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080A -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080A
KR20140061080A KR1020120128242A KR20120128242A KR20140061080A KR 20140061080 A KR20140061080 A KR 20140061080A KR 1020120128242 A KR1020120128242 A KR 1020120128242A KR 20120128242 A KR20120128242 A KR 20120128242A KR 20140061080 A KR20140061080 A KR 2014006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an
vehicle control
module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래
김병준
김장훈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2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080A/ko
Publication of KR2014006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차량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고,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 상기 개인 휴대 단말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제1 무선랜 모듈, 상기 제1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수신하는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에 전달하는 오비디(OBD, ON-board Diagonsis)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USING WIRELESS LAN AP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발명은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차량에서 OBD(ON-board Diagonsis)를 통해 차량 정보를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선 케이블을 사용하여 외부의 제어 장치와 차량을 연결하여야 한다.
최근,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하여 OBD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해주는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기기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페어링 과정을 거쳐야 하고 IP주소를 할당할 수 없으므로, 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고,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 상기 개인 휴대 단말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제1 무선랜 모듈, 상기 제1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수신하는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에 전달하는 오비디(OBD, ON-board Diagonsis)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무선랜 모듈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제1 무선랜 모듈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동작하는 차량 내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무선랜 모듈과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제2 무선랜 모듈,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랜 접속을 제어하는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부,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통신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하는 주소 할당 모듈,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블록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 간에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랜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로부터 접속 암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암호가 기 저장된 접속 암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고,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이 차량 내부 장치들과 연결된 무선랜 모듈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내부 장치 간의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랜 모듈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이 정당한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접속 암호와 기 저장된 접속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일치하면,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접속을 불허하는 응답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내부 장치는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웍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AP 기능을 통해 차량내부 장치가 IP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으므로, IP 기반의 다양한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내부 장치와 네트워크로 직접 연결된 개인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개인휴대 단말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서 실행되는 차량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랜 AP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은 크게 차량 제어 장치(100) 및 개인휴대 단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무선랜 모듈(101),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Microprosser)(103), OBD(ON-board Diagonsis) 커넥터(105),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107), 복수의 차량 내부 장치(109)를 포함한다.
제1 무선랜 모듈(101)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 무선랜 모듈(101)은 개인 휴대 단말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한다.
제1 무선랜 모듈(101)은 개인 휴대 단말의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암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접속 암호를 이용하여 무선랜 접속을 시도한다.
제1 무선랜 모듈(101)은 개인 휴대 단말(200)의 무선랜 AP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것이 감지되면, 저장된 접속 암호를 사용하여 무선랜 AP부(203)에 접속한다. 접속이 완료되면 DH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는 제1 무선랜 모듈(101)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200)에 접속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개인 휴대 단말(200)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 받고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개인 휴대 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무선랜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는 이러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미도시)과 할당받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연결하고 차량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OBD 커넥터(105)는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ECU)(107)들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와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3)가 수신하는 차량 제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ECU)(107)들에 전달한다.
OBD 커넥터(105)는 전자 제어 유닛(ECU)(107)에 연결 설치되어 전자 제어 유닛(ECU)(107)로부터 전달되는 자동차의 부품의 동작정보를 직렬통신한다.
전자 제어 유닛(ECU)(107)은 차량에 설치된 부품을 제어함과 아울러 차량의 부품의 동작을 센싱한다.
복수의 차량 내부 장치(109)는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구현되는 차량 제어 장치로서, 예를들어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차량에 장착된 AVN(Audio Video Navition)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부 장치(109)는 제1 무선랜 모듈(101)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200)에 접속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복수의 차량 내부 장치(109)는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개인 휴대 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무선랜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동작한다.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미도시)과 할당받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연결하고 차량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개인휴대 단말(200)은 제2 무선랜 모듈(201), 무선랜 AP(Access Point)부(203) 및 이동통신 모듈(205)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인휴대 단말(200)은 스마트폰 또는 에그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스마트폰 및 에그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뿐 만 아니라, 무선랜 AP 기능이 탑재되어 차량 내부 장치들에게 네트웍 접속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제2 무선랜 모듈(201)은 제1 무선랜 모듈(101)과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무선랜 AP부(203)는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랜 접속을 제어한다.
무선랜 AP부(203)는 개인 휴대 단말(200)이 차량용 거치대에 연결될 경우,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인식하여 무선랜 AP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05)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차량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무선랜 모듈(201)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 무선랜 모듈(201)이 전달하는 차량 제어 요청 정보를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랜 AP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랜 AP부(203)는 인증 모듈(203-1), 주소 할당 모듈(203-3) 및 무선랜 처리 모듈(203-5)을 포함한다.
인증 모듈(203-1)은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모듈(203-1)은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로부터 접속 암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접속 암호가 기 저장된 접속 암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접속을 허용한다. 반면, 일치하지 않으면,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주소 할당 모듈(203-3)은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통신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한다.
여기서, 주소 할당 모듈(203-3)은 DHCP 서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DHCP 서버 기능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내부 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IP 어드레스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무선랜 처리 모듈(203-5)은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블록이다.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개인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미도시)과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101) 간에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무선랜 모듈(101)은 접속 암호를 저장하고 있다(S101). 제1 무선랜 모듈(101)은 무선랜 AP부(203)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즉 무선랜 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된다(S103). 그리고 기 저장된 접속 암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을 제2 무선랜 모듈(201)로 전송한다(S105).
제2 무선랜 모듈(201)은 접속 요청을 무선랜 AP부(203)로 전달한다(S107).
무선랜 AP부(203)는 S107 단계에서 수신된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접속 암호가 기 저장된 접속 암호와 비교(S109)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11).
일치하지 않으면, 무선랜 AP부(203)는 접속 불허를 결정하고, 접속 불허가 포함된 접속 응답을 제2 무선랜 모듈(201)을 통해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전송한다(S113, S115).
일치하면, 무선랜 AP부(203)는 접속 허용을 결정하고, 접속 허용이 포함된 접속 응답을 제2 무선랜 모듈(201)을 통해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전송한다(S117, S119).
그리고 무선랜 AP부(203)는 IP 주소를 할당(S119)하여 제1 무선랜 모듈(101)에게 전송한다(S121).
다음, 제1 무선랜 모듈(101)과 무선랜 AP부(203)는 S119 단계에서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무선랜 연결이 설정된다(S123).
이후, 이처럼 설정된 무선랜 연결을 통해 제1 무선랜 모듈(101)과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03) 또는 차량 내부 장치(109)는 이동통신망(미도시)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미도시) 또는 개인 휴대 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이동통신망에 접속되고,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
    상기 개인 휴대 단말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제1 무선랜 모듈,
    상기 제1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수신하는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제어 유닛들에 전달하는 오비디(OBD, ON-board Diagonsis) 커넥터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랜 모듈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제1 무선랜 모듈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여 동작하는 차량 내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무선랜 모듈과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제2 무선랜 모듈,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무선랜 접속을 제어하는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부,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통신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하는 주소 할당 모듈,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에게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블록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 간에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랜 모듈로부터 접속 암호가 포함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암호가 기 저장된 접속 암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접속을 허용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6. 이동통신망에 접속되고, 무선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이 차량 내부 장치들과 연결된 무선랜 모듈과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차량 제어 서버 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내부 장치 간의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무선랜 모듈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이 정당한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접속 암호와 기 저장된 접속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일치하면, 접속을 허용하는 응답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접속을 불허하는 응답을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랜 모듈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20128242A 2012-11-13 2012-11-13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42A KR20140061080A (ko) 2012-11-13 2012-11-13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42A KR20140061080A (ko) 2012-11-13 2012-11-13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80A true KR20140061080A (ko) 2014-05-21

Family

ID=5089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42A KR20140061080A (ko) 2012-11-13 2012-11-13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061A (ko) * 2015-12-23 2018-08-2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의 정보 시스템과 모바일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061A (ko) * 2015-12-23 2018-08-2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의 정보 시스템과 모바일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531502B2 (en) 2015-12-23 2020-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n information system of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a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3951A1 (en) Vehicle communication using publish-subscribe messaging protocol
CN107086999B (zh) 无线网络设备的处理方法、无线网络设备及其处理器
KR10206054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US10111025B2 (en)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9635018B2 (en) User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password pro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WO2018120493A1 (zh) 通信连接建立方法、系统、移动终端、车载设备及对应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TWI484843B (zh) 用於一無線通訊系統存取控制之方法及其相關無線通訊系統
CN109257793B (zh) 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6170630A5 (ko)
US9686639B2 (en) Transmission system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ique
JP2019036091A (ja) 車両保安システム及び車両保安方法
TW201924300A (zh) 用於基於上下文的設備位址產生的系統和方法
US10284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NFC to establish a secure connection
US9691193B2 (en) Method for securely authorizing vehicle owners to an in-vehicle telematics feature absent in-car screen
KR20100077914A (ko)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368030A1 (en) Wireless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KR20140061080A (ko) 개인휴대 단말의 무선랜 ap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072235B (zh) 智能设备的联网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8541003B (zh) 一种VoWiFi通话的控制方法和装置
CN108307683B (zh) 通讯方法、微基站、微基站控制器、终端和系统
US20220086048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vpn server,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14040514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09743237B (zh) 一种app的鉴权方法及网关
KR20160009955A (ko)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