10)를 베이스(40)의 장착 홈(43)에 삽입하면, 커넥터(35)가 태블릿 컴퓨터(10)의 커넥터 홈(15)에 삽입되어 커넥터(35)의 복수 개의 포고 핀(36)이 커넥터 홈(15)의 복수 개의 접점(16)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10)와 주변 장치(20)의 전기적 연결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고 핀(36)을 포함하는 커넥터(35)를 사용함으로써, 분리 버튼(70)에 의해 후크(60)가 태블릿 컴퓨터(10)의 걸림 턱(13)에서 벗어나면, 태블릿 컴퓨터(10)가 복수 개의 포고 핀(36)에 의해 상측으로 힘을 받으므로 태블릿 컴퓨터(10)의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커넥터(35)에 포고 핀(36)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커넥터(35)는 핀이 탄성 지지되는 포고 핀(36)이 아니라 고정 핀을 사용하는 커넥터(3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35)의 포고 핀(36)이 태블릿 컴퓨터(1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연결 장치(30')에 보조 가압부재(8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장치(30')의 다른 실시 예로서, 2개의 보조 가압부재(80)가 2개의 후크(60) 양측으로 장착 홈(43)의 바닥면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보조 가압부재(80)는 태블릿 컴퓨터(10)가 복수 개의 포고 핀(36)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는 것보다 무거울 경우에도 베이스(40)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결 장치(30')에 설치할 수 있는 보조 가압부재(80,9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보조 가압부재(80)를 나타낸다. 즉, 도 11에 도시된 보조 가압부재(80)는 지지부재(81), 가압 봉(82), 및 가압 봉(82)을 상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83)를 포함한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10)가 연결 장치(30')의 장착 홈(43)에 장착되면, 태블릿 컴퓨터(10)에 의해 가압 봉(82)이 가압된다. 그 후, 분리 버튼(70)에 의해 후크(60)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서 벗어나면, 탄성부재(83)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 봉(82)이 태블릿 컴퓨터(10)를 상 방향으로 밀어내므로, 태블릿 컴퓨터(10)가 연결 장치(30')의 장착 홈(43)에서 쉽게 분리된다.
도 12는 도 11의 가압 봉(82)과 압축 코일 스프링(83) 대신에 판 스프링(92)을 사용하는 경우의 보조 가압부재(90)를 나타낸 것이다. 태블릿 컴퓨터(10)가 연결 장치(30')의 장착 홈(43)에 장착되면, 태블릿 컴퓨터(10)의 일 측면이 판 스프링(92)의 돌출부(93)를 가압하게 되어, 판 스프링(92)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분리 버튼(70)이 눌려 후크(60)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서 벗어나면, 판 스프링(92)의 돌출부(93)가 태블릿 컴퓨터(10)를 상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태블릿 컴퓨터(10)가 쉽게 연결 장치(30')의 장착 홈(4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리형 전자기기(1)의 연결 장치(30)에 태블릿 컴퓨터(10)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분리되어 있는 태블릿 컴퓨터(10)를 키보드 유닛(20)의 연결 장치(3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태블릿 컴퓨터(10)의 일 측면, 즉, 삽입 홈(12)과 커넥터 홈(15)이 형성된 태블릿 컴퓨터(10)의 일 측면을 연결 장치(30)의 장착 홈(43)에 삽입한다. 그러면, 태블릿 컴퓨터(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유닛(20)에 결합된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연결 장치(30)의 후크(60)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10)가 장착 홈(43)에 고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태블릿 컴퓨터(10)의 삽입 홈(12)을 연결 장치(30)의 후크(60)에 일치시키면, 후크(60)가 걸림 턱(13)에 의해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태블릿 컴퓨터(10)의 자중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10)가 아래로 이동하여 후크(60)의 코(61)가 걸림 턱(13)에서 벗어나면, 베이스(40)에 설치된 가압부재(59)에 의해 이동 부재(50)가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60)의 코(61)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10)가 자중과 가압부재(59)의 복원력에 의해 키보드 유닛(20)과 결합된다.
도 9a는 태블릿 컴퓨터(10)의 2개의 삽입 홈(12)과 커넥터 홈(15)에 연결 장치(30)의 2개의 후크(60)와 커넥터(35)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연결 장치(30)의 후크(60)의 코(61)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 걸리면, 태블릿 컴퓨터(10)는 키보드 유닛(20)에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고, 커넥터(35)를 통해 태블릿 컴퓨터(10)와 키보드 유닛(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키보드 유닛(20)의 연결 장치(30)에 결합된 태블릿 컴퓨터(10)를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분리 버튼(70)이 눌리기 전의 분리 버튼(70), 이동 부재(50), 후크(60)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분리 버튼(70)이 눌린 경우에 분리 버튼(70), 이동 부재(50), 후크(60)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분리 버튼(70), 후크(60) 및 이동부재(50)의 이동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그 주위에 있는 베이스(40)는 필요한 부분만 가상선으로 나타냈다.
도 2와 같이 태블릿 컴퓨터(10)가 키보드 유닛(20)의 연결 장치(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분리 버튼(70)은 도 6a와 같이 베이스(40)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태블릿 컴퓨터(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 버튼(70)을 가압한다. 사용자가 분리 버튼(70)을 누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71)가 아래로 이동하므로, 버튼부(71)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 돌기(73)가 아래로 이동하여 이동 부재(50)의 경사 돌기(51)를 가압하게 된다.
분리 버튼(70)의 가압 돌기(73)가 이동 부재(50)의 경사 돌기(51)를 가압하면, 이동 부재(50)는 분리 버튼(70)의 이동방향(화살표 Y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화살표 X 방향), 즉 베이스(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부재(50)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부재(50)의 전면에 형성된 후크(60)도 X방향으로 이동한다. 후크(60)가 X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0)의 코(61)가 삽입 홈(12)의 걸림 턱(13)에서 벗어나고, 후크(60)의 머리부(62)는 삽입 홈(12)의 밀림 돌기(14)에 접촉하여 밀림 돌기(14)를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35)의 복수 개의 포고 핀(36)도 태블릿 컴퓨터(10)를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도 9b는 분리 버튼(70)에 의해 후크(60)가 이동하였을 때, 후크(60)와 커넥터(35)의 포고 핀(36)에 의해 태블릿 컴퓨터(10)가 상측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태블릿 컴퓨터(10)를 키보드 유닛(20)의 연결 장치(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태블릿 컴퓨터의 주변장치로서 키보드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주변장치로는 태블릿 컴퓨터를 바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세울 수 있는 스탠드나 태블릿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유닛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탠드나 보조 배터리 유닛에 설치된 연결 장치에 태블릿 컴퓨터를 결합하는 구조는 태블릿 컴퓨터를 키보드 유닛의 연결 장치에 결합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분리형 전자기기 10; 태블릿 컴퓨터
11; 터치 스트린 12; 삽입 홈
13; 걸림 턱 14; 밀림 돌기
15; 커넥터 홈 20; 키보드 유닛
30; 연결 장치 32; 회전축
35; 커넥터 40; 베이스
41; 상부 베이스 42; 하부 베이스
43; 장착 홈 50; 이동 부재
51; 경사 돌기 60; 후크
61; 후크 코 62; 후크 머리부
70; 분리 버튼 71; 버튼부
73; 가압 돌기 79; 탄성부재
89,90; 보조 가압부재
11; 터치 스트린 12; 삽입 홈
13; 걸림 턱 14; 밀림 돌기
15; 커넥터 홈 20; 키보드 유닛
30; 연결 장치 32; 회전축
35; 커넥터 40; 베이스
41; 상부 베이스 42; 하부 베이스
43; 장착 홈 50; 이동 부재
51; 경사 돌기 60; 후크
61; 후크 코 62; 후크 머리부
70; 분리 버튼 71; 버튼부
73; 가압 돌기 79; 탄성부재
89,90; 보조 가압부재
Claims (19)
-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착 홈;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상기 장착 홈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에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홈;
상기 삽입 홈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 턱;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 상기 걸림 턱과 반대쪽에 설치된 밀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돌기와 상기 후크의 머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크의 걸림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 턱 사이의 걸림 길이 이상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가 상기 밀림 돌기를 상측 방향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 돌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 돌기를 가압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분리 버튼; 및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을 누르면, 상기 분리 버튼의 가압 돌기가 상기 이동 부재의 경사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밀림 돌기를 윗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후크를 둘러싸는 보호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변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주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 개의 포고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보조 가압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는 키보드, 스탠드, 보조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자기기. - 주변장치와 태블릿 컴퓨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로서,
상기 주변장치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태블릿 컴퓨터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착 홈;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의 아래에 상기 장착 홈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 홈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장착 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일단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 돌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사 돌기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분리 버튼; 및
상기 분리 버튼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이 눌리면, 상기 분리 버튼의 가압 돌기가 상기 이동 부재의 경사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받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상기 분리 버튼이 설치되는 버튼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후크를 둘러싸는 보호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와 상기 주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 개의 포고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074,856 US20140133080A1 (en) | 2012-11-15 | 2013-11-08 |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726811P | 2012-11-15 | 2012-11-15 | |
US61/726,811 | 2012-11-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345A true KR20140063345A (ko) | 2014-05-27 |
Family
ID=5089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884A KR20140063345A (ko) | 2012-11-15 | 2012-11-23 |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334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0226A (ko) * | 2015-08-13 | 2017-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결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2
- 2012-11-23 KR KR1020120133884A patent/KR201400633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0226A (ko) * | 2015-08-13 | 2017-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결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133080A1 (en) |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 |
KR102177757B1 (ko) |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 |
US9304548B2 (en) | Docking station of electronic device | |
TWI514692B (zh) | 電源插座 | |
US8807618B2 (en) | Connecting device for multifunctional box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US9687735B2 (en) | Handheld game controller assembly adapted to combine with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20100035450A1 (en) |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product | |
US951367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extension unit for electronic device | |
US20200014002A1 (en) |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
US9575511B2 (en) | Docking unit | |
CN101458544B (zh) | 数据存储设备锁固及推出装置 | |
JP2013030164A (ja) | 電子装置 | |
TWI635659B (zh) | 卡托、插接裝置和終端 | |
KR20140063345A (ko) |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 |
KR101308506B1 (ko) |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 |
CN106684633B (zh) | 电源适配器 | |
CN208459949U (zh) | 一种抽拉式硬盘托盘机构 | |
CN215528648U (zh) | 一种充电装置及充电组件 | |
CN211182748U (zh) | 可替换式插头结构 | |
US20110177705A1 (en) | Plug-type connector | |
JPH03273323A (ja) |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 |
JP3169098U (ja) |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 |
WO2020024124A1 (zh) | 插座结构 | |
US8246364B2 (en) | Power strip with safety cover | |
JP5718307B2 (ja) | 着脱機構およびクレードル、並びに電子機器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