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094A -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094A
KR20140059094A KR1020120125731A KR20120125731A KR20140059094A KR 20140059094 A KR20140059094 A KR 20140059094A KR 1020120125731 A KR1020120125731 A KR 1020120125731A KR 20120125731 A KR20120125731 A KR 20120125731A KR 20140059094 A KR20140059094 A KR 2014005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evaluator
competency
ahp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퓨처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퓨처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퓨처넷
Priority to KR102012012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094A/ko
Publication of KR2014005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HP(Analytic Hierarchy Program)방식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역량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etency assessment method and competency evalu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HP(Analytic Hierarchy Program)방식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역량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업, 기관 등의 조직에서 효과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 소속원들의 역량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그에 따라 목표치를 설정하고 업무를 배분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역량 평가는 조직의 각 직무별로 필요로 하는 역량항목을 결정하고 각 역량별 정의, 주요행동, 요구수준 등을 제시해 주면 그 조직의 직원이 역량별 정의 및 행동 등을 보고 자신의 수준을 자의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역량평가방법은 역량평가에서 자기가 스스로를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결과가 공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직내 구성원들이 서로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72647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결정된 평가항목에 따라 다수의 타인을 동시에 평가하여 그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피평가자 개개인에게 정확한 점수를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AHP방식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고, 피평가자들간의 1:1 비교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여 평가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AHP평가방법을 통하여 기 설정된 역량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는 단계; AHP방식의 1:1 쌍대비교 평가 진행단계: AHP모델의 유효성 판단 단계: 유효성이 확인되면 평가 결과를 확정 기록하는 단계; 유효성이 부적합할 경우 해당 평가자가 1:1 쌍대비교 평가를 다시 수행하거나 평가자에게 평가오류를 통보하는 것 중에서 택일하여 수행하는 평가자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부적합 자료는 추후 해당 평가자 교육자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AHP방식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고, 피평가자들간의 1:1 비교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여 평가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피평가자를 동시에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1:1 쌍대비교를 통한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각 평가항목에 대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됨과 아울러 신속한 평가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지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평가 방법에 따를 평가지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요소비교법에 따른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순위법에 따른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AHP방식 역량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보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역량 평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평가장치가 요구되고, 상기 평가장치는 평가자가 사용하고 평가결과를 전송하는 평가자 단말기, 상기 평가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평가결과를 연산하는 평가관리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자 단말기 및 평가관리 단말기는 통상의 컴퓨터와 같이 입력수단, 표시수단, 제어부, 메모리, 연산부, 통신부 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역량 평가 방법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평가방법은 크게. AHP평가방법을 통하여 기 설정된 역량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는 단계; AHP방식의 1:1 쌍대비교 평가 진행단계: AHP모델의 유효성 판단 단계: 유효성이 확인되면 평가 결과를 확정 기록하는 단계; 유효성이 부적합할 경우 해당 평가자가 1:1 쌍대비교 평가를 다시 수행하거나 평가자에게 평가오류를 통보하는 것 중에서 택일하여 수행하는 평가자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평가항목을 결정하고, 각 평가항목에 대하여 평가자가 주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를 각 평가항목별로 적용하게 되고, 이렇게 적용된 중요도에 따라 평가항목의 비중이 결정되는데, 그 예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R같이 대분류 평가항목으로는 기본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으로 구분되고, 각 대분류 평가항목별로 기본역량에는 열정, 소통, 책임의 소분류 평가항목이, 리더십역량에는 배려, 책임, 창조의 소분류 평가항목이, 직무역량에는 재무, 관리, 기획의 소분류 평가항목이 결정되고, 이들 평가항목들에 평가자의 중요도를 반영한 비중은 도 2의 괄호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분류 평가지표, 기본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이 각각 27%, 40%, 33%의 비중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역량 평가 방식은 평가자의 의견과 상관없이 기 설정된 평가항목에 대한 비중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고, 평가자는 고정된 평가항목의 비중에 따라 각 평가항목의 점수를 부여한 후 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점수를 부여하므로, 정확한 점수 부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평가지표가 결정되면 피평가자를 대상으로 1:1 쌍대비교를 통한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AHP모델의 유효성 판단을 위하여 C.I(Consistency Index) 및 C.R( Consistency Ratio)을 계산하여 유효성을 판단한다.
상기에서 C.I가 0.1이하면 평가항목간 상대적 비중이 고루게 매겨졌다고 판단하고, C.R이 10%를 넘지 않으면 분석을 인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이러한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유효성이 적합하다고 확인되면 평가 결과를 확정 기록한다.
그리고, 유효성이 부적합으로 판단될 경우 평가자 피드백 정책에 따라, 해당 평가자가 1:1 쌍대비교 평가를 다시 수행하도록 하여 평가자 훈련 및 유효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고, 평가오류 통보 및 추후 평가자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해당 평가결과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역량 평가 방법이 종래 다른 역량 평가방법과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하기에서 살펴본다.
종래 역량 평가방법으로는 요소비교법, 순위법을 사용한다.
우선, 종래 요소비교법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량보유 및 조직기여도를 기준으로 각 피평가자의 상대적 열량 평가 합계가 100이 되도록 배분하는데, 그 예로 피평가자 1,2,3,4의 평가결과는 각각 40%, 30%, 15%, 15%로서 총 100%의 비중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 순위법은 피평가자의 역량보유 및 기여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피평가자의 역으로 환산된 평가순위가 전체 피평가자 평가순위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가중치를 결정하는데, 그 예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평가자 1,2,3,4는 평가순위가 순차적으로 1,3,2,2,이고, 그 환산순위는 3,1,2,2이다.
상기에서 환산순위는 '(최소순위+최대순위)-해당피평가자순위'로 계산된다.
본 발명의 AHP 방식은 각 피평가자의 상대점수를 위해 의사결정 단계별로 구조화하고, 단 한가지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는 1단계 쌍대 비교를 통해 비중을 설정하는 것으로 그 예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평가자 1은 피평가자 2에 비하여 5배 중요하고, 피평가자 1은 피평가자 3 및 4에 비하여 3배 중요하다.
이에 따른 상대비중을 계산했을 때, 대략 피평가자 1은 53%, 피평가자 2는 11%, 피평가자 3 및 4는 18%의 상대비중을 갖는다.

Claims (3)

  1. AHP평가방법을 통하여 기 설정된 역량 평가지표의 비중을 결정하는 단계; AHP방식의 1:1 쌍대비교 평가 진행단계: AHP모델의 유효성 판단 단계: 유효성이 확인되면 평가 결과를 확정 기록하는 단계; 유효성이 부적합할 경우 해당 평가자가 1:1 쌍대비교 평가를 다시 수행하거나 평가자에게 평가오류를 통보하는 것 중에서 택일하여 수행하는 평가자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량 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부적합 자료는 추후 해당 평가자 교육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량 평가 방법.
  3. 제 1항 내지 제 2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20125731A 2012-11-07 2012-11-07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59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31A KR20140059094A (ko) 2012-11-07 2012-11-07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31A KR20140059094A (ko) 2012-11-07 2012-11-07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94A true KR20140059094A (ko) 2014-05-15

Family

ID=5088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31A KR20140059094A (ko) 2012-11-07 2012-11-07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0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5911A (zh) * 2016-08-30 2017-01-04 东方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层析分析法的电网支路参数评价方法
KR20190071244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직무역량 평가모델에 의한 개인별 팀별 직무역량 분석 및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71242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직무역량 평가모델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5911A (zh) * 2016-08-30 2017-01-04 东方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层析分析法的电网支路参数评价方法
KR20190071244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직무역량 평가모델에 의한 개인별 팀별 직무역량 분석 및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71242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직무역량 평가모델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ynak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nd their effects on firm performance
US20190213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andidates for a role in an organization
Bell et al. Managing quality
Grover et al. Role of human factors in TQM: a graph theoretic approach
Curado et al. Training evaluation levels and ROI: The case of a small logistics company
Stefanović et al.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alization of enterprise business objectiv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in an uncertain environment
KR20120075537A (ko) 기업의 경쟁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Turnbull A guide to UK league tables in higher education
KR20140059094A (ko) 역량 평가 방법 및 역량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Zwikael et al. Top management support-The project friendly organization
Morash et al. A span of control tool for clinical managers
Shokri et al. Impact of perceived importance of cultural readiness factors on perceived importance of Lean Six Sigma success factors for manufacturers
Iliescu Auditing IT governance
Chang et al. The features and marketability of certificate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in Taiwan
De Paula et al. Method for assessing the maturity of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a proposal
Gerger et al. Reasons of failure in Lean Six Sigma projects
Bütüner A new methodology on strategic planning
Makhanya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st of quality and quality management in the South African manufacturing industry
Bavali et al. A new approach for measuring human resource accounting
Leonard et al.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implementation pitfalls
Sharma et al. Nationally Appropriate Mitigation Action: Developing a Multi Criteria Decision Analysis (MCDA) Process for Prioritization of NAMAs
Almasradi et al. Mediating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e-HR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kistan
Alqararah et al.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IT-enabled organizational intangibles on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Brandon et al. Which Experience Factors Predict Overall Expertise and Percent Success?
Merkhofer Keys to Implementing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