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547A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547A
KR20140062547A KR1020120127513A KR20120127513A KR20140062547A KR 20140062547 A KR20140062547 A KR 20140062547A KR 1020120127513 A KR1020120127513 A KR 1020120127513A KR 20120127513 A KR20120127513 A KR 20120127513A KR 20140062547 A KR20140062547 A KR 2014006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text
docu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Priority to KR102012012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547A/ko
Publication of KR2014006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으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일에 포함된 리소스 종류를 고려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된 전자문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리소스를 체계적으로 분류함 없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전자문서를 구해서 파일을 해체하고 작업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자가 체계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수정, 제작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이 절약되어 편리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기호에 맞게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문서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of modifying, making and administrating electronic documents using database}
본 발명은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UB3는 HTML5, CSS, SVG, Images 그리고 여러 리소스들이 혼합된 배포가능한 하나의 파일이다. EPUB는 전자책 기술로 EPUB2.0은 출판물을 텍스트와 이미지로 표현하는 수준이었으나 EPUB3(11년 10월 개시)은 html5와 css3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자책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html5는 오픈 규격으로서, 현재 이미 아이폰 등과 같은 스마트폰 제작 기반이 되고 있다.
EPUB3의 주요 기능은 1)어학교재와 관련 음성, 영상출력 및 텍스트 싱크, 발음기호표시하는 ruby기능이 있고, 2)동영상 강좌와 관련 Video 기능이 있으며, 3)만화, 포토책과 관련 슬라이딩, 줌인줌아웃기능이 있다.
EPUB3는 html5를 통하여 1)문자, 이미지와 같은 정적 컨텐츠를 클릭시 바로 실행가능한 영상과 같은 동적컨텐츠로 변환이 가능하고 2) CSS3 (cascading style sheet)를 이용하여 여백, 배경조정 등 좀 더 세련된 e-book 디자인 구사가 가능하다. 또한 3) Ruby (폰트의 포지션을 지정해서 상단, 하단, 우측 등 루비 위치 정의), Multi Column (다단 편집) 및 에니메이션 효과(색상변화, 움직임)등과 같은 다양한 편집이 가능하다.
EPUB3의 특성은 zip 파일처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의 리소스를 하나의 파일로 압축한 것에 있다.
그런데 종래 발명은 전자문서(EPUB3)를 작성한 것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만의 고유한 전자문서를 제작하고 싶어도 전자문서 파일을 개별적으로 구해서 제작해야 하고 시스템상으로 전자문서를 제작, 수정 관리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EPUB3파일을 해체하여 개별적으로 작업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문서 제작시 리소스 등을 구하느라고 시간을 많이 소모하고 다시 리소스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해야만 하는 점에서, 종래 발명은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 효율이 낮아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전자문서를 제작할 수 있는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또는 상기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일에 포함된 리소스 종류를 고려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된 전자문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리소스를 체계적으로 분류함 없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전자문서를 구해서 파일을 해체하고 작업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자가 체계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수정, 제작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이 절약되어 편리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기호에 맞게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문서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와 데이터베이스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과 데이터베이스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데이터베이스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전자문서에 포함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 데이터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 및/또는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USB 메모리 및 SD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수신한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를 입력으로 획득하고 스마트폰과 제어부(11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된 EPUB3 전자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자문서를 메타데이터, 문서 및 리소스로 분류하고 메타데이터를 EPUB Publication 및 Configuration으로 나누고 문서를 SVG, XHTML 및 CSS로 나누며 리소스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로 나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EPUB3 파일을 해체하여 리소스를 분류시 파일의 확장자가 avi, mpeg, mp4, wmv, asf, asx이면 동영상으로 판단하고, 확장자가 jpg, gif, tif, bmp, png, pct, pcx이면 이미지로 판단하며, 확장자가 txt, doc, hwp, docx, xls, ppt이면 텍스트로 판단하고, 확장자가 avi, mid, mp3, ra, wav, wma, asf이면 음향 파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각각의 데이터는 고유의 ID를 갖고 중복된 경우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S21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EPUB3 파일을 해체해서, 동영상, 이미지 등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전자문서를 메타데이터, 문서 및 리소스로 분류한다(S220).
이어, 메타데이터 등을 세부 데이터로 분류한다(S230). 구체적으로 메타데이터를 EPUB Publication 및 Configuration으로 나누고 문서를 SVG, XHTML 및 CSS로 나누며 리소스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로 나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파일 확장자를 기준으로 리소스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로 나눈다.
계속하여, 분류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240). 구체적으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각각의 데이터는 고유의 ID를 갖고 중복시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한다.
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S250).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각각의 EPUB3문서는 해당하는 DATA의 ID를 갖고 있으며, EPUB3 파일 생성시 실제 DATA들을 묶어서 압축하여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PUB3는 A, B, C의 리소스를 갖고 있는데 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템플릿, 텍스트)와 병합하여 A1, B, C, C2, D등의 리소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EPUB3문서를 생성한다.
- Case 1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문서와 데이터베이스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라는 EPUB3문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과 이미지를 추가하여 새로운 EPUB3문서 A1을 생성한다.
- Case 2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EPUB3 문서를 제작하고 싶지만 내용, 이미지, 동영상, 음향 등의 리소스가 하나도 없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텍스트, 리소스 등을 바탕으로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EPUB3 문서 D를 생성할 수 있다.
- Case 3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과 데이터베이스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작성한 글 및/또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EPUB3 문서를 제작하고 싶은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작성한 글 및/또는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과 리소스를 병합하여 새로운 EPUB3 문서 E를 생성할 수 있다.
- 메타 데이터(Meta data) -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로 어떤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시, 디지털 카메라 자체의 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쉬 사용 여부, 해상도 및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메타 데이터라고 하며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하면 후에 사진을 정리하거나 가공할 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SVG, XHTML 및 CSS -
1)SVG(Scalable Vector Graphics)는 2차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기반의 파일 형식이다. SVG 형식의 이미지와 그 작동은 XML 텍스트 파일들로 정의되어 검색화·목록화·스크립트화가 가능하며 압축도 가능하다.
2)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은 HTML과 동등한 표현 능력을 지닌 마크업 언어로, HTML보다 엄격한 문법을 가진다. HTML과 달리 매우 유연한 마크업 언어인 XHTML은 SGML의 제한된 부분집합인 XML의 응용이다. 따라서, XHTML 문서는 하나의 XML 문서로서 문법적으로 정확해야 하기 때문에, HTML과 달리 표준 XM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자동화된 처리가 가능하다
3)CSS(Cascading Style Sheet)는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로, HTML과 XHTML에 주로 쓰이고, XML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할 때의 자유도가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일에 포함된 리소스 종류를 고려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된 전자문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리소스를 체계적으로 분류함 없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전자문서를 구해서 파일을 해체하고 작업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자가 체계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수정, 제작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이 절약되어 편리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기호에 맞게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문서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110 : 제어부
12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0)

  1. 사용자 입력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또는 상기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USB 메모리 및 SD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수신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각각의 데이터는 고유의 ID를 갖고 중복된 경우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문서를 메타데이터, 문서 및 리소스로 분류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EPUB Publication 및 Configuration으로 나누고 상기 문서를 SVG, XHTML 및 CSS로 나누며 상기 리소스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로 나누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병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6.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를 메타데이터, 문서 및 리소스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EPUB Publication 및 Configuration으로 나누고 상기 문서를 SVG, XHTML 및 CSS로 나누며 상기 리소스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로 나누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바탕으로 템플릿과 텍스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되 각각의 데이터는 고유의 ID를 갖고 중복된 경우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생성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음향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
    인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방법.
KR1020120127513A 2012-11-12 2012-11-1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62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13A KR20140062547A (ko) 2012-11-12 2012-11-1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13A KR20140062547A (ko) 2012-11-12 2012-11-1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547A true KR20140062547A (ko) 2014-05-26

Family

ID=5089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13A KR20140062547A (ko) 2012-11-12 2012-11-1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5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360A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윌드림 스타일시트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펍 애니메이션의 실시간 생성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펍 애니메이션 생성 및 재생 시스템
KR20180041307A (ko) * 2016-10-14 2018-04-24 이엔유 주식회사 에스브이지파일 포맷을 이용한 템플릿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833A (ko) * 2016-12-06 2018-06-15 유비스톰 주식회사 웹 브라우저 독립적인 전자문서 제공장치
KR20180067880A (ko) * 2016-12-13 2018-06-21 유비스톰 주식회사 웹 페이지의 분할 전송 제어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360A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윌드림 스타일시트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펍 애니메이션의 실시간 생성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펍 애니메이션 생성 및 재생 시스템
KR20180041307A (ko) * 2016-10-14 2018-04-24 이엔유 주식회사 에스브이지파일 포맷을 이용한 템플릿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833A (ko) * 2016-12-06 2018-06-15 유비스톰 주식회사 웹 브라우저 독립적인 전자문서 제공장치
KR20180067880A (ko) * 2016-12-13 2018-06-21 유비스톰 주식회사 웹 페이지의 분할 전송 제어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2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tation and conn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CN108073680B (zh) 生成具有提炼内容的演示幻灯片
US10380227B2 (en) Generating layout for content presentation structures
US9098505B2 (en) Framework for media presentation playback
US8719029B2 (en) File format, server, viewer device for digital comic, digital comic generation device
US9710944B2 (en) Electronic document thinning
US10534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US20150046797A1 (en) Document format processing apparatus and document format processing method
US20170098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text into animated video
US98807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previews of content items for electronic works
US8819545B2 (en) Digital comic editor,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40344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ontrol of Zoom Adjustments in an Electronic Publication
WO20181020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layout to documents
TW201426361A (zh) 電子閱讀器之平面書籍至豐富書籍轉換
TWI571757B (zh) 網頁編輯系統及方法與內儲網頁編輯程式之電腦程式產品
KR20140062547A (ko)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자문서 수정, 제작 및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09186B1 (ko)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전자책 저작 장치 및 방법
US10606940B2 (en) Annotation sharing method, annotation shar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arrow et al. Generating narratives from personal digital data: using sentiment, themes, and named entities to construct stories
Rathnavibushana et al. Cross-platform annotation development for real-time collaborative learning
US20230315972A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media clips based on contextual metadata from digital environments
Weibel A publishing infrastructure for interactive paper documents: Supporting interactions across the paper-digital divide
Warner Enhancing Visual Media Through Reflection and Recomposition
Brunelle Lab II–Prototype Product Specification Green Team Robert O’Donnell Old Dominion University CS411W
CN117980896A (zh) 沉浸式界面的自动生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