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989A - 펌핑 스노클 - Google Patents

펌핑 스노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989A
KR20140058989A KR1020120125541A KR20120125541A KR20140058989A KR 20140058989 A KR20140058989 A KR 20140058989A KR 1020120125541 A KR1020120125541 A KR 1020120125541A KR 20120125541 A KR20120125541 A KR 20120125541A KR 20140058989 A KR20140058989 A KR 2014005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ser
air hose
pumping means
bellow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형 filed Critical 김규형
Priority to KR102012012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989A/ko
Publication of KR2014005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186Mouth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2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위에 뜨는 부유체; 일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에어호스; 외부공기가 이송되는 상기 에어호스의 타단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호흡시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에어호스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을 제공한다.
따라서, 에어호스 상에 간단한 동작으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간편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무겁고 고가의 산소통을 휴대하지 않고 수중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노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장비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펌핑수단의 자바라부재를 강제 구동하여 수축시키면 펌핑수단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들에 의해 수축된 자바라부재가 자동으로 팽창하면서 대기중의 공기를 용이하게 펌핑수단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핑 스노클{Pumping snorkel}
본 발명은 펌핑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중활동 시 간편한 동작으로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펌핑 스노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0131호에 기재된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수면에 뜬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호흡을 하기 위한 장비로는 스노클(Snorkel)이 있으며, 대략 35 ~ 45㎝의 길이에 구경이 약 2㎝ 정도의 튜브를 "J"자 형태로 형성하여 상단부는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단부에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에 문 상태에서 호흡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스노클은 그 상당부가 항상 수면 위에 위치하여야 하고, 사용 중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강한 호흡으로 스노클 내부에 유입된 물을 스노클 외부로 배출해야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략 5 ~ 10m 깊이의 수중에서 작업을 하거나 레포츠를 즐기는 경우에는 스노클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잠수중에 스노클에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수면까지 올라가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스쿠버 다이빙용의 산소흡입기가 있는데, 이는 고가의 장비와 무거운 산소통을 수중에 휴대하여야 하고, 산소를 사용하는데 따른 경비도 상당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가격과 휴대 그리고 소모경비 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되어 왔다.
근래에는 수심이 얇은 수중(5 ~ 10m)에서의 활동 시 산소탱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자연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잠수용 호흡기가 제안된 바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잠수용 호흡기는 수면에 부유체를 띄운 후 이 부유체에 스노클관을 연장한 형태로서, 산소통 없이 사용자의 폐활량만으로 장시간의 잠수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잠수용 호흡기는 단순히 기존의 스노클관의 길이를 연장한 형태로 제안됨에 따라 호흡 시 마우스피스를 문 상태로 숨을 쉬어야 하므로 상당한 숙련을 필요로 하고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 시에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레포츠 및 수중작업에 있어 별도의 산소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간편한 동작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모성 경비를 최소화하면서 레포츠 및 수중작업 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펌핑 스노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 위에 뜨는 부유체; 일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에어호스; 외부공기가 이송되는 상기 에어호스의 타단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호흡시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에어호스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스노클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양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자바라부재와, 상기 자바라부재의 양단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자바라부재를 팽창 및 수축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자바라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바라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상기 가이드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연통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가이드 돌기는 상기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 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제1가이드 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된 상기 자바라부재를 원상복귀시키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에는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에어호스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수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수단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에는 외부의 물이 상기 연결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스노클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에어호스 상에 간단한 동작으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간편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무겁고 고가의 산소통을 휴대하지 않고 수중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고, 기존의 스노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장비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펌핑수단의 자바라부재를 강제 구동하여 수축시키면 펌핑수단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들에 의해 수축된 자바라부재가 자동으로 팽창하면서 대기중의 공기를 용이하게 펌핑수단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스노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스노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펌핑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펌핑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핑 스노클(100)은 부유체(110)와, 에어호스(120)와, 마우스피스(130)와, 펌핑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도록 가벼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유체(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체(110)는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유체(110)에는 에어호스(12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에어호스(120)의 일단은 상기 부유체(120)를 관통하여 상기 부유체(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부유체(110)의 일면에 연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호스(120)는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호스(120)의 타단에는 마우스피스(130)가 연결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30)는 사용자가 호흡하기 위해 입으로 무는 것으로, 상기 마우스피스(130)를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이송되는 대기중의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호스(120)는 신축성과 변형성이 좋은 플렉시블(Flexible) 호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마우스피스(13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우스피스(130)에는 상기 에어호스(120)가 연결되는 연결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32)에는 상기 에어호스(120)와 상기 연결부(132)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수단(134)이 장착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30)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이고, 상기 연결수단(134)이 상기 마우스피스(130)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기존의 상기 마우스피스(130)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134)에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호스(12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수단(134)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수단(134)으로 유입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체크밸브(CV3)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136)에는 외부의 물이 상기 연결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체크밸브(CV4)가 구비된다.
상기 제3체크밸브(CV3)와 상기 제4체크밸브(CV4)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134)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에어호스(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물이 상기 연결수단(13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에어호스(120)를 이송되는 공기를 유입하고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32)는 상기 마우스피스(13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호스(120)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호스(12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132)에는 상기 연결부(132)로 유입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5체크밸브(CV5)가 구비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36)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136)에는 외부의 물이 상기 마우스피스(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6체크밸브(CV6)가 구비된다.
상기 제5체크밸브(CV5)와 상기 제6체크밸브(CV6)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상기 연결부(132)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에어호스(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물이 상기 마우스피스(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에어호스(120)를 이송되는 공기를 유입하고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에어호스(120) 상에는 펌핑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수단(140)은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b에는 상기 펌핑수단(140)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펌핑수단(140)은 몸체(141)와, 자바라부재(142)와, 손잡이부(143)와, 제1탄성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41)는 중공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41)의 양측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141a)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41)의 내부에는 자바라부재(142)가 구비되며, 상기 자바라부재(142)는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며, 팽창하면서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고, 수축하면서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양단에는 손잡이부(143)가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43)은 사용자가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팽창 및 수축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43)를 파지한 후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 및 수축시키게 된다.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형상 등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3)는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과, 손잡이(143c)와, 제1가이드 돌기(143d) 및 제2가이드 돌기(143e)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은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에는 각각 상기 에어호스(120)가 연결되는 연통홀(H1,H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은 양단이 개방된 상기 자바라부재(12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연통홀(H1,H2)에는 상기 에어호스(120)가 연결되어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팽창 시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수축 시 흡입한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에 형성된 연통홀(H1)에는 상기 연통홀(H1)을 통과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CV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에 형성된 연통홀(H2)에는 상기 연통홀(H2)을 통과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CV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팽창 시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에 형성된 연통홀(H1)과 연결된 상기 에어호스(120)로 이송되는 대기중의 공기는 상기 제1체크밸브(CV1)가 열린 상기 연통홀(H1)를 통과한 후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부로 공급된 대기중의 공기는 상기 연통홀(H1)에 구비되는 닫혀진 제1체크밸브(CV1)에 의해 상기 에어호스(12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수축 시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에 형성된 연통홀(H2)과 연결된 에어호스(120)로 상기 자바라부재(142) 내부에 공급된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연통홀(H2)을 통과 후 공급되며, 상기 에어호스(120)로 공급되는 상기 자바라부재(142) 내부의 공기는 상기 연통홀(H2)에 구비되는 제2체크밸브(CV2)에 의해 상기 자바라부재(142)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의 일면에는 손잡이(143c)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43c)는 사용자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제2지지프레임(143b)를 이용하여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팽창 및 수축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의 양측에는 각각 제1가이드 돌기(143d) 및 제2가이드 돌기(143e)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 돌기(143d) 및 제2가이드 돌기(143e)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을 상기 몸체(141)에 형성된 가이드홀(141a)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 돌기(143e)는 상기 몸체(141)의 가이드홀(14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돌기(143e)가 상기 몸체(141)에 고정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1지지프레임(143a)에 구비되는 손잡이(143c)를 파지한 후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수축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자바라부재(142) 내부에 공급된 대기중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핑수단(140)은 상기 몸체(141)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3a)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143d)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143b)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 돌기(143e)가 제거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1)와 상기 제1가이드 돌기(143d) 및 상기 제2가이드 돌기(143e)가 제거됨으로 인하여 상기 펌핑수단(1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측면에는 제1탄성부재(144)가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44)는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 및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원상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수단(140)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수중에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에어호스(120)와 연결된 마우스피스(130)를 입에 문 후 펌핑수단(140)를 수축시키면 상기 펌핑수단(140)의 자바라부재(14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호스(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상기 자바라부재(142)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팽창되거나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144)에 의해 자동적으로 팽창되면서 부유체(110)와 연결된 에어호스(120)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펌핑수단(140)의 자바라부재(142)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펌핑수단(140)를 수축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 인하여 간편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도 4 내지 도 5b에는 펌핑수단(14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펌핑수단(140)은 몸체(141)와, 자바라부재(142)와, 손잡이부(143)와, 제1탄성부재(144)가 포함되는 점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과 동일하나, 제2탄성부재(145)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과 상이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에서 상기 몸체(141)와, 자바라부재(142)와, 손잡이부(143)와, 제1탄성부재(144)에 대해 설명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45)는 제1지지프레임(143a)과 제2지지프레임(143b)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143d)와 제2가이드 돌기(143e)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원상태로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45)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142)가 보다 신속하게 원상복귀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다시 수축시켜 상기 자바라부재(142)의 내부로 공급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b에는 펌핑수단(14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펌핑수단(140)은 몸체(141)와, 자바라부재(142)와, 손잡이부(143)와, 제1탄성부재(144)가 포함되는 점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과 동일하나, 제3탄성부재(145)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과 상이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핑수단(140)에서 상기 몸체(141)와, 자바라부재(142)와, 손잡이부(143)와, 제1탄성부재(144)에 대해 설명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탄성부재(146)은 몸체(141)의 일단과 제1지지프레임(143a)의 제1가이드 돌기(143d)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탄성부재(146)가 상기 몸체(141)의 일단과 상기 제1가이드 돌기(143d) 사이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제1탄성부재(144)와 함께 동작하여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142)를 보다 신속하게 원상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에어호스(120) 상에 간단한 동작으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140)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간편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무겁고 고가의 산소통을 휴대하지 않고 수중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대기중의 공기를 펌핑수단(140)을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노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장비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펌핑수단(140)의 자바라부재(142)를 강제 구동하여 수축시키면 펌핑수단(14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44,145,146)들에 의해 수축된 자바라부재(142)가 자동으로 팽창하면서 대기중의 공기를 용이하게 펌핑수단(14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펌핑 스노클 110 : 부유체
120 : 에어호스 130 : 마우스피스
132 : 연결부 134 : 연결수단
136 : 배출부 140 : 펌핑수단
141 : 몸체 142 : 자바라부재
143 : 손잡이부 144 : 제1탄성부재
145 : 제2탄성부재 146 : 제3탄성부재

Claims (9)

  1. 수면 위에 뜨는 부유체;
    일단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에어호스;
    외부공기가 이송되는 상기 에어호스의 타단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호흡시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에어호스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양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자바라부재와,
    상기 자바라부재의 양단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상기 자바라부재를 팽창 및 수축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자바라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자바라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상기 가이드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연통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스노클.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가이드 돌기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스노클.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제1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 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수축된 상기 자바라부재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제1가이드 돌기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강제 구동에 의해 팽창된 상기 자바라부재를 원상복귀시키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펌핑 스노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에는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에어호스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수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체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외부의 물이 상기 연결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스노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면에 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스노클.
KR1020120125541A 2012-11-07 2012-11-07 펌핑 스노클 KR20140058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41A KR20140058989A (ko) 2012-11-07 2012-11-07 펌핑 스노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41A KR20140058989A (ko) 2012-11-07 2012-11-07 펌핑 스노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89A true KR20140058989A (ko) 2014-05-15

Family

ID=5088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541A KR20140058989A (ko) 2012-11-07 2012-11-07 펌핑 스노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9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307A (zh) * 2018-11-02 2019-01-18 东台市海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弹性伸缩驱动式海上作业用呼吸器
CN111395739A (zh) * 2020-04-24 2020-07-10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房建用附着式脚手架用加固结构
CN114366860A (zh) * 2021-12-10 2022-04-19 王崇丽 一种方便清洁的呼吸内科用吸痰护理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307A (zh) * 2018-11-02 2019-01-18 东台市海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弹性伸缩驱动式海上作业用呼吸器
CN109229307B (zh) * 2018-11-02 2020-10-27 东台市海一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弹性伸缩驱动式海上作业用呼吸器
CN111395739A (zh) * 2020-04-24 2020-07-10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房建用附着式脚手架用加固结构
CN114366860A (zh) * 2021-12-10 2022-04-19 王崇丽 一种方便清洁的呼吸内科用吸痰护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77295A1 (en) Diving mask having a built-in snorkel
US5960791A (en) Dry snorkel
US6375530B1 (en) Whaletail swimming device
KR20140058989A (ko) 펌핑 스노클
AU9142901A (en) Snorkel with improved purging system
US6482058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apparatus with hand-held tool
CN106956756B (zh) 一种游泳潜水两用装备
WO2017125628A1 (es) Máscara facial para buceo deportivo
US1684714A (en) Swimming apparatus
CN204674804U (zh) 一种潜水设备
US6793549B1 (en) Buoyancy aid for swimming and training
ATE80101T1 (de) Tauchgeraet.
TWM502637U (zh) 潛水設備
KR20000004641U (ko) 튜브(tube)겸용 산소공급기
US6401711B1 (en) Supersnorkel
US9220854B1 (en) Breath bellows
KR200454977Y1 (ko) 사용편의성 개선을 위해 끼움 체결방식의 스노클 고정홀더를 구비하는 수영용 호흡장치
US20020166555A1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US20200114209A1 (en) Floater paddle
US5408993A (en) Snorkel and buoyancy vest with manual controls
JP3135620U (ja) 携帯用酸素ボンベ付ゴーグル
CN2279310Y (zh) 简易潜泳器
CN216035028U (zh) 一种防呼出气体返流的浮潜面罩
CN105817018B (zh) 一种用于规范游泳者下肢动作的辅助训练装置
CN206867639U (zh) 一种用于规范游泳者下肢动作的辅助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