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738A -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738A
KR20140054738A KR1020120120590A KR20120120590A KR20140054738A KR 20140054738 A KR20140054738 A KR 20140054738A KR 1020120120590 A KR1020120120590 A KR 1020120120590A KR 20120120590 A KR20120120590 A KR 20120120590A KR 20140054738 A KR20140054738 A KR 2014005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ressure
conductor
tip
pe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윤
이희범
채경수
유동식
홍윤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738A/ko
Publication of KR2014005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펜은,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 상기 펜 팁에 필압이 인가될 때, 상기 펜 팁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 및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압을 검출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Touch pen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 탑 컴퓨터에서 벗어나 근자에 들어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메모나 연락처 등을 수첩에 기록하는 대신에 위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록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더욱이, PDA, 스마트폰 또는 패드(pad)와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가 대중화되면서 사용자들은 키보드나 별도의 입력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터치펜을 이용하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터치펜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것에 비해 필기 또는 그림을 그리는 작업 등에 훨씬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한자처럼 글자의 형태가 복잡한 경우에는 터치펜의 사용이 정밀도 측면이나 정확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화면이 큰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별도의 터치펜이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한편,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터치펜의 경우, 정전용량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펜은 터치동작 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패널 상의 입력 좌표를 인식할 수는 있지만 터치패널을 가압하는 필압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근접정도를 감지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해서 소위,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와 같이 LCD 하부에 PCB 형태의 디지타이저 센서를 미리 부착한 후, 터치펜에서 방시되는 자기력선을 센서부에서 유도되는 전압의 형태로 측정하여 좌표를 연산하는 구조를 터치펜에 적용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터치펜의 사이즈가 커지고 제품의 단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개선된 타입의 터치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JP 2010-11794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필압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근접정도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필압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근접정도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 상기 펜 팁에 필압이 인가될 때, 상기 펜 팁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 및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압을 검출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펜 팁은, 외곽을 형성하는 제1 도전체; 상기 제1 도전체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도전체와 이격 배치된 제2 도전체; 및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충전된 상기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간의 간격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는 커패시턴스 회로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각각은 제1 및 제2 도선에 의해 상기 커패시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통신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부; 및 상기 직선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선단부 쪽으로 형성되는 곡선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펜 팁이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수용하는 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펜 팁을 지지하는 팁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팁 베이스와 상기 펜 케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상기 팁 베이스와 상기 펜 케이스는 상호간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팁 베이스에는 도선 연결용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은 (A)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에 필압이 가해지는 필압 인가단계; 및 (B) 상기 필압으로 인한 상기 유전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은 (C)감지된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압을 검출하는 필압 검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은 (C)상기 필압 검출단계의 수행 후에, 검출된 필압을 터치펜의 외부로 통신 전송하는 필압 통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널과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터치기능을 구현해낼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압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근접 정도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구조도.
도 2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서 펜 팁이 터치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펜 팁이 터치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펜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요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요부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부분 분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구조도, 도 2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서 펜 팁이 터치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펜 팁이 터치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펜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펜(100)은 펜 팁(110)과, 펜 팁(110)이 일측에서 결합되는 펜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펜 팁(110)은 필기 또는 드로잉(drawing)을 위해 터치패널(T/P) 등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촉가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터치패널(T/P) 등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게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펜 팁(110)은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113)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펜 팁(110)은 외곽을 형성하는 제1 도전체(111)와, 유전체(113)가 충전되도록 제1 도전체(111)의 내측에서 제1 도전체(111)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도전체(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모두는 고무 또는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전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한 전기 전도성 탄성 재질로 제작된다.
그렇지만, 제1 도전체(111)만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하고, 제2 도전체(112)는 금속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실질적인 터치 부분이 제1 도전체(111)이기 때문이며, 제2 도전체(112)는 탄성이 없더라도 도전성 성질만 가지면 되기 때문이다. 후술하겠지만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는 각각 도선(L1,L2)에 의해 커패시턴스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전체(111)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부(P1)와, 직선구간부(P1)가 끝나는 지점에서 선단부 쪽으로 형성되는 곡선구간부(P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항은 제2 도전체(1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도면에는 제1 도전체(111)에 대해서만 표기한다.
이처럼 제1 도전체(111)가 직선구간부(P1)와 곡선구간부(P2)로 마련되면 날렵한 펜 팁(110)을 형성할 수 있어 필기 또는 드로잉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1,L2) 변화를 감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실제, 필압은 제1 도전체(111)의 선단부, 즉 곡선구간부(P2)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제1 도전체(111)가 반드시 직선구간부(P1)와 곡선구간부(P2)로 마련될 필요는 없다.
한편, 평상 시 다시 말해,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도 2처럼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1)가 일정하다.
하지만, 필기 또는 드로잉을 위해 터치패널(T/P) 등의 표면에 펜 팁(110)의 제1 도전체(111)가 가압되어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제1 도전체(111)가 제2 도전체(112) 쪽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도 3처럼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2)에 변화가 생긴다.
보통은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될 때,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2)가 짧아지며, 이러한 물리적인 이유로 인해 펜 팁(110)에서의 커패시턴스에 변화가 발생된다.
펜 케이스(120)는 펜 팁(110)을 지지하는 본체이다.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외형을 가질 수 있는데, 펜 케이스(120)는 사용자가 그립핑(gripping)하고 사용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펜 케이스(120)의 외면에는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한 수단을, 예컨대, 그립용 탄성체, 그립용 홈, 미끌림 방지홈 등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펜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를 포함하는 커패시턴스 회로부(130), 통신코일(140) 및 컨트롤러(150)가 갖춰진다.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는 도 2에서 도 3처럼 필기 또는 드로잉을 위해 터치패널(T/P) 등의 표면에 펜 팁(110)의 제1 도전체(111)가 가압되어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될 때, 펜 팁(110)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도 2에서 도 3처럼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제1 도전체(111)가 제2 도전체(112) 쪽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도 3처럼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2)에 변화가 생긴다. 즉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이격거리(L2)가 짧아지게 되는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는 이와 같은 상황, 다시 말해 제1 도전체(111)와 제2 도전체(112) 간의 간격 변화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와 유전체(113)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한다.
이때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은 기준값에 대한 변화 정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이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를 포함하고 있는 커패시턴스 회로부(130) 상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와 커패시턴스 회로부(130)는 상호간 제1 및 제2 도선(L1,L2)에 의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을 벗어나 무선 통신도 충분히 가능하다.
컨트롤러(150)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로부터의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필압을 검출하도록 컨트롤한다.
통신코일(140)은 커패시턴스 회로부(1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컨트롤러(150)로 통신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컨트롤러(150)에 의해 검출된 필압을 터치펜(100)의 외부로 통신 전송할 수도 있다. 보통은 후자를 위해 통신코일(14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의 순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터치펜(100)을 이용한 입력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사용자가 펜 팁(110)의 선단부를 터치패널(T/P)에 접촉 가압한다. 그러면, 전술한 것처럼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113)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된(S11).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되면, 도 2에서 도 3처럼 제1 도전체(111)가 제2 도전체(112) 쪽으로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 간의 이격거리(L2)에 변화가 생긴다.
다시 말해, 펜 팁(110)에 필압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 간의 이격거리(L2)가 짧아지게 되는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135)는 이와 같은 상황, 다시 말해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 간의 간격 변화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체(111,112)와 유전체(113)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한다(S12).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감지되고 나면 감지된 값이 컨트롤러(150)로 전송되며, 컨트롤러(150)가 감지된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필압을 검출한다(S13). 이후, 검출된 필압은 터치펜(100)의 외부로 통신 전송된다(S14).
한편, 필압의 세기에 따라 다시 말해, 터치패널(T/P)에 대한 근접정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그림을 그린다고 가정할 때, 필압이 약하면 얇은 선이 표현되도록 하고 필압이 강하면 굵은 선이 표현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터치펜(100)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따르면, 기존 방식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터치펜(100)을 제작할 수 있어서 사이즈를 줄이면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터치펜(100)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따르면, 터치패널(T/P)과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터치기능을 구현해낼 수 있음은 물론 필압이나 터치패널(T/P)에 대한 근접정도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요부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터치펜(200)의 펜 팁(210) 역시, 외곽을 형성하는 제1 도전체(211)와, 유전체(213)가 충전되도록 제1 도전체(211)의 내측에서 제1 도전체(211)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도전체(2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제1 도전체(211)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부(P3)와, 직선구간부(P3)가 끝나는 지점에서 선단부 쪽으로 형성되는 곡선구간부(P4)를 포함하고 있는데, 곡선구간부(P4)가 전술한 실시예의 곡선구간부(P2)보다 넓고 완만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드로잉 시 색상을 표현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은 구조에서는 제1 도전체(211)와 제2 도전체(212)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커패시턴스 변화량이 좀 더 일률적일 수 있다는 이점도 겸한다.
도 7에 도시된 터치펜(300)의 펜 팁(310) 역시, 외곽을 형성하는 제1 도전체(311)와, 유전체(313)가 충전되도록 제1 도전체(311)의 내측에서 제1 도전체(311)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도전체(3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제1 도전체(311) 역시,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부(P5)와, 직선구간부(P5)가 끝나는 지점에서 선단부 쪽으로 형성되는 곡선구간부(P6)를 포함하고 있는데, 곡선구간부(P6)가 전술한 실시예들의 곡선구간부(P2,P4)보다 훨씬 좁고 뾰족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드로잉 시 세밀한 부분을 표현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은 구조에서는 곡선구간부(P6) 영역에서 제1 도전체(311)와 제2 도전체(312)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강한 필압을 부여하는 데에 좀 더 유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펜(400) 역시, 펜 팁(410)과, 펜 팁(410)이 일측에서 결합되는 펜 케이스(4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펜 팁(410)이 펜 케이스(4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펜 팁(410)은 팁 베이스(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팁 베이스(430)가 펜 케이스(42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의 착탈 방식은 압입 방식일 수도 있고 아니면 본 실시예처럼 나사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나사 방식을 그 예로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펜 케이스(420)와 팁 베이스(430)에는 각각 나사부(420a,430a)가 형성된다.
그리고 팁 베이스(430)에는 도선 연결용 커넥터(435)가 마련된다. 도선 연결용 커넥터(435)에는 도선 홈(435a)이 형성된다.
이에, 나사부(420a,430a)를 이용하여 펜 팁(410)을 지지하는 팁 베이스(430)를 펜 케이스(420)에 결합시키면 펜 케이스(420) 쪽의 도선(L1,L2)이 도선 연결용 커넥터(435)의 도선 홈(435a)을 통해 삽입되어 펜 팁(410)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도전체(411,4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선(L1,L2)은 도선 지지부(450)에 의해 펜 케이스(420)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터치펜(400)이 적용되더라도 기존 방식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사이즈를 줄이면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패널(T/P, 도 2 및 도 3 참조)과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터치기능을 구현해낼 수 있음은 물론 필압이나 터치패널(T/P)에 대한 근접정도를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터치펜 110 : 펜 팁
111 : 제1 도전체 112 : 제2 도전체
113 : 유전체 120 : 펜 케이스
130 : 커패시턴스 회로부 135 :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
140 : 통신코일 150 : 컨트롤러

Claims (12)

  1.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
    상기 펜 팁에 필압이 인가될 때, 상기 펜 팁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 및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압을 검출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터치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 팁은,
    외곽을 형성하는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1 도전체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도전체와 이격 배치된 제2 도전체; 및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충전된 상기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간의 간격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는 커패시턴스 회로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각각은 제1 및 제2 도선에 의해 상기 커패시턴스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통신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구간부; 및
    상기 직선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선단부 쪽으로 형성되는 곡선구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 팁이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수용하는 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펜 팁을 지지하는 팁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팁 베이스와 상기 펜 케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팁 베이스와 상기 펜 케이스는 상호간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팁 베이스에는 도선 연결용 커넥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10. (A) 전도성을 갖는 탄성체로 마련되되 유전체가 충전되도록 다중 구조로 형성되는 펜 팁에 필압이 가해지는 필압 인가단계; 및
    (B) 상기 필압으로 인한 상기 유전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C) 감지된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압을 검출하는 필압 검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D) 상기 필압 검출단계의 수행 후에, 검출된 필압을 터치펜의 외부로 통신 전송하는 필압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입력방법.
KR1020120120590A 2012-10-29 2012-10-29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KR20140054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90A KR20140054738A (ko) 2012-10-29 2012-10-29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90A KR20140054738A (ko) 2012-10-29 2012-10-29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38A true KR20140054738A (ko) 2014-05-09

Family

ID=5088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90A KR20140054738A (ko) 2012-10-29 2012-10-29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013A (ko)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펜 입력장치 및 펜 입력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20180027720A (ko) * 2016-09-06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013A (ko)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펜 입력장치 및 펜 입력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20180027720A (ko) * 2016-09-06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692B1 (ko) 펜 입력장치, 그 입력 좌표 보정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US9965079B2 (en) Pressure-sensitive touch screen and touch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9280217B2 (en) Capacitive pointer
KR102440965B1 (ko) 스타일러스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643176B (zh) 触控笔、触摸感测系统、触摸感测控制器及触摸感测方法
US9639179B2 (en) Force-sensitive input device
US20170108953A1 (en) Capacitive stylus having adjustable pressure sensing structure
US10234963B2 (en) Touch p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5302293B (zh) 用于握持感测和手指跟踪的电容式传感器
US20150029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ual tip functionality in a stylus device
US99650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054184A1 (en) Instant response pressure sensor
US9965053B2 (en) Touchpen for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touchpen
TW201409291A (zh) 手寫筆及其電容性壓力感應元件
KR102024593B1 (ko) 스타일러스 펜
KR20140054738A (ko) 터치펜 및 그를 이용한 입력방법
JP2014110039A (ja) 電磁気式指示器とその制御方法
CN108934180B (zh) 一种电容笔系统、电容笔及电容笔控制电路
CN106155437B (zh) 操作模式判断方法、触碰点位置判断方法以及触控控制电路
KR20180020696A (ko) 터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스타일러스 펜
JP2015146090A (ja) 手書き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201415301A (zh) 觸控筆、感應裝置及辨識與電容式觸控面板接觸之輸入元件的種類的方法
TW201142665A (en) Stylus
KR102011766B1 (ko) 터치 센싱 신호를 이용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N206271593U (zh) 一种按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