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812A -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 Google Patents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812A
KR20140060812A KR1020120127600A KR20120127600A KR20140060812A KR 20140060812 A KR20140060812 A KR 20140060812A KR 1020120127600 A KR1020120127600 A KR 1020120127600A KR 20120127600 A KR20120127600 A KR 20120127600A KR 20140060812 A KR20140060812 A KR 2014006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ge
scan
ra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민성준
김병채
심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2012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0812A/ko
Publication of KR2014006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29Measurement performed on radiation beams, e.g. position or section of the beam; Measuremen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diation
    • G01T1/2914Measuremen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diation
    • G01T1/2985In depth localisation, e.g. using positron emitters; Tomographic imag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ction imaging;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oscopic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캐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X선을 측정대상물에 조사하여 투과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스캐닝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스테이지, 상기 이송스테이지의 이동방향에 의한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이송스테이지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정대상물과 상기 이송스테이지를 투과한 X선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스캔부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인식유닛 및 일측이 상기 이송스테이지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테이지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Scanning Module of X-ray Having Lift Image Sensor}
본 발명은 X선을 조사하여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캐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대상물이 놓여지는 이송스테이지가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캐닝 할 수 있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발된 X선 이미지 스캐닝모듈은 측정대상물이 놓여지는 작업대, 작업대 상부에 배치되어 측정대상물에 X선을 조사하는 조사유닛 및 상기 작업대의 하측에서 조사되는 X선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측정센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X선 이미지 스캔장치는 상기 작업대 상부에 놓여지는 상기 측정대상물에 상기 조사유닛에서 X선을 조사하여 투과되는 X선을 상기 측정센서에서 인식한 후 이미지를 측정한다.
여기서,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사유닛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한번에 방출하여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X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조사유닛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X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조사유닛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X선 투과이미지 스캐닝모듈은 일정크기의 공간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놓여지는 측정대상물의 위치를 직접 옮겨가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캐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조사유닛과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캔부와의 초점 거리조절이 힘들기 때문에 측정되는 이미지의 포커스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정대상물의 크기가 상기 측정센서에 비해서 큰 경우, 상기 작업대 상에서 상기 측정대상물의 위치를 이동시켜가며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캐닝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대상물과 투과된 X선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캔부와의 거리를 조절하며 측정된 이미지의 포커싱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측정대상물이 놓여지는 이송스테이지가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측정대상물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X선을 측정대상물에 조사하여 투과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스캐닝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방향에 의한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지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정대상물과 상기 스테이지를 투과한 X선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스캔부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인식유닛 및 일측이 상기 스테이지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부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 및 상기 랙기어에 주합되는 회전기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수단은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는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는 일부가 상기 X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과부의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방향에 따른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X선을 측정대상물에 조사하여 투과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스캐닝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기 측정대상물과 상기 스테이지를 투과한 X선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스캔부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인식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상기 초점조절부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 및 상기 랙기어에 주합되는 회전기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수단은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는 일부가 상기 X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과부의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X선이 조사되는 경로상에 측정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캔부의 상부에서 측정대상물이 놓여지며 스캔부의 승하강을 통해서 측정되는 이미지의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대상물이 놓여지며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테이지를 구비함으로써, 스캔부의 상부에서 상기 측정대상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이지의 일부를 X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부를 형성함으로써 투과되는 X선의 감쇄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캐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스캐닝모듈에서 초점조절부에 의해 스캔부가 승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구동유닛에 의해서 스테이지가 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5는 도 1의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은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X선을 조사하는 조사유닛이 별도로 구비되며 X선이 조사되는 위치에 상기 스캐닝모듈을 배치하여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장치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테이지(200)가 구비된 스캐닝모듈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캐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은 측정대상물(P)에 조사하여 투과되는 X선을 수신하며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장치로써, 크게 베이스(100), 스테이지(200), 구동유닛(300), 인식유닛(400) 및 조사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300), 상기 스테이지(200) 및 상기 인식유닛(400)과 결합되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가이드(1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사유닛(500)은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00)방향으로 X선(L1)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조사유닛(500)은 일반적인 X선을 조사하는 장치로써,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X선(L1)은 많은 에너지를 모아서 한번에 방출하는 방식을 통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조사가 불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조사유닛(500)은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추가한 구성이다.
상기 스테이지(200)는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ㅖ)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200)는 상기 베이스(10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테이지(200)가 상기 구동유닛(300)을 구비하며,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지(200)는 상면에 측정대상물(P)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스테이지(200)는 일측이 상기 구동유닛(30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테이지(200)는 투과부(210) 및 이동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투과부(210)는 상기 베이스(100)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대상물(P)이 안착되고 상기 조사유닛(500)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측정대상물(P)을 투과한 상기 X선(L1)이 감쇄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투과부(210)는 X선(L1)의 차폐성능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 에서는 탄소섬유를 사용하였다.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송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투과부(210)의 횡 방향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더(22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300)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220)의 타측에는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암(224)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1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암(224)은 상기 이동부(220)가 상기 베이스(100)와 슬라이딩결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과부(210)가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222)와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200)가 왕복으로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유닛(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동유닛(300)은 지지부(320) 및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된 회전스크류(3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지(200)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지지부(320)들의 이격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테이지(200)의 최대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회전스크류(310)는 외주면을 따라서 나사산(3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지지부(320)에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크류(310)는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접촉면이 상기 나사산(3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222)와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더(222)를 이동시킨다.
이와 함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일측에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회전을 자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동방향에 의한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지(200)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며 상기 측정대상물(P) 및 상기 스테이지(200)를 투과한 X선(L1)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스테이지(200)와 함께 이송되는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측정할 때, 측정되는 이미지의 포커스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식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암(224)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지(200)가 수평이동을 하면서 상기 인식유닛(400)의 상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따른 상기 인식유닛(400)의 폭은 상기 슬라이딩 암(224) 및 상기 슬라이더(22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지(200)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식유닛(4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크게 스캔부(410) 및 초점조절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캔부(410)는 상기 측정대상물(P)을 투과한 상기 X선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측정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필터(412) 및 이미지센서(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필터(412)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로 구성되며 상기 조사유닛(500)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측정대상물(P) 및 상기 스테이지(200)를 투과한 상기 X선(L1)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상기 X선(L1)의 세기에 대응하는 발광빔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414)는 상기 발광필터(412)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발광빔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측정대상물(P) 및 상기 스테이지(200)를 투과한 상기 X선(L1)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스캔하게 된다. 본 실시예 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414)는 하부방향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발광필터(412)는 상기 이미지센서(414)의 상부에서 상기 X선(L1)의 조사경로상 배치된다.
상기 초점조절부(420)는 상기 베이스(100)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캔부(410)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캔부(410)의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초점조절부(4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하방향에 따른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100) 및 상기 스캔부(410)와 각각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조절부(42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바디(422), 승하강프레임(424) 및 동작수단(4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422)는 하부가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프레임(424), 동작수단(426) 및 상기 스캔부(41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부방향이 개구되어 상기 스캔부(410)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은 상하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스캔부(410)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422)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캔부(410)의 하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410)와 동시에 승하강 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달리 상기 스캔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수단(426)은 상기 바디(422)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에 접촉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을 승하강 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초점조절부(420)는 상기 바디(422), 상기 승하강프레임(424) 및 상기 동작수단(4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은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작수단(426)은 상기 랙기어에 대응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어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웜기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초점조절부(420)에서 상기 동작수단(426)은 상기 웜기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웜기어와 대응하여 맞물린 상기 랙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의 위치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캔부(410)가 승하강을 하며 상기 스캔부(410)에서 측정되는 상기 X선(L1)의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초점조절부(420)는 상술한 구성과 달리 단일한 별도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캔부(410)의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X선 스캐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베이스(100)의 상면에 상기 인식유닛(400)이 구비되고 상기 인식유닛(400)의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300)이 구비되며 일부가 상기 인식유닛(400)의 상부를 통과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스테이지(20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200)는 일측이 상기 구동유닛(300)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X선 스캐닝모듈은 상부에 구비된 상기 조사유닛(500)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20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측정대상물(P)에 상기 X선(L1)을 조사한다. 상기 X선(L1)은 상기 측정대상물(P)을 투과한 후 상기 스테이지(200)를 투과한다. 상기 측정대상물(P)과 상기 스테이지(200)를 투과한 상기 X선(L1)은 상기 인식유닛(400)에서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스캔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200)는 상기 X선(L1)이 조사되는 조사경로를 상기 측정대상물(P)이 통과하도록 수평이동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테이지(200)가 수평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측정대상물(P)의 전체가 상기 인식유닛(400)의 측정영역을 경유하게 되어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스캔부(410)가 선택적으로 승하강을 하면서, 측정되는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포커싱하며 이미지를 스캔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인식유닛(400)에서 상기 초점조절부(420)의 동작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스캔부(410) 및 상기 초점조절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캔부(410)는 상기 측정대상물(P)을 투과하는 X선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상기 초점조절부(420)는 상기 스캔부(410)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켜 상기 스캔부(410)에서 측정되는 이미지의 포커스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스캔부(410)가 하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인식유닛(40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인식유닛(40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스캔부(410)와 상기 조사유닛(500)간의 이격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스캔부(410)가 상부방향으로 승강하면 상기 스캔부(410)와 상기 조사유닛(500)간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웜기어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캔부(410)는 하강하며 일부가 상기 바디(422)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웜기어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프레임(424)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캔부(410)가 상부방향으로 함께 상승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동작수단(426)이 동작하며 상기 스캔부(410)와 상기 조사유닛(500)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수단(426)은 상기 웜기어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동모터(428)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구동모터(428)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조절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동작수단(426)의 동작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초점조절부가 구성됨으로써,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스캔부(410)와 상기 조사유닛(500)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진 상태에서 스캔부(410)가 측정한 이미지의 포커스가 맞지 않는 경우, 스캔부(410)가 승하강 함으로써 측정되는 이미지의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200)가 구동하는 상태 및 상기 구동유닛(3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스테이지(200)가 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측정대상물(P)이 안착된 상기 스테이지(200)가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지(200)의 일측과 연결된 상기 구동유닛(300)은 동작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인식유닛(400)은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되어 상부에 구비된 상기 조사유닛(500)으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X선(L1)을 수신한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300)이 구동하여 상기 스테이지(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면 상기 스테이지(200)는 수평이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지지부(320)와 상기 회전스크류(31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스크류(310)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이 상기 지지부(320)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스크류(310)가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22)가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더(22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스테이지(200) 전체가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200)는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222)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스크류(310)를 따라 이동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암(224)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1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스테이지(200)의 수평을 유지하며 이탈되지 않고 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스크류(310)가 회전을 하여 상기 스테이지(200)는 상기 인식유닛(400)으로 조사되는 상기 X선(L1)의 조사경로를 통과하도록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물(P)은 상기 X선(L1)의 조사경로를 통과한다. 그래서 상기 측정대상물(P)이 상기 X선(L1)의 조사경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스캔부(410)에서 수신되던 상기 X선(L1)의 세기변화가 일어남으로써, 상기 스캔부(410)는 상기 X선(L1)의 세기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측정대상물(P)의 이미지를 측정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유닛(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지지부(320) 및 상기 회전스크류(31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크류(310)는 상기 스테이지(200)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양측 끝단부 각각이 상기 지지부(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크류(310)의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더(222)가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더(222)를 이동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스크류(310)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22)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가이드(330)는 상기 슬라이더(22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222)가 상기 회전스크류(310)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 110: 슬라이딩가이드
200: 스테이지 210: 투과부
220: 이동부 222: 슬라이더
300: 구동유닛 310: 회전스크류
320: 지지부 400: 인식모듈
410: 스캔부 420: 초점조절부
500: 조사유닛 P: 측정대상물

Claims (12)

  1. X선을 측정대상물에 조사하여 투과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스캐닝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방향에 의한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테이지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정대상물과 상기 스테이지를 투과한 X선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스캔부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인식유닛; 및
    일측이 상기 스테이지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 및
    상기 랙기어에 주합되는 회전기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수단;
    을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수단은,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일부가 상기 X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과부의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방향에 따른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8. X선을 측정대상물에 조사하여 투과된 상기 X선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스캐닝 하는 스캐닝모듈에 있어서,
    베이스;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상기 측정대상물과 상기 스테이지를 투과한 X선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스캔부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스캔부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인식유닛;
    을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 및
    상기 랙기어에 주합되는 회전기어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수단;
    을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수단은,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캔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일부가 상기 X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과부의 상면에 상기 측정대상물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스캔부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KR1020120127600A 2012-11-12 2012-11-12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KR20140060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00A KR20140060812A (ko) 2012-11-12 2012-11-12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00A KR20140060812A (ko) 2012-11-12 2012-11-12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812A true KR20140060812A (ko) 2014-05-21

Family

ID=5089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600A KR20140060812A (ko) 2012-11-12 2012-11-12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0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6652A (zh) * 2018-04-04 2018-12-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电动耐张线夹和接续管压接质量探查装置
CN109040393A (zh) * 2018-09-21 2018-12-18 黄河科技学院 可调焦距的手机扫描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6652A (zh) * 2018-04-04 2018-12-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电动耐张线夹和接续管压接质量探查装置
CN108956652B (zh) * 2018-04-04 2023-12-1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电动耐张线夹和接续管压接质量探查装置
CN109040393A (zh) * 2018-09-21 2018-12-18 黄河科技学院 可调焦距的手机扫描支架
CN109040393B (zh) * 2018-09-21 2024-02-09 黄河科技学院 可调焦距的手机扫描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4755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101621255B1 (ko) 프린트 기판의 복합 검사 장치
CN113398303B (zh) 一种室内杀菌方法
US6934361B2 (en) Radiographic apparatus
KR101209518B1 (ko) 헬리컬 ct장치
EP3025647B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702952A (zh) 用于患者头部区域的数字成像的设备
CN116203051B (zh) 一种基于x射线的产品内部缺陷检测设备及检测方法
KR102081594B1 (ko) 엑스레이 검사장치
KR20140060812A (ko) 승하강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x선 스캐닝모듈
JP5860305B2 (ja) X線異物検出装置
KR101521837B1 (ko) 엑스선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209516B1 (ko) 셔터장치를 구비한 엑스선 검사장비
JP2008229158A (ja) 放射線画像情報記録装置
EP2754394A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537530A (zh) 一种微剂量x光足部探测仪
KR20140060811A (ko) 이미지 포커싱이 가능한 x선 스캐닝장치
CN212416476U (zh) 一种大范围杀菌机构
KR101567502B1 (ko) 가변 ssd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CN209446498U (zh) 一种x射线荧光光谱仪
WO2010044168A1 (ja) X線撮像装置
US20100084584A1 (en) Ion implanting apparatus
CN214104914U (zh) 一种体检车及其车载x射线检测设备
CN111166367A (zh) 基于束光器光野的屏蔽装置、屏蔽方法及x光检查装置
KR101767965B1 (ko) 정렬빔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