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709A -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3709A KR20140053709A KR1020120119967A KR20120119967A KR20140053709A KR 20140053709 A KR20140053709 A KR 20140053709A KR 1020120119967 A KR1020120119967 A KR 1020120119967A KR 20120119967 A KR20120119967 A KR 20120119967A KR 20140053709 A KR20140053709 A KR 201400537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ign
- degree
- data
- area
- lev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2550 audi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940 design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AOSATGCSEIIZPL-FMQUCBEESA-N 1-methyl-4-[(e)-4-(4-methylphenyl)hex-3-en-3-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C=1C(/CC)=C(\CC)C1=CC=C(C)C=C1 AOSATGCSEIIZPL-FMQUCBEESA-N 0.000 claims 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40 design pl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중소제조기업의 기업환경을 분석 및 진단하고, 진단 내용에 따라 디자인업계를 레벨별로 세분화한 표준데이터와 대비하여 평가대상업체가 동일레벨에서의 평균이상 또는 상위레벨로의 레벨업을 위한 디자인경영환경 개선에 필요한 과제를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도출 및 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도출된 데이터는 디자인경영환경에서 구분한 다수의 영역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개선정도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개선에 필요한 노력 또는 투자정도도 정량적인 수치로 제공하여 과도한 투자를 방지하면서 균형적으로 기업환경을 개선시켜 디자인경영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로 기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경영컨설팅이 가능한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an evalua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o analyze and diagnose a business environ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y in real time, This is to quantitatively derive and present the task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for the evaluation target companies to raise the level up to an average or higher level at the same level. The data thus derived can provide the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among the many areas classified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provide quantitative figures of effort or investment required for improvement so as to prevent excessive inves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capable of enhancing a corporate capability by maximizing synergy effect of design management by improving a business environment, and a evaluation method thereof.
산업발달에 의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제품이나 건물 등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지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판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경영 전략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As the level of living has improved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interest in design of various products and buildings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따라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물건에 대한 인식을 넘어서 기업 경영의 한 축으로 자리함에 따라 제품개발 초기부터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하면서 제품구조를 확정하고 있다.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design is beyond the recognition of the product, and as it is positioned as an axis of corporate management, the product structure is determined by recognizing the design from the beginning of product development.
이와같이 디자인은 기업경영에 큰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중소기업에서도 디자인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단순히 디자인 인원의 확충 또는 디자인 부서 신설 등의 원초적인 대처방안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디자인 인프라 구축에 따른 충분한 생산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었다.Despite the fact that the design has a great place in the enterprise management, the infrastructure for the design is not properly constructed in the SMEs except for some big companies. In recent years, SME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by building infrastructures for design. However, design infrastructures are being built because they are based solely on basic measures such as expansion of design personnel or establishment of design departments. Of the total production.
이에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기업의 디자인 경영환경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분석기법의 개발에 대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대한민국디자인대상-디자인경영부문'과 디자인기반기술과제로 추진된 '디자인경영인증시스템연구'등이 있으며,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대한민국디자인경영대상'등이 있다.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nalytical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companies in Korea and abroad and improv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In Korea, there are 'Korea Design Award - Design Management Division' of Korea Design Promotion Agency and 'Design Management Certification System Research', which is promoted as a design based technology task, and 'Korea Design Management Award' of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ing .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실시하는 디자인경영평가는 개발된 척도에 일정 점수를 배정하고, 정성적(일부 정량적)평가에 따라 총점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시상'이나 '인증'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서 디자인컨설팅에는 적합하지 않다.However, the design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gency and the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ing mentioned above assigns a certain number of points to the developed scale, an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some quantitative) evaluation, It is not suitable for design consulting as technology for granting 'certification'.
또한, 영국 규격협회(BSI)에 의해 개발된 BS7000시리즈와 영국디자인카운슬에서 개발한 '디자인아틀라스'등이 실제로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영국 규격협회(BSI)의 'BS7000'과 영국디자인카운슬의 '디자인아틀라스'프로그램은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는 툴로서 디자인경영컨설팅을 위해 가장 진보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S7000 series developed by the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 and the 'Design Atlas' developed by the UK Design Council are actually being used to evaluate the corporat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The 'Design Atlas' program of the British Standards Association (BSI) and the UK Design Council 'BS7000' is a tool for evaluat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a company and suggest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Is the most advanced model for.
그러나 상기 모델 역시 정성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개선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하기 보다는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과 가이드라인만을 제시하는 수준이다. However, the model also presents guidelines and guidelines to improve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rather than presenting concrete target values to improve based on qualitative evaluation.
따라서, 상기 평가기업의 순위 정보와 함께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향과 목표치를 제시하는 기업컨설팅이 가능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enterprise along with the ranking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company, there is a need for an evaluation system and an evaluation method capable of providing consult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 target value as to which field needs further efforts.
이에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은,Accordingly,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해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고, 추가로 노력해야하는 목표치를 제시할 수 있는 정량적인 정보에 의한 디자인컨설팅이 가능한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that enables design consulting based on quantitative information that can diagnose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SMEs and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은,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각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다수 디자인업체 중 지속성장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표준값DB와,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ES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 또는 DMES서버와 연결되어 연산처리가 완료된 최종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comprising: design leadership area data generated by a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ement unit; design plan area data by a design plan area measurement unit;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by a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ement unit; Design resource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resource area measuring unit, design process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ing unit, design execution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execution area measuring unit, Design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area measuring means, design audit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audit area measuring means, and the design leadership area data,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Data source region and the design process zone data, and design execution domain data, and design data transfer areas, the assessment company that designs sent to collect audit data area of the user measurement data server;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for storing each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user server,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for selecting a continuously growing company among a plurality of design companies, design planning area data,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A standard value DB for collecting the design resource area data, the design process area data, the design execution area data, the design delivery area data, and the design audit area data and dividing them into three levels and storing them, And data of the standard value DB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 water treatment operation is performed to quantitatively present a target value for leveling up to the present level and the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and the processed final data is transmitted to a user server or an output device, A DMES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ignal flow; And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server or the DMES server for displaying or printing the final data for which the oper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은,Further,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로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와;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의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와;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인쇄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design leadership area data by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ement means; generating design plan area data by design plan area measurement means; Design resource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resource area measuring unit, design process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ing unit, design execution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execution area measuring unit, Generating design delivery area data by area measuring means and generating measurement data of an evaluation company at a user server that generates design audit area data by design audit area measuring means; A measurement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data to the DMES server; Storing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of the DMES server;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with the standard data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DB;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tandard data shows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or the comparison between each standard company and the evaluation company at the level of design maturity level of the standard data, Generating evaluation data by extracting and arithmetically processing data so as to indicate degree or degree of difference (target amount) with respect to each score or leve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evaluation data to a user server or a DMES server.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은,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여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는 디자인경영컨설팅이 가능하고, 환경개선에 의해 기업의 비즈니스성과를 향상시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ign management consulting, which diagnoses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and identifies the current situation and suggests the necessary parts for improvement of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s possible, and enhance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by improving the environment.
또한, 기업의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및 성장시키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창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tting goals that need to be improved to continuously improve and grow the company's processes and systems, and by learning how to achieve them, ultimately creating corporate value.
또한, 평가받은 기업의 디자인 활용 수준에 따라 도달해야 하는 목표치를 표준값DB에서 추출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표준값DB도 매년 평가받는 기업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으로써 디자인경영컨설팅의 사용시기에 따른 정확한 진단과 목표치를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target value to be reached according to the design utilization level of the evaluated company can be extracted from the standard value DB and quantitatively presented. Also, the standard value DB is updated including the data of the company which is evaluated every ye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ful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ccurate diagnosis and target valu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rg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데이터의 다양한 출력예를 표시한 출력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output diagrams showing various output examples of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o 8 are flowcharts showing an evaluation method using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only the contents and scope of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개략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10)은 사용자서버(20)와, DMES(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서버(30)가 유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사용자서버(20)로는 평가기업 대상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요소들이 입력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ement means, a design plan area measurement means, a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ement means, a design resource region measurement means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ement means, the design execution area measurement means, the design delivery area measurement means, and the design audit area measurement means.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서 측정되는 디자인리더쉽(design leadership)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디자인 리더의 자질에 관한 문제, 디자인리더가 활동할 수 있는 제도에 관한 문제, 디자인리더가 이끌어가야 할 기업차원의 디자인 전략의 수립에 관한 문제 등을 포함한다. The design leadership measured by the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ement means is a problem that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a design leader required for a company to perform design management, a problem about a system in which a design leader can operat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nterprise-wide design strategy.
이러한 디자인리더쉽영역은 디자인리더(design leader)영역과, 디자인전략(design strategy)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This area of design leadership is divided into two areas: design leader and design strategy.
상기 디자인리더영역은 타부서와 이견발생시 디자인부서의 의견대로 의사결정을 하는가를 포함하는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 요소와; 기업 내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디자인개발관련 문제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설계하고 실행하고 피드백 하는 데에 총체적인 책임을 갖는 의사결정자인 디자인챔피언 유무와 디자인챔피언의 기업내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디자인챔피언 제도의 운영 요소와; 기업의 브랜드 관리를 총괄하는 담당자의 위상을 측정하는 기업 브랜드챔피언 제도 운영 요소와; 기업 내에 정기적인 미팅을 갖는 다부서적인 브랜드위원회의 운영 여부와 브랜드위원회에 참여하는 인적자원의 직위수준을 체크하는 기업 내 브랜드위원회의 운영 요소와; 전체임원대비 디자이너 출신의 임원 비율을 체크함으로써 기업 내 인력구조의 효율성을 진단하는 임원급 이상의 고위관리직에 디자이너 임명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design leader area includes a CEO's design management mind factor including whether a decision is made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design department in the event of a conflict with other departments; Design champion, a decision maker who has overall responsibility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feedbacking issues related to design development in various fields in the enterprise, and a design champion measuring the status of the design champion in the enterprise The operational elements of the system; A corporate brand champion system operating element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brand management of the company; The operational elements of a brand committee within the company that checks the level of the position of the human resources participating in the brand committee and whether a multi-departmental brand committee has regular meetings in the company; It is measured by the designer appointment factor in senior management positions above the executive level to diagnose the efficiency of the workforce structure in the company by checking the ratio of executives from designers to the total executives.
또한, 디자인전략영역은, 기업의 목표에 부합하는 디자인철학이 있는지, 문서화 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진단하는 디자인철학의 수립요소와; 기업의 경영전략과 디자인 전략 수립의 상호관계에 대해 체크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디자인리더십을 진단하는 기업경영전략 설계에서 디자인전략 수립의 선행 요소와; 임원회의에서 디자인관련 의제가 다루어지는 정도와 디자이너 참여수준을 체크하여 기업 내 의사결정과정의 디자인지향성을 진단하는 디자이너가 경영의사결정과정에 참여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In addition, the design strategy area includes elements for establishing a design philosophy for checking and diagnosing whether there is a design philosophy that meets the objectives of the company or whether it is documented; The main elements of the design strategy in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design, which is to check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and design strategy, The designers who diagnose the design orientation of the decision process in the company by checking the level of the design related agenda and the level of designer participation in the executive meeting are measured by the participation factor in the management decision making process.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is way, the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ing means generates design leadership area data by a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서 측정되는 디자인계획(Design Plan)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인 디자인과 브랜드에 대한 계획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기업의 디자인철학, 디자인정책등과 같은 디자인에 대한 포괄적인 계획들과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전략 등을 포함한다. The design plan measured by the design plan area measuring means is about the design and the plan of the brand which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nterprise to perform the design management. Therefore, it includes comprehensive plans for design such as corporate design philosophy and design policy, and overall strategy for brand.
이러한 디자인계획영역은 디자인 정책(design policy)영역과; 브랜드 정책(brand policy)영역으로 나뉜다. The design plan area includes a design policy area; And brand policy.
상기 디자인정책영역은, 기업이 디자인정책을 수립하고 있는가? 수립되어 있다면 그것이 기업이 앞으로 추구해 나가야할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가? 그것이 기업자신뿐만 아니라 우리가 속한 사회, 더 나아가 인류를 위한 공익적 가치를 담고 있는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미래지향적 가치를 담고 있는 디자인정책의 수립 요소와; 기업의 디자인철학 및 디자인정책의 수립이 어떤 수준으로 서로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디자인철학-디자인정책의 일관성 요소와; 디자인정책이 단편적인 목표들의 달성에 치중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어느 수준까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립되어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장기-중기-단기적 디자인정책수립 요소와; 기업의 디자인정책의 단계적 수립이 어느 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비전-미션-전략-실행계획의 단계적 디자인정책 수립 요소와; 기업의 전반적인 디자인정책에 따른 세부적인 디자인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문서화된 기업 디자인가이드라인 설계 요소와; 론칭제품과 CI/BI의 검토에 따라 기업들이 핵심경쟁우위요소를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고, 가지고 있다면 이것을 얼마만큼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명확한 핵심경쟁우위요소의 결정과 이를 위한 디자인 집중 요소와;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신규시장개척을 위한 디자인개발 투자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시장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인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디자인개발에 더 이상 투자하지 않는 안정적 판매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양산철수단계제품 종류 총수를 측정하는 제품디자인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운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In the design policy area, is the company establishing design policy? If so, does it contain future-oriented values that the company must pursue? A design policy element that incorporates future-oriented values that measure not only the company itself but also the society we belong to, and furthermore, the public interest values for humanity, measured by the investigator; The corporate design philosophy that measures the design philosophy of the company and the degree to which the design policy is reflected to each other at the level of the researcher; Term and mid-term and short-term design policy factors that measure by the investigator's judgment how the design policy is linked to the level of the long-term perspective and not to the achievement of the fragmentary goals; The step-by-step design policy of Vision-Mission-Strategy-Action Plan that measures the degree to which the company's design policy is phased up to the level of the researcher; A documented corporate design guideline design element that measures whether a detailed design guideline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design policy of the enterprise is provided by an investigator; Determination of the key competitive advantage factors to determine whether companies have core competitiveness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review of launching products and CI / BI and, if so, how much they are reflecting in the design; Total mass production Product type Total number Under development of design for new market investment Product type Total number of product types Total mass product type Total number of product types that are actively invested in design development to expand the market underwater, Total mass production Product type Total underwater design Stable sales that do not invest more in development Product type Total number of product types Total mass Product type Total mass Quantity withdrawal step Product type Measuring total number Product design Portfolio composition and operating elements .
상기 브랜드 정책영역은, 디자인정책이 단기, 중기 및 장기적 수준으로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경영으로 재편하기 위한 브랜드중심의 기업발전 로드맵 수준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디자인정책-브랜드정책의 일관성 요소와; 브랜드정책이 단편적인 목표들의 달성에 치중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어느 수준까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립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장기-중기-단기적인 브랜드 정책의 수립 요소와; 기업의 브랜드정책의 단계적 수립이 어느 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비젼-미션-전략-전술의 단계적 브랜드정책수립 요소와; 기업 내 여러 브랜드간의 위계를 명시한 브랜드아키텍처가 설계되어있고 그에 따라 현재 브랜드들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효율적인 브랜드아키텍쳐 설계 요소와; 기업브랜드와 패밀리브랜드, 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기업브랜드-패밀리브랜드-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합리성 요소와; 브랜드플랫폼이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효율적인 브랜드플랫폼의 구성 요소와; 기업의 핵심역량이 잘 규정되어있는지, 규정되어있다면 현재 기업의 브랜드들에 잘 반영되어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역량을 표현하는 수준 요소와;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신규시장개척을 위한 디자인개발 투자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인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디자인개발에 더 이상 투자하지 않는 안정적 판매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양산철수단계 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는 브랜드포트폴리오 구성과 운영 요소와; 브랜드 포지셔닝이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포지셔닝의 설계와 활용 요소와; 브랜드 퍼스낼러티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퍼스낼리티의 설계와 활용 요소와; 기업의 전반적인 브랜드정책에 따른 세부적인 브랜드가이드매뉴얼이 마련되어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가이드매뉴얼 구축 및 활용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above-mentioned brand policy area is a design policy-brand policy that measures whether the design policy is reflected in the level of brand-centered enterprise development roadmap for reorganizing the brand into the core management of the company in the short-, medium- and long- And consistency of; Term and long-term brand policy measures that measure the degree to which brand policies are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achievement of fragmentary goals; Vision - Mission - Strategy - Tactical step - by - step branding policy factors that measure the degree to which a company 's brand policy is phased in; An efficient brand architecture design element that measures whether a brand architecture that specifies the hierarchy among the various brands within the enterprise is designed and is thus well reflected in the current brands; Corporate brand that measures whether corporate brand, family brand, and vertical structure of individual brand are rationalized; corporate brand; family brand; vertical structure rationality factor of individual brand; An efficient brand platform component that measures whether the brand platform is efficiently designed and well reflected; If the core competency of a firm is well defined and if so, it is a level factor that represents the core competency of the brand that measures whether it is well reflected in the current brand of the company; Among the total number of total sales brands, design development for new market development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brands,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brands investing in design development actively to expand the market among the total number of total sales brands, The number of stable sales brands that do not invest anymore in design development, and the number of total sales brands; Design and use of brand positioning to measure whether brand positioning is being efficiently designed and well reflected; The design and utilization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that measure whether brand personality is efficiently designed and reflected; It is measured by the construction and use of the brand guide manual that measures whether a detailed brand guide manual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overall brand policy of the company.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데이터를 생성한다.
Thus, the design plan area measurement means generates design plan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에서 측정되는 디자인 커뮤니케이션(Design Communication)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로 내부 구성원들의 디자인철학이나 정책에 대한 인식, 기업과 조직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도와 프로그램, 기업 외부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육 및 각종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Design Communication, which is measured by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means, is a smooth communication element required for a company to perform design management. It is a recognition of the design philosophy and policies of internal members, Programs and programs for communication with outside consumers, and various programs.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영역은 디자인인식(design awareness), 내부커뮤니케이션(internal communication), 외부커뮤니케이션(external communication)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These areas of communication are divided into three areas: design awareness, internal communication, and external communication.
상기 디자인인식영역은 기업의 내부 구성원들이 기업의 디자인철학을 이해하고 있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하는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수준 요소와; 기업의 내부 구성원들이 기업의 디자인철학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높은 공감수준 요소와; 직원들이 디자인정책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요소와; 직원들이 디자인정책에 대해 공감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 요소와; 직원들이 기업의 브랜드에 대해 공감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브랜드에 대한 내부 구성원 공감수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design recognition area includes elements of the employee's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hilosophy of measuring the level at which the internal members of the company understand the corporate design philosophy; A high level of empathy for employees on the design philosophy that measured the level of empathy for the company's design philosophy;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design policy as measured by the employee's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olicy; Staff response to design policies that measure employees' empathy with design policy; It is measured by the internal member empathy level factor for the brand that measures the level of empathy for employees about the brand.
상기 내부커뮤니케이션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교육·워크샵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미팅·회의 건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교육· 워크샵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브랜드 이해와 공감 강화를 위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운영 요소와;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여부 측정하고, 연간기준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 총 횟수 측정하고, 연간기준 발행되는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 통 횟수 중 디자인관련 내용을 담아 발행하는 총 횟수를 측정하고, 디자인전문 사내보·사내신문·뉴스레터 발행여부 측정하고, 디자인전문 사내보·사내신문·뉴스레터의 디자인전문가 제작· 편집 여부를 측정하고, 연간기준 디자인전문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의 발행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체 구성원 수 대비 연간기준 제작·발행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뉴스레터의 제작 및 사내/외 배포 요소와; 전체 조직구성원 수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관련 아이디어 접수의 총 수를 측정하고, 아이디어 접수의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접수 아이디어 중 신규디자인개발 총 수를 측정하고, 접수된 디자인관련 아이디어 접수 총 건수 대비 접수된 디자인관련 아이디어의 금전적·비금전적 보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사내 디자인개선 아이디어 접수의 활성화 요소로 측정된다. The internal communication area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training and workshops per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measures the number of annual meetings and meetings per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the amount invested in annual training, workshops and other brand activities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brand understanding and empathy; It measures the number of in-house reports, in-house newspapers, and newsletters,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annual in-house reports, in-house newspapers, and newsletters, and publishes annual reports based on in-house reports, in-house newspapers, It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measures the issue of design professional in-house, in-house newspapers, and newsletters, measures whether the design specialist in-house reports, in-house newspapers and newsletters produce and edits design experts, And the distribution of in-house / out-of-house design newsletters to measure annual production and issuance costs versus the total number of members; The total number of design ideas received per yea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organization members is measured and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among the design related ideas received is compared with the total number of ideas received, It is measured as an activation factor for receiving in-house design improvement ideas that measure the total number of monetary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of related ideas.
상기 외부커뮤니케이션영역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온·오프라인 디자인홍보 횟수를 측정하는 인쇄, 방송, 온/오프라인 매체 등을 활용한 디자인홍보 요소와; 사내·외 디자인관련 전시·홍보관 운영여부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시·홍보관의 연면적(㎡)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시·홍보관의 구축비용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전시·홍보관의 운영비용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전시·홍보관의 방문객 총 수를 측정하고,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제품·영상·소재·기술 등의 총 전시 건수를 측정하는 기업의 전시관·홍보관의 운영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국내 디자인관련 전시·박람회 출품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국외 디자인관련 전시· 박람회 출품 횟수를 측정하는 자사 디자인홍보를 위한 국내·외 전시회, 박람회 등에 출품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미팅·회의건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미팅·회의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기업외부 이해관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위한 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실시 요소; 및 사외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의 디자인 및 브랜드강화교육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external communication area includes a design promotional element utilizing printing, broadcasting, on / offline media, and the like, which measures the number of on-line design publicity with respect to the total number of total mass production product types; Measuring the exhibition / public relations center related to in-house and exterior design, measuring the floor area (m2) of the exhibition / public relations cente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measur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xhibition / public relations cente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And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to exhibitions and public relations halls per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and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exhibits such as products, video, materials, Operating elements of the public relations center; Measures the number of exhibitions and exhibitions related to domestic design relat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measures the number of exhibitions and exhibitions related to foreign design relat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for the past three years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s, ; Enhance design and brand awareness in comparison with previous year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training and workshops, strengthens design and brand awareness in relation to previous year's sales Measures the number of meetings and meetings, enhances sales design and brand awareness for previous year Education, workshops, meetings, conferences and other brands An external brand communi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external stakeholders that measures the amount invested in an activity; And the corporate design and brand reinforcement education component of the stakeholder of the outside company.
이와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is manner, the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means generates the communication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서 측정되는 디자인 자원(Design Resources)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디자인 지향적 조직, 디자인에 대한 교육, 디자인을 잘 할 수 있는 환경, 외부자원 등을 포함한다. The design resources measured by the design resource area measuring means include a design-oriented organization required for a company to perform design management, education about design, environment for designing well, external resources, and the like.
이러한 디자인자원영역은 디자인조직(design organization), 디자인교육(design education), 디자인환경(design environment), 외부자원(external resources)의 네 영역으로 나뉜다. These areas of design resources are divided into four areas: design organization, design education, design environment, and external resources.
상기 디자인조직영역은 기업 부설 디자인 연구소를 운영 여부를 측정하고,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연구소 직원 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기업 전체비용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연구소 소요비용을 측정하고, 지난 3년간 전체 신규제품디자인개발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연구소를 통한 신규디자인개발 총 수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연구소 운영 요소와; 디자인 부서 운영여부와, 디자인부서 직원 총 수 대비 디자인부서 사용 총 면적과,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부서 직원 총 수와, 전년도 기업 총 비용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부서 소요비용 총액과, 기업전체 1인당 평균 인건비 대비 디자인부서 1인당 평균 인건비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부서 운영여부 요소와; 기업 내 디자인조직의 위상수준을 조사자 판단에 의하여 측정하는 디자인조직의 위상 요소와; 디자인지원의 구조적인 절차를 조사자 판단에 의하여 측정하는 디자인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직관리체계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현재 디자이너 총 수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디자이너의 수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고등학교, 대학교, 석사, 박사학위별 학력자수를 측정하는 디자이너의 학력수준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이직자 총 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이너 이직자 총 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이너 이직자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이너의 이직율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design organization area measures the number of employees of the Design Research Institute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he current organization, measures the annual cost of the design institute against the total cost of the company in the previous year, The number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velopment.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employee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employee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staff,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staff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current organizational member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appropriate level of desig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m that measures the average labor cost per design unit versus the average labor cost; A topological element of the design organization that measures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s in-house design organization by the judgment of the investigator;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component for efficiently supporting design activities measuring the structural procedures of design support by investigator judgment; The number of designer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m that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current organizational members;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designers measuring the number of high school, college, master, and doctoral degrees of education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in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current members,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in the past three years versus the total number of current members, and the percentage of designers who have measured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in the past three years .
상기 디자인교육영역은, 현재 임원 수 대비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빈도와, 현재 임원 수 대비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시간과, 현재 임원 수 대비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빈도를 측정하는 관리자에 대한 디자인교육 강화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미팅·회의 건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관리자에 대한 브랜드교육 강화 요소와;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부서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부서 이외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와, 현재 전체 구성원 총수 대비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를 측정하는 사내 직원들의 디자인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내 디자인 교육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대학·연구소·학원 및 국내·외 디자인관련기관의 교육·세미나·연수 등에 참여한 디자이너 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이너의 재교육 총 시간을 측정하는 사내 디자이너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전시회·박람회 관람의 총 횟수와, 현재 전체 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전시회 및 박람회 관람 인원 총 수를 측정하는 조직구성원들의 디자인관련 전시회, 박람회 등에의 관람 요소로 측정된다. The design education area includes the total frequency of design-related workshops, seminars, lectures, and training for managers compared to the current number of executives, and design-related workshops, seminars, lectures, Total time and design education reinforcement factors for managers who measure the total frequency of design workshops, seminars, lectures, and trainings for executives versus the current number of executives; Enhance brand awareness compared to last year's sales Increase awareness of training and workshops, strengthen awareness of the brand compared to last year's sales, increase the number of meetings and conferences, and increase brand awareness compared to last year's sales Brand training for managers measuring investment in workshops and other brand activities Design workshops, seminars, lectures, training sessions for employees of the design department versus the sales of the previous year and design-related workshops, seminars, lectures, and training for employees other than the design department in relation to the previous year's sales In-house design education elements to increase the design understanding of the in-house employees measuring the number of design workshops, seminars, lectures, and training for all membe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at present; Currently, the number of design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 seminars, and training of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cademies, and domestic and foreign design related institution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and the retraining program for in-house designers measuring the total retraining time of designe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Element; It is measured by the total number of exhibitions and exhibitions related to design a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and as a viewing factor for design-related exhibitions and fairs of organizational members who measure the total number of design-related exhibitions and exhibition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current members.
상기 디자인환경영역은, 디자인에 필요한 작업환경구축의 수준을 측정하는 디자인에 필요한 공간, 장비, 재료 등의 디자인작업환경의 구축 요소와; 디자인 활동에 수동적 및 능동적 업무 수준을 측정하는 디자이너들의 디자인개발활동에 대한 자유보장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사내 디자이너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한 횟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사내 디자이너 인센티브로 지원한 금액을 측정하는 사내 디자이너들의 성과에 따른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의 지급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정책을 위한 내부적 모임 혹은 외부적 활동의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공식/비공식적으로 브랜드개선정책을 제안한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정책제안을 위한 내부적 모임 혹은 외부적 활동, 정책제안 등의 과정에 지원한 총 금액을 측정하는 효율적 브랜드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직원들의 브랜드강화 행위에 대한 보상시스템운영 요소와; 전체 구성원 수 대비 기업 내에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구매 종 총 수, 전체 구성원 수 대비 기업 내에서 구매하는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총 구매금액과, 전체 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관련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구매 종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 정보수집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관련 정보원(잡지, 서적 등)의 활용 요소로 측정된다. The design environment area includes a construction element of a design work environment such as a space, equipment, and a material necessary for a design for measuring a level of building a work environment required for design; Freedom of designers' design development activities that measure passive and active work levels in design activities; The amount of monetary / non-monetary rewards for the in-house designers to measure the amount of incentive support for in-house designers versus the current total number of designers, and the amount of in-house designer incentives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ers; The total number of internal meetings or external activities for the brand poli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brand improvement policy was formally / informal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the internal meeting or external activities for the brand policy proposal against the previous year's sales, And the compensation system for employees' brand reinforcement activities to implement an efficient brand policy that measures the total amount supported by the process; The total number of purchases, such as newspapers, books, magazines, and paid information sites, in the company versus the total number of members, the total purchase amount of newspapers, books, magazines, and paid information sites purchased within the company versus the total number of members, (Magazines, books, etc.) for gathering design information to measure the total number of purchasing species such as newspapers, books, magazines, and paid information sites related to contemporary design.
상기 외부자원영역은, 전년도 인건비 총액 대비 신규 디자이너채용에 드는 소요비용을 측정하는 신규 디자이너 채용을 위한 투자 요소와; 디자인인턴쉽 프로그램 시행여부와, 전체 구성원 수 대비 인턴쉽 참여자 수와, 디자인인턴쉽 참여자 총 수 대비 총 인턴쉽 프로그램 기간 및 비용과,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인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자의 총 투입 일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 총 수 대비 지난 5년간 제품디자인개발을 수행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전문가)총 수와, 지난 5년간 디자인개발에 참여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전문가)수 대비 3회 이상의 다른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업체 수와, 과거 5년간 디자인개발에 참여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 (디자이너) 수 대비 5년 이상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업체 수를 측정하는 아웃소싱기업과의 장기적 관계유지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 자문위원·고문위원 총 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자문위원·고문위원의 디자인자문 총 횟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 자문위원·고문위원의 자문비 및 고문비 총액을 측정하는 외부 디자인자문/고문인력 활용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건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협협력을 통한 신규 디자인개발 건 총 수와, 전년도 디자인 R&D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기업전체 R&D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의 산학협력활동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건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협협력을 통한 신규 디자인개발 건 총 수와, 전년도 디자인 R&D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기업전체 R&D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을 측정하는 자사 주관 디자인공모전의 운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external resource area includes an investment factor for employing a new designer to measure a cost required for employing a new designer relative to the total labor cost of the previous year; A design internship program that measures the number of internship participants versus the number of design internship programs, the total duration of the internship program versus the total number of design internship participants, and the total number of days spent by the design internship program operators compared to the current total number of designers Operating elements of; The total number of external design companies (design experts) who have developed product design over the past fiv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number of external design specialists (design experts) Long-term relationships with outsourcing companies that measure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have been involved in other design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number of firms that have been in the business relationship for more than five years versus the number of external design firms (designers) involved in design development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total number of design advisors and advisors compared to the number of current members, the total number of design consultants of advisors and advisors compared to the number of current members, and the total consulting fees and consultant fees of design advisors and advisors External design consultancy / torture manpower utilization factors; Over the past three years, we have invested in design-relate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in the past three years, The cost of investment in design-relate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design investment in the previous year, The element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esearch institute related to design; Over the past three years, we have invested in design-relate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in the past three years, The cost of investment in design-relate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design investment in the previous year, Is measured by the operating elements of the competitor's design competition.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산한다.
In this way, the design resource area measurement means produces the design resource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의 디자인 프로세스(design process)는 전반적인 디자인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와, 외부자원 투입관리(external input management)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The design process of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ing means manages the overall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is divided into two areas: process management and external input management.
상기 프로세스 관리 영역은, 지난 3년간 신규디자인개발 총 건수 대비 지난 3년간 임원진이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총 건수와, 현재 임원 수 대비 현재 임원 중 지난 3년간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총 인원 수를 측정하는 임원진의 디자인개발프로젝트 참여 요소와; 디자인개발과정의 체계적인 관리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디자인개발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 요소와;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건수와,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 총 건수 대비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에 사내 디자인부서(디자이너) 이외의 인원이 참여한 회의(미팅) 총 건수와, 기업 내 부서의 총 수 대비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디자인부서 이외에 참여부서 총 개수를 측정하는 디자인개발에서 부서 간 협업유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The process management area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executives participating in design development projects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total number of current designers participating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ject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elements of design development project participation by executives;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systematically measures the level of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the investigator's judgment; The number of meetings (meetings) performed in one recent design development project and the number of meetings (meetings) performed in one recent design development project, Meeting), the total number of meetings (meetings) in which the personnel other than the in-house design department (designer) participated an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ng departments other than the design department in the one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ject It is measured by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ve maintenance factors in development.
상기 외부자원 투입관리 영역은, 디자인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축의 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이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 총수 대비 지난 3년간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이너)와의 협업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개발 시 외부 디자인 전문가와의 협업 요소와; 디자인과업지시서의 명확성 수준을 과거 디자인 과업지시서에 대한 검토 및 면접자 정성평가를 통해 측정하는 과업지시서의 명확성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Wherein the external resource input management area includes a network construction element for a human resource required for design development of a company that measures the level of network construction required for design by an investigator judgmen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number of collaborations with external design companies (designers)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design developments. The level of clarity of the design task instruction is measured by the clarity factor of the task instruction which is measured by reviewing past design task instruction and evaluating the interviewer qualitative evaluation.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is manner,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ement means generates design process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의 디자인 실행(design Implementation)은 기업이 디자인에 얼마만큼 투자하고 투자에 따른 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실질적으로 기업이 디자인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실행영역은 디자인 투자(design Investment)와 디자인 성과(design Performance)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다.The design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execution area measuring means is an area for determining how much the company invests in the design, the achievement of the investment, and how much the enterprise actually executes the design. These areas of design execution are divided into two areas: design investment and design performance.
상기 디자인 투자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과, 전년도 기업 총 비용 대비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투자비용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년도 디자인R&D 투자비용과, 기업전체 R&D 투자비용 대비 전년도 디자인R&D 투자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 R&D 투자비용 요소와;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외부 디자인협업 투자비용 총액과, 지난 3년간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이너)와의 협업 총 건수 대비 디자인아웃소싱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디자인 아웃소싱 비용의 규모 요소와; 판매브랜드 총 수와,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 총 횟수와,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에 투자한 총 비용과,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리뉴얼 총 횟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에 투자한 총 비용을 측정하는 적절한 브랜드 개발 및 리뉴얼에 대한 투자 요소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신규 제품 디자인개발 건수를 측정하는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추진 요소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의 양산 성공률 요소와;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 대비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에서 디자인개발이 선행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제품개발에 있어서 디자인개발을 선행하는 노력 요소와;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 대비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 디자인개발 총 건수의 비율대비 신제품개발 총수 대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신제품의 양산성공율에서 디자인개발포함의 비중 요소와; 신제품개발에 소요되는 평균시간 대비 제품디자인개발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측정하는 신제품개발기간 중 디자인개발시간의 비중 요소와; 신제품개발에 소요되는 평균비용 대비 신규제품디자인개발에 소요되는 평균비용을 측정하는 신제품개발 비용 중 디자인개발 비용의 비중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design investment area includes a design investment cost for the previous year and a design investment cost for measuring the design investment cost for the previous year compared to the total enterprise cost for the previous year; Design R & D investment costs that measure the previous year's design R & D investment cost versus previous year's sales and the design R & D investment cost of the previous year relative to the overall R & D investment cost; Design outsourcing costs that measure the total amount of external design collaboration costs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design investment and the amount invested in design outsourcing versus the total number of collaborations with design specialists (designe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otal costs invested in development and renewal of brands (logos, packages) versus the total number of sales brands and the total number of renewal and development of brands (logos, packages) versus the total number of sales brands, , Package); investment factors for appropriate brand development and renewal to measure the total cost of investing in the development and renewal of brands (logos, packages) versus the total number of renewals; Currently, there is a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 factor that measures the number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otal mass product types and the total number of current mass product types; New products that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over the l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mass production products. The effort to prioritize design development in product development that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new product developments that have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product developments that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New product design New product that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velopment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velopment to the total number of new product development Successful mass production of new products that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e proportion of design development time during new product development, which measures the average time spent on product design development versus the average time spent on new product development; It is measured by the weight of the design development cost of the new product development cost, which measures the average cost of developing new product design versus the average c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
상기 디자인성과영역은, 현재 양산제품 총 수 대비 현재 양산제품 중 지식재산권 확보 제품 총 건수를 측정하는 제품디자인에 관한 지적 재산권확보 요소와; 판매브랜드 총 건수 대비 상표권 확보 총 건수를 측정하는 브랜드의 법률적 보호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제 3대 공모전 수상 총 건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제 3대 공모전 이외의 디자인공모전 수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국내·외 디자인어워드 수상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내·외 GD(good design)마크 수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굿디자인 인증마크 획득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The design performance area is defined as a factor for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garding product design that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secured 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mong current mass production product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mass production products; The legal protection factor of the brand measuring the total number of trademark rights against the total number of sales brands; The total number of the three international competitions won versus the sales of the previous year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design award award elements that measure the total number of the design competition other than the three maj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compared to the sales of the previous year; It is measured by the good design certification mark acquisition factor that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domestic and foreign good design (GD) mark award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year's sales.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Thus, the design execution region measurement means generates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의 디자인 전달(design delivery)은 기업이 자사의 디자인과 브랜드를 외부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잘 전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전달영역은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delivery of Design Identity)과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delivery of Brand Identity)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The design delivery of the design delivery area measuring means is an area for understanding how well a company delivers its design and brand to external consumers. These design delivery areas are divided into two areas: delivery of design identity and delivery of brand identity.
상기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영역은,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 요소와; 기업의 제품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디자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광고/홍보물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광고/홍보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카다로그/브로셔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카타로그/브로셔 등 인쇄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웹사이트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웹사이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기업사옥(본사) 건물(외부)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사옥(외부)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기업내부 공간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내부공간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design identity transfer area includes an identity consistency element of a brand-product that measures an identity consistency level of a brand-product by an investigator's judgment; The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s factors of the product design that are measured by the investigator 's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corporate design identity is reflected in the corporate product design. A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n advertisement / advertisement measured by an investigator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esign identity of the company is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advertisement / A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 printed matter, such as a catalog / brochure, which is measured by a surveyor's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esign identity of the company is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catalog / brochure; A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 web site that is measured by an investigator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esign identity of the company is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website; A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 corporate office (outside) measured by an investigator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esign identity of the corporate office (main office) building (outside) is reflected to what level;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design ident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nterprise is measured by the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ng facto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nterprise measured by the investigator's judgment.
상기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영역은,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로고타입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로고타입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소매점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자사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환경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브랜드경험관리의 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 패키지, 웹사이트, 멀티미디어, 이벤트, 홍보물, 광고 등 소비자가 접하는 브랜드 접점의 일관성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Wherein the brand identity transfer area includes: a brand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 product that measures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brand identity of the product by an investigator judgment; Brand identity reflects the package's brand identity measured by the investigator's judgment of the package's degree of reflection; A brand identity reflecting factor of a brand manual which is measured by an investigator judging degree of the brand identity reflectance degree of the brand identity; A logo type brand identity reflectance factor measured by an investigator judgment degree of degree of brand identity reflectance; A brand identity reflecting element of a retail store environment that sells its products measured by an investigator's judgment on the extent to which the retailer's brand identity reflects; The level of brand experience management is measured by the coherence factor of the brand contacts that consumers see, such as products, packages, websites, multimedia, events, promotions, and advertisements measured by investigator judgments.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is way, the design delivery area measurement means generates the design delivery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의 디자인 감사(design audit)는 현재 기업의 디자인이 내·외부적으로 어떠한 상황과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점검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감사영역은 내부감사(internal audit)와 외부감사(external audit)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The design audit of the design audit area measurement means is an area for identifying and checking the current status and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present enterpris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se areas of design audit are divided into two areas: internal audit and external audit.
상기 내부감사영역은, 현재 전제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현재 양산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조사수행 총 횟수와, 현재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현재 판매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조사수행 총 횟수를 측정하는 외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평가(audit)의 실시 요소와; 현재 디자인부서 직원 총수 대비 디자인부서에서 수행한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건수와, 현재 디자인부서 직원 총수 대비디자인부서에서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디자인부서의 성과평가와 피드백 요소와;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내부 디자인의식조사 총 건 수와,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의식조사에 소요한 총 비용을 측정하는 직원들에 대한 기업의 디자인의식조사와 평가 실시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The internal audit area may include an external auditor who measures the total number of consumer surveys on the design of the current mass product and the total number of consumer surveys for the currently sold brand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current sales brands, The implementation elements of the design audit;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elements of the design department, which measures the number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s performed by the design department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staff, and the total number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s succeeded in mass production by the design department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esign department staff; Survey and evaluation of design consciousness of employees who measured the total number of internal design awareness surveys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design investment in previous year and total cost of design consciousness survey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design investment in previous year Element.
상기 외부감사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조사비용 총액을 측정하는 외부 디자인리서치에 대한 투자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경쟁기업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조사 총비용을 측정하는 경쟁기업 제품디자인평가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경쟁기업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조사 총 비용을 측정하는 경쟁기업 브랜드 평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The external audit area includes: an investment factor for external design research that measures the total amount of design research expenditure over the past three yea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sales; Competition versus previous year's sales Consumer survey on product design Competitive company measuring total cost Product design evaluation factor; It is measured by a competitive brand evaluation factor that measures the total cost of a consumer survey for a competitor brand versus the previous year's sales.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Thus, the design audit area measurement means generates design audit area data by the diagnostic element.
상기 각 영역별 요소는 일반버전과 전문가버전으로 구분하여 일반버전 사용시 일반기업이 전문가 도움없이 손쉽게 측정하여 간단한 디자인경영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elements of each area are divided into a general version and a professional version so that a general company can easily measure and perform a simple design management evaluation without professional help.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는 취합하여 유무선망을 통해 DMES서버로 전송된다.
Design desig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design process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design delivery area data, and design design area data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unit The measurement data, which is the audit area data,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DMES serv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DMES서버(30)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표준값DB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DB로 DMES서버 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서버내에 위치하고 측정데이터만 DMES서버로 전송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may be provided as a DB that stores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server of an evaluation company, or may be provided in a DMES server or located in a user server and transmitting only measurement data to a DMES server.
상기 표준값DB는 다수 디자인업체 중 지속성장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DB이다.The standard value DB selects a company that has continuously grown among a plurality of design companies and selects design leader area data,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design process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Area data, design delivery area data, and design audit area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ree levels.
여기서 상기 업체 선별은 상술된 지속성장 이외에 규모, 매출액, 직원수 등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선별될 수 있으며, 도덕적으로 선망받거나, 우량업체를 포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ustainable growth, the screening of the companies can be selected by using various indicators such as scale,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it can be esteemed morally or improve reliability including high-quality companies.
또한, 상기 레벨 구분은 통상적으로 디자인경영 성숙도에 의해 구분하였다. 상기 디자인경영 성숙도는 DME(Design Management Europe)가 유럽에 기반을 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The DME Survey"를 실시하여 "디자인경영계단(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의 개념에서 제시한 4단계의 디자인환경성숙도에 근거하여 디자인경영센터 수준, 디자인부서 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분하고, 프로젝트수준 이하인 디자인경영 개념이 미약한 수준을 추가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vel classification is generally classified by design management maturity. The above-mentioned design management maturity is based on the DME (Design Management Europe) conducted "The DME Surve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ased in Europe, and the 4th design environment proposed by the concept of "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 Based on maturity,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and project level can be distinguished, and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concept below the project level can be further classified.
아울러 상기 표준값DB의 생성과정의 일예로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평가한다.In addition,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andard value DB is to select design related SMEs, evaluate the selected SMEs, and transmit the design leadership area data,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design delivery area data, and design audit area data are acquired, and the obtained data is scored and evaluated.
상기 점수화는 상기 데이터의 획득과정에서 수집되는 각 요소의 문제항에 대해 미리 설정한 점수표로 배점하여 각 업체간 순위를 정할 수 있다. The scoring may be performed by assigning scores to a predetermined score table for a problem item of each element collect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data.
상기 각 업체간의 점수와 순위 등의 평가값을 이용하여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정규분포도는 표준편차가 0 인 중심을 상위 50%의 기준으로 하고,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의 3등분 하거나, 프로젝트 이하수준 까지 포함해서 4등분으로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위 20%와 상위 20~40%와 상위 40~60%와 상위 60% 이하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표준편차 +1과 -1 사이를 프로젝트 수준으로 하고, 표준편차 +1과 +2 사이를 디자인부서 수준으로 하고, 표준편차 +2와 +3 사이를 디자인경영센터 수준으로 구분하는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Using the evaluation values such as the scores and rankings among the above-mentioned companies, a normal distribution chart is created and the sections are divided into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and project level, which are design maturity levels. Here, the above normal distribution map is based on the upper 50% of the center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 and it i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and project level, , The top 20%, the top 20 ~ 40%, the top 40 ~ 60% and the top 60%.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1 and -1 at the project level,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1 and +2 at the design department level, and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2 and +3 at the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So that the compartments can be formed.
다음으로는 각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 다음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 각 요소의 값을 평균한 값을 각 구간의 레벨별 표준값DB로 사용한다. 이때 표본기업은 특정기업 하나일 수 있으나,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 기업으로부터 각 요소의 평균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 plurality of sample companies are selected from the average levels in each segment, and the average value of each element of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ample company is used as a standard value DB for each level of each section. At this time, the sample firm may be a specific company, but it is desirable to take the average value of each factor from multiple companies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상기 DMES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DMES server performs a water treatment operation to compare the data of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with the data of the standard value DB to provide a target value for leveling up to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To a user server or an output device, and controls various signal flows.
즉, 측정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영역별 데이터에는 다양한 요소에 의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리 연산 프로그래밍에 의해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 각 요소를 표준값DB의 레벨(수준, 단계)별로 대비하고, 다양한 수리함수나 연동함수를 이용하여 비교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한다.That is, since the data for each area constituting the measurement data includes information by various elements, it is possible to prepare each element of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company by the repair operation programming for each level (level, step) The comparison data is processed and output using the function or the interlock function.
예컨대 제어부에서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로부터 평가기업 측정데이터 또는 점수화된 평가기업 측정데이터를 수취하고, 이를 표준값DB와 대비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고, 디자인성숙도에서의 각 레벨 평균수치(점수)와, 평가기업의 측정수치(점수)를 비교하여 각 영역별로 평가기업이 레벨평균 또는 레벨업을 위한 목표치를 연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한 평가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정보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receives evaluation company measurement data or scored evaluation company measurement data from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compares it with the standard value DB to indicate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scores) of the evaluating company and calculating the target value for the level average or level-up by the evaluating company for each area and transmitting the evaluation data quantitatively presented to the output device.
상기 출력예로는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각 영역별로 표준값과 비교된 수치를 나타내면서 결과그래프를 통해 쉽게 표시되도록 하거나,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결과그래프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함께 출력되도록 하거나,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각 수준별 표준값과 대비하는 바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바형태에서는 평가기업의 현수준이 표시되고, 각 수준별 평균값이 표시되며, 평가기업과 각 수준별 평균값의 차이값(목표치)이 나타내어 각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얼만큼의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output, as shown in FIG. 2, numerical values compared with the standard values are displayed for each area, and the numerical values are easily displayed on the result graph or a brief description is output together with the result graph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B. Here, the bar type in FIG. 4 shows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the average value of each level is displayed, and the difference (target value) between the evaluation companies and the average value at each level indicates how much effort and investment is required to reach each level .
본 발명에 따른 출력장치(40)는 사용자서버(20) 또는 DMES서버(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처리된 최종 평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인쇄하는 장치이며, 개인휴대단말기(스마트폰, 노트북)와 같이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단계에서의 각 영역에는 다수의 요소에 의해 다양한 정보가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정보는 정성적인 정보이외에 정량적인 정보도 포함하여 수집되며, 각 정보는 기 설정된 점수에 의해 배점되어 각 요소별 점수화, 영역별 점수화가 포함될 수 있다. First, the design leadership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ing means, the design plan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lan area measuring unit,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is generated through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unit, Design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rocess area measuring device, design process area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execution area measuring device, design transfer is performed by the design transfer area measuring device, There is performed a step of generating measurement data of an evaluation company at a user server that generates area data and generates design audit area data by design audit area measurement means. In this step, various information is collected by a plurality of elements in each area. The information is collected including quantitative information in addition to qualitative information, and each information may be scored by predetermined score, and may include scoring by each element and scoring by area.
다음으로는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로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가 이루어진다. Next, a measurement data transmission step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data to the DMES server is performed.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은 DMES서버는 측정데이터를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의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는 DMES서버 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서버에 위치하거나, DMES서버와 사용자서버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는 사용자서버에 저장된 후 DMES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MES server having received the measurement data stores the measurement data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in this step can be located in the DMES server, the user server, or both the DMES server and the user server. Therefore,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ng company can be stored in the user server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MES server.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은 DMES서버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비교는 각 영역 및 세부 요소 별로 배점된 점수를 비교하거나, 수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데이터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DMES serve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company compares the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with the standard data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DB. Here, the data comparison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omparing scores scored for each region and sub-elements, or quantitatively comparing numerical values.
이어서,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 및 세부요소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 및 세부 요소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의 평가데이터를 다양한 형식의 그래프를 통해 제공하고, 전체 영역 중 평균값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영역 및 세부 요소를 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과 대안을 제시하는 코멘트를 제공하여 디자인기업경영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n,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with the standard data, it is possible to show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or to compare each standard company and the evaluation company at the design maturity level of the standard data with each area and sub- A step of generating evaluation data by performing data extraction and arithmetic processing on the score or level of a higher level or an upper level company so as to show the degree of difference (target amoun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areas and the detailed elements is performed. The evaluation data in this step is provided in various types of graphs, and the areas and sub-elements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and the large value are generated are displayed, and a method for overcoming this and an alternative comment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management in a balanced way.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인쇄하는 출력단계가 이루어진다. Next, an output step of displaying or printing the generated evaluation data on a user server or a DMES server is performed.
추가적으로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기업에 대한 디자인경영 수준을 설명하고, 디자인경영측면을 발전시키기 위해 세부적으로 어떠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지는 컨설팅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 of explaining the design management level to the evaluation company using the evaluation data output from the output step, and consulting about what effort and investment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 design management aspect may be further performed.
아울러 상기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표준값DB를 설정하기 위한 전제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company in the user server, a preliminary process for setting the standard value DB may be performed.
표준값DB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먼저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선정은 개관적인 지표 예컨대 설립년도, 매출액, 직원수, 시설규모 등에 의해 최대한 건실한 기업으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rder to set the standard value DB, as shown in FIG. 6, a step of selecting a design-related SME is first performed. The above selection makes it possible for the company to be selected as the most robust company by an overview indicator such as the year of establishment, sales amount,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size of the facility.
다음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측정데이터 생성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단계는 각 영역별로 세부적인 요소를 모두 확인하거나 부분적으로 일부만 확인하여 신속한 정보수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Next, the selecte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is evaluated to obtain design leadership area data,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design process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design delivery area data, The measurement data generation step of the selected SME generating the design audit area data is performed. In this step, it is possible to confirm all the detailed elements in each area or partially confirm only a part thereof, so that rapid information collection can be performed.
이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점수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점수화는 각 영역의 세부요소에 대한 점수표에 의해 배점하여 선정기업이 영역별 점수화가 이루어지면서 전체 순위나 영역별 순위가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ep of scoring the measurement data is then performed. The scoring is scored according to the score table of the detailed elements of each area, so that the selected company scales the overall ranking or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area by scoring by area.
상기 평가된 점수에 의해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의 디자인 성숙도에 따른 구간 구획에서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 +2와 +3 사이 구간으로 선정하고, 디자인부서 수준은 표준편차 +1과 +2 사이의 구간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 수준은 표준편차 +1과 -1 사이의 구간을 선정하여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규분포에 의한 구간 선정은 선정기업 전체 점수 합에 의한 구획하거나, 각 영역별로 개별적인 정규분포도를 작성하여 구간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규분포도는 평가된 점수 이외에 기업규모, 직원수등 다른 조건에 의해 작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상술된 방식으로 구간을 구획하여 유사 규모업체 간에 기업경영환경을 대비하거나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A regular distribution diagram is created based on the evaluated score, and a step of dividing a section into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and project level, which is design maturity level, is performed. The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is selected from the mean between standard deviation +2 and +3, and the design department level is selected between the standard deviation +1 and +2, and the project level Can be partitioned by selec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tandard deviation +1 and -1. The selection of the interval by the normal distribution can be made by dividing the sum of the scores of the selected companies or by creating an individual normal distribution map for each area so that the interval division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above normal distribution can be prepared by other conditions such as the size of the company, the number of employees, etc. in addition to the evaluated score,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can be prepared or improved among similar-scale companies by dividing the segments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
다음으로 상기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데이터는 각 영역별 세부 요소별 평균값을 산정할 수 있으며, 영역별로 표본기업을 달리 선정하여 표준값DB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a plurality of sample firms of the average level in the segmented section are selected, and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lected sample enterprise is calculated and selected as the standard value DB of each section.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data may be calculated by an average of the detailed elements for each area, and a standard value DB may be calculated by selecting a sample company differently for each area.
또한, 도 7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출력단계 다음으로는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표준값DB에 포함시켜 표준값을 재산출하는 표준값 업데이트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값 업데이트는 매번 평가할 때마다 업데이트 하거나, 일정구간 예컨대 1년 또는 분기 또는 월 단위로 이루어져 다수 표본에 의한 신뢰도를 향상시킨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Also, referring to FIG. 7, the output step may be followed by a standard value updating step in which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company is included in the standard value DB and the standard value is shipped. Here, the standard value update may be updated every time evaluation is performed, or may be provid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one year, quarter, or month,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by a plurality of samples.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도 1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An evaluation method us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8. FIG.
먼저 선정기업 또는 평가기업으로부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데이터는 사용자서버를 통해 입력한다. First, the measurement data is collected by the measurement means from the selected company or the evaluation company, and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is inputted through the user server.
상기 입력된 측정데이터는 DMES서버로 전송되고, DMES서버에서는 측정데이터의 각 항목별로 미리 배당된 점수에 의해 배점이 이루어진다. The input measurement data is transmitted to the DMES server. In the DMES server, points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points allocated in advance for each item of the measurement data.
이어서 사용자서버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업평가용으로 진행할 것인지, 표준DB용으로 진행하는지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은 도시된 바와같이 기업평가용 또는 표준DB용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거나, 기업평가용인지를 먼저 선택하도록 하고, 기업평가용이 아니면 표준DB용인지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표준DB용이 아니면 다시 기업평가용인지를 재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n, the user server sets whether to proceed the input data for the enterprise evaluation or for the standard DB.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 may be a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enterprise evaluation or standard DB for the enterprise evaluation or the standard evaluation DB, And re-selecting the enterprise evaluation application again if it is an easy task.
상기 표준DB용을 선택하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배점은 그동안 입력된 다른 기업의 측정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점에 의해 기업순위를 설정하게 된다.If the standard DB type is selected, the input measurement data and the rating poin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data of other companies that have been input in the past, and the company rank is set according to the points.
다수의 기업자료(초기에는 표준DB를 구축하기 위해 선정한 기업의 자료)에 의해 기업순위가 설정되면 이로부터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정규분포도로부터 구간을 구획한다. 상기 구간은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 또는 그 이하수준 등 3~4 영역으로 구간을 구획할 수 있다. If a company's rank is set by a large number of company data (initially selected by a company that has been selected to build a standard DB), a regular distribution chart is created from this and the section is segmented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chart. The section can be divided into 3 ~ 4 areas such as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project level or lower level.
이어서 각 구간별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다. Next, a plurality of sample firms with an average level of each section are selected.
상기 선정된 표본기업에서 수집한 측정데이터는 각 항목별로 합산이 이루어지고 이의 평균값(수치)를 각 구간별 표준DB화하여 표준DB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값은 정량적인 수치 예컨대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에서는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10건, 디자인부서수준은 6건, 프로젝트수준은 3건 등 레벨수준별로 각각 다른 평균값으로 설정이 이루어진다.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the selected sample companies are summed up for each item, and the average value (numerical value) of each item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DB for each section to generate a standard DB. Here, the above average value is set to a different average value for each level level such as a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of 10, a design department level of 6, and a project level at a quantitative value, for example, in th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pplications.
아울러 사용자서버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업평가용으로 진행하면,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와 배점정보는 표준DB의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rver proceeds the input data for the enterprise evaluation,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rating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company are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standard DB.
상기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 레벨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고, 현재수준에서의 평균값과 평가기업의 차이를 비교하여 유사수준의 기업과 대비하여 어느 부분(항목)에서 부족하고 어느 부분이 만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업이 상위 레벨의 수준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각 항목에 얼만큼의 노력이 더 필요한지는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각 항목은 정량적인 수치로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평가기업이 레벨별 표준기업과의 차이를 항목마다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의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하여 제공될 수 있다. By comparing the above, it is confirmed how much the pres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is, and comparing the average value at the current level with the difference of the evaluation company, it is confirmed which part (item) is satisfied with which part . It can also indicate how much effort is required for each item in order for the evaluator to go up to the next level. Each of these items can be quantitatively displayed on a quantitative basis by comparing the quantitative values with those of the level-specific standard companies. Th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r printed using the output device of the user server or the DMES server Can be provided.
이러한 정량적인 수치표시는 다수의 세부 항목에서 레벨별 표준기업의 수치와 비교하여 차이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거나, 영역별로 나타내어 어느부분에 더 노력하고 투자해야 하는 것은 물론 어느정도의 노력과 투자를 해야하는지를 정량적으로 표시하여 한 부분에 대한 과도한 투자를 방지하고 잉여자원은 다른 부족한 부분에 더 투자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할 수 잇게 컨설팅이 가능하게 한다. These quantitative numerical indications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magnitude in comparison with numerical standard companies in a number of detail items, or are displayed in each area to indicate which part should be invested more effortfully, as well as how much effort and investment should be made By quantitatively marking up, it helps to prevent excessive investment in one part and to invest more in other areas where surplus resources are available, thereby enabling consulting to improve the company's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또한,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업의 평가에 사용된 데이터는 표준DB화 또는 종료 여부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기업 평가용 데이터를 별도로만 보관할 것인지 표준DB의 업데이트에 적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Also, the data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ompany through the display as an output device can be selected as a standard DB or whether to be terminated, so that it is judged whether the company evaluation data is to be stored separately or to be applied to the update of the standard DB.
이와같이 기업평가용 데이터를 표준DB의 업데이트에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자료축적에 의해 현실성 있는 기업평가 및 컨설팅이 가능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data for corporate evaluation in updating the standard DB, it is possible to perform realistic corporate evaluation and consulting by accumulating data continuously,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10 :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20 : 사용자서버
30 : DMES서버
40 : 출력장치10: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20: User server
30: DMES server
40: Output device
Claims (14)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각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다수 디자인업체 중 지속성장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표준값DB와;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ES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 또는 DMES서버와 연결되어 연산처리가 완료된 최종 평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준값DB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평가하고; 평가값에 의해 작성된 정규분포도에서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고; 각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 다음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 평균값을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In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Design leadership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ing means, design plan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plan area measuring means,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means, The design process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rocess region measuring means, the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execution region measuring means, and the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transfer region measuring means, Design designation area data, design desig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and design process area data, A user server of an evaluation company for collecting and transferring data,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design delivery region data, and measurement data as design audit region data;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for storing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user server; Design plan area data,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design resource area data, design process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design execution area data, A standard value DB for collecting design delivery area data and design audit area data and dividing them into three levels and storing them; The data of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and the data of the standard value DB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 water treatment operation is performed so as to quantitatively indicate a target value for leveling up to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A DMES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various signals to the device and controlling various signal flows;
And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server or the DMES server for displaying or printing final evaluation data on which oper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The standard value DB,
Design related SMEs; The design evaluation area evaluator selects the design leadership area data, the design plan area data,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the design resource area data, the design process area data, the design execution area data, the design delivery area data, Obtaining region data; Scoring and evaluating the acquired data; Design standardization level, design department level, and project level are divided into design maturity level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map created by evaluation value; A plurality of sample companies of average level in each segment are selec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ample company is used as the standard value DB of each segment.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은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와, 디자인챔피언 제도의 운영과, 기업 브랜드챔피언 제도 운영과, 기업 내 브랜드위원회의 운영과, 임원급 이상의 고위관리직에 디자이너 임명수를 확인하는 디자인리더영역 정보와;
디자인철학의 수립정도와, 기업경영전략 설계에서 디자인전략수립이 선행되는 정도와, 디자이너가 경영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전략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ing means
Design leader area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sign management mindset of the CEO, operation of the design champion system, operation of the enterprise brand champion system, operation of the brand committee in the enterprise, and design manager appointment to senior management positions above the executive level;
Design strategy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design philosophy, the degree to which the design strategy is prioritized in the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design, and the degree to which the designer participates in the management decision making process. system.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은,
미래지향적 가치를 담고 있는 디자인정책의 수립정도와, 기업디자인철학-디자인정책의 일관성 정도와, 장기-중기-단기적 디자인정책수립정도와, 비전-미션-전략-실행계획의 단계적 디자인정책 수립정도와, 문서화된 기업 디자인가이드라인 설계정도와, 명확한 핵심경쟁우위요소의 결정과 이를 위한 디자인 집중정도와, 제품디자인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운영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정책영역 정보와;
디자인정책-브랜드정책의 일관성정도와, 장기-중기-단기적인 브랜드 정책의 수립정도와, 비젼-미션-전략-전술의 단계적 브랜드정책수립정도와, 효율적인 브랜드아키텍쳐 설계정도와, 기업브랜드-패밀리브랜드-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합리성정도와, 효율적인 브랜드플랫폼의 구성정도와,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역량을 표현하는 수준정도와, 브랜드포트폴리오 구성과 운영정도와, 브랜드포지셔닝의 설계와 활용정도와, 브랜드퍼스낼리티의 설계와 활용정도와, 브랜드가이드매뉴얼 구축 및 활용정도를 확인하는 브랜드정책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plan area measuring means comprises:
The degre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gn policy that contains the future-oriented value, the degree of the corporate design philosophy - the consistency of the design policy,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the long term - mid term - short term design policy, Design policy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design of documented corporate design guidelines, the determination of clear core competitiveness factors and the concentration of designs for them,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duct design portfolio;
Design policy - The consistency of brand policy,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long-term, short-term brand policy, the degree of step-by-step branding of vision-mission-strategy-tactics, the degree of efficient brand architecture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vertical structure rationality of individual brands, the degree of structure of effective brand platform, the level of expression of core competence of br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brand portfolio, the design and utilization degree of brand positioning, Brand policy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design and utiliz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 brand guide manual is constructed and utilized.
상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은,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수준정도와,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높은 공감수준정도와,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정도와,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정도와, 브랜드에 대한 내부 구성원 공감수준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인식영역 정보와;
조직구성원들에게 브랜드 이해와 공감 강화를 위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운영정도와, 디자인뉴스레터의 제작 및 사내/외 배포정도와, 사내 디자인개선 아이디어 접수의 활성화정도를 확인하는 내부커뮤니케이션영역 정보와;
인쇄, 방송, 온/오프라인 매체 등을 활용한 디자인홍보정도와, 기업의 전시관·홍보관의 운영정도와, 자사 디자인홍보를 위한 국내·외 전시회, 박람회 등에 출품정도와, 기업외부 이해관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위한 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실시정도와, 사외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의 디자인 및 브랜드강화교육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커뮤니케이션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means compris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employees about design philosophy, the level of employees 'high level of empathy with design philosophy, the level of employees' awareness of design policy, the level of employee response to design policy, Design recognition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design recognition;
Internal communication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operation of an internal communication program for enhancing brand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e degree of production of the design newsletter, the degree of in-house / outsourcing,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in-
We are interested in the degree of design promotion using print, broadcasting, online / offline media, the degree of operation of company's exhibition hall / public relations center, the degree of exhibition at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s and fairs to promote its design, The external communication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external brand communi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and the degree of corporate design and brand reinforcement education for external stakeholders. system.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은,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연구소 운영정도와,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부서 운영여부정도와, 디자인조직의 위상정도와, 디자인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직관리체계정도와,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디자이너의 수정도와, 디자이너의 학력수준정도와, 디자이너의 이직율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조직영역 정보와;
관리자에 대한 디자인교육 강화정도와, 관리자에 대한 브랜드교육 강화정도와, 사내 직원들의 디자인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내 디자인 교육정도와, 사내 디자이너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정도와, 조직구성원들의 디자인관련 전시회, 박람회 등에의 관람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교육영역 정보와;
디자인에 필요한 공간, 장비, 재료 등의 디자인작업환경의 구축정도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개발활동에 대한 자유보장정도와, 사내 디자이너들의 성과에 따른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의 지급정도와, 효율적 브랜드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직원들의 브랜드강화 행위에 대한 보상시스템운영정도와, 디자인 정보수집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관련 정보원(잡지, 서적 등)의 활용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환경영역 정보와;
신규 디자이너 채용을 위한 투자정도와, 디자인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정도와, 아웃소싱기업과의 장기적 관계유지정도와, 외부 디자인자문/고문인력 활용정도와,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의 산학협력활동정도와, 자사 주관 디자인공모전의 운영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자원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resource region measuring means comprises:
The degree of the design research institute at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erprise,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at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erprise, the level of the design organization, the degree of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supporting design activities, A design organization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the designer's degree of education and the degree of turnover of the designer;
In addition to the degree of strengthening design education for managers, strengthening brand education for managers, the degree of in - house design education for enhancing understanding of in - house employees, the degree of operation of retraining programs for in - house designers, Design education zon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visitors to the fair and the like;
The degree of construction of design work environment such as space, equipment, materials required for design, degree of freedom of designers' freedom of design development, amount of monetary / non-monetary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in-house designers, Design environment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compensation system for the brand strengthening activities of employee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various design related information sources (magazines, books, etc.) for collecting design information;
The degree of investment for recruitment of new designers, the degree of operation of design internship program, the degree of long-term relationship with outsourcing companies, the degree of external design consultant / consultant utilization, the degree of industry- And external resource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sponsored design competition.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은,
임원진의 디자인개발프로젝트 참여정도와, 디자인개발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정도와, 디자인개발에서 부서 간 협업유지정도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관리영역 정보와;
기업이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정도와, 디자인개발 시 외부 디자인 전문가와의 협업정도와, 과업지시서의 명확성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자원 투입관리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process region measuring means comprises:
Process management domain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executives in design development projects, the degre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the degree of collaboration maintenance between departments in design development;
The external resource input management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network construction of the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enterprise,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the external design experts at the time of design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clarity of the task instruction sheet; Business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은,
디자인투자비용정도와, 디자인 R&D 투자비용정도와, 디자인 아웃소싱 비용의 규모정도와, 적절한 브랜드 개발 및 리뉴얼에 대한 투자정도와,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추진정도와,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의 양산 성공률정도와, 제품개발에 있어서 디자인개발을 선행하는 노력정도와, 신제품의 양산성공율에서 디자인개발포함의 비중정도와, 신제품개발기간 중 디자인개발시간의 비중정도와, 신제품개발 비용 중 디자인개발 비용의 비중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투자영역 정보와;
제품디자인에 관한 지적 재산권확보정도와, 브랜드의 법률적 보호정도와, 국내·외 디자인어워드 수상정도와, 굿디자인 인증마크 획득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성과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execution region measuring means comprises:
The degree of investment in design R & D investment, the degree of design outsourcing cost, the degree of investment in appropriate brand development and renewal, the degree of promotion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 the degree of success of mass production of new product design development, The degree of effort leading to design development in product development, the degree of the proportion of design development included in the mass production success rate of new products, the proportion of design development time during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the proportion of design development cost among new product development expenses Design investment area information and;
Design performance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ext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garding product design, the degree of legal protection of the brand, the degre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sign award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the good design certification mark.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은,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정도와, 제품디자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광고/홍보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카타로그/브로셔 등 인쇄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웹사이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기업사옥(외부)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기업내부공간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영역 정보와;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로고타입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자사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환경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제품, 패키지, 웹사이트, 멀티미디어, 이벤트, 홍보물, 광고 등 소비자가 접하는 브랜드 접점의 일관성정도를 확인하는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delivery area measuring means comprises:
Brand - The consistency of identity of product, degree of reflection of corporate design identity of product design, degree of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ion of advertisement / publicity, degree of corporate design identity reflectance of printed matter such as catalog / brochure, and corporate design identity of website Design identity transfer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extent to which the corporate design identity of the corporate office (external) is reflected and the degree to which the corporate design identity is reflec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nterprise;
The degree of reflectance of the brand identity of the product,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brand identity of the package,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brand identity of the brand manual, the degree of reflecting the brand identity of the logo type, the degree of reflecting the brand identity of the retail store environment, Brand identity transmission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consistency of a brand contact point such as a package, a website, a multimedia, an event, a promotional item, and an advertisement.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은,
외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평가(audit)의 실시정도와, 디자인부서의 성과평가와 피드백정도와, 직원들에 대한 기업의 디자인의식조사와 평가 실시정도를 확인하는 내부감사영역 정보와;
외부 디자인리서치에 대한 투자정도와, 경쟁기업 제품디자인평가정도와, 경쟁기업 브랜드 평가정도를 확인하는 외부감사영역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ign audit area measuring means comprises:
Internal audit area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audit for external consumers, the evaluation and feedback of the design department, and the level of the company's design awareness survey and evaluation of employees;
An external audit area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investment in external design research, the degree of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esign evaluation, and the degree of competitiveness of brand evaluation of the competitor;
상기 제어부에서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로부터 평가기업 측정데이터 또는 점수화된 평가기업 측정데이터를 수취하고,
이를 표준값DB와 대비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고,
디자인성숙도에서의 각 레벨 평균수치(점수)와, 평가기업의 측정수치(점수)를 비교하여 각 영역별로 평가기업이 레벨평균 또는 레벨업을 위한 목표치를 연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한 평가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From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evaluation company measurement data or scored evaluation company measurement data is received,
This shows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value DB,
The evaluating company compares the average value of each level in the design maturity (score) with the measured value (score) of the evaluating company and calculates the target value for the level average or level-up by the evaluating company for each area, And transmitting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result to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로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와;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의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와;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인쇄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In a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
Design leadership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leadership area measuring means, design plan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plan area measuring means,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is generated by design communication area measuring means, The design process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process region measuring means, the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execution region measuring means, and the design execution region data is generated by the design transfer region measuring means, Generating measurement data of an evaluation company at a user server that generates design audit area data by design audit area measurement means;
A measurement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measurement data to the DMES server;
Storing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of the DMES server;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DB with the standard data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DB;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tandard data shows the current level of the evaluation company, or the comparison between each standard company and the evaluation company at the level of design maturity level of the standard data, Generating evaluation data by extracting and arithmetically processing data so as to indicate degree or degree of difference (target amount) with respect to each score or leve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evaluation data to a user server or a DMES server or printing the generated evaluation data.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측정데이터 생성단계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점수화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된 점수에 의해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선정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Prior to the step of generat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evaluation company at the user server
Selecting design related SMEs;
The design evaluation area evaluator selects the design leadership area data, the design plan area data, the design communication area data, the design resource area data, the design process area data, the design execution area data, the design delivery area data, A measurement data generation step of the selected SME for generating the area data;
Scoring the measurement data;
Creating a regular distribution diagram based on the evaluated score, and dividing the section into a design management center level, a design department level, and a project level, which are design maturity levels;
A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ample firms of average level in the segmented section and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measurement data of the selected sample enterprise and selec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data of the selected sample enterprise as a standard value DB of each section; Way.
상기 디자인 성숙도에 따른 구간 구획에서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표준편차 +2와 +3 사이 구간으로 선정하고, 디자인부서 수준은 표준편차 +1과 +2 사이의 구간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 수준은 표준편차 +1과 -1 사이의 구간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evel of the Design Management Center is selected as the interval between standard deviation +2 and +3, and the level of design department is selected as the interval between standard deviation +1 and +2, and the project level is standard deviation + 1 " and " -1 " is selected.
상기 출력단계 다음으로는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표준값DB에 포함시켜 표준값을 재산출하는 표준값 업데이트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tandard value updating step of storing measurement data of an evaluation company in a standard value database and shipping a standard value after the outputting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en) | 2012-10-26 | 2012-10-26 |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en) | 2012-10-26 | 2012-10-26 |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3709A true KR20140053709A (en) | 2014-05-08 |
KR101429215B1 KR101429215B1 (en) | 2014-09-19 |
Family
ID=5088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en) | 2012-10-26 | 2012-10-26 |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921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45A (en) * | 2016-12-30 | 2018-07-1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Desig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requesting design |
KR20190081109A (en) * | 2017-12-29 | 2019-07-09 | (주)씽크포비엘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subsequent work for usabiltiy improvement |
CN112749888A (en) * | 2020-12-31 | 2021-05-04 | 浙江省方大标准信息有限公司 | Random sample consensus (RANSAC) algorithm-based multivariate random spot check method, system and device |
KR102553169B1 (en) * | 2022-12-06 | 2023-07-10 | 주식회사 엘레멘트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lutions for brand improv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77858B2 (en) | 2022-02-07 | 2024-05-07 | T-Mobile Usa, Inc. | Centralized intake and capacity assessment platform for project processes, such as with product development in telecommun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1289A (en) * | 2001-05-30 | 2002-12-06 | 주식회사 위고넷 | System for network-based management diagnosis service related to design |
JP2005004521A (en) | 2003-06-12 | 2005-01-06 | Hitachi Ltd | Management support system |
KR101043941B1 (en) * | 2009-05-12 | 2011-06-24 | 김호곤 | Design management diagnosis system and the method |
-
2012
- 2012-10-26 KR KR1020120119967A patent/KR10142921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45A (en) * | 2016-12-30 | 2018-07-1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Desig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requesting design |
KR20190081109A (en) * | 2017-12-29 | 2019-07-09 | (주)씽크포비엘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subsequent work for usabiltiy improvement |
CN112749888A (en) * | 2020-12-31 | 2021-05-04 | 浙江省方大标准信息有限公司 | Random sample consensus (RANSAC) algorithm-based multivariate random spot check method, system and device |
CN112749888B (en) * | 2020-12-31 | 2023-10-03 | 浙江省标准化研究院(金砖国家标准化(浙江)研究中心、浙江省物品编码中心) | Multi-element random spot check method, system and device based on RANSAC algorithm |
KR102553169B1 (en) * | 2022-12-06 | 2023-07-10 | 주식회사 엘레멘트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lutions for brand improv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9215B1 (en) | 2014-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aheri et al. |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on learn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in turbulent markets | |
Hansen et al. | Measuring the impacts of NGO partnerships: The corporate and societal benefits of community involvement | |
Wambui et al. | Factors Affecting Completion of Road Construction Projects in Nairobi City County: Case Study of Kenya Urban Roads Authority (KURA) | |
Bhamu et al. | A framework for lean manufacturing implementation | |
KR101429215B1 (en) |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 |
Chen et al. | Firm and project innovation outcome measures in infrastructure megaprojects: An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 approach | |
Apte et al. | Managing the service supply chain in the Department of Defens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 |
Aprilia et al. | Sustainable Business Performance for Local Business Development: Evidence from Indonesia Coffee Shops | |
Burger | Project management in the built environment: The need for industry specific knowledge | |
Taddese et al. | Market development using TQM through system integration and customer service in Asia | |
Kavinya | The Impact of Organization Strategy on Facilities Management: A Case study of Postal corporation of Kenya. | |
Banerjee | A study of linkages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SMEs performance in Vadodara District | |
Dadzie et al. |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election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for sustainable renovation projects | |
Mulhall | Evaluating HRD Programmes | |
Keniger et al. | Developing a Quality Culture—Project Alliancing Versus Bussiness‐as‐Usual | |
MUHAMMAD | Evaluation of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contractors in building industry in Abuja, Nigeria | |
Ramkumar et al. | Root cause analysis of issues in construction industry | |
Langford et al. | Construction creativity casebook | |
Reza et al. | Performance management as a media of change towards organization improvement | |
Fitzmaurice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Lean Six Sigma tool, Visual Process Controls, to improve month-end activities in a finance department–An Empirical Case Study | |
DHANIYALA et al. | Advancement of the operations management course handled by Lean Excellence Center at Politecnico di Milano | |
ZEMENAY | ASSESSMENT OF FACILITY MANAGEMENT PRACTICES AT INDUSTRIAL PARKS IN AMHARA REGION | |
Ahokas | Measuring the offering development process performance: Case study | |
Egyir | Assessing the capacity of works department in the delivery of value for money construction projects in selected MMDAS in Ghana | |
Arora | Project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