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860A -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860A
KR20140055860A KR1020120123233A KR20120123233A KR20140055860A KR 20140055860 A KR20140055860 A KR 20140055860A KR 1020120123233 A KR1020120123233 A KR 1020120123233A KR 20120123233 A KR20120123233 A KR 20120123233A KR 20140055860 A KR20140055860 A KR 20140055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pace
vortex
sedimentation
sett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원 filed Critical 윤재원
Priority to KR102012012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860A/ko
Publication of KR2014005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몸체, 몸체의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물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공간부를 갖는 침전부,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와류공간부가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협소해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와류분리통,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와류분리통의 와류공간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부,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격판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격판 사이에 침전되는 폐기물이 통과되는 격리홈이 형성된 격리부, 및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되지 않은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흡입펌프가 배출부를 통해 폐기물을 흡입함에 따라 공급부를 통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몸체 내부 공간부와 와류분리통을 거쳐 침전되는 폐기물이 격리부를 통해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로 침전되는 동시에 침전되지 않는 폐기물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되는 폐기물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Separating apparatus for deposit waste of dental}
본 발명은 폐기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흡입하여 이 폐기물 중 침전되는 폐기물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포집함에 따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게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손상된 치아나 마모된 치아보호를 위하여 치아 외면에 보철물, 즉 금니를 새로 씌워 시술하거나 이미 시술된 금니를 여러 가지 이유로 절삭하거나 절단하는 시술이 치과병원에 설치된 유니트체어(치과진료용 전문의자)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시술과정에서 미량의 금가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생된 금가루는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피고름이나 타액, 치아 절삭물 등과 함께 흡입펌프와 연결된 핸드피스의 흡입수단을 통하여 배출되거나, 환자가 직접 유니트체어(치과전문용 진료의자)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에 이물질을 뱉는 과정에서 금가루와 함께 배출된다.
배출된 적출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집수되고, 정화조에 집수된 적출물은 정화처리된 다음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금가루가 함께 배출되어 버려지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버려지는 금가루는 단일 치과병원에서 버려지는 량은 미량일 수 있으나, 여러 치과병원에서 버려지는 량을 수집하여 모으면 상당량일 수 있으나, 특별히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바 없어 고가의 자원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번호 제10-0971490호에서 금가루 수거장치가 개진되었다.
개진된 금가루 수거장치는 치과 진료용 전문의자에 구비된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펌프와 연결되고, 이 흡입펌프와 배출관 사이에 침전조가 설치된 수집통을 설치하므로서 흡입펌프를 통하여 흡입배출되는 적출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정화조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수집통을 경유하여 배출되게 하되, 수집통의 침전조 내에 비중이 큰 금가루가 침전, 수집되게 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며, 나머지 적출물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금가루 수거장치의 수집통이 흡입펌프가 구비된 별도의 공간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집통은 비교적 부피가 커 복잡한 장치들 때문에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설치하더라도 흡입펌프의 진동에 의해 충돌이 발생되어 소음을 발생음 물론, 수집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집통은 금가루를 포함한 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금가루를 제외한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만 형성되는 것으로, 침전된 금가루를 수거하기 위해 수집통 자체를 분리하여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특히, 수집통의 형상이 금가루가 침전되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크고,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저면에 침전된 금가루를 재활용을 위핸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집통의 내부에 격판이 형성되어 융입구를 통해 유입된 금가루를 포함한 폐기물이 부딪혀 금가루가 하측으로 침전시키는 구조이지만, 금가루가 미세하고 가벼워 부딪히는 순간 액체 폐기물과 함께 부유함에 따라 일부가 배출구를 통해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피를 감소시켜 설치가 용이하고, 폐기물에서 금가루를 용이하게 제거시키며, 포집된 금가루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다수의 격판에 의해 각 사이에 격리홈이 형성된 격리부에 의해 내부 공간부가 구획된 몸체와 침전부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와류공간부가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협소해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와류분리통이 구비되며, 와류분리통의 와류공간부로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몸체에 구비되어 공급된 폐기물 중 부유하는 폐기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부 및 몸체의 상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공급된 폐기물 중 기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되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 중 침지되는 폐기물을 와류에 의해 용이하게 침전시켜 분리하고, 침전된 침전물이 다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침전부는 몸체에서 분리하여 침전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물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공간부를 갖는 침전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와류공간부가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협소해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와류분리통,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상기 와류분리통의 와류공간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부, 상기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격판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격판 사이에 침전되는 폐기물이 통과되는 격리홈이 형성된 격리부,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되지 않은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흡입펌프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폐기물을 흡입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를 통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상기 몸체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며, 상기 와류분리통을 거쳐 침전되는 폐기물이 격리부를 통해 상기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로 침전되는 동시에 침전되지 않는 폐기물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와 침전부는,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나사결합 시,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는, 폐기물을 상기 와류분리통의 내측면을 따라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공급된 폐기물은 와류분리통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 중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와류공간부에서 폐기물을 와류시키며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격리부의 격판은,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경사지게 설치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격리홈으로 가이드하여 침전공간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 폐기물은 격리홈을 통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분리통의 하측에 원뿔형상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상기 침전공간부의 가장자리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격리부는, 상기 침전부의 침지공간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와류분리통의 상단부에서 연통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와류분리통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되, 배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와류분리통의 개방된 하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에 의하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 중 침전되는 폐기물을 와류에 의해 용이하게 침전시켜 분리하고, 침전된 침전물이 다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침전부는 몸체에서 분리하여 침전된 폐기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와류분리통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격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침전물 수거를 위한 침전부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에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에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와류분리통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격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의 침전물 수거를 위한 침전부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에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에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10)는 몸체(100)와 침전부(200), 와류분리통(300), 공급부(400), 격리부(500) 및 배출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100)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침전부(200)는 몸체(100)의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몸체(100)의 공간부(110)와 연통되어 침전물(20)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100)와 침전부(200)는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 몸체(100)와 침전부(200) 사이에 실링부재(260)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나사결합 시, 사이를 밀폐시킴에 따라 몸체(100)와 침전부(200) 내부에 위치된 폐기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와류분리통(300)은 몸체(100)의 내부 공간부(110)에 구비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와류공간부(310)가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협소해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와류분리통(300)에 의해 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이 와류분리통(300)의 내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와류가 발생된다.
공급부(400)는 와류분리통(300)의 와류공간부(310)로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펌프(200)에 의해 폐기물이 흡입됨에 따라 와류공간부(310)로 폐기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공급부(4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을 와류분리통(300)의 내측면을 따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부(400)의 내측면 일부가 와류분리통(300)의 내면과 동일 면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폐기물이 공급부(400)를 통해 와류분리통(300)의 내면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폐기물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와류분리통(300)의 내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급부(400)는 와류분리통(300)의 상단부에서 연통되고, 배출부(600)는 와류분리통(300)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되, 배출부(600)의 하단부가 공급부(400)와 와류분리통(300)의 개방된 하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공급부(400)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이 배출부(600)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류되면 하측으로 이동되는 침전되는 폐기물을 제외한 기체와 액체 및 부유하는 폐기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격리부(500)는 침전부(200)의 침전공간부(210)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격판(510)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격판(510) 사이에 침전되는 폐기물이 통과되는 격리홈(520)이 형성된다.
이때, 격리부(500)의 격판(510)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경사지게 설치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격리홈(520)으로 가이드하여 침전공간부(210)로 이동시키고, 침전공간부(210)에 침전된 침전물(20)은 격리홈(520)을 통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격리부(500)의 격리홈(520)을 통과하는 침전물(20)은 금속가루들이며, 특히 금니 치료를 할 경우, 연마된 금가루가 다른 폐기물과 함께 공급되어 와류공간부(310)를 거침에 따라 하측으로 침전되는 것이다.
또한 격리부(500)는 침전부(200)의 침지공간부(21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침전부(200)에 침전된 침전물 즉 금가루를 수거하기 위해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출부(600)는 몸체(100)의 상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공급된 폐기물 중 기체와 액체 및 부유하는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폐기물과 함께 공기 등의 기체가 함께 공급됨에 따라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금가루를 더욱 용이하게 침전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폐기물은 흡입펌프(200)에 의해 흡입 및 배출되는 것으로, 흡입펌프(200)는 배출부(60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10)는 치과 치료용 의자(1)에 구비되며,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2)과 이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펌프(2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펌프(200)가 배출부(600)를 통해 폐기물을 흡입함에 따라 공급부(400)를 통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몸체(100) 내부 공간부(110)로 공급되며, 와류분리통(300)을 거쳐 침전되는 폐기물이 격리부(500)를 통해 침전부(200)의 침전공간부(210)로 침전되는 동시에 침전되지 않는 폐기물은 배출부(600)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10)에서 침전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공급부(400)를 통해 폐기물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침전되지 않은 폐기물을 제1배출부(600)를 통해 일부 배출시킨 후, 침전부(200)를 나사결합되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0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분리된 침전부(200)는 다시 침전되지 않은 폐기물을 일부 버린 후, 격리부(500)를 분리시키고, 침전공간부(210)에 침전된 침전물(20) 즉 금가루를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분리통(300)의 하측에 원뿔형상의 가이드부(800)가 더 구비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침전공간부(210)의 가장자리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는 침전되는 침전물이 많을 경우, 침전공간부(210)의 가장자리로 분산시킴에 따라 더 많은 침전물 즉 금가루를 포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800)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8에서는 가이드부(8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돌기(810)가 형성되어 침전되는 침전물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10 : 분리장치 20 : 침전물
100 : 몸체 110 : 공간부
200 : 침전부 210 : 침전공간부
300 : 와류분리통 310 : 와류공간부
400 : 공급부 500 : 격리부
510 : 격판 520 : 격리홈
600 : 배출부 700 : 흡입펌프
800 : 가이드부

Claims (8)

  1.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물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공간부를 갖는 침전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와류공간부가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협소해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와류분리통;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상기 와류분리통의 와류공간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부;
    상기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격판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격판 사이에 침전되는 폐기물이 통과되는 격리홈이 형성된 격리부;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어 침전되지 않은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흡입펌프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폐기물을 흡입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를 통해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상기 몸체 내부 공간부로 공급되며, 상기 와류분리통을 거쳐 침전되는 폐기물이 격리부를 통해 상기 침전부의 침전공간부로 침전되는 동시에 침전되지 않는 폐기물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침전부는,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나사결합 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폐기물을 상기 와류분리통의 내측면을 따라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공급된 폐기물은 와류분리통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 중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와류공간부에서 폐기물을 와류시키며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의 격판은,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경사지게 설치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격리홈으로 가이드하여 침전공간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은 격리홈을 통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분리통의 하측에 원뿔형상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상기 침전공간부의 가장자리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침전되는 폐기물을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침전부의 침지공간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와류분리통의 상단부에서 연통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와류분리통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되, 배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와류분리통의 개방된 하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KR1020120123233A 2012-11-01 2012-11-01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KR20140055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33A KR20140055860A (ko) 2012-11-01 2012-11-01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33A KR20140055860A (ko) 2012-11-01 2012-11-01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60A true KR20140055860A (ko) 2014-05-09

Family

ID=5088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233A KR20140055860A (ko) 2012-11-01 2012-11-01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8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5076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mercury from dental waste water
JP4290221B2 (ja) 工作機械用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US9693843B2 (en) Strainer/filter unit for an aspirating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182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etals from dental waste water
EP2720639B1 (en) Separation, sedimentation and segregation chamber with dual pore-size filter
US6409803B1 (en) Amalgam separation
EP0100327B1 (en) A device for separating waste products from a flow of liquid and gas
JP5553424B1 (ja) 歯科治療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金属回収方法
KR20140055860A (ko) 치과 치료용 침전 폐기물 분리장치
KR100971490B1 (ko)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금가루 수거장치
JP3011932B1 (ja) 浄化システム
US20130199975A1 (en) Disposable filter for removing particulate metals from dental waste water
JP2005028244A (ja) フィルタ装置
RU945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KR200466513Y1 (ko) 배수관 악취배출기능을 구비한 치과병원의 금속가루 수거장치
CN2915055Y (zh) 一种用于牙科治疗设备的抽吸装置
JP2011240451A (ja) 処理液浄化装置
JP2005028242A (ja) フィルタ装置
JPH08294602A (ja) 油水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浄油機
RU195743U1 (ru) Безнапор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рыбоводных систем
CN108911247A (zh) 一种医院废水处理设备悬浮物过滤器
CN219950631U (zh) 一种污水治理过滤用沉淀池
RU2668820C1 (ru) Улавливатель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JP2001149716A (ja) 作業液浄化方法
JP2008114132A (ja) スラッジの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