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98A -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 Google Patents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98A
KR20140052598A KR1020120118865A KR20120118865A KR20140052598A KR 20140052598 A KR20140052598 A KR 20140052598A KR 1020120118865 A KR1020120118865 A KR 1020120118865A KR 20120118865 A KR20120118865 A KR 20120118865A KR 20140052598 A KR20140052598 A KR 2014005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ntainer
capturing
pet bottle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승열
원아름
Original Assignee
원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승열 filed Critical 원승열
Priority to KR102012011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598A/ko
Publication of KR2014005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냇가와 같이 유속이 완만한 곳에서 물고기를 먹이부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유도어항에 관한 것으로,
페트병을 포함한 폐용기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제조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용기부(10)의 후방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 및 그 내벽면에 유도구(45) 및 수용부(46)가 각각 형성된 포획부(40); 및 상기 고정부(20)의 내주면 또는 상기 수용부(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부(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물고기의 포획장소라면 어디에서든지 페트병을 이용하여 상기 유도어항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짐은 물론 상기 물고기의 먹이부를 반죽하는 공정이 필요없어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Fish bowl for decoying the fish using waste plastic bottle}
본 발명은 물고기를 먹이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유도어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어항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짐은 물론 물고기 먹이를 규격화된 고형물로 구성하여 물고기의 포획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어항은 유속이 완만한 곳에 설치하여 떡밥과 원자탄과 같은 먹이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도하여 포획하는 어구의 한 종류로서, 이 유도어항은 상기 먹이가 풀려서 물과 함께 흐르는 경우 상기 물고기가 먹이의 냄새를 맡고 쫓아 이동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어항은 그물에 의해 성형된 그물어항이나 플라스틱이나 비닐에 의해 성형된 비닐어항을 이용하여 물고기의 포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물고기들이 유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안으로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점점 더 유도구가 좁아지는 구조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어항을 설치하려는 경우, 상기 물고기의 먹이로서 떡밥이나 원자탄 등을 혼합하여 반죽물로 제조한 상태에서, 상기 어항안의 포획공간에 반죽물을 넣거나 상기 유도구의 입구에 반죽물을 붙여 어항을 세팅하고, 상기 어항을 물의 흐름방향으로 펼쳐 세팅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도어항은 물론 상기 떡밥이나 원자탄과 같은 물고기의 먹이를 항시 구비해야하며, 상기 먹이가 변질할 우려가 있어 사용 후 남더라도 보관이 매우 어려우므로,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상기 떡밥이나 원자탄과 같은 먹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해야하므로 상기 먹이의 반죽에 따른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상기 물고기의 포획 때마다 별도로 상기 먹이를 구입하므로 상기 먹이의 구입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유도어항이나 먹이를 구비하지 못했거나 또는 상기 유도어항이나 먹이의 판매장소가 주변에 없거나 또는 터무니없는 비싼 값으로 판매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물고기의 포획작업이 즐기기에는 미흡하여 모처럼의 휴가나 물놀이를 망치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 등록실용 : 20-0408854호(등록일:2006.02.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어항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짐은 물론 물고기 먹이를 규격화된 고형물로 구성하여 물고기의 포획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트병을 포함한 폐용기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제조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용기부의 후방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 및 그 내벽면에 유도구 및 수용부가 각각 형성된 포획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포획부의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물고기의 포획장소라면 어디에서든지 페트병을 이용하여 상기 유도어항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유도어항의 적용범위가 넓어져 물고기의 포획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상기 물고기의 먹이부를 반죽하기 위한 불편함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어항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어항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 및 (b)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어항의 고정부와 먹이부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어항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 및 (b)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어항의 고정부와 먹이부를 도시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유도어항(1)은, 페트병을 포함한 폐용기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제조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용기부(10)의 후방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 및 그 내벽면에 유도구(45) 및 수용부(46)가 각각 형성된 포획부(40); 및 상기 고정부(20)의 내주면 또는 상기 포획부(40)의 수용부(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포획부(40)를 구비하고 다니다가,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려는 경우, 상기 페트병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용기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용기부(10)에 고정부(20)와 포획부(40)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유도어항(1)을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10)는,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제품의 후단부를 어느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그 전방측에 주입구(12)가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절단공(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어항(1)의 구성과정에서 상기 용기부(10)의 둘레면을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16)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도어항(1)이 물살에 의해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용기부(10)의 주입구(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내부공간에 이후에 설명하는 상기 먹이부(30)를 원터치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22)가 형성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2)의 내주면을 나사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끼움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먹이부(30)는, 상기 결합돌기(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물고기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떡밥 또는 원자탄을 포함한 물고기가 좋아하는 분말을 혼합하고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고형물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원에서는 상기 먹이부(30)의 형상으로 원통형상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분할식으로 다수개 구성하여 상호 맞대어 사용할 수도 있고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먹이부(30)의 중심부에 상기 물의 흐름을 유도하고 상기 먹이부의 냄새를 유도함은 물론 상기 물에 의해 상기 먹이부(30)를 풀리게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입공(3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용기부(10)의 후단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절단공(14)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중심에 상기 물고기가 통과하는 소정크기의 유도구(45)가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 상기 먹이부(30)를 수용하는 한 개 이상의 수용부(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46)에 수용되는 먹이부(30)를 가능한 T백 형상으로 제조하여 수용 및 인출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유도구(45)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결홈(45-1)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부(10)내에 들어온 작은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도구(45)에 상기 절결홈(45-1)을 구성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작은 물고기가 선택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페트병의 후단부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용기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용기부(10)의 후방측에 포획부(40)를 결합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결합돌기(22) 및 수용부(46)에 상기 먹이부(30)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용기부(10)의 주입구(12)에 상기 고정부(20)를 맞댄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또는 수납식으로 결합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용기부(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상기 먹이부(30)가 위치함은 물론 상기 용기부(10)의 후방에 상기 유도구(45)가 위치하므로, 상기 유도어항(1)의 조립작업 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포획장소에 상기 유도어항(1)을 세팅하면, 상기 유입공(35)에 의해 물이 유도되므로, 상기 유도어항(1)내에 상기 먹이부(30)가 풀리면서 상기 유도구(45)를 통해 물고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고기의 포획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먹이부(30)와 상기 포획부(40)를 비치하고 다니다가 상기 유도어항(1)을 필요에 따라 제조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도어항 10 : 용기부
12 : 주입구 14 : 절단공
16 : 고정수단 20 : 고정부
22 ; 결합돌기 30 : 먹이부
35 : 유입공 40 : 포획부
45 : 유도구 46 ; 수용부

Claims (3)

  1. 페트병을 포함한 폐용기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제조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용기부(10)의 후방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 및 그 내벽면에 유도구(45) 및 수용부(46)가 각각 형성된 포획부(40); 및
    상기 고정부(20)의 내주면 또는 상기 포획부(40)의 수용부(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부(30)는,
    떡밥 또는 원자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혼합하고 성형한 고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40)는,
    상기 유도구(45)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작은 물고기가 빠져나가는 다수개의 절결홈(4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KR1020120118865A 2012-10-25 2012-10-25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KR20140052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65A KR20140052598A (ko) 2012-10-25 2012-10-25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65A KR20140052598A (ko) 2012-10-25 2012-10-25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98A true KR20140052598A (ko) 2014-05-07

Family

ID=5088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865A KR20140052598A (ko) 2012-10-25 2012-10-25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611A1 (zh) * 2018-08-06 2020-02-13 湖南科技大学 海底小生物诱捕与保压保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611A1 (zh) * 2018-08-06 2020-02-13 湖南科技大学 海底小生物诱捕与保压保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76202S1 (en) Animal paw shaped pet treat dispensing puzzle
US20160316719A1 (en) Cylindrical spinning pet toy and treat dispenser
WO2016069591A9 (en) Compositions, methods and use of synthetic lethal screening
MY152335A (en) Feeding device for poultry having non-sharp-edged circumferentially closed bars or other parts delimiting feed openings between the bars
RU201413893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а гранулята и загруж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к червяку экструдера
CL2019003241A1 (es) Dispositivo de alimentación para una jaula cerrada y método para la distribución de alimentos en una jaula cerrada.
RU2647319C1 (ru) Кормуш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риводом для лактирующей свиноматки
USD725845S1 (en) Pet leash
WO2012038920A3 (en) Litter box for domestic animals
KR20140052598A (ko) 페트병을 이용한 물고기 유도어항
US20160113232A1 (en) Animal cage bedding and waste disposal system
CN107646733B (zh) 一种预防禽流感的养鸡饲料喂食设备
KR1016269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닭장
KR200475080Y1 (ko) 초파리 트랩
US11439125B2 (en) Reconfigurable pet toy
CN102860266A (zh) 用于养殖喂料机上的配料装置
CN204733734U (zh) 一种外挂式水貂颗粒料饲喂器
KR200454812Y1 (ko) 경사면이 형성된 고체상태의 성형미끼를 포함하는 외부 수납형 낚시용 인조미끼
CN105052766A (zh) 宠物狗喂食装置
US20160021913A1 (en) Protein additive for dry or wet pet food
KR101216120B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CN204635047U (zh) 一种用于饲料加工的除铁除杂装置
李貞恩 Utilization of High GABA Tomato via CRISPR/Cas9 for Hybrid Breeding
KR101105164B1 (ko) 파리잡이장치
TH1701006499A (th) เครื่องผสมอาหารสัต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