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16A -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16A
KR20140052516A KR1020120118664A KR20120118664A KR20140052516A KR 20140052516 A KR20140052516 A KR 20140052516A KR 1020120118664 A KR1020120118664 A KR 1020120118664A KR 20120118664 A KR20120118664 A KR 20120118664A KR 20140052516 A KR20140052516 A KR 2014005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rrier
downlink signal
quality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829B1 (ko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1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여 상기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함으로써,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따른 커버리지 및 망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ATION BASED ON UPLINK CARRIER AGGREGATION, AND APP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적용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서의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송파 결합은 2개 이상의 반송파를 집적하여 보다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속도를 올리기 위한 기술로서 하향링크(Downlink) 반송파 결합과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은 단말장치에서 기지국장치를 대상으로 송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에는 2 이상의 반송파를 결합하여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에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는 경우 단말장치에서 2개 주파수 대역의 동시 상향신호로 인해, 해당 상향신호가 타 주파수 대역의 하향신호 수신에 있어서 고조파(harmonics) 혹은 혼변조(intermodulation) 신호에 의한 간섭으로 작용하여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서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간의 간섭을 확인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출력 제어를 통해 단말장치 내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상기 간섭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동추이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수신되는 수신시점마다 확인되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 및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자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하향링크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이용한 전송출력 제어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는 변동추이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상기 간섭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동추이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수신되는 수신시점마다 확인되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 및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자원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출력 제어를 통해 단말장치 내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따른 커버리지 및 망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상향신호 전송출력 간의 변동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은, 반송파 결합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0), 및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는 기지국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동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지원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제4세대 이동통신인 LTE(long term evolution) 환경에서 동작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전술한 LTE 환경에서 반송파 결합이 지원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LTE 환경에서 상기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상향신호 및 하향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eNB가 해당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상향신호는 상향링크 경로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어 기지국장치(200)에 수신되는 신호를 지칭하며, 반대로 하향신호는 하향링크 경로에 따라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단말장치(100)에 수신되는 신호를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에 따라 2 이상의 반송파를 결합하여 기지국장치(100)를 대상으로 상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장치(100)에서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는 경우, 2개 주파수 대역의 동시에 이용한 상향신호로 인해, 해당 상향신호가 타 주파수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고조파(harmonics) 혹은 혼변조(intermodulation) 따른 간섭으로 작용하여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단말장치(100)에서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기지국장치(200)에서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제어하는 방안, 내지는 기지국장치(200)에서 단말장치(100)의 하향신호 수신과, 상향신호 전송이 겹치지 않도록 스케쥴링 하는 방안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러한 방안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전술한 단말장치(100)에서 전송출력을 제어하는 방안과 관련하여, 단말장치(100) 측의 판단에 의해 전송출력을 감소시키는 경우, 기지국장치(200)에서는 해당 전송출력 제어가 무선 전송구간에 의한 것인지, 내지는 단말장치(100) 내에서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간 간섭에 의한 것인지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단말장치(100)에서 전송출력을 다시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효율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기지국장치(200)에서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제어하는 방안의 경우에는, 기지국장치(200)에서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가 발생하는 간섭이 단말장치 내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무선 전송구간에서 발생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제어가 어려우며, 아울러, 보수적으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으로 인해 단말장치(100)에서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너무 낮게 설정하는 경우,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따른 커버리지가 줄어들어 망 용량을 저하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장치(200)에서 단말장치(100)의 하향신호 수신과, 상향신호 전송이 겹치지 않도록 스케쥴링 하는 방안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에서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최적으로 설정하기가 어렵다.
이렇듯, 단말장치(100)에서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단말장치(100)와 기지국장치(200) 간 상호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간의 간섭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상향신호 전송출력 제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적용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서의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간의 간섭을 확인하여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는 2 이상의 반송파를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반송파(예: 주파수 대역: 850Mhz) 및 제2반송파(예: 주파수 대역:1.8G) 2 개의 반송파만을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반송파 결합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하여,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예: 1ms)로 수신되는 다운링크제어정보(DCI)에 포함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에 따라 제1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 및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장치(200)는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한 하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하향신호의 수신품질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하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확인하고, 예컨대, 제1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정보보다 낮은 상태인 경우 이를 기준정보에 부합되지 않는 품질저하상태로서 판단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품질저하상태인 원인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그리고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며, 추가로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해당 하향신호의 수신시점에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의 원인이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품질저하상태를 기지국장치(200)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예컨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품질저하상태를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한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단말장치(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상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전송부(110), 하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120), 품질저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130), 및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신호전송부(110), 신호수신부(120),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신호전송부(110)는 반송파 결합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전송부(110)는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하여,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예: 1ms)로 수신되는 다운링크제어정보(DCI)에 포함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에 따라 제1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 및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신호수신부(12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수신부(120)는 앞서 언급한 상향신호의 전송과 아울러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상기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
판단부(130)는 하향신호의 수신품질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하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확인하고, 예컨대, 제1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정보보다 낮은 상태인 경우 이를 기준정보에 부합되지 않는 품질저하상태로서 판단하게 된다.
또한, 판단부(130)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품질저하상태인 원인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품질저하상태가 무선 환경 변화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내지는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13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그리고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며, 추가로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해당 하향신호의 수신시점에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의 원인이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판단부(13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수신되는 수신시점마다,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 및 제2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확인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그리고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지국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의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상태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고, 이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예컨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기지국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부(120))에서 간섭이 발생한 제1반송파가 아닌 제2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상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210), 하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전송부(220), 단말장치(100)에서의 품질저하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230), 및 단말장치(100)에서 상향신호 전송출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자원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신호수신부(210), 신호전송부(220), 확인부(230) 및, 자원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2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반송파 결합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수신부(2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에 따라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자원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에 서브프레임 단위(예: 1ms)로 전송되는 다운링크제어정보(DCI) 상에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을 포함시킴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를 기초로 제1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 및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전송부(220)는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전송부(220)는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한 하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확인부(23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품질저하상태를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수신되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자원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에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원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한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단말장치(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제어부(240)는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를 신호전송부(22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기지국장치(200)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최적의 출력 제어를 통해 단말장치(100) 내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따른 커버리지 및 망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는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하여,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전송한다(S110).
아울러, 기지국장치(200)는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한 하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120).
이에,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하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확인하고, 예컨대, 제1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정보보다 낮은 상태인 경우 이를 기준정보에 부합되지 않는 품질저하상태로서 판단하게 된다(S130-S140).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그리고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며, 추가로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해당 하향신호의 수신시점에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의 원인이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150-S160).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는 예컨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S170).
이후, 기지국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한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단말장치(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80-S200).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신호전송부(110)는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하여,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상향신호를 기지국장치(200)에 전송한다(S310).
이때,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예: 1ms)로 수신되는 다운링크제어정보(DCI)에 포함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에 따라 제1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 및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설정하여 상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신호수신부(120)는 앞서 언급한 상향신호의 전송과 아울러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상기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S320).
이에, 판단부(13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하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확인하고, 예컨대, 제1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정보보다 낮은 상태인 경우 이를 기준정보에 부합되지 않는 품질저하상태로서 판단하게 된다(S330-S350).
그리고 나서, 판단부(13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품질저하상태가 무선 환경 변화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내지는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350-S360).
이때, 판단부(130)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그리고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며, 추가로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해당 하향신호의 수신시점에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전술한 품질저하상태의 원인이 단말장치(100)의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40)는 상기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의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상태를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S370-S380).
이때, 제어부(140)는 예컨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통해 기지국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40)는 기지국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부(120))에서 간섭이 발생한 제1반송파가 아닌 제2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TPC)에 따라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S390-S40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신호수신부(2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제1반송파 및 제2반송파를 결합에 따라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며, 아울러,신호전송부(220)는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과 제2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한 하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510).
그리고 나서, 확인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상태정보를 통해 CQI (Channel Quality Index), RI(Rank Index), PMI(Precoding Matrix Index)와 함께 수신되는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간섭에 의한 품질저하상태 및 간섭의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S520-S550).
이후, 자원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에서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의 간섭으로 인해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에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송출력 제어 명령어를 신호전송부(22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2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제2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S560-S570).
한편, 자원제어부(240)는 품질저하상태가 발생한 제1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단말장치(100)에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제1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단말장치(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에 따르면,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기지국장치(200)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최적의 출력 제어를 통해 단말장치(100) 내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따른 커버리지 및 망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적용하여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출력 제어를 통해 단말장치 내 간섭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신호전송부  120: 신호수신부
130: 판단부   140: 제어부
200: 기지국장치
210: 신호수신부  220: 신호전송부
230: 확인부   240: 자원제어부

Claims (9)

  1.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상기 간섭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추이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수신되는 수신시점마다 확인되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 및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자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하향링크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이용한 전송출력 제어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장치에 상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간섭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전송출력 사이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는 변동추이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과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상기 변동추이와 비교하여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상기 간섭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추이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가 수신되는 수신시점마다 확인되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 및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하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반송파 중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와 상기 특정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향신호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한 하향신호의 신호품질이 기준품질 미만인 상태인 품질저하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품질저하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해서만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통해 상기 하향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나머지 반송파를 통한 상기 상향신호의 전송출력을 결정하도록 하는 자원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118664A 2012-10-24 2012-10-24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1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664A KR101510829B1 (ko) 2012-10-24 2012-10-24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664A KR101510829B1 (ko) 2012-10-24 2012-10-24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16A true KR20140052516A (ko) 2014-05-07
KR101510829B1 KR101510829B1 (ko) 2015-04-10

Family

ID=5088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8664A KR101510829B1 (ko) 2012-10-24 2012-10-24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8621B2 (en) * 2005-08-23 2012-01-17 Ipwireless, Inc. Compatible broadcast downlink and unicast uplink interference redu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729104B (zh) * 2008-10-31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和系统、以及基站
US9509543B2 (en) * 2009-06-26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interference reduction in wireless systems
US8498273B2 (en) * 2009-08-06 2013-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uplink resources in multi-carrier CDM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29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2337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0098129B2 (en) Handling of simultaneous network communication transmission and D2D communication reception or simultaneous network communication reception and D2D communication transmission
US857673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haring a subchannel
KR102012734B1 (ko)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링크 적응 송수신 방법
US953233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7277908B (zh) 一种功率控制方法及设备
JP2014171247A (ja) 上りリンク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端末装置、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JP2015520971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ユーザ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7259066B2 (ja) 電力制御方法および電力制御装置
US10530556B2 (en) Full-duplex power reporting
US10560979B2 (en) Measurement result reporting method, method for counting by timer,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US2021018478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petition transmission
KR1015932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362578B2 (en) TM9-based carrier aggregation method and device
AU2014399600A1 (en) User equipment and power allocation method
US20220256470A1 (en) Power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70250764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9155921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US1191683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05466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펙터 값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1700552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carrier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500099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of mobile station
JP2012100127A (ja)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試験方法
KR101510829B1 (ko)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 기반 간섭 제거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4091527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