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092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092A
KR20140055092A KR1020120121430A KR20120121430A KR20140055092A KR 20140055092 A KR20140055092 A KR 20140055092A KR 1020120121430 A KR1020120121430 A KR 1020120121430A KR 20120121430 A KR20120121430 A KR 20120121430A KR 20140055092 A KR20140055092 A KR 2014005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me key
window substrat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9899B1 (en
Inventor
김한수
한기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9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 window substrate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hole; a frame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frame; and a home key part arranged in the hole of the window substrate. The home key part includes: a home key; a piezoelectric element positioned in a lower part of the home key;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arranged adjacen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s a variety of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terminal having a multi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player).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Nowadays, th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as it has hardware for implementing a faster data processing speed, a clearer picture quality, and various functions.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그 두께 및 크기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complicated,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두께 및 크기가 슬림화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duced thickness and size while realizing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홀(Hole)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회로 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홈키부(Home Ke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부는 홈키(Home Key), 상기 홈키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및 상기 압전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 window substr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hole, a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module,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behind the frame and a home key part disposed in the hole of the window substrate, wherein the home key comprises a home key, a home key,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nd an electrode terminal disposed adjacen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홈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중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key may overlap the display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indow substrate.

또한, 상기 홈키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제 1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ke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t an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t an end of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t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are omitted .

또한,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Further, the wall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ndow substrate.

또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제 1 면(First Surface)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may protrude more than a first surface of the window substrate and the third portion may protrude more than a second surface that opposes the first surface of the window substrate .

또한, 홈키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home key may include zirconia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홈키를 구현함으로써 홈키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function of a home key by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to implement a home key, and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 내지 도 14는 홈키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5 are view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6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s of the groove key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홈키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이면 어떤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herein can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product using a home key.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herein is preferably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홈키(Home Key)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홈키 이외에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어떠한 키라도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home ke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ny key other than the home key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5 are view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ar shape. The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but may be various typ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cover 210, a battery cover 220, and a display unit 151. The front cover 210 and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various driving boards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battery cover 220. [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module.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represent a 2D image and / or a 3D imag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e IC including a driving elemen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at an edge of the display unit 151. In other words, 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51.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210 may include a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window substrate (window substrate) made of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51.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220 protects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impact and restrains the battery.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홈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152, a front camera 280a,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a microphone 122, A camera 280b, and an interface unit 17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me key unit 500.

홈키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시에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으로 복귀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서 활성화상태로 상태를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home key unit 500 can be used when returning to the main screen set in advan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perates. Or to change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a stand-by state to an active stat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소정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서핑을 수행하는 도중에 홈키부(50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웹 사이트의 영상이 아닌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파워(Power)가 온(On)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를 유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홈키부(50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화 모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 발신 통화, 수신 통화 등의 기능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키부(500)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home key part 500 while performing a web surfing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sit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image of the main screen set in advance can be displayed instead of the image. 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home key part 500 in the case where the Standby mode is maintained while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n, 100) can be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active mode. In the active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us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nection to a network, outgoing call, and incoming call. The function of the home key unit 5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a speaker for outputting a condensed sound or the like.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152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first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ynthesized sou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s according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ring ton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art.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The front camera 280a can photograph a subject such as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For example,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conduct a video call with another user using his / her own image captured by the front camera 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be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es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include various operation units.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281 and a side button 284. Here, the touch input unit 281 may be used to detect proximity touch and / or touch touched by the user, and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ide button 284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unit 281 may include a capacitive touch sensor. In this 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281, a predetermined command can be executed. In addition, when a command input, that is, a touch is detected by the user, light may be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unit 281,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user input units 281 and 28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ith a tactile impression. For example, the side button 284 of the user input 281 may be a physical button.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The user inputs 281 and 284 can be frequently used or assigned major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start and / or term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 or application, sound conditioning, and the like may be assigned to the user inputs 281 and 284.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ide button 284 can hav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lik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the side button 284 while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may be a device for acquiring a voice or the like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rear camera 280b.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ar camera 280b can photograph a subject such as a user located beh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user can photograph a subject located beh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ile check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using the rear camera 280b.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ar camera 280b and the front camera 280a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be able to rotate or pop-up.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flash and / or a mirror may be disposed around at least one of the rear camera 280b and the front camera 280a. The flash can illuminate the subject toward the subject during shooting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subject.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terface unit 170 can be used to receive data, power, etc. from the outsid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a touch sensor for touch operation may be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display unit 151.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210, a battery cover 220, a housing 240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210, . ≪ / RTI >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및 윈도우 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constituting a display unit 151, a window substr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 window substrate and a display module And a touch panel positioned between the touch panel.

윈도우 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substrate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In addition, the window substrate is substantially transparent and may comprise a glass material or a resin material.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윈도우 기판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substrate, and can recognize the touch pos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window substrate.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a driver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over 220.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orm of the battery cover 220 and the housing 240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battery cover 220 may be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240 by a pop-up type, a slide type, a pull type, or the like.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camera 280b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240. [ In this case, a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amera (280b) may be formed on the battery cover (220) to expose the rear camera (280b) to the outside.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27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40. To this end, 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battery 270 is mounted, that is, a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battery terminal 371. The battery terminal 37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70 so that the energy of the battery 270 may be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terminal 371 may be disposed in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When the battery 270 is disposed in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the battery 270 can be safely restrained and the battery 270 can be sta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371.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xchange the battery 270 after detaching the battery cover 220 from the housing 240. [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Also, a memory coupling unit 38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40. A memory 390 such as a memory card or a USIM card can be connected to the memory coupling unit 380.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housing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ttached hereto.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40 may include a frame 310 and a rear cover 320.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Preferably, the main circuit board 400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In other words, the main circuit board 4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rame 310 and the rear cover 320. [ Various circuit components 401 may be disposed on the main circuit board 400.

메인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in circuit board 40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여기서, 메인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main circuit board 400 can be referred to as a control unit.

아울러,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ircuit board 4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not shown), and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A terminal body 372 in which a battery terminal 371 is disposed, a memory coupling unit 380 and a rear camera 280b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310. [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ear camera 280b and / or the memory coupling portion 380 are disposed on the rear cover 320. [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372 may be located in the region 370a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in the frame 310. [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The frame 31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340 for fastening with the rear cover 320. A fastening hole 341 for fastening the frame 310 to the rear cover 320 may be formed on the rear cover 320. The frame 310 and the rear cover 320 can be fastened together by fastening means 342 such as a screw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41 and connected to the fastening portions 340. [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rear cover 32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310 to protect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frame 310.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A battery hole 370b for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370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320. [ The battery hole 370b may correspond to a region 370a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0 of the frame 310. [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erminal hole 370c for the terminal body 372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hole 370b.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ar cover 320 may include a memory hole 361 corresponding to the memory coupling unit 380 and a camera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rear camera 280b.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rear camera 280b disposed in the frame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221 formed in the camera hole 221 and the battery cover 220. [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memory connector 380 disposed in the frame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320 through the memory hole 361. [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s such as an earphone, a headset, and the like.

도 5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면의 구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5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도 5에서 부호 600은 윈도우 기판이다.5, reference numeral 600 denotes a window substrate.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개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도 5에 한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도 6 내지 도 14는 홈키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6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s of the groove key por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6을 살펴보면, 윈도우 기판(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기판(600)에는 음향출력부(152)에 대응되는 음향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t least one hole may be formed in the window substrate 600. For example, an acoustic hole 620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output unit 152 may be formed on the window substrate 600.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홀(6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hole 620.

아울러, 윈도우 기판(600)에는 홈키부(Home Key Part, 500)에 대응되는 홀(6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홈키부(500)는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610 corresponding to a home key part 500 may be formed on the window substrate 600. The groove key portion 500 may be positioned in the hole 610 of the window substrate 600.

이러한 홈키부(500)는, 도 7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Touch)하여 압력을 가하기 위한 홈키(Home Key, 510), 홈키(5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500) 및 압전소자(5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710)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700)을 포함할 수 있다.7, the home key unit 500 includes a home key 510 for touching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user, a piezoelectric device 500 positioned below the home key 510,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700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710 disposed adjacen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성기판(700)은 메인 회로 기판(400)에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lexible board 7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400.

압전소자(520)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와 접촉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can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710 of the flexible substrate 700.

도 7에서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와 압전소자(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홈키(510)와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의 사이에 압전소자(520)가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7 shows only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terminal 710 of the flexible substrate 700 is positioned between the hinge key 510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The hinge pin 510 and the electrode terminal 7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s 520 and 710.

이하에서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와 압전소자(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only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terminal 710 of the flexible substrate 700 is located between the hinge key 510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홈키(510)와 전극단자(710)의 사이에는 홈키(510)에 전극단자(710)를 부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530)이 배치될 수 있다.A first adhesive layer 530 for attaching the electrode terminal 710 to the homen key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men key 510 and the electrode terminal 710.

아울러, 압전소자(520)와 다른 부분,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드라이브 IC의 사이에는 개스킷 테잎(Gasket Tape, 5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스킷 테잎(540)은 압전소자(520)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다.In addition, a gasket tape 5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and other parts, for example, between the drive ICs of the display module. The gasket tape 540 can interrupt the movemen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사용자가 홈키부(500)에 압력을 가하면, 사용자가 가한 압력은 홈키부(500)에 의해 압전소자(52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압전소자(520)가 압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home key part 500,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by the home key part 500. T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can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압전소자(520)가 발생시킨 전기 신호는 전극단자(520)에 전달되고, 전극단자(520)에 전달된 전기 신호는 연성기판(700)을 통해 메인 회로 기판에 전달될 수 있다.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520 and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520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through the flexible substrate 700.

메인 회로 기판에서는 압전소자(520)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아울러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능은 메인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의 모드 전환 등에 해당될 수 있다.In the main circuit board, a touch of a user can be sensed by using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and a preset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electric signal can be performed. Here, the preset function may correspond to screen switching to the main screen, mode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active mode, and the like.

홈키(510)의 단면을 보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홈키(510)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511), 제 1 부분(511)의 끝단에서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512) 및 제 2 부분(512)의 끝단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513)을 포함할 수 있다.8, the home key 510 includes a first portion 5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1, a first portion 5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1, (Second Portion) 512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R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R1 at the end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512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ird Portion, 513).

아울러, 홈키(510)는, 제 1 영역(AR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511)의 적어도 일측에서 제 2 부분(512) 및/또는 제 3 부분(513)의 전체 혹은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rst region AR1, all or part of the second portion 512 and / or the third portion 513 may be omitted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511, .

이러한 홈키(510)를 뒤집어서 살펴보면, 도 9의 경우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home key 510 is turned upside down, it is possible to have the same shape as in the case of FIG.

도 9를 살펴보면, 제 1 부분(511)의 적어도 일측에서 제 2 부분(512) 및/또는 제 3 부분(513)의 전체 혹은 일부가 생략됨에 따라 홈키(510)에는 입구(515)가 생긴 것으로도 볼 수 있다.9,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512 and / or the third portion 513 is omitted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511, so that the groove 515 is formed in the groove key 510 Can also be seen.

혹은 홈키(510)는 제 1 부분(511)을 바닥으로 일측이 개구된 그릇 형태를 갖는다고도 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me key 510 may have a bowl shape with one side open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ortion 511.

혹은 홈키(510)는 제 1 부분(511)을 바닥으로 하여 제 2 부분(512) 및 제 3 부분(513)으로 둘러싸인 함몰부(514)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ammock 510 may be seen to include a depression 514 surrounded by the second portion 512 and the third portion 513 with the first portion 511 as the bottom.

이러한 형태의 홈키(510)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배치될 수 있다.This type of home key 51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610 of the window substrate 600, as in the case of FIG.

자세하게는, 홈키(510)가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배치된 상태에서, 홈키(510)의 제 1 부분(511)은 윈도우 기판(600)의 제 1 면(First Surface, S1)보다 소정 높이(t3)만큼 더 돌출되고, 제 3 부분(513)은 윈도우 기판(600)의 제 1 면(S1)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 S2)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511 of the hinge key 5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window substrate 600 in a state where the hinge key 510 is disposed in the hole 610 of the window substrate 600. [ And the third portion 513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second surface S2 against the first surface S1 of the window substrate 600. The second surface S2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second surface S2.

홈키(510)의 제 3 부분(513)은 윈도우 기판(600)에 걸림으로써, 홈키(510)가 윈도우 기판(6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portion 513 of the hinge key 510 is caught by the window substrate 600 to prevent the hinge key 5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indow substrate 600. [

또한, 홈키(510)의 벽두께(Wall Thickness)는 윈도우 기판(60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키(510)의 제 1 부분(511)의 벽두께(t2)는 윈도우 기판(60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thickness of the home key 510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window substrate 600. The thickness t2 of the first portion 511 of the groove key 510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window substrate 600. [

이에 따라, 홈키(510)의 함몰부(514)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으로 윈도우 기판(600)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평방향(DRH)은 앞서 설명한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3 방향(DR3)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depression 514 of the dummy key 510 can overlap with the window substrate 6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may be the first direction DR1 and / or the third direction DR3 described above.

아울러,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 중 적어도 하나는 홈키(510)의 함몰부(5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은 모두 홈키(510)의 함몰부(5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의 두께의 총 합(t10)은 홈키(510)의 함몰부(514)의 깊이(t1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키부(500)의 총 두께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terminal 710,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30 may be positioned in the depression 514 of the hinge key 510. 11, the electrode terminal 710,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30 may all be located in the depressed portion 514 of the dummy key 510. In this case, In other words, the total sum t10 of the thicknesses of the electrode terminal 710,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30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t11 of the depression 514 of the groove key 510 hav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reducing the total thickness of the home key part 50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홈키(510)의 함몰부(514)에는 앞선 도 7에서 설명한 개스킷 테잎(540)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제 1 접착층(530) 및 개스킷 테잎(540)의 두께의 총 합은 홈키(510)의 함몰부(514)의 깊이(t11)보다 작은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gasket tape 5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depression 514 of the hinge key 510. In this case, the total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electrode terminal 710,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the first adhesive layer 530, and the gasket tape 540 is smaller than the depth t11 of the depression 514 of the groove key 510 May be possible.

이처럼, 홈키(510)의 함몰부(514)에 전극단자(710)가 배치되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홈키(510)의 입구(515)는 연성기판(70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성기판(700)은 홈키(510)의 입구(515)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terminal 710 is disposed in the depression 514 of the hinge key 510 as described above, the entrance 515 of the hinge key 510 may correspond to the flexible substrate 700, as in the case of FIG. In other words, the flexible substrate 70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at the entrance 515 of the hinge key 510.

아울러,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의 함몰부(514)에 배치되고, 함몰부(514)의 깊이(t11)가 충분히 깊기 때문에, 연성기판(700)은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terminal 710 is disposed in the depression 514 of the hinge key 510 and the depth t11 of the depression 514 is sufficiently deep, the flexible substrate 700 may include a bent portion .

자세하게는, 연성기판(700)은 전극단자(710), 전극단자(710)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First Extension Portion, 720), 제 1 연장부분(720)으로부터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7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연장부분(720)은 홈키(510)의 입구(515)에 대응될 수 있다. 혹은, 전극단자(710)의 넓이가 충분히 큰 경우에 전극단자(710)의 일부가 홈키(510)의 입구(515)에 대응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In detail, the flexible board 700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710, a first extension portion 720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terminal 71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 first extension portion 720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720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econd extending portion 730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DR3. Here, the first extending portion 720 may correspond to the inlet 515 of the hinge key 510.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terminal 710 corresponds to the inlet 515 of the hinge key 510 whe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erminal 710 is sufficiently large.

한편, 상기와 같이 홈키(510)의 벽두께를 충분히 작게 하면서도 강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하고,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홈키(510)는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hull key 510 is made of zirconia (ZrO 2)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strength while sufficiently reducing the wall thickness of the hull key 510, as well as to improve the appearance.

또한, 압전 소자(5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압전 소자(520)에 전달되는 작은 압력만으로도 홈키부(500)의 효과적인 구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s generated by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rive the groove key part 500 with only a small pressure transmit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이에 따라, 홈키(510)를 지르코니아 등의 강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더라도 홈키부(50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even if the hometel key 510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zirconia, the hinged hinge portion 500 can be stably operated.

도 13에는 본 발명과 다른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의 구성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13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key section 140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는 홈키(1300), 러버(Rubber, 1310) 및 돔 스위치(Dome Switch, 1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home key part 14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may include a home key 1300, a rubber 1310, and a dome switch 1320.

사용자가 홈키(1300)에 압력을 가하면 홈키(1300)에 가해진 압력은 러버(1310)에 가해질 수 있다. 그러면 압력에 의해 러버(1310)가 휘어지면서 돔 스위치(1320)에 압력을 가하여 돔 스위치(1320)가 휘어지면서 접점 전극(1340)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home key 130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ome key 1300 can be applied to the rubber 1310. [ The rubber 1310 is bent by the pressure and applies pressure to the dome switch 1320 so that the dome switch 1320 can contact the contact electrode 1340 while being bent.

돔 스위치(1320)가 접점 전극(1340)에 접촉하면 소정의 전기 신호가 생성되고, 이러한 전기 신호가 메인 회로 기판에 전달됨으로써 홈키부(14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dome switch 1320 contacts the contact electrode 1340,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thereby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home key unit 1400.

한편,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에서는,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돔 스위치(1320)가 휘어져서 접점 전극(1340)에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압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홈키(1300) 및 러버(131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홈키(1300)이 두께(t22) 및 러버(1310)의 두께(t21)는 상대적으로 두꺼울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는 돔 스위치(1320)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홈키부(1400)의 총 두께(t20+t21+t22)가 과도하게 두꺼워질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in the groove key portion 1400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dome switch 1320 is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he contact portion 1340 must contact the contact electrode 1340, so that the pressure transmission must be effectively performed. Accordingly, the hometown key 1300 and the rubber 131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Accordingly,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thickness t22 of the hometome key 1300 and the thickness t21 of the rubber 1310 are relatively thick. In addition, since the dome switch 132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needs to use the dome switch 1320, the total thickness t20 + t21 + t22 of the dome key 1400 is likely to be excessively thick.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홈키부(500)는 압전 소자(520)를 사용하기 때문에 홈키(510)의 벽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돔 스위치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홈키부(500)는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groove key par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the wall thickness of the groove key 510 can be reduced, and a dome switch can be omitte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groove key portion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inner than that of the groove key portion 14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또한, 홈키부(500)에서 압전 소자(520)를 사용하여 두께를 줄이게 되면 홈키부(500)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vibrator 500 is reduced by using the piezoelectric vibrator 520, the position of the piezoelectric vibrator 500 can be changed.

예를 들면, 도 14의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윈도우 기판(600)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으로 홈키부(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홈키부(500)가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총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second area AR2 of FIG. 14, the groove key part 500 may overlap with the display module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of the window substrate 600. [ The total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excessively even if the home key part 500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display module 151. [

여기서, 수직방향(DRV)은 앞서 설명한 제 2 방향(DR2)에 대응될 수 있다.Here, the vertical direction DRV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direction DR2 described abov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영상을 표시하며 전면기판(1020)과 후면기판(10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0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IC(1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display panel 1000 including a front substrate 1020 and a rear substrate 1010 and a drive IC 1000 including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00. [ 1100). Here, the drive IC 1100 may include a backlight unit that generates light.

홈키부(500)는, 수직방향(DRV)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드라이브 IC(1100)과 중첩할 수 있다.The home key part 500 can overlap the drive IC 1100 of the display module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아울러, 홈키부(500)와 드라이브 IC(1100)의 사이에는 홈키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드(121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패드(1210)는 접착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ad 1210 for fixing the groove key portion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roove key portion 500 and the drive IC 1100. Such a pad 1210 can have adhesiveness.

여기서, 패드(1210)는 앞선 도 7에서 설명한 개스킷 테잎(54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개스킷 테잎(540)이 생략되고 패드(1210)가 개스킷 테잎(540)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개스킷 테잎(540)과 패드(1210)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스킷 테잎(540)과 드라이브 IC(1100)의 사이에 패드(1210)가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pad 1210 may be the same as the gasket tape 5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That is, the gasket tape 540 may be omitted and the pad 1210 may replace the gasket tape 540. Alternatively, the gasket tape 540 and the pad 1210 may be used together. In this case, the pad 1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gasket tape 540 and the drive IC 1100.

아울러, 연성기판(700)의 일측은 커넥터(Connector, 1200)를 통해 메인 회로 기판(400)과 연결되고, 연성기판(700)의 타측에는 전극 단자(710)가 위치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7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400 through a connector 1200 and an electrode terminal 71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7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14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와는 다르게 연성기판(700)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프레임(310)의 사이를 지나 메인 회로 기판(4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For example, unlike FIG. 14, it may be possible that the flexible board 700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4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frame 310.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홀(Hole)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회로 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홈키부(Home Key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부는
홈키(Home Key);
상기 홈키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및
상기 압전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display module;
A window substr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hole;
A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module;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behind the frame; And
A home key part disposed in the hole of the window substrate;
Lt; / RTI >
The home-
Home Key;
A piezoelectric device located under the hometome;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disposed adjacen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 RTI >
And the flexible substrate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홈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중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me key overlaps with the display modul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window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제 1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생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key
A first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t an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 RTI >
Where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re omitted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the firs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ndow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제 1 면(First Surface)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보다 더 돌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more protruded than the first surface of the window substrate,
Wherein the third portion protrudes more than a second surface that opposes the first surface of the window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me key comprises a zirconia material.
KR1020120121430A 2012-10-30 2012-10-30 Mobile terminal KR101969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en) 2012-10-30 2012-10-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en) 2012-10-30 2012-10-3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92A true KR20140055092A (en) 2014-05-09
KR101969899B1 KR101969899B1 (en) 2019-04-17

Family

ID=5088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en) 2012-10-30 2012-10-3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448A1 (en) * 2018-02-06 2019-08-15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603A (en) * 2008-04-24 2009-10-2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 feedback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to an electronic device
KR20110021477A (en) *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10021480A (en) *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603A (en) * 2008-04-24 2009-10-2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 feedback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to an electronic device
KR20110021477A (en) *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10021480A (en) * 2009-08-26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448A1 (en) * 2018-02-06 2019-08-15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899B1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632B1 (en) Mobile terminal
TWI500312B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140099006A (en) Moblie Terminal
EP2515198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JP2010239323A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190109847A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KR20130032195A (en) Mobile device
KR101977079B1 (en) Mobile terminal
KR20160122514A (en) Mobile terminal
CN108540616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969899B1 (en) Mobile terminal
CN108810208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266697A1 (en) Handheld device
KR101951415B1 (en) Mobile terminal
KR20120021717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41922B1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76179B1 (en) Mobile terminal
EP2066102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ransparent touch control section
KR102018375B1 (en) Mobile terminal
KR20220043500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1622684B1 (en) Portable terminal
KR102018374B1 (en) Mobile terminal
KR10150200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67429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495180B1 (en) Displa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