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748A -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748A
KR20140059748A KR1020130135444A KR20130135444A KR20140059748A KR 20140059748 A KR20140059748 A KR 20140059748A KR 1020130135444 A KR1020130135444 A KR 1020130135444A KR 20130135444 A KR20130135444 A KR 20130135444A KR 20140059748 A KR20140059748 A KR 2014005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acupuncture
mst
treatment
mus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식
Original Assignee
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식 filed Critical 신준식
Publication of KR2014005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요법(MST: Motion Style Treatment), 더 정확히는 동작침법(MST)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심각한 장애의 급성요통을 치유하기 위하여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써,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켜 자침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침술은 침을 시술한 후 장시간 침을 방치하여 치료하는 것으로서, 경혈점은 물론이고 인근의 근육 및 신경, 인대의 자극 효과가 적은 반면에, 본 발명의 동작침법은 자침 후 해당 침에 대해 주위나 인근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근육 및 신경, 인대를 고르게 자극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므로 빠른 치유효과를 나타내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동작침법(MST)은 근골격계 통증을 줄이고 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된다. 이 발명은 심각한 장애가 있는 급성요통에 시행하는 MST는: 숫자 통증등급(Numeric Rating Scale: NRS)과 척추기능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의 비교를 통해 정량화될 수 있는 통증 및 기능장애 지표의 변화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METHOD FOR RELIEVING ACUTE LOW BACK PAIN}
본 발명은 동작요법(MST : Motion Style Treatment)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각한 장애를 가진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를 치유하기 위하여,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여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써,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켜 자침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동작 침술요법(이하,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살아가는 동안 크고 작은 질병에 시달리게 되며, 이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최근 동양 의학은 과학화 및 경험적 실효성에 의해 일반 대중에게 급속도로 퍼지고 있으며, 그 신뢰도 또한 크게 상승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양의학 중 침술, 지압 등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당되는 질병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의 치료 대상이 되는 경혈 또는 경락을 정확히 찾아내야 한다. 예컨대, 인체에는 14 경락과 365여 곳의 경혈이 있으며, 이것을 도표로 작성한 것을 경혈도라 한다. 여기서, 경락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반응이 몸의 표피에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경락에 위치한 수혈을 경혈이라 한다. 경혈은 경락순행 경로상에서 기혈이 신체 표면에 수주 또는 통과하는 중점 부위로 한방에서는 침을 놓거나, 뜸을 뜨거나, 지압을 하기 위한 자리를 뜻한다. 예컨대, 14 경락은 경혈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태음 폐경, 수양명 대장경, 족양명 위경, 족태음 비경, 수소음 심경, 수태양 소장경, 족태양 방광경, 족소음 신경, 수궐음 심포경, 수소양 삼초경, 족소양 담경, 족궐음 간경, 임맥, 독맥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양 의학의 발전 및 저변 확대에 따라 부녀자들의 생리통을 침술, 뜸, 지압 등을 이용하여 치료하거나 해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 치료방법 중 침술은 경락론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생명에너지인 기(氣)가 흐르는 통로인 경락이 있고, 그 경락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경혈이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 경혈이 한의학에서 침술을 하는 자리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어 막힌 기(氣)의 통로를 뚫어 기(氣)의 순환을 원할하게 함으로써 피의 순환을 돕는다. 즉, 경혈에 자극을 가하면 신체 내부의 조절작용이 발생되어 자연치유능력을 증강시키므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자침만으로는 그 질병 치유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관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침술은 급성 요통(acute low back pain; aLBP)에 대한 이의 기술적 효능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요통 환자를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작침법(MST)은 부상 대상물이 침술을 받는 동안 움직이도록 하는 전통외적인 침술요법이다. 이 연구는 침술의 효능이 확실히 입증되지 않은 심각한 장애를 동반한 aLBP에 대한 MST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덧붙여, 한국에서 MST는 근골격계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요통은 개인 및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가져오는 한편 70 내지 80%의 성인이 일생에 적어도 한번은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이다 [1]. 1998년 미국에서 요통으로 인해 약 263억 달러가 지출되었다 [2]. 배부통은 일반적으로 자가제한적 및 양성 상태이므로 급성 배부통을 경험한 환자들은 보통 1개월 내에 개선되거나 본업에 복귀할 수 있다 [3, 4].
그러나 환자 중 2 내지 7%는 만성적인 배부통으로 진행하며 결근의 75 내지 85%는 만성 혹은 재발성 배부통에 기인한다 [5, 6]. 따라서, 급성 배부통이 발생하면,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치료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 통증을 감소시켜 환자의 기능성을 향상하고, 결근률을 감소시키며,`또한 만성 배부통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7, 8].
일반적인 요통 치료법은 진통제, 예컨대, 아세타미노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NSAIDs) 등을 처방하는 한편 환자가 일일 활동성을 유지하도록 고무시키는 것이다 [9, 10]. NSAIDs는 배부통의 단기 치료방법으로는 효과적이며, 통증 경감에 있어 아세타미노펜보다 우수하다 [11]. NSAID, 가장 일반적으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을 근육내 적용하는 것이 급성 통증 치료법이다 [12]. 그러나, NSAID 사용시 위장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보통이다 [13]. 최근에는, 심혈관계 질환, 특히 급성 심근경색, 불안정한 협심증, 심장마비 및 급사 등의 혈전성 질환 용도의 시클로옥시제나제-2 선택성 NSAIDs의 안전성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
침술은 배부통 치료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이의 효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문헌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침술이 만성 배부통의 통증완화 및 기능개선에 단기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했으나, 급성 배부통의 경우, 침술 효능을 입증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15]. 요통 치료의 지침에 따르면, 만성적 요통의 경우 침술만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9, 10].
침술 시행(자침)에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동작침법(MST)은 전통적인 침술요법과는 상이하며 종종 한국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MST 효능을 시험하는 임상연구는 밝혀진 바가 없다. MST 는 전통적인 침술법과, 바늘을 자침점(경혈점)에 삽입한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그러나, MST는 신규의 방식으로서, 침이 소정시간 동안 삽입되어 있는 동안 부상 대상물의 신체 중 일부가 수동적으로 혹은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MST가 급성 LBP치료에 임상적으로 이용되고는 있지만, 신체적 기능장애 및 MST를 시도한 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해도 근본적인 메카니즘은 현재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MST 치료 효능에 관한 의사의 정보는 대개 통증의 수위 변화를 부상 대상물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심각한 장애를 가진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를 치유하기 위하여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움직이도록 하여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 인해,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켜 자침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심각한 장애를 가진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에게 시술한 MST가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계획된 것이다: 즉,
숫자 통증등급( Numerif Rating Scale : NRS )과 척추기능 장애지수( Oswestry Disability Index : ODI ) 비교를 통해 정량화될 수 있는 통증 및 기능장애 지표의 변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지통증을 동반하거나 하지 않는 심각한 장애의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를 치유하기 위하여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움직이도록 하여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써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상 대상물의 근육, 인대 및 신경의 경화가 심한 경우에는 자침후 동작침법 시술 전에, 먼저 시술된 침에 동작을 부여하여 경혈점 부위의 근육이나 인대, 신경을 이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작침법 시술 전에 해당 환부의 근육이나 인대를 이완시키는 추나요법을 전처리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침술의 경우 침을 시술한 후 장시간 침을 방치하여 치료하며 이 때 경혈점은 물론이고 인근의 근육 및 신경, 인대의 자극 효과가 적은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은 자침후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여 해당 자침 부위의 주위나 인근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근육 및 신경, 인대를 골고루 자극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므로 빠른 치유효과를 나타내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심각한 장애를 가진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에게 시술한 MST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즉, 숫자 통증등급(Numerif Rating Scale: NRS)과 척추기능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비교를 통해 정량화될 수 있는 통증 및 기능장애 지표의 변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그 시술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의 치료과정에 참가한 대상자 즉, MST 치료 그룹, 및 NSAID 주사 그룹에 대한 치료 효능의 평가를 시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MST 치료 전 및 치료 뒤 30분 후의 결과를, NSAID 주사 그룹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평가대상 (요통, 신경성근 통증, 척추기능 장애지수(ODI), 부상 대상물의 전반적 인상 변화(PGIC) 등)에 관련한 측정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은, 심각한 장애를 가진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를 치유하기 위하여,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움직이도록 하여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써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켜 자침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치료방법이다.
통상, 인체의 뼈에는 다수개의 근육 및 인대,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침법은 자침 대상처가 이러한 근육 및 인대, 신경이상으로부터 발생된 질병에 그 치유효과가 더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침법은 틀어진 뼈를 바로잡아주는 추나요법(Chuna treatmet; chiropractic)과 병행하여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추나요법은 그 역사가 수천년된 요법으로써 비틀어진 골(骨)을 교정하고, 골근육의 운동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응결된 환부를 치유하는 요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나요법은 동작침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침된 상태에서 경혈부위를 침과 자체 근육의 동작으로써 자극하는 동작침법의 전처리 요법으로서, 골과 골근육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봐야한다.
물론, 추나요법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침한 뒤, 해당 경혈부위에 동작성을 부여하는 방법, 즉, 동작침법을 바로 시술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와 같이 동작침법을 전처리 과정을 생략한 채로 수행하게 되면 부상 대상물가 고통을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부상 대상물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미리 해당 시술부위의 근육을 풀어준다는 의미에서 추나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추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요 질환 및 이러한 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급성요통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기술한다.
I. 골반 및 요추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요 질환
- 요추에 이롭지 못한 자세
일반적으로 요추에 무리를 가하는 동작을 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자세에 따른 디스크 내부의 압력변화/기립시 압력(파란색 원)을 100으로 설정>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추 굴곡 상태에서 무거운 짐을 들었을 경우 기립시보다 약 4.5배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요추 및 골반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 질환을 검사, 진단 및 치료하는 방법들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1) 추간판 탈출증 (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HIVD ) Lumbar Radiculopathy
1. 정의
- 좌골신경통으로 불리기도 하며, 하지에 어느 정도 연관성의 신경인성 기능장애가 있다.
- 대개는 수핵의 탈출로 인한 제5요부 신경과 첫 번째 천골 신경의 자극 때문이며, 일부는 직접적인 신경근의 압박이나 수핵내 물질에 의한 화학적 자극 때문이기도 하다.
- 추간판 탈출의 유병율은 전 인구의 약 2%정도이며, 이들 중 10-25%는 증상이 6주 이상 지속된다. 수술을 요하는 경우는 전체 디스크 환자의 5-10% 정도이다.
2. 임상소견
- 증상발현은 대개 급성이며, 종종 요통이 동반된다. 일부 환자에서는 전에부터 있던 통증이 다리의 통증이 생긴 후로 사라졌다고 말하기도 한다.
- 앉기,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통증이 심해진다.
- 통증을 덜 느끼는 편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힘들 때도 있다. 만일 무릎을 가슴에 갖다 대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디스크가 확대되므로 환자는 최대한으로 척추를 구부려서 척추강 내의 반경을 증가시키는 자세가 되어야 편함을 느낀다.
- 전형적으로 둔부로부터 후방 혹은 후측방 쪽으로 발목이나 발에까지 이르는 통증이 있다.
- 요추 중앙부(L1-L3)의 신경근성병증 시에는 대퇴의 전방부로 연관통이 있으며 대개 무릎 아래에까지 방사되지는 않는다. 이 부위의 추간판 탈출은 전체의 5%에 불과하다.
3. 검사
1) 진찰
- 선 자세에서 체간이 한쪽으로 기울었는지를 살펴본다
-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들어올릴 때 환자가 허리를 펴면서 통증이 유발되는지를 본다. 이 검사는 추간판 탈출의 가능성이 높음을 사사하며, 특히 SLR Test시 45도 미만에서 통증이 같이 있다면 더욱 가능성이 높다.
- 엎드린 자세에서 고관절 신전 시 통증이 있나 본다. 양성은 L3신경근 병변을 시사하며, 때로는 L2나 L4신경근 이상 시에도 양성으로 나온다.
< 디스크 레벨에 따른 전형적인 소견 >
L3 / 4디스크 ( L4 신경근) : 발목 배굴근의 근력약화, 정강이 부위의 저림, 대퇴부 통증, 비대칭적인 슬건 반사를 보인다. 디스크 파열의 5%정도가 이 부위에서 일어난다.
L4 / 5디스크 ( L5 신경근) : 엄지발가락 신전근의 약화, 발등, 엄지와 집게발가락 사이의 무감각, 대퇴부 후측방과 장딴지부위의 통증이 있다.
L5 / S1 디스크( S1 신경근) : 비복근의 약화와 발가락으로 잘 걷지 못한다. 발의 외측에 무감각, 장딴지 통증이 있고 발목 건반사가 비대칭성으로 나타난다.
2) 임상검사
- L-spine ROM
- SLR(Straight leg raising Test) : L5 또는 S1 신경의 신경근 압박 징후
- Valsalva sign : 경추; 흉추; 요추에 공간 점유성 병소(디스크; 종양; 결핵; 농양 등)
- DTR (Deep Tendon Reflex):저하의 경우 신경근 압박; 항진의 경우 상위운동 신경원(대뇌~척수)의 질환
- Ankle clonus 상위 운동신경원(대뇌~척수)의 질환
- G-toe power : 하지 운동신경의 이상 여부
3) 영상의학적 진단
- Plain X-ray
- CT
- MRI
- EMG (근전도검사)
2) 척추관협착증 ( Spinal stenosis )
1. 정의
-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 보통 30세 이후부터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어 이로 인해 추간판이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져 골극이 형성된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 인대 등에서도 변성이 오면서 두꺼워져서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며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 척수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2. 임상소견
- 허리 통증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요추간판 탈출증 때와 달리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 또는 쥐어짜는 듯하거나 타는 것 같은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되는데 이는 찬 기후에 있거나 활동을 하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정을 취하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이런 증상이 자주 발생하고 심해지면, 허리를 굽히거나 걸음을 멈추고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사라졌다가 다시 보행을 하면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증상을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증이라 하고, 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거리가 짧아진다.
- 보통 종아리, 발목, 무릎, 허벅지, 엉덩이 및 서혜부를 따라 넓은 범위의 감각소실 및 저린감 같은 감각이상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괄약근 장애는 가장 늦게 나타난다.
3. 검사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척추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추간판(디스크)의 변성과 척추 압박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게 되는데, 특히 척추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척추관 옆에 위치하는 외측 함요의 협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척수 조영술상에는 척수 경막강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좁아지거나 양측성으로 좁아져 모래시계 형태를 보이거나 조영제가 완전히 막힌 소견을 볼 수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압박된 부분이 더욱 잘 나타난다. 경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단순 경추 방사선 검사 상 전후 간격이 12mm 이하인 경우에 의심을 하게 되고, 전산화 단층 척수 조영술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3) 퇴행성 디스크 ( Degenerative disc )
1. 정의
-추간판의 기계적, 화학적인 특성이 노화 과정, 외상, 고충격활동, 일의 유형, 흡연, 유전등의 원인으로 저하된 디스크 상태를 말한다.
Figure pat00002
2. 임상소견
- 허리를 굽히거나 펼 때 아픈 기계적 장애와 앉거나 걸을 때 다리가 아픈 신경학적 장애가 나타난다.
- 퇴행성 추간판 질환은 대개 증상 없이 일어난다.
- 아침에 일어나면 아프다가 1시간 정도 걸어다니면 통증이 없어진다는 분들이 전형적인 퇴행성 디스크의 증상이다
3. 검사
- X-ray로 척추뼈가 미끄러진 정도를 측정하고, 관절돌기의 골절 여부를 진단합니다. 그리고 다리저림과 같은 신경증상이 있을시에는 MRI로 신경압박의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4) 척추 전방전위증 ( Degenerative disc )
1. 정의
- 척추 뼈는 여러개의 작은 뼈들이 탑과 같이 쌓여있는 형태입니다. 척추 뼈 뒷부분의 고리처럼 생긴 관절돌기가 위쪽과 아래쪽의 뼈를 고정하고 있습니다. 척추 전방전위증이란 이 관절돌기의 손상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위쪽의 척추뼈가 미끄러져 앞쪽으로 밀려나간 질환이다.
- 원인으로는 디스크와 관절의 퇴행, 선천적인 척추 이상, 사고, 충격으로 인한 척추관절 돌기 골절이 있다.
2. 임상소견
-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허리가 아프다.
-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아프다.
-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걷고 나면 허리나 엉치, 무릎 밑이 아프다.
- 허리를 반듯하게 편 상태에서 척추를 훑어 내려가며 만져볼 때 특정부위가 움푹 들어간 것이 느껴진다.
- 뒤뚱뒤뚱 오리같이 걷는 걸음걸이가 나타난다.
3. 검사
- X-ray로 척추뼈가 미끄러진 정도를 측정하고, 관절돌기의 골절 여부를 진단합니다. 그리고 다리저림과 같은 신경증상이 있을시에는 MRI로 신경압박의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5) 후관절 증후군 ( Facet Joint Syndrome )
1. 정의
통증에 예민한 후관절의 관절막이 급성외상이나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후관절막이 파열되거나, 관절염이 생기게 되어 후관절에 분포한 신경을 통해 통증이 유발되는 상태
Figure pat00003
< 요추부 후관절의 신경분포>
2. 증상
- 통증의 위치가 정확하게 느껴지지 않는 통증
- 둔부와 대퇴 후부까지 당기는 증상(디스크와 유사)
- 일반적으로 하지 방산통은 무릎 이하까지 방사되지 않음.
- 아침 기상 시 통증 증가, 활동 시 통증 감소 양상
- 전방굴곡 시 통증감소, 신전 및 측방굴곡 시 통증 증가
3. 양방적 처치
약물치료, 물리치료, 후관절 주사요법 등.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척추 및 관절 질환의 이학적(신경학적) 검사>
1) 심부건반사( Deep Tendon Reflex )
: 기본적인 검사법은 환자가 이완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을 모두 시행하며 양측 비교를 위해 다른 부위도 검사하여 차이점을 찾아야 한다. 심부건 반사는 근육의 수축하는 힘, 속도, 움직임의 범위에 따라 소실, 저하, 정상, 항진, 매우 항진으로 0등급에서 4등급으로 분류한다.
(1) 이두근 반사 (biceps reflex, C5.6): 주관절을 직각에 가깝게 구부리고 이두근 건위에 검사자의 엄지손가락을 올려놓고 손가락 위를 해머로 가격하면 이두근의 수측으로 전완이 굴곡 및 외회전(external rotation) 한다.
(2) 삼두근 반사(triceps reflex, C7.8): 척골 주두(olecranon)의 삼두근 기시부 위쪽을 가격하면 삼두근의 수축으로 앞팔이 신전된다.
(3) 슬개건 반사(patellar reflex or Knee jerk, L3.4): 피검사자를 검사 테이블에 앉혀 양다리를 테이블 아래로 늘어뜨리게 하거나 눕게 한 후 검사자의 손으로 피검사자의 무릎을 받친 후 슬개골 바로 아래의 슬개건을 가격하였을 때 사두근의 수축으로 무릎이 신전되는 것을 관찰한다.
(4) 아킬레스건 반사(Achilles tendon reflex or Ankle jerk, S1): 피검사자를 편히 눕게 한 후 무릎을 굽히고 외회전시킨 상태에서 발을 검사자의 손으로 배굴(Dorsiflexion) 시키거나 엎드리게 한 후 무릎을 구부리게 하고 발을 가볍게 배굴 시킨 후 아킬레스건을 가격하면 족관절이 신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2) 표재성 반사 ( Superficial Reflex )
: 피검사자의 피부나 점막에 자극을 주어 운동 반응을 검사하는 것.
(1) 거고근 반사(Cremasteric reflex, L1.2): 대퇴부의 안쪽 상부를 아랫방향으로 긁었을 때 동측 고환이 위로 올라가는 경우로 피질 척수로나 요수부에 병변이 있을 경우 소실된다.
*(2) 항문 반사(Anal Reflex, S2.3.4): 손가락을 항문에 넣고 회음부나 항문주변을 긁거나 찌르면 외항문 괄약근(external anal sphincter)이 수축하면 정상으로 천수부(sacral cord)나 마미(cauda equina)부에 병변이 있을 시 소실되며 손가락을 빼도 항문이 수축하지 않고 열려 있다.
(3) 구해면체 반사(Bulbocavernous Reflex, S3.4): 음경 포피나 귀두를 꼬집거나 가볍게 치면 구해면체 근의 수축이 기저부에서 보이거나 만져지면 정상이다.
3) 신경학적 검사 ( Neurological Examination )
(1) 척수 질환 (spinal cord disease)
① 호프만스 징후(Hoffman's sign): 환자의 팔과 손의 긴장을 풀게 한 후 환자의 2,3 수지 끝을 검사자의 엄지손톱으로 긁어 튕기면서 통증을 가하면 환자의 엄지나 그 외의 손가락이 튀는 경우 양성으로 하며 경추 제 6분지의 경로를 가지며 추체로에 이상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는 병적 반응이다. 하지만 환자의 근긴장이 심한 경우, 과잉 감작반응 및 정상적인 건강한 사람에게서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② 발목 간대성 경련 반사(Ankle Clonus Reflex): 환자의 족관절을 빠른 속도로 굴곡 시켰을 때 하퇴근육의 간대성 수축 이완이 반복적으로 4~5회 이상 일어나는 경우 양성으로 한다. 정상적으로 영아에서 나타날 수 있다.
③ 럿밋즈 징후(Lhermitte's sign):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머리를 최대한 굴곡하게 되면 등줄기나 사지로 전기가 흘러 내려가는 것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양성으로 하며, 경 척수의 병적상태 및 다발성 경화, 척수종양, 경추증, 후종인대 골화증(OPLL), 방사선 척수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④ 바빈스키 징후(Babinski's sign): 발바닥 외측부위를 장축 방향으로 자극하였을 때 엄지 발가락이 신전하며 모든 발가락이 벌어지는 경우 양성으로 하며 모든 발가락이 벌어지는 경우를 판 징후(Fan sign)이라 하고 생후 6개월에서 12개월까지 정상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추체로에 이상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는 병적 반응이다.
(2) 신경근 질환 (Root disease)
① 경추 신경근
i) 스퍼링스 징후(Spurling's sign): 상지 통증 방향으로 머리를 신전 후 측면 굴곡하고 머리를 내려 누르면 병변 부위의 신경공이 더욱 좁아져 신경근을 압박하게 되어 방사통이 유발될 경우 양성으로 경추 추간판 탈출증 및 신경공 협착증을 의심하며, 병변 반대편으로 머리를 기울이면 방사통이 사라진다.
ii) 견부 외전 검사(Shoulder abduction test): 증상이 있는 팔을 외전하여 손을 머리 위까지 올렸을 때 환자의 방사통, 저림 등의 증상이 없어지거나 줄어 들 때 양성으로 하며 경추 추간판 병변에 의한 이차적인 방사통임을 의미
iii) 목 신연 검사(Neck Distraction test): 평상시 상지 방사통이나 저린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검사자는 환자의 턱과 후두부를 잡고 부드럽게 환자의 머리를 밀어 올려 환자의 상지 방사통 등 증상이 사라지거나 경감되면 양성으로 하며, 압박 되었던 신경근이 경감되었음을 의미한다.
② 요추 신경근
i) 하지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sing test, SLRT): 환자가 베개를 베고 편하게 침대에 눕고 무릎을 곧게 한 후 증상이 없는 다리부터 발뒤꿈치를 검사자가 서서히 들어올려 요통이나 하지 동통이 유발 될 때 양성으로 하며 통증이 지나가는 신경근 분포에 따른 신경근이 압박됨을 의미하며 주로 하부요추 중 제 4/5/천추1 신경근을 압박하는 병변을 의심한다.
ii) 반측 하지 직거상 검사(Crossed Straight leg raising test): 수핵이 심하게 신경관 중심부로 탈출 되어 있는 경우 건측 하지를 직거상 하여 환측의 방사통이 악화 또는 유발되는 경우 양성으로 하며 이는 건측의 신경근의 견인으로 인하여 병변측의 신경이 탈출된 수핵으로부터 압박을 받기 때문이며 “페이튼 징후(Peyton Sign)”라고도 한다.
iii) 대퇴 신장 검사(Femoral Nerve Stretch Test): 환자를 편하게 엎드리게 하고 검사자의 한손으로 엉덩이를 누르면서 한손으로 환자의 무릎을 받쳐들어 올리거나 한 손으로 무릎 뒤를 누르고 한 손으로 발을 들어올려 무릎 굴곡을 시켜서 전 대퇴부나 정강이 부위로 통증이 유발되거나 평상시 환자가 불편했던 부분에 동통이 악화되면 양성으로 하며 주로 상부 요추 신경근 즉, 2.3.4 신경근 압박 병변을 의심한다.
iv) 활시위 징후(Bowstring Sign): 하지 직거상 검사를 할 때 양성 통증을 느끼는 시점에서 슬관절을 굴곡 시키고 슬관절 와부의 슬와신경 부위를 검사자의 엄지로 압박을 가했을 때 대퇴부 및 요추부에 통증이 발생되면 양성으로 하며 추간판 탈출로 인한 신경근 압박 상태에서 통증 실무율이 낮아 있기 때문에 원위부 슬와 신경 자극으로 통증이 유발된다.
v) 젖힘검사(Flip Test): 환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통증이 있는 하지의 슬관절을 완전 신전 시킬 때 하지 방사통의 발생과 동시에 상체를 뒤로 젖히는 경우 양성이며 일종의 가상적인 검사로써 SLRT에서 강한 방사통이 발생하였으나 젖힘 검사에서 방사통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환자는 실제 신경근의 긴장 소인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I . SJS H- MST 요법의 치료목표 및 치료 방법
1) 동작침법 ( Motion Style Treatment ; MST )
- 자침을 한 후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자침부위를 움직이게 하는 치료법으로 근골격계 질환의 부상 대상물에게 유효한 치료성과를 보이는 기법.
- 이때, 자침하는 침술법은 신경생리학적인 이론을 전통적인 침술이론에 접목시킨 치료법으로서 추나 요법과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흔히들 알고 있는 동자침법에서의 동기법과는 다른 치료법이다.
- MST의 치료법은 요통뿐만 아니라 각종 근골격계 질환에 광범위하게 운용이 가능하며, 중풍으로 인한 각종 마비성 증상에도 응용하여 임상적으로 유효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적응증( indication )>
; 적응증(indication)이란 단어는 의사나 약사들은 거의 매일 사용하는 용어일 정도로 일상적인 용어이지만, 임상시험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다. 적응증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우리나라 심사기관에서는 적응증을 "효능/효과”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유효성이 명확하게 실증될 수 있는 질환명 또는 증상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우 다음과 같은 부상 대상물가 적응증의 대상이 된다.
① 급성 요추염좌나 급성 추간판탈출증에 의하여 극심한 요부 및 하지부 통증으로 정상적인 거동이 힘든 부상 대상물.
*② 요추의 ROM이 극도로 제한될 만큼 심한 통증을 나타내며, 가동 혹은 체위변환시 통증의 증가가 심하여 부상 대상물 스스로 거동하는 것이 매우 힘든 부상 대상물가 대표적.
③ 하지부 방산통의 경우, 단순한 감각 둔감에서부터 하지부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등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보인다.
** 실증의 부상 대상물에게 적용한다.
* 맥이 실하고, 통증이 심할수록 H-MST의 적응증이 된다.
* 기운이 없고, 목소리에 힘이 없고,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등의 허증(虛症) 부상 대상물는 기운(self-healing power)을 먼저 보충한 뒤 며칠 후에 H-MST를 시행한다.
(Ex) 소화기 질환을 동반한 허증 부상 대상물의 치료 개요
Step 1. 곽향정기산 (1일, 설사와 복통 등의 증상 동반시)
Step 2. 인삼양위탕 + 안중산 (1일)
Step 3. 인삼양위탕 + 청웅바로
Step 4. 청파전 + 청웅바로
* 부상 대상물의 기운을 높인 다음에 디스크 치료로 전환해야 한다.
2) 치료개요 (부상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응용가능)
(1) 부상 대상물 상태파악 및 긴장 해소
① 간단한 문진후에 앙와위 상태에서 SLR 테스트를 시행하고 발목, 엄지발가락의 근력을 점검한 뒤, 대소변 장애가 없는지 확인하여 마미증후군을 배제한다.
② 앙와위 자세에서 장요근의 경결을 확인하여 경결이 확인되면 장요근 MST 를 시행하여 장요근의 경결을 해소한다. 척추가 휘어져 있거나 요방형근 부위에 압통을 호소하면 요방형근 MST를, 하지부와 둔부에 방사통과 이상감각을 호소하면 이상근 MST를 시행한다.
(2) 추나치료
족지 분석 및 천골 변위 분석 후 추나 요법을 시행한다.
- 단순 후하방 장골 교정법
- 복합 후하방 장골 교정법
- 복와위 천골 후하방 교정법
② 측와위 요추 신전법을 시행한다.
③ JS - 123 기법을 시행한다.
(3) 자침 및 H-MST 시행
3) 치료효과의 이론적 배경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1. 급성요통의 원인은 외력으로 척추 주위근육과 인대의 손상이나 후관절의 염좌 또는 추간판에서 섬유륜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수핵이 탈출되어 신경을 압박하여 나타난다. 이러한 연부조직 손상으로 통증 신호가 해당 분절의 척수 후각으로 들어가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고 그 분절이 지배하는 근육에 경련과 구축을 일으킨다. 따라서 임상증상은 척추의 모든 움직임이 통증과 근육 경련으로 인해 제한되고, 근육 강직이 나타난다 (이춘성. 맥납의 요통. 제4판. 서울:가본의학. 2008:179-80).
이렇게 갑작스런 운동제한은 환자들에게 걱정, 우울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되며 그로 인해 통증 신호가 지나가는 문을 열어 놓기 때문에 통증에 더욱 민감해지며 증상을 악화시킨다 (이춘성. 맥납의 요통. 제4판. 서울:가본의학. 2008:66).
2. 현재까지 급성요통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침상안정이다. 그러나 근육이 경직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침상안정은 척추 주위근육의 경련에 의한 허리의 잠김현상을 그대로 방치하여 요통을 지속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춘성. 맥납의 요통. 제4판. 서울:가본의학. 2008:180).
3. H-MST의 치료 원리는 일차적으로 척추 주위근육을 전반적으로 이완시키는데 있다. 부상 대상물를 견인하여 한쪽 또는 양측으로 구축된 척추주위근육에 지속적인 이완작용을 통해 증상을 호전시킨다.
4. 양쪽의 보조자를 통해 척추 주위근육이 이완될 때 기계적인 작용으로 척추 사이 디스크를 분리시켜 척추 종판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없애며, 반사작용으로 근육을 늘여주며, 그것이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분절의 기계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반사적으로 보호적인 근육 경계(guarding)을 풀어준다. H-MST에서는 자침을 통해 진통효과를 얻는다 (최훈. 척추 통증의 진단과 치료 제2판. 서울:군자출판사. 2008:225).
Figure pat00009
5. 또한 환자는 심리적인 영향으로 통증에 더욱 민감해지고 증상을 악화시키는데 주위의 격려와 실제로 보행하는 자세를 취했을 때 안도감이 통증신호가 지나가는 문을 닫게 만들어 통증을 줄인다 (이춘성. 맥납의 요통. 제4판. 서울:가본의학. 2008:64).
6. 급성요통 발생시 척추 주위근육의 신경전도 반응속도가 달라져 자세 유지 시스템이 불안정해져 보행이 더욱 힘들게 되는데 양쪽의 시술자가 척추 주위근육의 역할을 대신하여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점차적으로 불안정한 자세 유지 시스템을 안정화시켜 스스로 보행할 수 있게 한다.
7. Seze에 의하면 디스크로 인한 급성요통은 뒤쪽 디스크내 차단으로 일어난다. 속질핵의 파편이 섬유테 틈새로 끼어들어 유일하게 신경지배를 받고 있는 겉쪽의 섬유들을 팽창시킨다. 이 바깥쪽 섬유들의 팽창이 통증의 주된 원인으로 보이는데, 후종인대 위로 튀어나온 디스크에 의해 갑자기 가해지는 압력 때문으로도 통증이 올 수 있다 (최훈.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 제2판. 서울:군자출판사. 2008:337-8).
H-MST는 급성 디스크 탈출로 인한 통증에 척추를 견인하여 후방종인대(post. Longitudinal lig.)가 팽팽해져 섬유테(annulus fibrosus)를 앞으로 밀게 되며, 또한 추간판내 압력이 감소되어 빨아들이는 힘이 생겨, 나왔던 수핵이 흡수되게 된다 (Cyriax JH : Discussion on the treatment of backache by traction. Proc R Soo Med 45: 808-811, 1955.).
Figure pat00010
디스크 스페이스가 넓혀지고 후종인대가 신장되어 탄력성을 가지게 되면 치료후에 그 공간이 유지되어 치료효과가 극대화되는데, 주변의 혈액순환이 증가하여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염증매개 물질이 빠르게 흡수되어 울혈을 풀어주고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최훈.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 제2판. 서울:군자출판사. 2008:225).
<주의사항>
① 급성기 요통 부상 대상물이 내원하였을 때, 척추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군에 대하여 기본적인 긴장완화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장요근, 요방형근, 척추 기립근 등의 근육들이 긴장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요통을 배가시키고 지속시키는 데에 큰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③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의 경우, 추나 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국소적인 처치보다는 척추 전반에 걸쳐 척추의 긴장을 완화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부위를 교정하려는 의미보다는 척추 전반에 걸쳐 누적된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④ 극심한 요통부상 대상물의 경우, 가동시뿐만 아니라 안정시에도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리한 추나 요법은 오히려 해당 근육군에 대한 긴장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Help (H)- MST 치료방법
(1) SLR Test, 근력검사(Dorsiflexion, Plantarflexion, Big Toe Extension) 및 문진 등을 통하여 부상 대상물의 상태를 확인한다.
(2) SLR Test시 하지거상이 잘 안 되는 쪽의 장요근 경결을 확인한 후 장요근 MST를 시행하여 장요근의 경결을 해소한다. <장요근 MST 참조>
* 장요근 MST 후 SLR 테스트를 재시행하여 호전도를 살펴본다.
(3) 골반교정, 측와위 요추 신전법, JS-123 등의 추나 치료를 시행한다. (부상 대상물의 통증이 증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시행해야 한다).
(4) 추나 치료후 요방형근 MST와 이상근 MST를 시행한다. < 요방형근 , 이상근 MST 참조>
(5) 추나 치료 및 침 치료 후 측와위로 돌아눕게 하여 부상 대상물를 일으킨다.
* 부상 대상물의 다리가 침대에서 먼저 내려오도록 하며, 양쪽에서 의사 2명은 부상 대상물를 도와 부상 대상물가 몸을 굴리듯이 일어나도록 보조한다.
(6) 부상 대상물의 양측에서 팔과 허리 부위를 단단히 밀착시켜 견인한 채로 기립시킨다.
* 바로 섰을 때 부상 대상물의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을 수 있는 정도로 견인한다 (발뒤꿈치가 바닥에서 뜨지 않도록 주의할 것).
* 부상 대상물 견인시 의사와 부상 대상물 간의 키가 잘 맞아야 한다.
① 부상 대상물의 상지가 일직선이 되도록 견인자가 조절하여 당겨야 하며 부상 대상물의 주관절과 액와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견인자는 옆구리면을 부상 대상물의 체간부와 최대한 밀착하여 부상 대상물의 요추부위가 확실하게 견인될 수 있게 시술한다.
* 부상 대상물의 키가 작더라도 부상 대상물의 팔꿈치를 목에 걸어서 견인하는 것이 좋다. 부상 대상물가 의사를 지지하는 팔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부상 대상물는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팔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 부상 대상물가 키가 작아서 부상 대상물의 겨드랑이만을 견인할 경우 어깨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의사와 부상 대상물의 몸이 밀착되지 않아 제대로 된 견인력을 발생시키지 못할 수 있다.
* 만약 시술자의 키가 부상 대상물보다 지나치게 클 경우, 부상 대상물의 상완이 아닌 전완 부위를 견인하여 부상 대상물가 편안하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부상 대상물보다 시술자의 키가 클 경우 부상 대상물가 통증 및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7) 자침 (0.25*40 / 총 5 혈) : 양측 행간, 양측 곡지, 풍부
* 행간혈에 자침시 직자(수직 자침)를 하게 되면 보행시 통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자(경사 자침)(약 30도)해야 한다.
* 자침중에 부상 대상물이 깜짝 놀라는 반응을 보일 경우 발침할 때 그 혈자리에서 내출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발침시에 마른 솜으로 꾹 눌러주어 내출혈을 예방해야 한다.
* 곡지혈을 자침할 때에는 팔꿈치를 약간 굽힌 상태에서 자침해야 한다.
(8) 자침 후 견인자와 발을 맞추어 제자리 걸음을 실시한다.
* 제자리 걸음을 할 때 자침부위의 통증 유무를 확인하여 부상 대상물을 안심시킨다.
(9) 제자리 걸음에서 이상이 없다면, 천천히 앞으로 보행을 시작한다
* 걷는 도중에 부상 대상물와 균형을 맞추며, 속도가 빨라져서 부상 대상물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한다. H-MST 치료 초반에는 천천히 구령을 붙여가며 부상 대상물과의 균형을 유지한다.
* 부상 대상물의 보행을 따라가며 풍부혈에 살짝 약한 자극을 주며 부상 대상물을 컨트롤 한다.
(10) H-MST 치료 중간에 부상 대상물에게 티칭을 하여 치료효과를 높인다.
(11) 부상 대상물의 상태를 살펴 견인의 단계(3단계→0단계/건측→환측)를 낮춘다.
* 단계를 낮출 때마다 시간간격을 두고 부상 대상물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진행한다.
- 3단계(100%의 견인): 부상 대상물과 시술자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 2단계(50%의 견인): 견인하는 힘을 50% 감소시켜, 약간 느슨하게 풀어준다.
- 1단계(20% 이하의 견인): 견인력은 최소로 하여 거의 힘을 주지 말아야 한다.
- 0단계: 견인자는 빠지고 부상 대상물 스스로 손을 흔들며 걷는다.
① 건측을 먼저 3단계에서 2단계, 2단계에서 1단계로 낮추어 준다.
② 부상 대상물이 건측을 낮추어도 보행이 가능한 정도가 되면 환측을 3단계에서 2단계로 낮추어 준다.
③ 건측을 1단계에서 0단계로 낮추고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건측의 손을 앞뒤로 흔들며 걷도록 지시한다.
④ 환측은 2단계 견인에서 서서히 1단계, 0단계로 낮추어 부상 대상물 스스로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 부상 대상물에게 자신감을 주기 위해 H-MST 시술동안 힘있게 구령을 붙여주도록 한다.
(12) 부상 대상물 스스로 약 20~30m가량 보행하게 한 뒤 발침한다
* 부상 대상물 스스로 보행을 할 때에는 부상 대상물가 자신감을 갖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시를 해준다.
(13) 발침한 뒤 부상 대상물에게 허리를 좌우로 회전하게 하여 스트레칭시키고, 이렇게 움직여도 통증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한다.
(14) 치료효과가 나타났다면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 H-MST를 시행한 후에는 30분 정도 침상에 눕혀 안정시켜야 한다.
* 치료 후에 바로 앉아있거나 하지 못하도록 주의시킨다.
* 부상 대상물이 치료를 받으며 체력을 많이 소모하거나 긴장했을 경우 우황청심환을 1회 복용하는 것도 좋다.
이상은 동작 침술요법 중에서도 보조자가 참여하는 Help-SMT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상 대상물 스스로 거동할 수 있을 때 시행하는 동작 침술요법 (Walker-SMT; Self-Walking-SMT; Sandbag-SMT)도 본 발명에 포함되며 이들 동작 침술요법은 Help-SMT를 수행하여 증세가 호전된 부상 대상물들에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들을 다음과 같이 간략히 소개한다.
5) 단계별 MST
Step 1 : Help - MST (H- MST )
- 급성 요부 염좌 및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하여 부상 대상물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할 경우 응급으로 시행한다.
- 부상 대상물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하므로 부상 대상물의 양측 어깨를 의사 2명 견인하여 요추부 긴장을 해소하여 부상 대상물로 하여금 스스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Step 2 : Walker - MST (W- MST ) <H- MST 관련 설명 참조>
- H-MST 후 부상 대상물 스스로 거동은 가능하지만 보행 시 허리가 틀어지거나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경우, 워커 없이 보행이 어려운 상태에 시행한다.
- 2명의 의사가 견인하는 대신 워커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견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Step 3 : Self walking - MST ( SW - MST )
- 워커를 이용한 보행에서는 통증 없이 20분 정도 보행가능하며 부상 대상물이 자기보행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보행시 불편감이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Step 4 : Sandbag - MST ( SSW - MST )
- 부상 대상물이 일상생활 및 자기보행은 통증 없이 가능한 상태이나, 추간판의 퇴행을 동반한 요부의 통증이 있을 때 척추 주변 인대 강화를 목표로 시행한다.
6) 자침 부위별 설명 (행간, 곡지 , 풍부의 경혈학적 의의)
: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침술요법에서 자침시 적용되는 주요한 경혈부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행간(行間, LR2)
- 행간은 간경의 형혈(滎穴)로서 족궐음간경의 기운을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족궐음의 경맥의 가지는 태음­소양경의 맥과 같이 허리와 골반 아래, 중료(Bladder channel B33) ­ 하료(Bladder Channel B34)의 사이에 뭉치므로 경락의 기가 막혀서 움직이지 못하면 요통이 생기며 또한, 치료의 경락이 되므로 행간을 이용하여 이를 치료할 수가 있는 것이다.
(2) 곡지(曲池, LI11)
- 곡지는 병적인 열을 없애고 관절을 이롭게 하며 기혈을 조정해주는 자리이다. 기는 사람의 생리활동과 외부활동을 하는 생명에너지로서 추동작용(기를 움직이게 하는 작용), 온조작용(따뜻하게 하는 작용), 방어작용, 기화작용(기를 변화시키는 작용), 고섭작용(기가 다른 경로로 가지 않게 하는 작용)의 다섯 가지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곡지혈(曲池穴)을 취해 영 ­ 위기(營 ­ 衛氣)의 조화, 명문(命門穴; GV4)을 선택하여 원기(原氣)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내영(內營)을 통하여 조기(調氣)의 효능을 얻어 치료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3) 풍부(風府, GV16) : 독맥
- 풍부는 풍사를 제거하고 정신과 뜻을 맑게 하며 화기를 배출하는 효능을 가진다. 경항강통(목과 목덜미가 뻣뻣해지면서 아픈 증상; neck & nuchal pain), 사지마목, 감모, 두통, 중풍, 정신과 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7) 치료 부위에 관한 용어 설명
(1) 장요근 (Iliopsoas muscle); 장요근은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근육이다. 우리가 오랫동안 앉아있으면 장요근은 짧아진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육은 자연적인 신장성(신축성)을 잃어버리고, 점차 짧아지고 타이트해진다. 장요근이 짧아짐에 따라 사람은 점차 허리가 굽어지고(sway back) 자세가 구부정해진다.
(2) 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 muscle); 척추 옆쪽에 붙어있는 근육으로, 요방형근은 요통의 만성적인 원인을 일으킨다. 특히 방사통 자체는 골반이나 하지에서 주로 방사되고, 발병시 소둔근과 함께 가성 디스크 증후군이나 수술을 해도 소용이 없는 통증을 가져오기도 한다. 요방형근 단독으로 증상을 제어하기 보다는 천층(외측)의 근육들과 연관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이상근 (Piriformis muscle); 이상근은 중둔근과 소둔근의 심부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하지로 내려가는 좌골 신경을 외회전근(상하쌍자근, 내외폐쇄근, 대퇴방형근)과 사이에 끼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과 함께 관리하여야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근육이다.
이상근의 외측 부착지점은 소둔근 부착지점의 바로 아래쪽 대전자 윗면의 내측면에 부착하며, 내측 부착지점은 천골의 안쪽면에 부착하므로 천골의 움직임 및 변화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주는 근육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추 치료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요추의 통증 및 증세가 심한 경우 자침후 동작침법을 시행하기 전에 먼저, 시술된 침에 동작을 부여하여 경혈점 부위의 근육이나 인대, 신경 등을 이완시킨 뒤에 부상 대상물 스스로 동작침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의 경우 척추 전반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추나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이는 특정 부위를 교정하기 보다는 척추 전반에 걸쳐 누적된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침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은 단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계획]
전향적 무작위 시험연구에서, 58명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그 대상은: (a) MST 처치를 받는 그룹 (n=29) 및 (b) NSAID 처치를 받는 대조군 (n=20) 이다.
대상자들은 요통(LBP)의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가 60%인 급성요통 부상 대상물 중에서 모집하며, 양 그룹의 모든 치료절치는 1회의 기간으로 제한한다. 임상결과의 측정은 치료하기 전 및 치료하고 나서 30분 후에 각각 취득한다.
부상 대상물의 전반적 인상 변화, 요추의 동작범위(ROM), 하지 직거상(SLR) 정도 등을 고려하며, 두 참가자 그룹에서 수집한 숫자 통증등급(Numeric Rating Scale: NRS)과 척추기능 장애지수(Oswetry Disability Index: ODI) 결과를 분석한다.
검토
본 임상연구의 결과를 검토한다.
[방법]
개요
이 연구는 두 기관(서울의 자생 한방병원 및 부천 자생 한방병원)에 대한 임상연구 심의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뒤 상기 두 병원에서 수행한다. 자생 한방병원의 외래 환자 중 58명을 본 연구의 참가자로 등록한다. H-MST 처치를 받을 29명 의 대상자 및 NSAID 처치를 받을 29명의 대조군 대상자를 선별한다. 각각의 그룹에 대해 H-MST 및 NSAID 주사 처치를 행한다 (도 1 참조).
지원자 모집
급성요통으로 자생 한방병원(서울) 및 부천 자생 한방병원(부천)에 다니는 외래환자들을 치료 그룹으로 모집한다. 환자들이 본 연구의 참가에 관심을 가질 경우, 시험연구자와 만나 사전선별시의 적격성 여부를 결정한다. 신청자가 연구 기준에 적합할 경우, 이 신청자는 의사에게 적격성 검사를 받는다. 다음, 시험연구자는 각각의 적격 참여자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받고서 기초 설문지를 배부한다.
적격성 (실험 그룹으로서의)
채택기준
* 척추기능 장애지수(ODI) = 60%로 정의되는 심각한 장애를 겪는 환자.
* 20세 내지 60세의 환자.
* 요추 자기공명 영상 촬영(MRI)을 수용하고 그 절차에 동의하는 환자,
*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가할 것에 동의하고 제공된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
제외기준
* 요통을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예, 암, 척추골절, 척수감염, 염증성 척추염, 말총압박 (즉, 마미증후군) 혹은 기타의 부적격 상태)이 있는 것으로 진단된 환자.
* 치료 효과 혹은 치료 결과의 해석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만성 질환(예, 심혈관계 질환, 당뇨성 신경병증, 섬유근통, 류마티스 관절염, 치매, 간질 혹은 기타의 부적격 상태)이 있는 환자.
* 진행성 신경계 결함 혹은 심각한 신경계 증후군의 환자.
* 침술 치료가 부적절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환자 (예, 출혈성 질환, 응고장애, 항응고제 요법, 감염 위험이 있는 중증 당뇨병, 중증 심혈관계 질환 혹은 기타의 부적격 상태).
* 현재 부신피질 호르몬이나 면역억제 약물, 정신의학 약제, 혹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의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 현재 임신중이거나 임신계획이 있는 환자.
* 시험연구자가 임상연구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한 환자.
치료규칙
숫자 통증등급(Numeric Rating Scale: NRS)과 척추기능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결과를 수집한 후, 후속 20분간 58명의 대상자에게 1회의 MST 치료를 제공한다. 두번째 결과지는 치료 개시 30분 후에 수거한다.
MST 방법
침술 치료는 3년 이상의 의료경험을 가진 한의사가 시행한다. 의사들은 시행규약대로 침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 참여하기에 앞서 3회의 워크샵 기간을 완수해야 한다
제일 먼저, 환자의 신발과 양말을 벗기고 덧신을 신겨준 후, 보조자들이 대상자의 양 옆에 서서 그 어깨에 팔을 둘러 대상자가 설 수 있도록 돕는다. 보조자들은 선 상태로 대상자의 팔을 자신의 어깨에 올린 상태에서 보조자들이 손을 들어올리듯이 각각 대상자의 손과 허리를 견인한다. 이때 보조자는 옆구리면을 환자와 최대한 밀착하여 환자의 몸이 충분히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의사가 1회용 침을 10 내지 15 mm 깊이로 환자의 풍부(風府)(GV16)와 행간(LR2) 및 곡지(LI11)의 양측에 자침한다. 경혈점은 전통적인 한의학 이론 및 과거의 임상 의료경험에 따라 선택했다. GV16 및 LI11의 양 측면부에 자침할 때, 침은 몸체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LR2의 경우, 침은 몸체 표면에 대해 30° 각도로 배치된다. 본 방법에서 특별한 수기적 치료술은 이용되지 않는다. 1회용 멸균침 (40 mm × 0.25 mm; 동방 침술, 대한민국 성남 소재)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서태평양 지역사무처의 표준 경혈위치에 기초한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18]. 침이 아직 제 위치에 있는 동안, 대상자에게 보조자의 부축을 받으면서 걸어보도록 청한다. 대상자의 걷기가 향상되고 통증이 경감되면, 의사는 보조자에게 3단계에 걸쳐 점차 조력을 줄이면서 지속적으로 환자와 함께 걷도록 지시한다. 대상자의 걷기 능력이 향상되고 통증이 완화되면, 부축을 더 줄이고 보조자 중 1명은 부축을 중단한다. 대상자가 큰 배부통을 느끼지 않고 걸을 수 있게 되면, 나머지 1명의 보조자가 조력을 중단한다. 대상자가 큰 통증 없이 걸을 수 있을 경우, 치료를 중단한다. 이러한 과정에 약 20분이 소요된다.
치료중 대상자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한 통증 때문에 치료를 거부할 경우, 과정을 즉시 중단하고 통증 증가도 및 비정상적인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여 기록한다.
[결과(성과) 측정]
환자 스크리닝시, 이들은 성별, 연령, 키, 몸무게, 혈압, 병력 및 기타의 요인에 대한 설문지를 완성한다. 대상자가 연구에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들의 ODI를 설문 내용에 따라 산정한다. 배부통 병력, 통증 강도, 기능 상태 및 기타 요인을 설문조사한다. 또한, 신체검사, X-선 및 척추 MRI 검사를 받도록 한다. 환자의 배부통은 기저선(즉, 치료전) 및 치료 뒤 30분 후에 각각 평가한다. 이는, MST에 의한 통증 완화 및 동작 개선이 치료 직후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각 치료 그룹의 동정에 대한 정보가 차단되고 침술 요법에 참여하지 않는 시험연구자들은 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임상치료 결과의 측정
요통 및 하지통증의 강도 등의 주요 증상 및 환자의 기능성 등의 임상치료 결과의 측정값은 NRS, ODI 설문 및 환자의 전반적 인상 변화(PGIC) 등을 통해 평가한다.
NRS는 주관적인 평가 표시자이나 간단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NRS에 있어서, 환자는 0 내지 10의 범위에서 현재의 통증 수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숫자를 선택한다 (0은 통증 없음, 10은 대상자가 경험한 것 중 가장 큰 통증을 각각 나타낸다) [19, 20]. 통증의 심각도가 휴지기와 활동기 간에 상이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하여 오차를 줄인다: "귀하가 움직이려고 할 때 느끼는 통증 강도를 표시하세요."
배부통에 관한 NRS를 치료전 및 치료 30분 후에 취득한다.
ODI 설문은 요추 통증에 관한 장애도 평가를 위해 개발된 10개의 항목으로 된 설문이다 [21]. 각각의 카테고리는 6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는 0 내지 5점으로 표시된다. 점수가 높으면 장애도가 심각함을 나타낸다. 승인을 받은 한국판 ODI 설문[22]은 치료전 및 치료 30분 후에 시행한다.
배부통 개선 및 배부통에 의해 제한된 운동성 개선에 대한 종합 평가를 완료하기 위해, 환자의 전반적 인상 변화(PGIC)[19, 23]를 측정한다. PGIC는 환자가 다음과 같은 7 단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개선 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이들 단계는: 1, 현저히 개선됨; 2, 많이 개선됨; 3; 조금 개선됨; 4, 변화 없음; 5, 조금 악화됨; 6, 많이 악화됨; 혹은 7, 극도로 악화됨 등이다. 이들 표시자는 처음엔 정신의학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기타의 의료 분야에서도 통증의 개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PGIC는 치료 30분 후 각 환자에 대해 측정한다.
상기 연구는 심한 통증 탓에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에 대해 수행하므로, 치료전 및 치료 30분 후에 이 움직임의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 ROM과 SLR 정도를 검사한다. ROM 측정은 신뢰가능한 수준 (r = 0.94) 및 유효 수준 (r = 0.97) 이나 [24], 매우 유의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유효 크기 = 0.1 - 0.6) [25]. 또한, SLR 측정은 신뢰할 수 있으며 (급내 상관계수 = 0.95) [26], 감수도는 0.8 (72 - 97%), 특이성은 0.4 (11 - 66%)이나 [27], 이 역시 매우 유의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유효 크기= 0.2) [25]. ROM 및 SLR 측정에 대한 반응성이 크지 않으므로, 이것을 1차 결과 측정값 대신 2차 결과 측정값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ROM은, 환자의 완전 신장 및 굴신력 상태에서 환자의 척수와 수직선 간의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한다. 통증 때문에 측정이 불가할 경우, 이 각도는 0°로 기록한다. SLR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환자가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펴고 천천히 하나씩 들어올릴 때의 하지 각도를 확인한다. 들어올린 다리와 바닥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다.
요통 환자는 하지 통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 통증을 기록하여 증세 개선을 개선하고, 통증 정도를 NRS를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을 각기 측정한다. 하지 통증 정도는 또한 휴지기 및 활동 중에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 NRS를 평가할 때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요청하여 "움직이려고 할 때 귀하가 느끼는 통증 강도를 표시하세요" 라는 질문에 답하도록 한다. 하지 통증에 대한 NRS를 치료전과 치료 30분 후에 확인한다.
실험예 - 심각한 장애를 동반한 급성요통에 대한 동작침법( MST )의 즉시적 효과;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임상실험 {Immediate effects of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MST) in acute low back pain with severe disabilit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척추기능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값이 60%를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된 심각한 기능장애를 가진 58명의 aLBP 참가자를 무작위로 MST 그룹(n=29) 혹은 종래의 디클로페낙 주사 그룹(n=29)으로 나누었다 (하기 표 참조).
성별 (남성:여성) 연령 (세) 기간(일수)
MST 그룹 (n=29) 1:0.5 37.9 2.9일
주사 그룹 (n=29) 1:0.9 38.7 2.7일
모든 시행 절차는 제1기 치료로 한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 치료 전 및 치료 뒤 30분 후에 각각 평가했다. 최초 결과에서, aLBP 강도는 숫자 통증등급(NRS)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1차 결과에서, 하지통증 강도는 NRS를 이용하여 측정했으며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는 이는 OD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치료 뒤 30분 후, MST 그룹은 LBP, 신경근성 통증 및 ODI 점수에 있어서 각각, 3.8±2.1 (p<0.001), 1.2±1.9 (p=0.001) 및 33.5±15.2% (p<0.001)의 현저한 NRS 감소율을 나타냈다. 디클로페낙 주사 그룹의 경우, LBP에 대한 NRS는 0.7±1.1 (P=0.002)만큼 감소했으나, 신경근성 통증 및 ODI 점수의 경우 감소율이 각각, 0.3±0.7 (P=0.055) 및 0.4±6.6% (P=0.866) 정도에 그쳤다. 또한, MST 그룹에서 LBP(p<0.001), 신경근성 통증(p=0.008) 및 ODI 점수(p<0.001)의 NRS는 디클로페낙 주사 그룹의 경우보다 훨씬 낮았다 (하기 도 3 참조).
상기 표에 나타낸 두 그룹간 평균치 비교는 독립적인 t-테스트를 통해 행하였으며, 또한 각 그룹 내에서의 평균치 비교는 한쌍의 t-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이들 테스트의 결과를 첨부 도면(도 3 참조)과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표시(*)는 치료전 기저값 대비시 큰 차이를 보이며(0.001 ≤ P < 0.01), 표시(**)는 훨씬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P < 0.001)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MST가 심각한 장애를 동반한 aLBP 부상 대상물의 즉시적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에 관련하여 양성의 효과를 나타냈음을 시사한다. MST가 전통적인 침술요법보다 훨씬 탁월한지의 여부는 상술한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용 약어의 정리]
MST: 동작 침술요법 (동작침법);
ODI: 척추기능장애지수;
MRI: 자기공명 영상촬영;
NRS: 숫자 통증등급;
CRF: 증례 기록서;
ROM: 동작범위;
SLR: 하지 직거상;
*PGIC: 부상 대상물의 전반적 인상 변화
[참조문헌]
1. Rubin D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spine pain. Neurol Clin 2007, 25(2):353-371.
*2. Luo X, Pietrobon R, Sun SX, Liu GG, Hey L: Estimates and patterns of direct health care expenditures among individuals with back pain in the United States. Spine (Phila Pa 1976) 2004, 29(1):79-86.
3. Pengel LH, Herbert RD, Maher CG, Refshauge KM: Acute low back pain: systematic review of its prognosis. BMJ 2003, 327(7410):323.
4. Waddell G: 1987 Volvo award in clinical sciences. A new clinical model for the treatment of low-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87, 12(7):632-644.
5. Woolf AD, Pfleger B: Burden of major musculoskeletal conditions. Bull World Health Organ 2003, 81(9):646-656.
6. Koes BW, van Tulder MW, Thomas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BMJ 2006, 332(7555):1430-1434.
7. Evans GR, University of Bristol. Health Care Evaluation Unit.: Low back pain: an evaluation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University of Bristol, Health Care Evaluation Unit; 1996.
8. Bigos SJ: Acute low back problems in adults: Rockville, Md. Executive Office Center, Suite 501, 2101 E. Jefferson St., Rockville, 20852: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1994.
9. Chou R, Qaseem A, Snow V, Casey D, Cross JT,Jr, Shekelle P, Owens DK, Clinical Efficac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merican Pain Society Low Back Pain Guidelines Panel: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a joi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American Pain Society. Ann Intern Med 2007, 147(7):478-491.
10. van Tulder M, Becker A, Bekkering T, Breen A, del Real MT, Hutchinson A, Koes B, Laerum E, Malmivaara A, COST B13 Working Group o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Chapter 3.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nonspecific 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Eur Spine J 2006, 15 Suppl 2:S169-91.
11. Roelofs PDDM, Deyo RA, Koes BW, Scholten RJPM, Van Tulder MW: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for low back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 (1) CD000396(pub3).
12. Gra H, Bertram C, Schuff A, Dettmeyer R: PHARMACOLOGY OF ACUTE PAIN Intramuscular injection of diclofenac Forensic aspects of risk assessment and informed Consent. Rechtsmedizin 2006, 16(3):161-164.
13. Naesdal J, Brown K: NSAID-associated adverse effects and acid control aids to prevent them: a review of current treatment options. Drug Saf 2006, 29(2):119-132.
14. W. A. Herrmann, M. S. Geertsen: Efficacy and safety of lornoxicam compared with placebo and diclofenac in acute sciatica/lumbo-sciatica: an analysis from a randomised, double-blind, multicentre, parallel-group study. Internat J Clin Prac 2009, Volume 63(Issue 11):1613-1621.
15. Furlan AD, van Tulder M, Cherkin D, Tsukayama H, Lao L, Koes B, Berman B: Acupuncture and dry-needling for low back pai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chrane collaboration. Spine (Phila Pa 1976) 2005, 30(8):944-963.
16. Park JJ, Shin J, Choi Y, Youn Y, Lee S, Kwon SR, Lee H, Kang MH, Ha IH, Shin I: Integrative package for low back pain with leg pain in Korea: a prospective cohort study. Complement Ther Med 2010, 18(2):78-86.
17. Machin D, Machin D: Sample size tables for clinical studies: 2nd ed. Oxford England ; Malden, MA, USA: Blackwell Science; 1997.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2008.
19. Farrar JT, Young JP,Jr, LaMoreaux L, Werth JL, Poole RM: Clinical importance of changes in chronic pain intensity measured on an 11-point numerical pain rating scale. Pain 2001, 94(2):149-158.
20. Turk DC, Rudy TE, Sorkin BA: Neglected topics in chronic pain treatment outcome studies: determination of success. Pain 1993, 53(1):3-16.
21. Fairbank JC, Pynsent PB: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Phila Pa 1976) 2000, 25(22):2940-52; discussion 2952.
22. Jeon CH, Kim DJ, Kim SK, Kim DJ, Lee HM, Park HJ: Validation in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J Korean Med Sci 2006, 21(6):1092-1097.
23. Guy W,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 Psychopharmacology Research Branch, Early Clinical Drug Evaluation Program: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Rev ed. Rockville, Md.: U. S. Dep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Alcohol,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Psychopharmacology Research Branch, Division of Extramural Research Programs; 1976.
24. Saur PM, Ensink FB, Frese K, Seeger D, Hildebrandt J: Lumbar range of mo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clinometer technique in the clinical measurement of trunk flexibility. Spine (Phila Pa 1976) 1996, 21(11):1332-1338.
25. Hart DL, Werneke MW: Re: Pengel LHM, Refshauge KM, Maher CG. Responsiveness of pain, disability, and physical impair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4, 29(8):879-883
26. Chow R, Adams R, Herbert R: Straight leg raise test high reliability is not a motor memory artefact. Aust J Physiother 1994, 40:107-111.
27. Rebain R, Baxter GD, McDonough S: A systematic review of the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test as a diagnostic aid for low back pain (1989 to 2000). Spine (Phila Pa 1976) 2002, 27(17):E388-395.]

Claims (5)

  1. 해당 대상처의 경혈에 자침하고 침을 꽂은 상태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대상처의 근육을 동작시킴으로써, 자침 대상처의 기(氣) 순환을 극대화시키고,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해당 대상처의 근육 및 인대, 신경에 대한 침의 자극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기술인 동작침법(MST)을 이용한 급성요통 치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과정을 수행하는데 1시간 미만이 소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치료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혈점은 전통적인 한의학 이론 및 과거의 임상 의료경험에 따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치료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GV16 및 L111의 양 측면부에 자침할 때, 침은 몸체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LR2의 경우, 침은 몸체 표면에 대해 30°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치료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침법 시술 전에 해당 환부의 근육이나 인대를 이완시키는 추나요법을 전처리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침법을 이용한 급성요통 치료방법.
KR1020130135444A 2012-11-08 2013-11-08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KR20140059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62 2012-11-08
KR1020120126262A KR20140068282A (ko) 2012-11-08 2012-11-08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및 이에 따른 통증개선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48A true KR20140059748A (ko) 2014-05-16

Family

ID=486257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62A KR20140068282A (ko) 2012-11-08 2012-11-08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및 이에 따른 통증개선 측정방법
KR1020130135444A KR20140059748A (ko) 2012-11-08 2013-11-08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62A KR20140068282A (ko) 2012-11-08 2012-11-08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및 이에 따른 통증개선 측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40128899A1 (ko)
EP (1) EP2730267A1 (ko)
KR (2) KR201400682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690B2 (en) 2003-03-28 2007-08-21 Relievant Medsystems, Inc. Windowed thermal ablation probe
US6907884B2 (en) 2002-09-30 2005-06-21 Depay Acromed, Inc. Method of straddling an intraosseous nerve
US8361067B2 (en) 2002-09-30 2013-01-29 Relievant Medsystems, Inc. Methods of therapeutically heating a vertebral body to treat back pain
US10028753B2 (en) 2008-09-26 2018-07-24 Relievant Medsystems, Inc. Spine treatment kits
JP5688022B2 (ja) 2008-09-26 2015-03-25 リリーバント メド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の内部を通って器具を誘導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3101772A1 (en) 2011-12-30 2013-07-04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ack pain
US10588691B2 (en) 2012-09-12 2020-03-17 Relievant Medsystems, Inc. Radiofrequency ablation of tissue within a vertebral body
EP2914186B1 (en) 2012-11-05 2019-03-13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for creating curved paths through bone and modulating nerves within the bone
US9724151B2 (en) 2013-08-08 2017-08-08 Relievant Medsystems, Inc. Modulating nerves within bone using bone fasteners
US10751249B2 (en) 2017-11-26 2020-08-25 Johnson Athletic Advantage LLC Trigger point dry needling in motion and method of use
US20190336761A1 (en) * 2018-05-01 2019-11-07 Joo Hyeong Yoo Hands-free nerve stimulating ball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same
RU2702120C1 (ru) * 2018-08-15 2019-10-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ждународный центр традиционной и альтернативной медицины "АПИ" под руководством И.В. Кривопалова - Москвина Лечение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по методу и.кривопалова-москвина
CN110638451B (zh) * 2019-08-21 2023-04-07 福建中医药大学 一种电针启动时间的计算方法及装置
AU2020346827A1 (en) 2019-09-12 2022-03-31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modulation
CN113223703A (zh) * 2021-05-19 2021-08-06 中科彭州智慧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评估中医理疗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211A (ko) * 2004-11-01 2004-11-26 신준식 동작요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방법
US20090126082A1 (en) * 2005-10-31 2009-05-21 Gregory Clayton Janes Surgical S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8899A1 (en) 2014-05-08
EP2730267A1 (en) 2014-05-14
KR20140068282A (ko) 2014-06-09
US20160074279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9748A (ko) 급성요통의 경감에 효과적인 동작침법을 이용한 요통 치료방법
Rahlf et al. Kinesio taping improves perceptions of pain and function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anos et al.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approach to pain
Yao et al. Clinical observation of sinew-regulating bone-setting manipulations plus exercise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RU254175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миофасциальным болевым синдромом при патологи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BASSEM et al. Difference between neurodynamic mobilization and stretching exercises for chronic discogenic sciatica
Arora et al. Efficacy Of Yogasana In The Management Of Grudhrasi (Sciatica)
Arya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kinesiotaping and low dye taping in improving pain and disability in subjects with plantar fasciitis
Song A Review of Common Interventions and Preventive Options Used in the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Salmi et al. The Effect of Self Stretching on Pain Levels Due to Piriformis Syndrome at Teras Health Center, Boyolali District
Jagucka-Mętel et al. Radicular and pseudoradicular pain symptoms-pathomechanisms of injury, diagnostics and therapy
Devendran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uscle Energy Techniques and Maitland Mobilization Coupled with Ultrasound in Patients with Periarthritis of the Shoulder Joint
Malmir et al. Comparison of Application of the Radial Vs. Focused Probes of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on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Cioroiu The Importance of Kinetotherapy in Recoveryflapy Paraplegia in Young Adults
Jain Eeenal Jain, Asmita Moharkar and Sucheta Golhar
Shalaby Khalaf Mahran et al. Effect of Physiotherapy with A Digital Electronic Acupunctoscope on Preventing The Intensive Care Unit-Acquired Muscle Weakness
Thalagala Arachchige et al.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adhesive capsulitis
Danylova Case Study of Physiotherapeutic Treatment of a Patient after the Surgical Intervention for Closed Proximal Humerus Fracture
Bolach et al. Possibilities of using outpatient physiotherapy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degenerative disc disease in the lumbosacral spine
Simmons Early hospital management
ELGOHARY et al. Effect of Mulligan Bent Leg Raise Technique on Hamestring Shortening Following Lower Limb Burn
Demiryol Case study of physiotherapeutic treatment about a patient with disc herniation with L5/S1 with radiculopathy
Kissova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with the Paraparesis.
Landon Dysfunction Before Diagnosis: A Case for Symptom-Based Approach to Patient Care
Luo et al. Efecto de la Intervencion de Ejercicio Combinada con Ejercicio de Contrapeso sobre la Funcion Articular y la Calidad de Vida de los Pacientes Ortopedicos Postoperato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