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377A -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377A
KR20140058377A KR1020130133421A KR20130133421A KR20140058377A KR 20140058377 A KR20140058377 A KR 20140058377A KR 1020130133421 A KR1020130133421 A KR 1020130133421A KR 20130133421 A KR20130133421 A KR 20130133421A KR 20140058377 A KR20140058377 A KR 20140058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appl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ovis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372B1 (ko
Inventor
이형진
김관래
박철현
서명희
이진형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4/440,1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1092B2/en
Priority to PCT/KR2013/009954 priority patent/WO2014073836A1/ko
Publication of KR2014005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377A/ko
Priority to US15/690,959 priority patent/US101877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 인증 모듈과, 프로파일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증부와,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프로파일 중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사업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인증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 정보를 가진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서비스 접속 정보를 가진 운용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가진 요소 파일을 저장하는 요소 파일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TERMINAL DEVICE WITH BUILT-I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ND PROFILE SELECTION METHOD FOR THIS}
본 발명은 내장형 범용 IC 카드 내에 저장되는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의 구성 및 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절차에 관한 것이다.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이다. UICC는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이하 사업자 또는 MNO라 함)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 사용자 정보(Short Message Service 등) 및 전화번호부(Phonebook) 등를 저장할 수 있다. UICC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의 경우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경우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사업자의 여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인 NAA(Network Access Application)들이 UICC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사용자가 UICC를 사용자의 단말에 장착하면, UICC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입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사용자는 편리하게 단말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존의 단말에서 UICC를 탈거하고 새로운 단말에 장착하여 용이하게 단말을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업자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단말에서 탈거한 UICC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UICC로 교체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통신 사업자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MNO의 UICC로 교체함으로써 간편하게 MNO를 변경하여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 UICC 환경에서는 MNO의 요구사항에 맞게 미리 준비된 SIM 프로파일을 별도의 카드에 내장하여 단말기와 분리된 형태로 배포한다. 사용자는 특정 MNO의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서 단말기와 UICC를 구입하고, 단말기에 UICC를 삽입한 후 사업자가 정한 개통 절차에 따라 개통 후 기기를 사용한다.
단말에서 UICC를 착탈하기 어려운 경우, 즉 소형화가 요구되는 단말, 예를 들어 기계 대 기계(Machine to Machine, M2M) 단말의 내부에 UICC가 장착되어 외부에서 교체하기 어려운 구조로 제조된 경우, 또한 기존 착탈식 플라스틱 구조의 UICC보다 충격 및 열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를 위해 착탈식 구조가 아닌 칩 형태의 단말 일체형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착탈식 UICC와 동일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내장 UICC(Embedded UICC, 이하 eUICC) 구조가 제안되었다.
eUICC는 기존 착탈식 UICC와 동일하게 네트워크 접속 인증 기능은 제공하나, 그 물리적 구조 차이로 인해 하나의 UICC로 여러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 처리가 가능하여야 하며, eUICC 개통/유통/가입자 정보 보안 등 많은 이슈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SMA 및 ETSI 등 국제 표준화 기관에서는 사업자, 제조사, SIM 벤더(vendor) 등의 유관 회사들과 최상위 구조를 포함한 필요한 요소에 대해 표준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ETSI에서는 eUICC 표준 정립을 위한 WG(Working Group)이 활동 중에 있고, 현재 여러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eUICC에 후발급(post personalization)하기 위해 프로파일(profile)이라는 모듈을 정의하고 이를 원격에서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정립하고 있다. 또한 프로파일에 대한 관리 정책(policy) 및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나 아직 구체적인 방안은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렇듯 eUICC의 프로파일 관리와 관련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정의되지 않음으로 인해, eUICC 카드 제조사, 단말 제조사, 에코-시스템(eco-system) 사업자가 eUICC를 개발 및 상용화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아직까지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eUICC에 탑재되는 경우에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절차나 선택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에 대해서 자세히 정의된 바가 없어, 관련 기능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국제 표준에서도 프로파일의 정의만 언급하고 있을 뿐 eUICC에서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프로파일 타입(프로비저닝 프로파일, 운용 프로파일), 프로파일 제공자(또는 사업자), 프로파일 상태(활성화 내지 비활성화) 정보 등을 어떻게 제공할 것이며, 단말기는 해당 정보, 즉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어떻게 획득하여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논의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eUICC 내에 저장되는 프로파일의 타입(프로비저닝 프로파일, 운용 프로파일), 프로파일 제공자(사업자), 프로파일 상태(활성화 내지 비활성화) 정보 등과 같은 프로파일 속성 정보의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프로파일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파일을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의 구현방법의 정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eUICC 내에 저장되는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의 구성을 제안하고, eUICC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절차를 제안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서는 많은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증 및 접속을 위한 프로파일들을 단말 장치 내에 저장하고 이들 중 필요에 따라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인증 및 접속을 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덧붙여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 인증 장치와 이를 내장한 단말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 인증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증부와,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에 기반하여 사업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운용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프로파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에 내장(內藏)된 가입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서비스 접속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운용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가진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을 저장하는 요소 파일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을 저장하는 제3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운용 프로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임의의 프로파일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는, 임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ID, 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가입자 인증 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에 기반하여 사업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운용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을 사용하면, 단말 장치는 eUICC 내에 저장된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간편하게 여러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업자망을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한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와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와 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에 내장된 가입자 인증 모듈과 그 저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TLV(Tag, Length, Value)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와 그 구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별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의 값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와 그 구성요소를 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의 프로파일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서 다르게 호칭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써 사업자란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를 가리킨다.
가입자 인증 모듈, 혹은 가입자 인증 장치는 eUICC(embedded UICC) 또는 eSIM(embedded SIM)으로, 기존 착탈식 UICC와는 구별되는 의미로, 단말 제조시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embedded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eUICC(embedded UICC) 또는 eSIM(embedded SIM)이라는 용어는, 기존 착탈식 UICC와는 구별되는 의미로, 단말 제조시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embedded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의미로 사용된다.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은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일컫는 것으로 SIM 프로파일은 SIM이 가지고 있는 정보 파라미터 값들의 특정 집합(세트)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프로파일이란 이러한 SIM 프로파일을 가리킨다. 프로파일이란 내장 UICC 내에 저장될 수 있는 파일, 즉 MF(Master File), DF(Dedicated File), ADF(Application Dedicated File), EF(Elementary File) 및 크레덴셜(Credential)을 통틀어서 프로파일(Profile)이라 정의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단말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Access Terminal), 터미널, 가입자 유닛(SU, 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되는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이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이어 도시되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와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00)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G(3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으로 지칭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무선통신망은 이동통신 사업자들에 의하여 운용된다. 각각의 사업자들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각각의 사업자들의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들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단말 장치(200)를 통하여, 혹은 단말 장치(200)에 사업자가 제공하는 UICC를 삽입함으로써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업자의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사업자가 제공하는 UICC를 통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하는 방법 중 단말 장치(200)에 이미 내장된 형태의 eUICC를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와 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에 내장된 가입자 인증 모듈(500)과 그 저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 인증 모듈(500)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511)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증부(210)와,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 중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521, 522)에 기반하여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접속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는 eUICC(500)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 인증 및 접속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eUICC(500)는 사용자 정보(Short Message Service, Multimedia Message Service, Phonebook 등)의 저장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provisioning profile), 운용 프로파일(521, 522)(operational profile), 사용자 프로파일(531)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은 eUICC(500)가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와 개통되지 않은 경우, MNO 개통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이때 접속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특정되지 않은 임의의 MNO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MNO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eUICC(50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포함하지 않는 eUICC(500)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개통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용 프로파일(521, 522)은 eUICC(500)가 MNO와 개통된 후, 개통된 MNO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MNO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eUICC(50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eUICC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에 접속하고 사업자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eUICC(500) 내에는 다수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운용 프로파일(521, 522)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531)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목적에 따라 그 중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541)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및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선택하는 프로파일 선택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파일 선택부(230)는 가입자 인증 모듈(500)에 저장된 요소 파일(541)에 있는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요소 파일(541)은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를 비롯하여 프로파일을 정의하는 여러 다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다른 정보들은 객체 단위로 구분되어 이동통신에 관한 규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태그, 길이, 값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요소 파일(541)의 구조와 속성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객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TLV(Tag, Length, Value)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와 그 구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프로파일별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 값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entifier)(542)를 포함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543)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54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참조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eUICC(500) 내 저장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및 운용 프로파일(521, 522)은 도 3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ADF(Application Dedicated File)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ADF는 요소 파일(541)에 저장된 속성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ID, Application Identifier)(542)와 매칭될 수 있는 정보와 프로파일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부호 511은 WCDMA 또는 LTE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하나의 ADFUSIM으로 구성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부호 521은 WCDMA 또는 LTE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ADFUSIM과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ADFISIM으로 구성된 MNO#1의 운용 프로파일을, 부호 522는 WCDMA 또는 LTE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하나의 ADFUSIM으로 구성된 MNO#2의 운용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프로파일의 개수와 네트워크의 종류는 가능한 많은 구성 중 하나일 뿐이다.
초기 eUICC(500)에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위한 ADF 또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역할을 수행하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위한 ADF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eUICC에 포함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또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역할을 수행하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하나 또는 다수 MNO의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위한 ADF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위한 ADF를 추가할 수도 있다.
eUICC(500)는 단말 장치(200)에서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ID, Application Identifier)(542)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정보를 요소 파일(541)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입자 인증 모듈(500)은 그 구성요소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MNO #1 운용 프로파일(521), MNO #2 운용 프로파일(522)을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반드시 이들 모두를 구비하여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즉, 도 3의 요소 파일(EFDIR, Elementary File Directory)(541)은 AID #1 내지 AID#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각 AID가 지시하는 ADF 파일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요소 파일(541)은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Tag, Length, Value) 객체(Application template TLV ob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TLV 객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TLV 객체 및 어플리케이션 상태 TLV 객체는 각각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TLV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은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543)인 RID(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인 PIX(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며, 최대 16 바이트(Byt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543)는 16진수로 ETSI에서 정의된 경우 'A000000009'의 값을, 3GPP에서 정의된 경우 'A000000087'의 값을, 3GPP2에서 정의된 경우 'A00000034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는 Proprietary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al)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 중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타입, 운용 프로파일(521, 522)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의 어플리케이션 코드에는 프로파일의 타입(Type) 정보, 즉,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또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동시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코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타입 정보와 다른 정보가 함께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프로파일 타입이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이면서, NAA(Network Access Application)가 USIM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국가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에는 해당 프로파일의 제공자의 국가 및 제공자(또는 사업자) 코드가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동일한 프로파일 타입, 국가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로 구성된 ADF들을 하나의 프로파일로 인식할 수 있다. 단,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제공되는 ADF의 경우에는, 그 어플리케이션 코드 값이 운용 프로파일(521, 522)로 제공되는 ADF의 어플리케이션 코드 값과 다를 수 있지만, 운용 프로파일(521, 522)로 간주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에는 프로파일의 타입(Type) 정보, 즉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또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동시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코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타입 정보와 다른 정보가 함께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을 정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을 정의한 예를 살펴보면, eUICC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코드로 ETSI에서 ‘0201’을 할당받고, 국가 코드를 'FF82'로, 제공자 코드를 'FF3089'로 가정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은 도 6의 첫번째 행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eUICC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코드로 ETSI에서 ‘0202’를 할당받고, 국가 코드를 'FF82'로, 제공자 코드를 'FF3089'로 가정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은 두번째 행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eUICC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이용되는 경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코드로 ETSI에서 ‘0203’를 할당받고, 국가 코드를 'FF82'로, 제공자 코드를 'FF3089'로 가정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은 세번째 행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또는, eUICC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코드로 ETSI에서 ‘0202’를 할당받고, 국가 코드를 'FF82'로, 제공자 코드를 'FF3089'로 가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에 eUICC 운용 프로파일(521, 522) 이면서 프로비져닝 프로파일로 이용되는 경우를 위한 정보로 ‘1xxxxxxx’(‘x’는 임의의 값)를 할당받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값(542)은 네번째 행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500)와 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입자 인증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에 내장(內藏)된 가입자 인증 장치(500)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510)와,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서비스 접속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520)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가진 요소 파일(elementary file)(541)을 저장하는 요소 파일 저장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인증 장치(500)는 UICC가 내장된 형태인 가입자 인증 모듈(500)일 수 있다.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510),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520) 및 요소 파일(541)을 저장하는 요소 파일 저장부(540)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위이므로 실제 저장되는 위치는 같은 곳일 수도 있고 다른 곳일 수도 있다.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운용 프로파일(521, 522) 및 요소 파일(541)에 대한 것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가입자 인증 장치(500)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531)(user profile)을 저장하는 제3 저장부(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인증 장치(500)는 사용자 정보(Short Message Service, Multimedia Message Service, Phonebook 등)의 저장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제 3 저장부 역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위이므로 실제 저장되는 위치는 같은 곳일 수도 있고 다른 곳일 수도 있다.
가입자 인증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운용 프로파일이 선택될 수 있고,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 중 임의의 프로파일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참조한 도 4를 참조하여 계속 참조하여 보면, 요소 파일(541)은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Tag, Length, Value) 객체(Application template TLV ob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TLV 객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TLV 객체 및 어플리케이션 상태 TLV 객체는 각각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에 대한 것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증 장치(500)를 내장한 단말 장치(200)의 프로파일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가입자 인증 모듈(5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S870)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80)와,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S890)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 중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에 기반하여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S8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는 eUICC(500)의 프로파일(511, 521, 522)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 인증 및 접속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eUICC는 사용자 정보(Short Message Service, Multimedia Message Service, Phonebook 등)의 저장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운용 프로파일(521, 522), 사용자 프로파일(531)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은 eUICC(500)가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와 개통되지 않은 경우, MNO 개통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이때 접속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특정되지 않은 임의의 MNO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MNO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eUICC(50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을 포함하지 않는 eUICC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S870) 서비스 개통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80).
운용 프로파일(521, 522)은 eUICC(500)가 MNO와 개통된 후, 개통된 MNO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MNO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eUICC(50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eUICC(500)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에 접속하고(S890) 사업자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895).
eUICC(500) 내에는 다수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운용 프로파일(521, 522)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531)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는 목적에 따라 그 중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S850).
이동통신 단말 장치(200)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80)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541)(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및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선택하는 단계(S8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eUICC(500)의 요소 파일(EFDIR, Elementary File Directory)(541)을 선택(S810) 및 해당 값을 읽어,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템플릿 TLV 객체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프로파일 타입(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운용 프로파일(521, 522),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구분하는 용도로, 국가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를 프로파일 제공자를 구분하는 용도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을 운영 프로파일이면서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을 구분하는 용도로, 어플리케이션 레이블을 프로파일 텍스트 이름의 정보로,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프로파일 상태 정보로 활용하여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S850).
앞서 참조한 도 2를 계속 참조하여 보면, 프로파일 선택 단계(S850)에서는 가입자 인증 모듈(500)에 저장된 요소 파일(541)에 있는 프로파일의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요소 파일(541)은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를 비롯하여 프로파일을 정의하는 여러 다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다른 정보들은 객체 단위로 구분되어 이동통신에 관한 규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태그, 길이, 값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요소 파일(541)의 구조와 속성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객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속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511, 521, 522, 531)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를 포함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543)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로 구성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참조한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보면, eUICC(500) 내 저장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및 운용 프로파일(521, 522)은 도 3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ADF(Application Dedicated File)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ADF는 요소 파일(541)에 저장된 속성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와 매칭될 수 있는 정보와 프로파일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요소 파일(541)의 구성과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42)의 다양한 실시예와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상술한 바 있다.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타입, 운용 프로파일(521, 522)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544)의 어플리케이션 코드에는 프로파일의 타입(Type) 정보, 즉,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또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동시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코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타입 정보와 다른 정보가 함께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프로파일 타입이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이면서, NAA(Network Access Application)가 USIM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국가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에는 해당 프로파일의 제공자의 국가 및 제공자(또는 사업자) 코드가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동일한 프로파일 타입, 국가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로 구성된 ADF들을 하나의 프로파일로 인식할 수 있다. 단,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제공되는 ADF의 경우에는, 그 어플리케이션 코드 값이 운용 프로파일(521, 522)로 제공되는 ADF의 어플리케이션 코드 값과 다를 수 있지만, 운용 프로파일(521, 522)로 간주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에는 프로파일의 타입(Type) 정보, 즉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 또는 운용 프로파일(521, 52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프로파일(521, 522)이면서 동시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511)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코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타입 정보와 다른 정보가 함께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을 정의할 수 있다.
비록 몇몇의 측면들은 장치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측면들은 상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며, 여기서 방법의 단계는 장치에 대응한다. 특정 구현 요구들에 따르면,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 방법들 중 하나의 수행을 위해 동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업자 서버 200: 이동통신 단말 장치
210: 네트워크 인증부 220: 네트워크 접속부
230: 프로파일 선택부 500: 가입자 인증 모듈(장치)
510: 제1 저장부 511: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520: 제2 저장부 521: MNO #1 운용 프로파일
522: MNO #1 운용 프로파일 530: 제3 저장부
531: 사용자 프로파일 540: 요소 파일 저장부
541: 요소 파일(Elementary File)
542: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ID, Application Identifier)
543: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544: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 인증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에 기반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증부; 및
    상기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에 기반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상기 운용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프로파일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에 내장(內藏)된 가입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서비스 접속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운용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가진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을 저장하는 요소 파일 저장부 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증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을 저장하는 제3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증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상기 운용 프로파일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임의의 프로파일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레이블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임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ID, 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15. 가입자 인증 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상응하는 운용 프로파일(operational profile)에 기반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소 파일(elementary file)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및 상기 운용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기관 식별자(RID, Registered application provider Identifier)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PIX, Proprietary application Identifier eXtension)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확장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코드(application provider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필드 옵션(application provider field op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종류는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타입, 운용 프로파일 타입,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는 운용 프로파일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1020130133421A 2012-11-06 2013-11-05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KR10214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40,131 US10111092B2 (en) 2012-11-06 2013-11-05 Terminal device having subscriber identit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rofile thereof
PCT/KR2013/009954 WO2014073836A1 (ko) 2012-11-06 2013-11-05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US15/690,959 US10187798B2 (en) 2012-11-06 2017-08-30 Terminal device having subscriber identit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rofil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4606 2012-11-06
KR1020120124606 201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377A true KR20140058377A (ko) 2014-05-14
KR102141372B1 KR102141372B1 (ko) 2020-08-05

Family

ID=5088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421A KR102141372B1 (ko) 2012-11-06 2013-11-05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111092B2 (ko)
KR (1) KR1021413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75872A1 (en) * 2014-07-19 2016-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bedded sim provisioning
WO2016080726A1 (en) * 2014-11-17 2016-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file insta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7003701A1 (en) * 2015-06-30 2017-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file host
CN106664509A (zh) * 2014-07-14 2017-05-10 谷歌公司 用于零售sim市场的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72B1 (ko) * 2012-11-06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US10491749B2 (en) 2013-09-27 2019-11-26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call quality and success rate
CN106851628B (zh) 2013-12-05 2020-08-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下载运营商的文件的方法及设备
US9877188B1 (en) 2014-01-03 2018-01-23 Google Llc Wireless network access credential sharing using a network based credential storage service
US10341929B2 (en) 2014-01-14 2019-07-02 Google Llc PSTN / VoI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4339794A1 (en) 2014-05-23 2024-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Euicc management method, euicc, sm platform, and system
WO2015183759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US9565578B2 (en) 2014-06-18 2017-02-07 Google Inc. Method for collecting and aggregating network quality data
EP3148235B1 (en) * 2014-07-07 2021-03-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th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S9814009B2 (en) 2014-08-01 2017-11-07 Google Llc Multiple carrier attachment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KR102329824B1 (ko) 2014-09-16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전자 장치
US10785645B2 (en) * 2015-02-23 2020-09-22 Apple Inc. Techniques for dynamically supporting different authentication algorithms
US10333778B2 (en) 2015-03-25 2019-06-25 Airwatch, Llc Multiuser device staging
US10862747B2 (en) * 2015-03-25 2020-12-08 Airwatch Llc Single user device staging
US9648537B2 (en) 2015-04-17 2017-05-09 Google Inc. Profile switching powered by location
US10021618B2 (en) 2015-04-30 2018-07-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loud assisted wireless mobility
US10019277B2 (en) * 2015-06-04 2018-07-10 Vmware, Inc. Triggering application attachment based on state changes of virtual machines
US10324744B2 (en) 2015-06-04 2019-06-18 Vmware, Inc. Triggering application attachment based on service login
US10257782B2 (en) 2015-07-30 2019-04-09 Google Llc Power management by powering off unnecessary radios automatically
US9832716B2 (en) 2015-08-12 2017-11-28 Google Llc Switching between networks based on quality of available networks
CN105451214B (zh) * 2015-12-04 2018-09-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卡应用访问方法和装置
US10341923B2 (en) 2016-01-29 2019-07-02 Google Llc Techniques for minimizing user disruption during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CN105828317A (zh) * 2016-03-14 2016-08-0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eSIM卡的运营商服务选择方法、选择装置和终端
US9980095B2 (en) 2016-03-22 2018-05-22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untry detection on cellular devices using cell tower information
US9980142B2 (en) 2016-03-22 2018-05-22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based authentication of non-SIM devices
US10225783B2 (en) 2016-04-01 2019-03-05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er based network switching
CN107708083A (zh) * 2016-08-08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讯服务套餐管理方法和系统,终端及服务器
US10462734B2 (en) 2016-10-31 2019-10-29 Google Ll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ith carrier network switching control
FR3059194B1 (fr) * 2016-11-21 2019-06-28 Oberthur Technologies Installation d'un profil dans un module d'identite de souscripteur embarque
KR102480627B1 (ko) 2018-01-12 2022-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eSIM 관리 방법
US11039364B2 (en) 2018-09-28 2021-06-15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actively switching between available networks
US10911945B1 (en) * 2018-11-19 2021-02-02 Sprint Spectrum L.P. Automated eUICC service profile configuration in view of operational issue with respect to eUICC service prof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2840A1 (en) * 2007-09-26 2009-04-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wireless devices based on multiple network-service application profiles and data session conflict resolution
KR20110071719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서비스 시스템 프로파일의 프로비저닝 방법
US20120108295A1 (en) * 2010-10-29 2012-05-03 Schell Stephan V Access data provisioning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6564A1 (en) * 2004-02-06 2005-08-18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and transparent provision of mobile ip services in an aaa environment
US8473743B2 (en) 2010-04-07 2013-06-25 Apple Inc. Mobile device management
US8996002B2 (en) * 2010-06-14 2015-03-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subscriber identity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5633730B2 (ja) * 2010-06-28 2014-12-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27045B2 (ja) * 2010-06-28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55067B2 (en) 2010-10-28 2013-10-0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components over a wireless network
US8660608B2 (en) 2010-11-12 2014-02-25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rdation of device history across multiple software emulations
IT1404159B1 (it) * 2010-12-30 2013-11-15 Incard Sa Metodo e sistema di controllo di una comunicazione tra una carta universale a circuito integrato ed una applicazione esterna
US20120231844A1 (en) * 2011-03-11 2012-09-13 Apriva, Llc System and device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y consolidating sim, personal token, and associated applications for electronic wallet transactions
KR20130006258A (ko) * 2011-07-08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 키 생성 기반의 내장 sim의 mno 변경방법 및 그를 위한 내장 sim과 기록매체
WO2013027085A1 (en) * 2011-08-22 2013-02-28 Nokia Corporation Multi-sim enabling application and use of euicc in legacy terminals
WO2013048084A2 (ko) * 2011-09-28 2013-04-04 주식회사 케이티 프로파일 관리 방법, 내장 uicc 및 내장 uicc 탑재 기기
US20130095794A1 (en) * 2011-10-13 2013-04-18 Signalset, Inc. Real-time management of a wireless device operation on multiple networks
KR101996677B1 (ko) * 2011-11-04 2019-07-03 주식회사 케이티 내장 uicc 내 다수의 프로파일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내장 uicc 및 단말
CA2810360C (en) * 2012-06-27 2016-05-10 Roger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rovisioning of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s
KR102067474B1 (ko) * 2012-08-29 2020-0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유 파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EP2731397B1 (en) * 2012-09-17 2017-04-12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ession of machine-type communication
KR102072592B1 (ko) * 2012-09-24 2020-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eUICC의 식별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41372B1 (ko) * 2012-11-06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인증 장치를 내장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파일 선택 방법
KR102164447B1 (ko) * 2012-11-19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입자 인증 모듈의 프로파일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144430B1 (ko) * 2012-12-11 2020-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2840A1 (en) * 2007-09-26 2009-04-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wireless devices based on multiple network-service application profiles and data session conflict resolution
KR20110071719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서비스 시스템 프로파일의 프로비저닝 방법
US20120108295A1 (en) * 2010-10-29 2012-05-03 Schell Stephan V Access data provisioning apparatus and method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4509A (zh) * 2014-07-14 2017-05-10 谷歌公司 用于零售sim市场的系统和方法
EP2975872A1 (en) * 2014-07-19 2016-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bedded sim provisioning
US9705546B2 (en) 2014-07-19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mbedded SIM provisioning
WO2016080726A1 (en) * 2014-11-17 2016-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file insta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9930520B2 (en) 2014-11-1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file insta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0609549B2 (en) 2014-11-17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file insta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0986487B2 (en) 2014-11-17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file install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7003701A1 (en) * 2015-06-30 2017-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file host
CN107836122A (zh) * 2015-06-30 2018-03-23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选择订户身份模块简档主机
US10122398B2 (en) 2015-06-30 2018-11-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file host
CN107836122B (zh) * 2015-06-30 2021-08-24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选择订户身份模块简档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11092B2 (en) 2018-10-23
US20150281198A1 (en) 2015-10-01
KR102141372B1 (ko) 2020-08-05
US10187798B2 (en) 2019-01-22
US20170366972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798B2 (en) Terminal device having subscriber identit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rofile thereof
KR102144430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9699642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selection
CN105162748B (zh) 电子用户识别模块应用标识符处理
CN109803251B (zh) 用于通信系统中的隐私管理实体选择的方法和装置
US99401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ootstrap ESIMs
US8200854B2 (en) Smart card driven device configuration changes
US10862881B2 (en) Method of managing shared files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subscriber by using same
KR102116269B1 (ko) 단말 장치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입자 인증 모듈의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입자 인증 장치
EP2708069A1 (en) Sim lock for multi-sim environment
US201503191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dentifier of euicc
US20170269918A1 (en) Implicit file creation in apdu scripts
US11805397B2 (en) IMEI binding and dynamic IMEI provisioning for wireless devices
CN104010291B (zh) 网络注册方法及其装置和移动终端
US20110320562A1 (en) Data Extraction System And Device
CN108243631B (zh)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设备
KR102216293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가입자 인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140075602A (ko) 가입자 인증 모듈의 공장 초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1316903B2 (en) Network filtering service system and process
US20220329372A1 (en) LOGICAL CHANNEL MANAGEMENT FOR MULTIPLE eSIM PROFILES
US20230057543A1 (en) Method and server for pushing data to mno
KR2016011487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0046A (ko)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정의되는 파일을 처리하는 가입자 인증 모듈,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