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354A -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354A
KR20140062354A KR1020120129020A KR20120129020A KR20140062354A KR 20140062354 A KR20140062354 A KR 20140062354A KR 1020120129020 A KR1020120129020 A KR 1020120129020A KR 20120129020 A KR20120129020 A KR 20120129020A KR 20140062354 A KR20140062354 A KR 2014006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gital device
user
command signal
h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889B1 (ko
Inventor
오강욱
Original Assignee
오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욱 filed Critical 오강욱
Priority to KR102012012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8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사용자가 바닥을 두드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장치로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이 감지되면, 소정의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에 의해 생성되어 바닥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Digital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바닥을 두드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와 인터렉션(interaction)을 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은 다양하며, 그 장치의 목적이나 수행하는 기능, 형태에 따라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도 매우 상이하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기, 특히 휴대성이 강조되는 모바일 기기들에서는 가능한 한 기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불필요한 버튼을 없애고 터치스크린을 입력 수단으로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이 화면을 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버튼식 입력과는 달리 유효한 터치로 인정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경계가 없어 조작감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기기를 사용할 때 느끼게 되는 재미와 밀접하게 관계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다소 밋밋한 조작감으로 인해 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바닥을 두드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디지털 기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조작감이나 액션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장치로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이 감지되면, 소정의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에 의해 생성되어 바닥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되는 상기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타이밍마다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을 타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디지털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격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명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이나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및 제4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상기 제3센서 및 제4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 또는 상기 제3방향과 반대방향인 제4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4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4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장치는,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휴대형 미디어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이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장치가, 소정의 명령신호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싱기 디지털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디지털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장치가 소정의 명령신호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격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을 두드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디지털 기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조작감이나 액션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바닥면에 놓여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두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세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네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와 그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센서모듈(110), 제어모듈(120) 및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구현 예로는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ata Assitant), 노트북,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예를 들면, MP3 플레이어,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등),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기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외부 디지털 장치에 유/무선이나 커넥터로 연결되며 연결된 외부 디지털 장치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예를 들면, 리모컨, 유/무선 컨트롤러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모듈(110), 제어모듈(12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모듈(110), 제어모듈(12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13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센서모듈(11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130)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는 예를 들면, CPU 또는 (모바일)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연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터치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바닥면에 놓여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예를 들면, 책상이나 식탁, 테이블 등의 바닥면(200)에 놓여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놓인 바닥면(200)에 충격을 가하여 소정의 명령을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 주변의 A지점(p1)이나 B지점(p2)을 두드려 소정의 명령을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센서모듈(1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110)은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모듈(110)은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에 의해 생성되어 바닥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진동이나 충격, 가속도와 같은 물리량을 감지하여 측정한 값에 상응하는 전기적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센서는 압전형/관성식/자이로식/실리콘반도체식 가속도 센서일 수 있고, 비접촉식 변위 센서 혹은 속도식 센서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모듈(110)은 구현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10)이 사용자가 가한 타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소정의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신호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렸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거나,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키 조합에 상응하는 신호에 대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놓인 바닥면을 두드림으로써 키입력이나 마우스 입력 혹은 터치입력을 대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20)이 생성하는 명령 신호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구비한 별도의 입력장치와는 무관한 새로운 신호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바닥면 두드림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별도의 독립적인 입력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의 위치 혹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좌측에 있는 경우에는 제1명령신호를 생성하고,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우측에 있는 경우에는 제2 명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타격점의 위치를 상기 디지털 장치의 위/아래/좌/우로 구분하여 그에 상응하는 네 종류의 명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이 진동이 발생한 위치 혹은 방향, 즉,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의 위치 혹은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두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세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네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사용자가 두드린 바닥면의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좌측)에 있는지 혹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즉, 우측)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모듈(110)은 제1센서(111) 및 제2센서(1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11)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좌측(제1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112)는 상기 제1센서(111)에서 제2방향(즉, 우측)에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제1센서(111)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좌측 부분에, 상기 제2센서(112)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우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 및 상기 제2센서(112)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타격점의 위치가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타격점이 제1 방향에 있는 A 지점(p1)이라면, 상기 제1센서(111)가 상기 제2센서(112)보다 타격점(p1)에 가까우므로 사용자의 타격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이 제1 센서(111)에 더 크게 전달될 것이다. 반대로, 타격점이 제2 방향에 있는 B 지점(p2)이라면, 상기 제2센서(112)가 상기 제1센서(111)보다 타격점(p2)에 가까우므로 사용자의 타격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이 제2 센서(112)에 더 크게 전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의 출력 값이 상기 제2센서(112)의 출력 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1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112)의 출력 값이 상기 제1센서(111)의 출력 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2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방향에 상응하는 제1명령신호(예를 들면, 좌측 버튼이 눌렸을 때 발생하는 신호) 혹은 상기 제2방향에 상응하는 제2명령신호(예를 들면, 우측 버튼이 눌렸을 때 발생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사용자가 두드린 바닥면의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좌측)에 있는지 혹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즉, 우측)에 있는지 아니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즉, 위쪽 혹은 아래쪽)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모듈(110)은 제1센서(111), 제2센서(112) 및 제3센서(1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11)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좌측(제1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112)는 상기 제1센서(111)에서 제2방향(즉, 우측)에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센서(113)는 상기 제1센서(111) 및 상기 제2센서(112)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 상기 제2센서(112) 및 상기 제3센서(113)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타격점의 위치가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만약, 타격점이 제3 방향에 있는 C 지점(p3)이라면, 상기 제3센서(113)가 상기 제1 센서(111) 및 제2센서(112)보다 타격점(p3)에 가까우므로 사용자의 타격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은 제3 센서(113)에 가장 크게 전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1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112)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2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센서(113)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3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사용자가 두드린 바닥면의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좌측상단)에 있는지 혹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즉, 우측하단)에 있는지 아니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좌측하단)에 있는지 혹은 상기 제3방향과 반대방향인 제4방향(즉, 우측상단)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모듈(110)은 제1센서(111), 제2센서(112), 제3센서(113) 및 제4센서(11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11)는 상기 디지털 장치(100)의 좌측상단(제1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112)는 상기 제1센서(111)에서 제2방향으로 떨어져 우측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센서(113)는 상기 제1센서(111) 및 상기 제2센서(112)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좌측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센서(114)는 상기 제1센서(111) 및 상기 제2센서(112)에서 상기 제4방향으로 떨어져 우측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 상기 제2센서(112), 상기 제3센서(113) 및 상기 제4센서(114)의 출력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타격점의 위치가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만약, 타격점이 제4 방향에 있는 D 지점(p4)이라면, 상기 제4센서(114)가 상기 제1 센서(111), 제2센서(112) 및 상기 제3센서(113) 보다 타격점(p4)에 가까우므로 사용자의 타격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은 제4 센서(114)에 가장 크게 전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센서(111)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1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112)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2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센서(113)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3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센서(114)의 출력 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이 제4방향에 있는 바닥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생성한 명령 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벤트 핸들링 기법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모듈(120)이 생성한 명령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1인칭 게임(FPS: First Person Shooting)인 경우에는 무기의 '변경' 혹은 '재장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력 방법은 일정한 타이밍에 맞추어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모듈(120)에서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타이밍마다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놓인 바닥면을 타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는데, 도 6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리듬 액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를 가지는 진동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듬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다수의 버튼이 노트 화면(1100)에서 흘러내려오고, 사용자는 흘러내려오는 각 버튼이 지시자(1200)와 매치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각 버튼에 상응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Figure pat00001
버튼이 지시자(1200)와 일치하는 순간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즉, 좌측상단)의 지점(예를 들면, A지점(p1))을 두드려야 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02
버튼이 지시자(1200)와 일치하는 순간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4방향(즉, 우측상단)의 지점(예를 들면, D지점(p4))을 두드려야 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03
버튼이 지시자(1200)와 일치하는 순간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3방향(즉, 좌측하단)의 지점(예를 들면, C지점(p3))을 두드려야 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04
버튼이 지시자(1200)와 일치하는 순간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2방향(즉, 우측하단)의 지점(예를 들면, B지점(p2))을 두드려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 터치로 인해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보다 흥미로운 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생성한 명령신호를 소정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에 의해 소정의 외부 디지털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IR(Infrared) 통신, 기타 범용/특수용 무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외부 디지털 장치와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USB, 선더볼트, IEEE 1394, 이더넷, 기타 기타 범용/특수용 무선 프로토콜에 의한 유선통신방식으로 외부 디지털 장치와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명령 신호뿐만 아니라 비디오/오디오신호 및/또는 전원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은 무선방식을 통해, 외부 디지털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디지털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를 가지는 진동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바닥면의 타격점의 위치에 상응하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300)는 수신한 명령 신호를 자신이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100)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경우(S100),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1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그러면,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상기 타격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명령신호를 생성하고(S120),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상기 디지털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S130).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장치(100)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중계 시스템 제공방법 또는 제어 단말 제공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디지털 장치로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이 감지되면, 소정의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에 의해 생성되어 바닥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디지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되는 상기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타이밍마다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을 타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지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디지털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디지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격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이나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디지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디지털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및 제4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상기 제3센서 및 제4센서의 출력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 또는 상기 제3방향과 반대방향인 제4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4센서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제4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제4센서 디지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장치는,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휴대형 미디어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장치가 놓인 바닥면에 가한 타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가한 타격이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장치가, 소정의 명령신호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디지털 장치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싱기 디지털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은,
    생성된 명령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디지털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장치가 소정의 명령신호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 타격점이 상기 디지털 장치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격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상기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지털 장치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재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29020A 2012-11-14 2012-11-14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52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20A KR101521889B1 (ko) 2012-11-14 2012-11-14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20A KR101521889B1 (ko) 2012-11-14 2012-11-14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54A true KR20140062354A (ko) 2014-05-23
KR101521889B1 KR101521889B1 (ko) 2015-05-21

Family

ID=508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20A KR101521889B1 (ko) 2012-11-14 2012-11-14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167A (ko) * 2014-08-08 2016-02-17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매트 및 유아용 매트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8611A (ja) * 2003-06-27 2005-01-20 Yamatake Corp コマンド入力装置及びコマンド入力方法
JP4671055B2 (ja) * 2007-11-26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US8477463B2 (en) * 2008-10-02 2013-07-02 Lsi Corporation Vibration based user input for mobi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167A (ko) * 2014-08-08 2016-02-17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매트 및 유아용 매트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889B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mmeson et al. An energy harvesting wearable ring platform for gestureinput on surfaces
US1098360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nput
KR100853605B1 (ko) 핸드헬드 장치에서의 경사 및 평행 이동 운동 성분들의구별
CN104798012B (zh) 提供语音识别服务的便携式装置和方法
US10168775B2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JP6171016B2 (ja) 磁場センサを用いて使用者入力を判断する電気装置
CN100520689C (zh) 输入设备及输入方法
CN103109462A (zh) 可佩戴式动作感测计算接口
CN101048725A (zh) 用于向电子设备敲击输入的装置、方法以及可附连敲击模板
CN101859223A (zh) 信息处理设备、通知方法和程序
CN102687100A (zh) 用于提供力敏感输入的用户接口方法和系统
US20060125789A1 (en) Contactless input device
JP2017507412A (ja) デバイスにユーザ入力を供給するための技法
US20120127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defined macros
CN104123072B (zh) 一种用于提供移动设备中的虚拟键盘的方法和设备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522954A (ja) 装置に対する電力を節約する機器及び方法
EP2752831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7272892A (zh) 一种虚拟触控系统、方法及装置
KR101521889B1 (ko)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KR100998404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감성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JP6891891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10074017A (ko)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