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330A - Container - Google Patents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330A
KR20140055330A KR1020120121988A KR20120121988A KR20140055330A KR 20140055330 A KR20140055330 A KR 20140055330A KR 1020120121988 A KR1020120121988 A KR 1020120121988A KR 20120121988 A KR20120121988 A KR 20120121988A KR 20140055330 A KR20140055330 A KR 20140055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ll
receiving means
parti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7382B1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102012012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82B1/en
Publication of KR2014005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taking foods, which enables users to store various foods and prevents foods stored inside from being mixed together when the container is in use or being transferred.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part; a wall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art; a body having a first coupling part at the top of the wall part and an accepting space inside the wall part; a cover which is join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using a second coup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to cover the body; and an auxiliary accepting unit which has multiple accepting parts partitioned by multiple partitions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inner top of the wall part of the body to be locked.

Description

용기{Container}Container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food.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백화점의 식품코너에서는 음식물을 일회용 용기에 넣어 판매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예컨대, 오이, 상추 등의 야채를 바로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가공해놓은 상태에서 합성수지 재질의 투명 용기에 넣어서 판매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는 구매 후 별도의 손질을 하지 않고 곧바로 취식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에 담기는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변질이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용기의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in food corners of large-sized marts and department store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sell food in disposable containers. For example, vegetables such as cucumbers and lettuce are process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they can be eaten immediately, so that the consumer can immediately take a meal without making any additional maintenance after purchase. In this case, containers are used so as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vegetables to be contained in the containers and to keep the container in an airtight stat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r discoloration.

최근에는 단순히 야채만을 넣어서 판매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즉석으로 샐러드를 만들어 취식할 수 있도록 용기 내에 다양한 야채를 넣고 별도로 포장된 소스를 용기의 커버에 부착하거나 용기의 측면에 부착시켜 판매하고 있으며, 소비자가 용기를 개방하고 소스를 용기내에 부어 즉석에서 샐러드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cently, it is sold merely by simply putting vegetables only, and various vegetables are put in a container so that a salad can be prepared instantly, and separately packaged sauce is attached to the cover of the container or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pour the sauce into the container so that you can make a salad on the spot.

그런데, 종래 야채 샐러드용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외부에 부착된 포장소스가 운반시에 용기에서 이탈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vegetable salad contain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ckage sauc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during transportation.

한편, 용기는 일회적인 판매용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기는 하지만, 구매 후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소비자는 이를 곧바로 버리지 않고 가정에서 용기로 재활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용기의 재질이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인(PET) 재질로 이루어지다보니, 간단한 세척으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ontainer is manufactured and sold for a one-time sale, when the state after purchase is good, the consumer does not immediately throw it away but recycles it as a container at home. Since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ne (PET), a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by simple cleaning.

그런데, 종래 용기는 통상 음식물이 수납되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으로 이루어지는데, 기밀성의 향상을 위해 결합 상태에서 바디의 측벽 상단과 밀착되는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고무패킹이 추가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고무패킹은 소재의 특성상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노후되어 부스러지거나 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이탈되기 쉬울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세밀한 세척이 어렵기 때문에 이물질이 끼거나 각종 세균이 번식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등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고무패킹을 성형함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용기는 바디에 커버를 기밀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압박 후크 등의 부품이 마련되어야만 했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conventional container comprises a body for storing food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order to improve airtightness, a rubber packing is additionally formed at a rim portion of the cover closel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do. However, since the rubber packing is rapidly deteriorated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is likely to be detached from the rim of the cover,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structure finely. Therefore, the rubber packing is hygienic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molding a separate rubber packing increases. 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onent such as a separate pressing hook has to be provided in order to hermetically couple the cover to the body, thereby increasing the cost.

또한, 종래의 용기는 대부분 하나의 수납 공간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종류 또는 비슷한 종류의 음식물만 담아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상 및 액상 음식물과 같이 성격이나 상태가 다른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또 하나의 용기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ntainer has only one storage space, it can store only one type of food or a similar kind of food. Therefore, in order to store conte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conditions such as solid and liquid food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preparing containers separatel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foo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이나 사용시 내부의 음식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which can prevent internal food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고무패킹이나 압박 후크 등이 없어도 바디와 커버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in which a body and a cover can be hermetically coupled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rubber packing or a pressing hook.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벽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를 가져, 상기 바디를 덮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커버와,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벽부의 상단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보조수납수단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wall portion, A cover hav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being coupled or detachable to cover the body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nd an auxiliary receiving means which is inserted and prevented from flow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격벽이 상기 커버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수납부가 각각 밀폐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ody, the parti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storage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can be sealed.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벽부는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 및 오목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둘레가 상기 바디의 벽부의 상단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of a plurality of alternately formed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nd the perimeter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wall portion of the body, Rot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중앙에 제1수납부가 마련되도록 둘레를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수납부 외측에 복수의 제2수납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격벽에서 각각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storage section at a center thereof, and a second partition wall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torage sections outside the first storage s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s radially extending from the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격벽 및 제2격벽이 상기 커버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수납부 및 제2수납부가 각각 밀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ody,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respectively sea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격벽은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2격벽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격벽의 상면에 밀착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둘레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의 상면에 밀착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i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s formed to have a flat upper surface, the second parti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s inclined outwardly, And a slop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flat portion and closel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상기 제2격벽의 상단이 상기 제1격벽의 상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단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평면부는 하방으로 요입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평면부 둘레가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단턱부에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formed by position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flat portion of the cove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경사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산부 및 골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2격벽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산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의 산부의 하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ve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aised portions and valleys alternate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ak of the cover And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ain of th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는 상기 벽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에 제1홈부가 마련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1요입부와, 상기 제1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외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 둘레에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제1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요입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부가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2요입부와, 상기 제2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절곡부에 대응되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가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감합됨으로써 상기 바디 및 커버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of the body includes: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so as to extend from an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to have a first groove formed therein; A first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bent so as to form a step,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fitted in a first groove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of the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second protrusion A seco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inwardly so as to provide a second recessed portion to which the first recessed portion of the body can be fitted; 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cover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and the cover can be airtightly engaged with each oth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제2절곡부는 끝단부가 상기 바디의 제1절곡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ㄱ'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ent portion of the cover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an end portion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랜지부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브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절곡부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브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 및 커버는 상기 제1브리지 및 제2브리지에 각각 절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탭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탭을 떼어내면 상기 바디 및 커버가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bridge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cover has one side of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the body and the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abs that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and the second bridge, and when the tab is detached, the body and the co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의하면, 바디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조수납수단이 마련되고, 보조수납수단에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부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is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thereby storing different types of fo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의하면, 보조수납수단이 바디 및 커버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커버에 의해 보조수납수단의 수납부가 밀폐됨으로써, 운반이나 사용시 하나의 수납부에 수납된 음식물이 인접한 다른 수납부로 넘어가 섞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rigidly coupled by the body and the cover, but also the housing por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closed by the cover, so that the food stored in one receiving portion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is adjacent The phenomenon of mixing with another storage por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의하면, 바디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에 커버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감합됨으로써, 별도의 고무패킹이나 압박 후크 등이 없어도 바디와 커버가 기밀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cover is fitt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and the cover are sealed Lt;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바디의 일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커버의 일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바디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보조수납수단과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ure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over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ver and the body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ver being engaged with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바디(100), 커버(200), 보조수납수단(300)을 포함한다.1 to 7,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to 3,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cover 200, and an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As shown in FIG.

바디(100)는 내부에 대상물, 예컨대 야채를 비롯한 음식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0 serves to accommodate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the like inside the body 100. The body 1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이러한 바디(100)는 바닥부(110), 벽부(120), 제1결합부(130)을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바닥면과 닿게 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벽부(120)는 바닥부(110)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바디(100)의 외벽을 이루게 되는 구성으로 바디(100)의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지탱하여 바디(100)가 찌그러지거나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결합부(130)는 벽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커버(200)의 제2결합부(230)와 결합된다. 바디(100)의 바닥부(110), 벽부(120) 및 제1결합부(130)는 사출을 통해 일체성형된다. 그리고 바디(100)는 벽부(120)에 의해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140)을 가지며, 수용공간(140)에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다. 바디(100)는 상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는다.The body 10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0, a wall portion 120,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130. The bottom portion 110 is a portion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The bottom portion 110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rectangular shape, though not shown. The wall 120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110 to form an outer wall of the body 100 to suppor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dy 1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collapse the body 100 And serves to prevent sinking. The first coupling part 1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part 12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230 of the cover 200 described later. The bottom portion 110, the wall portion 12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are integrally molded through injection. The body 100 has a receiving space 140 provided inside by the wall 120 so that food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140. The body 100 has an upward opening (not shown).

바디(100)는 올록볼록한 면을 갖는 벽부(120)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벽부(120)는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122) 및 오목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볼록부(122)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오목부(124)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요입형성되며, 그 개수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디(100)의 벽부(120)에 복수의 볼록부(122) 및 오목부(124)가 형성되면, 벽부(12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보조수납수단(3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물론, 바디(100)의 벽부(120)가 통상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굴곡없는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body 100 may have a wall portion 120 having a convex surface.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22 and concave portions 124 formed alternately. The convex portion 122 is convexly protruded outwardly and the concave portion 124 is concavely recessed and formed in the inside direction. The number and width of the convex portion 12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I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2 and the recesses 124 are formed in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the rigidity of the wall portion 120 can be improved and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can be preven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can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like a normal container.

커버(200)는 바디(100)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디(100)의 제1결합부(130)에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230)를 가져, 바디(100)를 덮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바디(100)의 제1결합부(130)와 커버(200)의 제2결합부(230)의 결합관계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over 20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100 and has a second coupling part 230 which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30 of the cov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보조수납수단(300)은 바디(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갖는다. 보조수납수단(300)의 수납부는 하방으로 함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수납수단(300)은 바디(100)의 벽부(120)의 상단 내측에 끼워져 결합된다.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and has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divid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to accommodate various objects.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formed to be embed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and is engaged.

이 경우, 보조수납수단(300)은 그 둘레가 바디(100)의 벽부(120)의 상단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상 바디(100)의 벽부(120)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보조수납수단(300)이 바디(100)의 벽부(120) 내측에서 더 이상 하방으로 삽입되지 않고 벽부(120)의 상단 내측면에 억지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 보조수납수단(300)은 그 둘레가 바디(100)의 벽부(120)의 상단 내측면에 면접촉되어 밀착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may have a shape whose circumference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not inserted further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but is forcedly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20 because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so that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벽부(120)가 복수의 볼록부(122) 및 오목부(124)로 구성된 경우, 보조수납수단(300)은 둘레가 바디(100)의 벽부(120)의 상단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복수의 볼록부(360) 및 오목부(361)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보조수납수단(300)이 바디(100)의 벽부(120)의 내측면에 결합되면 보조수납수단(300)의 회전도 방지될 수 있다. 바디(100)의 오목부(124)가 걸림턱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수납수단(300)은 바디(100)에 억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When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i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22 and the concave portions 124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formed so that the perimeter of the wall portions 120 of the body 100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may hav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360 and concave portions 361,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can also be prevented. This is because the concave portion 124 of the body 100 serves as a latching jaw. Therefore,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prevented from being vertically moved or rotat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engaged with the body 100.

보조수납수단(300)은 다양한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가진다는 것은 전술하였다. 이 경우, 보조수납수단의 복수의 수납부에는 액상소스와 같은 음식물이 수납될 수도 있는데, 하나의 수납부에 수납된 액상소스가 인접한 다른 수납부로 넘어가 섞이지 않도록 각각의 수납부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커버(200)가 바디(100)에 결합될 때 보조수납수단(300)의 격벽이 커버(2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수납수단(300)의 격벽에 밀착되는 커버(200)는 보조수납수단(300)을 하방 압박하기 때문에 보조수납수단(300)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has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that are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foods and ar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food and beverage such as the liquid source may be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and each storage portion may be sealed so that the liquid source stored in one storage portion is not mixed with another adjacent storage portion This can be realized by bringing the parti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0 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In this case, the cover 2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i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also functions to prevent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from flowing because it pushes dow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수단(300)은 제1격벽(310) 및 복수의 제2격벽(320)을 가질 수 있고, 제1격벽(3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수납부(330)와 제2격벽(3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수납부(340)를 가질 수 있다. 제1수납부(330)와 제2수납부(340)는 하방으로 함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수납부(330)는 제1격벽(310)이 둘레를 형성함으로써 보조수납수단(3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2수납부(340)는 제1수납부(330)의 외측에 복수로 형성된다. 제2격벽(320)은 제2수납부(340)를 형성하기 위해 제1격벽(310)에서 각각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된다.1 and 2,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may have a first barrier rib 310 and a plurality of second barrier ribs 320,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40 formed by the first and the second barrier ribs 330 and 320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20 and 320.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3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340 are formed to be embedded downward. The first storage portion 3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by forming the first partition 310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3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 The second barrier ribs 320 extend radially from the first barrier ribs 310 to form the second barrier ribs 340.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가 바디(100)에 결합될 때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격벽(310)과 제2격벽(320)은 각각 커버(200)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수납부(330)와 제2수납부(340)가 각각 밀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격벽(310) 및 제2격벽(320)의 상면과 커버(200)의 하면을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1, 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first partition 310 and the second partition 320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are connected to the cover 200, So tha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3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34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can be sealed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partition 310 and the second partition 32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이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격벽(310)은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커버(200)는 제1격벽(310)의 상면에 밀착되는 평면부(210)와 평면부(210)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제2격벽(320)의 상면에 밀착되는 경사부(22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0)는 평면부(210)가 제1격벽(310)의 상면에 밀착되고 경사부(220)가 제2격벽(32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수납부(330)와 제2수납부(340)를 밀폐시키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partition wall 31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formed to have a flat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2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formed outwardly The cover 200 may include a flat portion 2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310 and a second portion that extends around the flat portion 210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320 And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220 which is in close contact therewith. Accordingly, the cov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310 and the inclined portion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320, The sealing portion 33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40 are sealed.

더욱이,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수단(300)은 제2격벽(320)의 상단이 제1격벽(310)의 상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단턱부(350)를 가진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도로 커버(200)의 평면부(210)는 하방으로 요입형성되며, 커버(200)의 평면부(210) 둘레가 보조수납수단(300)의 단턱부(35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커버(200)는 보조수납수단(300)의 제1수납부(330) 및 제2수납부(340)를 밀폐시킬 뿐만 아니라 보조수납수단(300)을 하방으로 압박하게 되고 특히 요입형성된 평면부(210)가 보조수납수단(300)의 단턱부(350)에 밀착되어 압박하게 됨으로써 보조수납수단(300)의 유동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2, 3 and 7,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ncludes a plurality of stages (not shown)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ank 320 being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nk 310, And has a jaw portion 350. The planar portion 210 of the cover 200 is recessed downward and the periphery of the planar portion 210 of the cover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35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The cover 200 not only hermetically closes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3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34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but also pushes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downward, The planar portion 210 is pressed against the step portion 35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to further prevent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from flowing.

이 경우, 도 1 내지 도 3에는 커버(200)의 평면부(210)의 직경이 바디(100)의 바닥부(110)의 외경보다 작은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커버(200)의 평면부(210)의 직경이 바디(100)의 바닥부(110)의 외경과 대응되게 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용기의 커버(200)의 요입형성된 평면부(210)에 다른 용기의 바디(100)의 바닥부(110)가 끼워지도록 올려놓음으로써 다수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1 to 3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plane portion 210 of the cover 20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body 100. Alternatively, The diameter of the body 210 may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body 100 and in such a case the flat portion 210 of the container 200 of one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body 100 can be stably stacked by placing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100 in a manner to be fitted.

한편,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과 밀착되는 커버(200)의 경사부(220)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산부(222) 및 골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의 상면은 커버(200)의 산부(222)에 밀착되도록 커버(200)의 산부(222)의 하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220 of the cover 2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artition 320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rests 222 and valleys 224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Lt; / RTI >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2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ill part 222 of the cover 2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ill part 222 of the cover 200.

참고로,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은 보조수납수단(300)을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역할도 하게 되며, 사용자는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을 손으로 잡고 바디(100)에서 보조수납수단(300)을 꺼낼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320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also serves as a handle for lifting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and the user can move the second partition 320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300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from the body 100 while holding it with the hand.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복수의 수납부를 갖는 보조수납수단(300)이 바디(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다양한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특히 보조수납수단(300)은 바디(100)의 벽부(120)의 상단 내측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커버(200)가 하방으로 압박함에 따라 상하유동 및 회전이 방지되며, 제1격벽(310) 및 제2격벽(320)의 상면이 커버(200)의 하면과 밀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므로 하나의 수납부에 액상소스 등과 같은 음식물을 수납한 경우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인접한 다른 수납부로 넘어가 섞이지 않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to accommodate various foods. Particularly, in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10 and 320 are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20 of the body 100 and are prevented from moving up and down as the cover 200 is pressed down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Thus, when food such as liquid source is stored in one receiving portion, even if it is shaken or tilted, it is not mixed with another adjacent receivin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바디(100)와 커버(200)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바디(100)와 커버(200)의 결합관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can b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Explain.

우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제1결합부(130)는 제1돌출부(132), 제1요입부(134), 제1절곡부(136), 제1플랜지부(138)를 포함한다. 제1돌출부(132)는 벽부(120)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제1홈부(131)를 형성한다. 제1요입부(134)는 제1돌출부(132)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으로 요입형성된다. 제1절곡부(136)는 제1요입부(134)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외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된다. 제1플랜지부(138)는 제1절곡부(136)의 상단 둘레에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다.2 and 4,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32, a first recessed portion 134, a first bent portion 136, 1 flange portion 138 as shown in Fig. The first protrusion 132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120 and protrudes outward to form a first groove 131 inward.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extends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32 and is formed inwardly inwardly. The first bent portion 136 is bent so as to exten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and form a step toward the outside. The first flange portion 138 extends outward and downwar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36.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제2결합부(230)는 제2돌출부(232), 제2요입부(234), 제2절곡부(236)를 포함한다. 제2돌출부(232)는 바디(100)의 제1돌출부(132)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1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다. 제2요입부(234)는 제2돌출부(232)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바디(100)의 제1요입부(134)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부(233)가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된다. 제2절곡부(236)는 제2요입부(234)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바디(100)의 제1절곡부(136)에 대응되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된다.2, 3 and 5,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30 of the cover 200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232, a second recessed portion 234, a second bent portion 236, .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first groove 131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132 of the body 100.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34 is formed inwardly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ded portion 232 and to have a second recessed portion 233 in which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of the body 100 can be fitted. do. The second bent portion 236 is bent to form a step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136 of the body 100 and extending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3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제1결합부(130)의 제1돌출부(132), 제1요입부(134), 제1절곡부(136)는 커버(200)의 제2결합부(230)의 제2돌출부(232), 제2요입부(234), 제2절곡부(236)와 각각 대응되는데, 커버(200)를 바디(100)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커버(200)의 제2돌출부(232), 제2요입부(234), 제2절곡부(236)가 바디(100)의 제1돌출부(132), 제1요입부(134), 제1절곡부(136)에 감합됨으로써 바디(100)와 커버(200)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6,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32,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and the first bent portion 136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are engaged wit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32 of the cover 200, The second convex portion 23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236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30. The cover 200 is positioned above the body 100 and is moved downward The second projection 234 and the second bend 236 of the cover 200 are engaged wit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32 of the body 100 and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of the body 100,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can be hermetically coupled by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bent portion 136. [

구체적으로, 바디(100)의 제1돌출부(132)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131)에 커버(200)의 제2돌출부(232)가 끼워지고, 이어서 커버(200)의 제2요입부(234)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부(233)에 바디(100)의 제1요입부(134)가 끼워지며, 이어서 바디(100)의 제1절곡부(136)에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가 밀착됨으로써, 바디(100)와 커버(200)가 기밀하게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protrusion 232 of the cover 200 is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131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132 of the body 100, and then the second protrusion 232 of the cover 200 is inserted,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of the body 100 is fitted into the second groove portion 233 formed by the first recessed portion 234 and then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4 of the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6 of the body 100. [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are air-tightly coupled by the two bent portions 236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는 'ㄱ'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의 끝단부가 바디(100)의 제1절곡부(136)의 내측면에 밀착된다.6, the second bent portion 236 of the cover 20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the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236 of the cover 20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136 of the additional body 100.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커버(200)는 탭(15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00)의 제1결합부(130)는 제1플랜지부(138)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브리지(13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버(200)의 제2결합부(230)는 제2절곡부(236)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브리지(23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탭(150)은 바디(100)의 제1브리지(139)와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를 연결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may be connected by the tabs 150. To this e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ridge 139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138, The tab 2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ridge 239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second bend 236. The tab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139 of the body 100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can be connected.

이 경우, 탭(150)은 바디(100)의 제1브리지(139) 및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에 각각 절취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탭(150)을 떼어내면 바디(100) 및 커버(20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00)의 제1브리지(139)와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는 커버(200)를 바디(100)에서 분리해내고자 할 때 손잡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와 바디(100)의 제1절곡부(136)는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특히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의 끝단부가 'ㄱ'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바디(100)의 제1절곡부(136)의 내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커버(200)의 제2절곡부(236)를 손으로 잡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탭(150)을 떼어내고 바디(100)의 제1브리지(139)와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를 각각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바디(100)에서 커버(200)를 분리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b 150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139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respectively. When the tab 150 is detached,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can be separated. The first bridge 139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can be utilized as grips when the cover 2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ent portion 236 of the cover 200 and the first bent portion 136 of the body 100 are airtightly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no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236 of the cover 200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136 of the body 100, 236) can not be held by hand. Accordingly, the user removes the tab 150 and pulls the first bridge 139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by hand, (200) can be separated and opened.

참고로, 탭(150)은 양단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52)를 가질 수 있고, 탭(150)의 요철부(152)를 손으로 잡게 되면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도 손으로 잡은 경우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부(239a)를 가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ab 150 may have a concave / convex portion 152 formed on the surfaces of both ends, and slipping may be prevented i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52 of the tab 150 is held by hand. Also,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may have a concave / convex portion 239a to prevent slipping when being hand-hel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용기 자체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어떠한 음식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어, 이를 구매한 소비자는 가정에서 음식물의 밀폐보관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소량의 음식물을 담아 운반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수납수단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irst, the container is sold in a state in which no food is stored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used at home, and the consumer who purchases the container can use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food in the home, and a tool for carrying a small amount of food . If necessary,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can be removed and used.

둘째, 용기에 다양한 음식물, 예컨대 샐러드 재료가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바디(100)의 내측 수용공간(140)에 야채가 담겨지고, 보조수납수단(300)에는 액상소스 등을 비롯한 추가적인 재료가 종류별로 구획을 나누어 제1수납부(330) 및 제2수납부(340)에 수납되며, 샐러드 재료가 신선하게 보관되도록 커버(200)가 바디(100)에 기밀하게 결합된 상태로 판매가 된다. 이를 구매한 소비자는 가정이나 즉석에서 샐러드를 만들기 위해 탭(150)을 떼어내고 바디(100)의 제1브리지(139)와 커버(200)의 제2브리지(239)를 각각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바디(100)에서 커버(200)를 분리해낸 후, 보조수납수단(300)의 제2격벽(320)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고 수납된 재료들을 바디(100)의 내측 수용공간(140)에 부어서 샐러드를 만들어 취식할 수 있다. 취식 후 용기는 간단하게 세척을 한 후 전술한 첫번째 용도로 가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다.Second, the container may be sold with various foods, such as salad ingredients, contained therein. In this case, vegetable is contain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140 of the body 100, and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liquid source are divided into the first storage part 330 and the second storage part 300,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0. The cover 200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body 100 so that the salad material is freshly stored. The consumer purchases the tab 150 and removes the tab 150 to make a salad on the premises or on the spot and grips the first bridge 139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bridge 239 of the cover 200 by hand, The cover 200 is removed from the body 100 by pulling it and then the second partition wall 320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300 is lifted and held by hand so that the materials stor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140) to make a salad. After eating, the container can be simply reclaimed and then recycled at home for the first use described above.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관련하여 바디(100) 및 커버(200)가 원형인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기타 다각형인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reference, the body 100 and the cover 200 are circular in relation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rectangular or other polygonal shapes are applicable.

100 : 바디 110 : 바닥부
120 : 벽부 122 : 볼록부
124 : 오목부 130 : 제1결합부
131 : 제1홈부 132 : 제1돌출부
134 : 제1요입부 136 : 제1절곡부
138 : 제1플랜지부 139 : 제1브리지
140 : 수용공간 150 : 탭
200 : 커버 210 : 평면부
220 : 경사부 222 : 산부
224 : 골부 230 : 제2결합부
232 : 제2돌출부 233 : 제2홈부
234 : 제2요입부 236 : 제2절곡부
239 : 제2브리지 300 : 보조수납수단
310 : 제1격벽 320 : 제2격벽
330 : 제1수납부 340 : 제2수납부
350 : 단턱부
100: Body 110:
120: wall portion 122: convex portion
124: concave portion 130: first engaging portion
131: first groove portion 132: first protrusion
134: first incised portion 136: first bent portion
138: first flange portion 139: first bridge
140: Capacity space 150: Tab
200: cover 210:
220: inclined portion 222:
224: valley 230: second coupling part
232: second projection 233: second groove
234: second incised portion 236: second bent portion
239: second bridge 300: auxiliary receiving means
310: first barrier rib 320: second barrier rib
330: first storage portion 340: second storage portion
350:

Claims (12)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벽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를 가져, 상기 바디를 덮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커버; 및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바디의 벽부의 상단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보조수납수단을 포함하는 용기.
A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wall portion;
A cover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body and being coupled or detachable to cover the body; And
And an auxiliary receiv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nd fitted to the inside of an upper end of a wall portion of the body to prevent f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격벽이 상기 커버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수납부가 각각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ody, the parti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storage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is sea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벽부는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 및 오목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둘레가 상기 바디의 벽부의 상단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portion of the body comprises a plurality of alternately formed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nd the periphery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of the body, Lt;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중앙에 제1수납부가 마련되도록 둘레를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수납부 외측에 복수의 제2수납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격벽에서 각각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torage means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having a periphery so that a first storage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portions, which are radially extended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second storage portions outside the first storage portion, 2 < / RTI > barri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격벽 및 제2격벽이 상기 커버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수납부 및 제2수납부가 각각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ody,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first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means are respectively sealed As a contain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1격벽은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2격벽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격벽의 상면에 밀착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둘레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의 상면에 밀착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arrier rib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formed with a flat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barrier rib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formed obliquely outwardly and the cover has a flat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rrier rib,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수단은 상기 제2격벽의 상단이 상기 제1격벽의 상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단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평면부는 하방으로 요입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평면부 둘레가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단턱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auxiliary storage mean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formed by position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he planar portion of the cover is recessed down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경사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산부 및 골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수납수단의 제2격벽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산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의 산부의 하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ve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aised portions and valleys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mean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ak of the cover Lt;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는 상기 벽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에 제1홈부가 마련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1요입부와, 상기 제1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외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 둘레에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제1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요입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부가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2요입부와, 상기 제2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절곡부에 대응되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가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감합됨으로써 상기 바디 및 커버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so as to have a first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bent outwardly to form a step, an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groove formed by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ody and a second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A second recess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so as to be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capable of being tilted so as to form a stepp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body, And a second folded portion that is rock-folded, wherein a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engages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of the body such that the body and the cover are hermetically engag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2절곡부는 끝단부가 상기 바디의 제1절곡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ㄱ'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bent portion of the cover has a cross-section such that an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bod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랜지부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브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절곡부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브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 및 커버는 상기 제1브리지 및 제2브리지에 각각 절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탭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탭을 떼어내면 상기 바디 및 커버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bridge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second bridge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second bend, Wherein the body and the cover are connected by tabs that are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and the second bridge, respectively, and the body and the cover are detachable when the tab is detached.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벽부, 상기 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벽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를 가져, 상기 바디를 덮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는 상기 벽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에 제1홈부가 마련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1요입부와, 상기 제1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외측으로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 둘레에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제1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요입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부가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제2요입부와, 상기 제2요입부의 상단 둘레에서 연장되되 상기 바디의 제1절곡부에 대응되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제2결합부가 상기 바디의 제1결합부에 감합됨으로써 상기 바디 및 커버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A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wall portion; And
And a cover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body and being coupled or detachable to cover the body,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so as to have a first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bent outwardly to form a step, an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groove formed by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ody and a second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A second recess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so as to be provid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capable of being tilted so as to form a stepp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of the body, And a second folded portion that is rock-folded, wherein a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engages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of the body such that the body and the cover are hermetically engaged.
KR1020120121988A 2012-10-31 2012-10-31 Container KR101417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88A KR101417382B1 (en) 2012-10-31 2012-10-31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88A KR101417382B1 (en) 2012-10-31 2012-10-31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30A true KR20140055330A (en) 2014-05-09
KR101417382B1 KR101417382B1 (en) 2014-07-10

Family

ID=5088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988A KR101417382B1 (en) 2012-10-31 2012-10-31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38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271A (en) * 2017-10-18 2019-04-26 오제이씨(주) Container
CN111559559A (en) * 2020-03-23 2020-08-21 浙江百珍堂食品有限公司 Portable multifunctional lunch box with heat preservation and heating fun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938B1 (en) * 2016-02-24 2018-01-02 윤승희 Garnish separate storage container
KR200483289Y1 (en) 2016-12-13 2017-04-26 한규정 Food container for vaccum
KR101973955B1 (en) * 2017-09-11 2019-04-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본프레쉬 Salad pack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37B2 (en) * 1997-03-04 2000-10-10 中央化学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
KR200453733Y1 (en) * 2009-03-26 2011-05-27 주식회사 오색만찬 Food pack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271A (en) * 2017-10-18 2019-04-26 오제이씨(주) Container
CN111559559A (en) * 2020-03-23 2020-08-21 浙江百珍堂食品有限公司 Portable multifunctional lunch box with heat preservation and heating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382B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648B2 (en) Container system
CA2823863C (en) Cutlery utensil dispensing package
US3526335A (en) Storage and serving container for foodstuffs such as chilled desserts and the like
US3307602A (en) Thin walled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US7587883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KR101417382B1 (en) Container
US20090200301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Assemblies
US20060076260A1 (en) Container and lid with multiple chambers and related methods
US20110031154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KR20060015011A (en) A reclosable package
KR101513154B1 (en) Receptacle with improved open and close function
US8387821B2 (en) Food container
KR20100106947A (en) Stacked type food preservation vessel
JP2008531413A (en) Sealed container with stackable top and bottom
US20070102319A1 (en) Interleaved containers with a single lid
CN205738729U (en) Container
JP2001114317A (en) Food preserving container
KR200483275Y1 (en) A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KR20110011870U (en) Container
KR20160003682U (en) Integrated package for food
CN216970581U (en) Container lid and storage container
BRPI0901607A2 (en) container
KR20110001633U (en) Packing vessel having strap
JP2021172358A (en) Container for daily d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