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649A -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649A
KR20140060649A KR1020120127193A KR20120127193A KR20140060649A KR 20140060649 A KR20140060649 A KR 20140060649A KR 1020120127193 A KR1020120127193 A KR 1020120127193A KR 20120127193 A KR20120127193 A KR 20120127193A KR 20140060649 A KR20140060649 A KR 2014006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quantized
energy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517B1 (ko
Inventor
김상준
권의근
윤승근
바히드 타로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5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70Photonic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05Reducing noise, e.g. humm, from the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양자화하여 발생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신호 발생 장치는 채널 모델의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의 비율에 따라 양자화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SIGNAL GENERATOR AND THE SIGNAL TRANSFER SYSTEM TO QUANTIZE THE SIGNAL FOR CHANNEL RETEN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에서 통신 채널에 최적화된 배치(constellation)에 따라 양자화된 신호(quantized signal)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양자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원 입출력부와 공진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RI 시스템(Resonator Isolation System)은 신호의 발생을 위해 DC 전원(DC source)으로부터 에너지(Energy)를 TX 공진기에 주입하고, 전원과의 연결 스위치를 단락함으로써 TX 공진기의 자체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자체 공진을 하는 TX 공진기와 상호 공진을 할 만큼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동일 공진주파수의 RX공진기가 존재할 경우, 양 공진기간 상호 공진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모델의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의 비율에 따라 양자화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uniformly) 양자화된 신호 및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가 일정 비율로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된 입력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비율은,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의 비율인 NNR(Noise-to-Noise Ration)과 신호의 에너지 양의 관계에 따른 비율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수신단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큰 경우,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미디어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작은 경우,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노이즈는, 미디어 상의 노이즈 또는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단 노이즈는, 공진기 미스매칭(mismatching), 수신단 내부 디스토션(distortion) 또는 ADC 양자화 노이즈(Analog-to-Digital Converter quantization noi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모델은, 입력 신호를 에너지 스케일에서 필드 스케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거리에 따른 감쇄(attenuation)와 함께 미디어 노이즈가 발생되며, 미디어 노이즈가 발생된 신호를 필드 스케일로부터 에너지 스케일로 변환하고, 수신단 노이즈가 발생되는 채널 모델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모델은, 전원 입출력부와 공진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RI(Resonator Isolation)인, 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장치, 입력 신호에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가 발생되는 채널, 및 입력 신호가 채널을 통과한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uniformly) 양자화된 신호 및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가 일정 비율로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된 입력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수신단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큰 경우,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미디어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작은 경우,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전원 입출력부와 공진기 분리를 이용한 신호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RI 시스템(Resonator Isolation system)에서 OOK 모듈레이션(On/Off Keying Modulation)일 경우 공진기의 에너지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모델(channel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constellat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전원 입출력부와 공진기 분리를 이용한 신호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송 시스템은 RI 시스템(Resonator Isolation System)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DC 전원(DC source)으로부터 에너지를 주입 받는 공진기는 TX단 혹은 TX공진기이고, TX단 혹은 TX공진기와의 상호 유도 현상에 의해 에너지를 전달받는 공진기는 RX단 혹은 RX공진기일 수 있다. 여기서 Vin은 단위가 V인 입력 전원, Rin은 단위가 Ω인 입력 저항, C1은 단위가 F인 TX단 공진기 캐퍼시터, L1은 단위가 H인 TX단 공진기 인덕터, M은 단위가 H인 상호 인덕턴스, L2는 단위가 H인 RX단 공진기 인덕터, C는 단위가 F인 RX단 공진기 캐퍼시터,
Figure pat00001
은 단위가 F인 부하 캐퍼시터, LOAD는 부하 임피던스일 수 있다. 또한 SW1 및 SW2는 고립공진(Resonance Isolation)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RI 시스템에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TX와 RX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TX단에서 상호 약속된 정해진 시간 구간(예를 들어, 1 심볼)동안 에너지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는 동작을 통해 해당 시간 구간 동안 상호 공진을 일으키거나 일으키지 아니하는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정보를 할당(assign)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RX공진기는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 공진주파수를 맞추거나 맞추지 아니하는 동작(예를 들어, 도 1의 SW2의 오프/온 동작)으로 상호 공진을 일으키거나 일으키지 아니하는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현상에 TX단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심볼(symbol) 내에 전달되는 정보의 양은 공진기에 저장되는 에너지 양에 의해 양자화될 수 있다. 여기서 양자화는, 아날로그 양으로서 단절 없이 연속된 변화량을 일정한 폭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유한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에 대하여 각각 고유한(unique) 값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어진 심볼 내에 에너지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는 동작에 0과 1의 1 비트 데이터(1bit data)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레벨(multi level) 에너지 주입양에 따라 정보를 할당하면 한 심볼을 통해 보다 많은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심볼의 에너지 양을 4개의 레벨 내지 포인트로 구분하여 주입하면 주어진 심볼 내에 00, 01, 10, 11의 2 비트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정보를 한 심볼 내에 할당하며 동시에 신뢰할 만한(reliable) 전송 채널을 확보하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에 최적화된 배치 디자인(constellation design)은 RI 시스템 및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특히 크기 등의 문제로 전력소모에 제약이 큰 센서 등의 장치(device)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인체나 수중 등 기존 RF(Radio Frequency) 통신으로 원활한 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근접 자기장을 사용하여 통신 채널을 확보하는 기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RI 시스템(Resonator Isolation system)에서 OOK 모듈레이션(On/Off Keying Modulation)일 경우 공진기의 에너지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OOK 모듈레이션을 적용하였을 때의 한 심볼(symbol) 내에서 TX, RX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 양에 대한 예시가 도 2에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RI 시스템의 채널 모델(channel model)에 최적화된 배치도(constellation map)가 디자인될 수 있는 바, 최대 5dB의 배치 이득(constellation gain)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a에는 RX 공진기가 상호 유도를 한 경우에 TX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의 양(211)과 하지 않은 경우에 TX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의 양(212), 도 2b에는 TX공진기에 에너지를 주입한 경우 RX 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 양(221)과, 주입하지 않은 경우 RX 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 양(222)이 도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았을 때, 혹은 상호 공진을 유도하거나 하지 않았을 때 상대 공진기에 유기되는 에너지의 양은 다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유도되는 에너지 양의 차이에 1 비트(bit)의 정보를 할당(assign)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모델(channel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RI 시스템(RI system)의 채널 모델(channel model) 중 TX 공진기에서 RX공진기로의 통신 채널 모델의 블럭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 도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입력(channel input) 내지 입력 신호인 x는, TX공진기에 초기 충전되는 에너지 양으로서 에너지 스케일로 입력될 수 있다. 채널 출력(channel output) 내지 출력 신호인 y는, RX공진기에 한 심볼 내에서 유기되는 에너지의 시 평균 값일 수 있다.
여기서 TX 공진기에 초기 충전되는 에너지 양 x, 입력 신호는 물리적으로 E-필드(E-field) 혹은 H-필드(H-field)와 같은 필드 스케일(field scale)로 변환되어 미디어(media)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필드 스케일은 에너지 스케일의 제곱근과 동등할 수 있는 바, 입력 신호 x에 제곱근(square-root)을 취한 값(예를 들어, 입력 신호를 필드 스케일로 나타낸
Figure pat00002
)이 채널 상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모델링(modeling)을 위하여 도 3의 왼쪽에서 첫 번째에 제곱근 연산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에 필드 스케일로 입력된 채널 입력에 발생할 수 있는 TX, RX공진기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성능 열화 또는 감쇄는 채널 상수(channel coefficient) h로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채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디어 노이즈, 예를 들어 미디어 상의 노이즈(noise)와 간섭(interference)인 노이즈 성분은
Figure pat00003
로서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RX 공진기에 유기된 필드(field)는 에너지 스케일(energy scale)로 감지(detection)되므로 제곱(예를 들어,
Figure pat00004
) 연산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발생되는 공진기 미스매칭(mismatching), RX 단의 내부 디스토션(distortion), ADC 양자화 노이즈(Analog-to-Digital Converter quantization noise) 성분을 포함한 수신단 노이즈인
Figure pat00005
가 반영되어 y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모델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1에서 x의 최대(max) 에너지는 P이고,
Figure pat00007
은 정규분포 N(0,
Figure pat00008
)을 따르며,
Figure pat00009
은 정규분포 N(0,
Figure pat00010
)를 따를 수 있다. 이를테면
Figure pat00011
은 평균이 0, 분산이
Figure pat00012
일 수 있고,
Figure pat00013
는 평균이 0, 분산이
Figure pat00014
일 수 있다. 또한 h는 x의 에너지 스케일(energy scale) 및 노이즈 파워(noise power)에 정규화(normalize)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을 전개하여 신호(signal) 성분과 노이즈(noise) 성분을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5
수학식 2에서 노이즈 항(noise term)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pat00016
수학식 3의 노이즈 항 중
Figure pat00017
은 평균이
Figure pat00018
이고 분산이
Figure pat00019
인 카이 스퀘어(chi-square) 분포를 따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20
이 충분히 작다고 가정하면
Figure pat00021
이 상술한 수학식 3에서 무시될 수 있고, 노이즈 항 n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pat00022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constellat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수학식 4에서
Figure pat00023
라면,
Figure pat00024
가 무시될 수 있고, 이 때 노이즈 성분은 채널 입력(channel input) x의 제곱근(square-root) 값과 미디어 노이즈(media noise) 성분의 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만약 P가
Figure pat00025
보다 충분히 크다면, 두 번째 항(예를 들어,
Figure pat00026
)이 무시될 수 있고, 이 때 최적의 배치(constellation)는 LLR(Log Likelihood ratio)에 의해
Figure pat00027
값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28
는 입력 신호를 필드 스케일(field scale)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 때, P가
Figure pat00029
보다 충분히 큰 경우는 신호의 에너지가 수신단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큰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한 배치도(constellation map)인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값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경우로서, 필드 스케일
Figure pat00032
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경우인 바,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에너지 스케일 x에서 제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균일 제곱근 배치로서 입력 신호를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n+1) 포인트로 양자화되는 경우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Figure pat00033
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n은 노이즈와 구별되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k는 0부터 n 사이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는
Figure pat00034
인 경우, 상술한 자연수 n이 4로서 5 포인트 배치도(5 point constellation map)의 최적 값이 예시된 도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배치도는 최대 파워 P의 제곱근을 균일하게(uniform) 등분하고, 이를 다시 제곱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양 P를 가지는 입력 신호가 균일 제곱근 배치에 따라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0, 1/16P, 4/16P, 9/16P 및 P일 수 있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P가
Figure pat00035
보다 충분히 작다면, 상술한 수학식 4의 첫 번째 성분이 무시될 수 있고 채널 모델(channel model)은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단순화 될 수 있다. 여기서, P가
Figure pat00036
보다 충분히 작은 경우는 신호의 에너지가 미디어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작은 경우일 수 있다.
Figure pat00037
이는 잘 알려진 AWGN 모델(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Model)로서 입력 신호가 균일 배치(uniform constellation)에 따라 양자화되는 것이 최적일 수 있다. 여기서 균일 배치는 입력 신호를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한 배치
Figure pat00038
는 x 값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경우로서,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1) 포인트로 양자화되는 경우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Figure pat00039
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n은 노이즈와 구별되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k는 0부터 n 사이의 값을 가지는 자연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pat00040
인 경우, 5 포인트 배치도의 최적 값이 예시된 도면으로서 균일 배치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양 P를 가지는 입력 신호가 균일 배치에 따라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0, 4/16P, 8/16P, 12/16P 및 P일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5 포인트 최적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두 경우가 아닌 P가
Figure pat00041
와 충분히 크지도 작지도 않을 경우에는 위의 두 극한 케이스(extreme case)의 배치가 일정 비율로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
Figure pat00042
은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범위에 속하는 적절한 상수일 수 있다.
Figure pat00045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은 P가
Figure pat00046
에 대해 충분히 크지도 작지도 않은
Figure pat00047
인 경우의 5 포인트 최적 배치도의 예로서, 도 4와 5의 배치를 1:3으로 선형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이를테면
Figure pat00048
=0.75인 경우로서, 에너지 양 P를 가지는 입력 신호의 균일 배치와 균일 제곱근 배치를 1:3으로 선형 결합하여 양자화된 각 포인트는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일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의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에 따라 최적화된 선형 결합의 비율인
Figure pat00054
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NR(noise to noise ratio)로서,
Figure pat00055
를 의미할 수 있는 바, P와
Figure pat00056
의 관계에 따라 입력 신호를 양자화하는 데 적용되는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NNR의 값에 따라 배치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의 선형 결합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NR=1인 경우, SNR(Signal to Noise Ratio)이 높아질수록
Figure pat00059
영역으로 가까이 가고, 도 4와 같이 제곱근 값들을 균일하게 배치하는 배치 방법(
Figure pat00060
)이 최적(optimu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이하의 심볼 오류 확률(Symbol Error Proba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P가 단순 균일 배치 방법(
Figure pat00063
)에 비해 약 5dB 이상의 이득(gain)으로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NNR=10일 경우,
Figure pat00064
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해졌기 때문에 균일 제곱근 배치(uniform square-root constellation)가 더 이상 최적이 아닐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실제로 최적화된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의 선형 결합의 비율은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67
구체적으로는 균일 배치와 균일 제곱근 배치가 3:7의 비중으로 선형 결합된 것으로서,
Figure pat00068
는 0.7일 수 있다. 이를테면 NNR=10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균일 제곱근 배치의 비중이 균일 배치보다 높은 선형 결합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 경우도 단순 균일 배치에 비해
Figure pat00069
이하의 심볼 오류 확률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P가 5dB 가량의 이득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NNR=100인 경우, 최적의 배치는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pat00070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수학식 7에 비해 균일 배치의 비중이 높을 수 있는 바,
Figure pat00071
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해져서, 균일 배치가 좀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순 균일 배치에 비해
Figure pat00072
이하의 심볼 오류 확률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P가 1dB 정도의 이득으로 확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채널 모델의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의 비율에 따라 양자화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uniformly) 양자화된 신호 및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가 일정 비율로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된 입력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비율은,
    상기 미디어 노이즈 및 상기 수신단 노이즈의 비율인 NNR(Noise-to-Noise Ration)과 신호의 에너지 양의 관계에 따른 비율인,
    신호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수신단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큰 경우,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미디어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작은 경우,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노이즈는,
    미디어 상의 노이즈 또는 간섭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신호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노이즈는,
    공진기 미스매칭(mismatching), 수신단 내부 디스토션(distortion) 또는 ADC 양자화 노이즈(Analog-to-Digital Converter quantization noise)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신호 발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모델은,
    상기 입력 신호를 에너지 스케일에서 필드 스케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에 거리에 따른 감쇄(attenuation)와 함께 미디어 노이즈가 발생되며, 상기 미디어 노이즈가 발생된 신호를 필드 스케일로부터 에너지 스케일로 변환하고, 수신단 노이즈가 발생되는 채널 모델인,
    신호 발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모델은,
    전원 입출력부와 공진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RI(Resonator Isolation)인,
    신호 발생 장치.
  10. 양자화된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장치;
    상기 입력 신호에 미디어 노이즈 및 수신단 노이즈가 발생되는 채널; 및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채널을 통과한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uniformly) 양자화된 신호 및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가 일정 비율로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된 입력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수신단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큰 경우, 필드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미디어 노이즈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작은 경우, 에너지 스케일에서 균일하게 양자화된 신호인,
    신호 전송 시스템.
KR1020120127193A 2012-11-12 2012-11-12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KR10200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93A KR102000517B1 (ko) 2012-11-12 2012-11-12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93A KR102000517B1 (ko) 2012-11-12 2012-11-12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49A true KR20140060649A (ko) 2014-05-21
KR102000517B1 KR102000517B1 (ko) 2019-07-16

Family

ID=5088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93A KR102000517B1 (ko) 2012-11-12 2012-11-12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9139A1 (de) 2014-05-21 2015-11-26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olenoidventils und Steuerverfahren hierfü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550B1 (ko) 2020-07-17 2021-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해상도 adc를 구비하는 밀리미터파 mimo 수신 장치를 위한 연판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434A (ko) * 1994-03-30 1995-12-30 오오가 노리오 양자화 제어 장치, 양자화 제어 방법 및 부호화 장치
KR100668299B1 (ko) * 2004-05-12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간별 선형양자화를 이용한 디지털 신호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434A (ko) * 1994-03-30 1995-12-30 오오가 노리오 양자화 제어 장치, 양자화 제어 방법 및 부호화 장치
KR100668299B1 (ko) * 2004-05-12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간별 선형양자화를 이용한 디지털 신호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9139A1 (de) 2014-05-21 2015-11-26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olenoidventils und Steuerverfahren hier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517B1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155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940732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consumption control in powerline communications systems and apparatus
CN105827321B (zh) 多载波光通信系统中的非线性补偿方法、装置和系统
CN101621307B (zh) 发送器、接收器以及峰值抑制和还原方法、系统
WO2006005020A3 (en) Multi-carrier communication using adaptive tone-pruning
TW200746742A (en) Adaptive quan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FDM receiver
JP2005527128A5 (ko)
CN105099553A (zh) 一种基于神经元网络的可见光通信接收方法及其系统
Ayir et al. Waveforms and end-to-end efficiency in RF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digital radio transmitter
CN102045091A (zh) 一种基于电磁感应的近距离数据传输装置及方法
KR102000517B1 (ko) 무선 통신의 채널 확보를 위해 신호를 양자화하는 신호 발생 장치 및 신호 전송 시스템
CN106059693B (zh) 半导体装置、无线电通信装置和无线电通信装置控制方法
US100695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ver power lines
CN102446287B (zh) 智能卡
Abdallah et al. Adaptive discrete rate and power transmission for spectrum sharing systems
CN109672474B (zh) 一种扩展led可用通信频带的自适应补偿方法
US9660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ver power lines
Sayc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USRP–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transceiver
US9647721B2 (en) Variable impedance scheme for providing a wired communication
AU2003250298A1 (e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system
US9059877B2 (en) Dynamic gain for DAC illumination control
Hu et al. Analysis of wireless energy harvesting relay throughput in Rician channel
WO2011039708A3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on- or in- body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body composition of a user
US20200044486A1 (en) Recovery of modulation amplitude in wireless charger tx demodulation
CN101938288A (zh) 应用于应答器上的信号处理方法、装置及应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