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387A -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 Google Patents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387A
KR20140052387A KR1020120118450A KR20120118450A KR20140052387A KR 20140052387 A KR20140052387 A KR 20140052387A KR 1020120118450 A KR1020120118450 A KR 1020120118450A KR 20120118450 A KR20120118450 A KR 20120118450A KR 20140052387 A KR20140052387 A KR 2014005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commendation
preference
use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6820B1 (en
Inventor
김수연
이상훈
이대호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820B1/en
Publication of KR2014005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3Query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for a smart TV and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10) contacting a content sensor; S11) automatic operation; S12) preference registration/conversion; S13) matching content and a program; S14) analyzing targeted recommendable content; S15) content recommendation; S16) content selection and operation; and S17) content updat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mmend proper content for each user in a social service system considering the preference of a smart TV user, favorite TV programs and use history, so that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and it is highly possible for users to accept the recommended content reflecting TV program watching patterns and preference of each user. In addition, smart TV manufacturers can improve its brand image, us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ies by providing content which can be utilized through each manufacturer′s smart TV. Moreover, content providers can create higher profits since the usage possibility of content provided based on the conditions of each user in various way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recommendation method for smart contents on a smart TV,

본 발명은 실시간 컨텐츠 추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티비(TV) 시청자의 선호도(preference), 자주 보는 TV 프로그램, 과거 컨텐츠 이용내역(use history)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for use in a content service system in consideration of a preference of a smart TV viewer, a frequently viewed TV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a smart TV.

디지털 방송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비(TV)를 찾는 사용자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되던 기능들이 TV와 결함됨으로써 스마트 TV는 다른 스마트 기기에 비해 넓은 화면과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As the era of digital broadcasting becomes popular, users who are looking for a smart TV (TV)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contents are increasing day by day. Since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existing smart device are defective with the TV, the smart TV can generate a synergy effect through a wider screen and an easier user interface than other smart devices.

2012년 말 전면 디지털 방송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스마트 TV가 쏟아져 나오고 있고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컨텐츠들이 새롭게 추가되고 있다.In the end of 2012, various smart TVs are pouring out in the era of digital broadcasting and many contents are newly added as users increase.

아날로그 TV와 달리 디지털 TV는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로그램 시청 패턴을 도출할 수 있으나 현재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술은 없는 실정이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해 주는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카테고리 별로 목록을 보여주고 있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Unlike analog TV, digital TV provides detail information of a program, and it can derive user 's program viewing pattern by using it. That is, the user can select one of various contents provided on the smart TV, but the technology for recommending the 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 is not provided, and the list is displayed at the category level.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의 기술이 "실시간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으로 특허공개 제2012-0091457호로서, 공개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developed so far is disclosed as a "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as Patent Publication No. 2012-0091457, in a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상기 특허공개 제2012-0091457호의 "실시간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사용자단말에 실시간 컨텐츠를 추천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간의 소셜 네트워크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대화가 입력되는 입력부(11); 상기 입력부가 수집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키워드 단위로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제1저장부(12);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가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13); 상기 제1저장부(12)에 저장된 키워드와 상기 제2저장부(13)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참조로, 상기 키워드와 상기 컨텐츠의 상호 연관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상기 상호 연관도를 토대로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의 사회적 이슈잉(issuing) 순위를 도출하는 분석부(14) 및; 상기 분석부(14)가 분석한 이슈잉 순위를 참조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실시간으로 추천하는 추천부(1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실시간 영상 컨텐츠 중 사회적 이슈 및 관심을 받고 있는 영상 컨텐츠를 추천함으로써, 영상 컨텐츠의 사회적 관계성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영상을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91457 is a system including a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11) for inputting a dialog based on a social network activity among a plurality of users; A first storage unit (12) for storing information on contents collected by the input unit in units of keywords in real time; A second storage unit (13) receiving from the server and storing metadata of contents broadcasted by the server in real time;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in real time with reference to the keywor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 and the metadata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3) An analysis unit (14) for deriving a social issuing ranking of the currently broadcasted content based on the ranking information; And a recommendation unit (15) for recommending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with reference to the issue issuing rank analyzed by the analyzing unit (14). The recommendation unit (15) ,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ocial relations of image contents and to recommend images that become issues in real time.

그러나 상기한 특허공개 제2012-0091457호의 "실시간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은"은 카테고리 별로 목록을 보여주고 있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0091457 is limited to a list of categories.

또한 종래 컨텐츠 추천방법을 실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텐츠 추천방법이 사용되고 있다.Also, a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 conven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s shown in Fig. 2 is used.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컨텐츠 추천은 스마트 TV를 켜고 컨텐츠 센터에 접속하면(S1단계) 자동 구동되며, 테마별 인기순 최신순 등 운영자 추천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S2단계), 제한된 목록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와 즐겨보는 TV 프로그램, 그리고 기존에 이용한 컨텐츠 이용 통계 등을 다각도로 고려하지 못한 선택으로(S3단계)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S4단계)에게 가장 적합한 지능화된 스마트 TV 컨텐츠 추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tent recommendation shown in FIG. 2 is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smart TV is turned on and connected to the content center (step S1), and the operator recommendation method such as the latest popularity ranking is adopted (step S2).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ommend the smart TV contents most suitable for the user's use of the contents (S4 step) by selecting the TV programs and the contents usage statistic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pas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컨텐츠 추천방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마트 TV 시청자의 선호도(preference), 자주 보는 TV 프로그램, 과거 컨텐츠 이용내역(use history)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Users)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TV 프로그램 시청 패턴을 반영한 컨텐츠를 추천 받음으로써 추천결과에 대한 수용 가능성 및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drawbacks and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mart TV viewer's preference, a frequently used TV program, a past history of use of cont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recommendation result by recommending the content reflecting the preference of the user and the watching pattern of the TV program on the users side by recommending the most suitable content for use in the content service system, And to provide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basis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TV 제조업체(Smart TV Manufacturers) 측면에서는 자사의 스마트 TV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의 이용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 및 제품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TV manufacturer that provides convenience of contents that can be utilized through its own smart TV in order to improve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and product image, And to provide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s)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다각도로 고려한 컨텐츠의 추천이 가능함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이 증대되어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capable of recommending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a user's situation in various aspects,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 센터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컨텐츠 센터 접속단계(S10단계)와; 컨텐츠 추천 장치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단계(S11단계)와; 선호도 등록모듈(10)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선호도 등록/ 변경단계(S12단계)와;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모듈(20)로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와 TV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연결시키는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단계(S13단계)와;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로 추천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하기 위한 다차원 추천대상 컨텐츠의 분석 작업을 하는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와; 컨텐츠 추천모듈(40)로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와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 그리고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여 추천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추천단계(S15단계)와; 컨텐츠 선택 및 실행모듈(50)로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천 대상자가 이미 사용 중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외하고 컨텐츠 추천 모듈(40)에서 산출된 최종 점수(R)에 따라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TV 상에 제시하는 컨텐츠 선택 및 실행단계(S16단계) 및; 컨텐츠 업데이트 모듈(60)로 추천되어 사용된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에 업데이트 하며, 이러한 컨텐츠 이용 통계정보는 다음 컨텐츠 추천에서 사용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a smart TV, comprising: a content center accessing step (S10) for a user to input an ID and a password to a content center to access the content center; An automatic driving step (S11) of driving th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 preference registration / changing step (S12) of registering or changing the preference of the user's content with the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A content / program matching step (S13) of connecting a category of content provided in the smart TV with a TV program category by the content / program matching module 20; A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14) for analyzing the multi-dimensional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for deriving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calculates the final score by summing the recommendation score R1 of the user preference, the recommendation score R2 of the program side, and the recommendation score R3 of the content side, A recommendation step (step S15); The content selection and execution module 50 retrieves and excludes the content already being used by the recommendation target from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nd calculates a recommended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final score R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Selecting and executing a content to be presented on a user's smart TV (step S16); The content update information is updated to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recommended by the content update module 60 and the content usage statistical information is updated in a content update step S17 used in the next content recommend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TV 시청자의 선호도(preference), 자주 보는 TV 프로그램, 과거 컨텐츠 이용내역(use history)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Users)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TV 프로그램 시청 패턴을 반영한 컨텐츠를 추천 받음으로써 추천결과에 대한 수용 가능성 및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스마트 TV 제조업체(Smart TV Manufacturers) 측면에서는 자사의 스마트 TV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의 이용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 및 제품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s)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다각도로 고려한 컨텐츠의 추천이 가능함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용 가능성이 증대되어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content most suitable for use in a content service system in consideration of a preference of a smart TV viewer, a frequently viewed TV program, past use history, etc., It will increase the acceptability and satisfaction of recommendation results by recommending contents reflecting preference and watching patterns of TV programs, and providing convenience of contents that can be utilized through its smart TV in terms of Smart TV Manufacturers The service quality,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product imag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provider can recommend the content considering the user's situation in various aspects, the availability of the provided content is increased, Capable of creating There are special advantages.

도 1은 종래 실시간 컨텐츠 추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real-tim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ecution procedure of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a conventional smart TV,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xecution of 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실행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선호도 등록모듈(10)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와 TV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연결시키는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모듈(20)과; 추천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하기 위한 다차원 추천대상 컨텐츠의 분석 작업을 하는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과;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와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 그리고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여 추천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추천모듈(40)과;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천 대상자가 이미 사용 중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외하고 컨텐츠 추천 모듈(40)에서 산출된 최종 점수(R)에 따라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TV 상에 제시하는 컨텐츠 선택 및 실행모듈(50) 및; 추천되어 사용된 컨텐츠는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에 업데이트 되며, 이러한 컨텐츠 이용 통계정보는 다음 컨텐츠 추천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업데이트 모듈(60)으로 구성되어 있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apparatus A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for registering or changing a preference for a user's content as shown in FIG. 4; a content / program matching module 20 for linking a content category and a TV program category provided in the smart TV; A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for analyzing multi-dimensional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for deriving a target content to be recommended; A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for calculating a final score by summing up a recommendation score R1 on the user preference side, a recommendation score R2 on the program side, and a recommendation score R3 on the content side to determin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s; A recommended content list is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score R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by searching for and excluding content already being used by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DB from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 selection and execution module 50; The recommended content is updated in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nd the content usage statistic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content update module 60 used in the next content recommendation.

한편,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 센터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컨텐츠 센터 접속단계(S10단계)와; 컨텐츠 추천 장치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단계(S11단계)와; 선호도 등록모듈(10)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선호도 등록/ 변경단계(S12단계)와;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모듈(20)로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와 TV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연결시키는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단계(S13단계)와;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로 추천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하기 위한 다차원 추천대상 컨텐츠의 분석 작업을 하는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와; 컨텐츠 추천모듈(40)로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와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 그리고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여 추천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추천단계(S15단계)와; 컨텐츠 선택 및 실행모듈(50)로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천 대상자가 이미 사용 중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외하고 컨텐츠 추천 모듈(40)에서 산출된 최종 점수(R)에 따라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TV 상에 제시하는 컨텐츠 선택 및 실행단계(S16단계) 및; 컨텐츠 업데이트 모듈(60)로 추천되어 사용된 컨텐츠는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에 업데이트 하며, 이러한 컨텐츠 이용 통계정보는 다음 컨텐츠 추천에서 사용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17)로 이루어져 있다.Meanwhile, an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includes a content center accessing step (S10) in which a user inputs an ID and a password to a content center and accesses the content center; An automatic driving step (S11) of driving th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 preference registration / modifying step (S12) of registering or changing the preference of the user's content with respect to the user's content with the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A content / program matching step (S13) of connecting a category of content provided in the smart TV with a TV program category by the content / program matching module 20; A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14) for analyzing the multi-dimensional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for deriving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calculates the final score by summing the recommendation score R1 of the user preference, the recommendation score R2 of the program side, and the recommendation score R3 of the content side, A recommendation step (step S15); The content selection and execution module 50 retrieves and excludes the content already being used by the recommendation target from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nd calculates a recommended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final score R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Selecting and executing a content to be presented on a user's smart TV (step S16); The content recommended and used by the content update module 60 is updated to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nd the content usage statistic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content update step S17 used in the next content recommendation.

상기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에서의 분석은 사용자 선호도 분석, TV 프로그램 분석, 컨텐츠 분석이다. The analysis in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14) is user preference analysis, TV program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다음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의 작용을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mbodiment.

실시예Example

먼저 컨텐츠 센터 접속단계(S10단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센터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자동 구동단계(S11단계)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고, 이어서 선호도 등록/ 변경단계(S12단계)에서 선호도 등록모듈(10)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등록 또는 변경하였다. 이때 컨텐츠 카테고리는 스마트 TV 상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 시 확장할 수 있다. TV는 일반적으로 개인뿐 아니라 가족 중심으로 많이 이용하게 되고 개인의 취향도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므로 선호도는 복수 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설정하는 선호도는 Preference DB에 저장하였다. 이는 다른 요소들과 함께 추천 대상 컨텐츠 분석시 사용된다.If the user inputs an ID and a password to the content center in the content center access step (step S10), th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is automatically activated in the automatic driving step (step S11), and then the preference registration / , The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registers or changes the preference for the user's content. At this time, the content category is based on the category provided on the smart TV and can be expanded as needed. Since TV is generally used by individuals as well as families, and there may be many tastes of individuals, preferences can be assigned to a plurality of preferences, and preferences set are stored in a preference DB. This is used in analyzing the content to be recommended together with other elements.

그 다음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단계(S13단계)에서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로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와 TV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연결시켰다. 특정 컨텐츠의 카테고리는 여러 개의 TV 프로그램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고 하나의 TV 프로그램이 여러 개의 컨텐츠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들 간에는 다대다(M:N) 관계가 성립하며, 이를 두 개의 일대다(1:N) 관계로 해결(resolve)하는 Contents/Program Matching DB를 도입하였다. 이는 이후 단계에서 추천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할 때 평소에 즐겨보는 TV 프로그램의 카테고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Then, in the content / program matching step (step S13),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links the category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smart TV with the TV program category. Since a certain content category can correspond to several TV program categories and one TV program can correspond to several content categories, a many-to-many (M: N)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m, : N), we introduced Contents / Program Matching DB which resolve. This is to reflect the category of the TV program that I usually enjoy when I derive the content to be recommended at a later stage.

계속하여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에서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로 추천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하기 위한 다차원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는 사용자 선호도 분석 기능, TV 프로그램 분석 기능, 컨텐츠 분석 기능으로 나누어진다.Subsequently, in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tep S14),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has performed a multi-dimensional analysis task for deriving the target content. It is divided into user preference analysis function, TV program analysis function, and content analysis function.

1) 사용자 선호도 분석은 등록 모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Preference DB로부터 추출하여 스마트 TV 상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것을 찾아 평점이 높은 순으로 정렬한다. 이를 데이터베이스 언어인 구조적 질의어(SQL: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1) The user preference analysis extrac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preference set by the user in the registration module from the Preference DB, finds matches with the categories provided on the smart TV, and sorts them in descending order of ratings. This is expressed in the database language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as follows.

SELECT Category_Name, Category_RatingSELECT Category_Name, Category_Rating

FROM Contents DB, Preference DBFROM Contents DB, Preference DB

WHERE User_Preference_Category = Contents_CategoryWHERE User_Preference_Category = Contents_Category

ORDER BY Category_Rating DESCORDER BY Category_Rating DESC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를 산출한다.And calculates a recommendation score (R1) in terms of the user's preference using the extracted result.

2) TV 프로그램 분석은 기존에 스마트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 목록을 Program DB로부터 가져와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정보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분류(드라마/시사교양/스포츠/예능/어린이 등) 및 그 하위분류로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시사교양의 하위분류로는 뉴스, 다큐멘터리, 고발프로그램, 퀴즈프로그램 등이 있다. 특정 기간 동안 시청한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본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프로그램마다 방영주기(매일/주말/주1회/주2회 등)가 다르므로 특정 스마트 TV에서의 프로그램 P1의 시청률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2) Analysis of the TV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the program database by analyzing the list of the program which was watched on the smart TV. The program information may be modeled by the category provided by the supplier (drama / current affairs / sports / entertainment / children, etc.) and its subclasses. In other words, sub-categories of current affairs education include news, documentary, accusation program, and quiz program. Extract the program that watched the most programs viewed during a specific period. Since the broadcasting period (daily / weekly / once a week / twice a week, etc.) differs for each program, the audience rating of the program P1 on the specific smart TV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분모는 방송사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값이며 분자는 이용자의 통계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1은 정해진 기간 동안 한번이라도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계산한다. 프로그램별로 산출된 모든 시청률은 프로그램 카테고리별로 통합되어 상위 점수부터 역순으로 정렬된다. 상위에 랭크된 카테고리에 연결된 컨텐츠 카테고리를 찾아 시청자 평점이 높은 순으로 정렬한다.In Equation (1), the denominator is a value predefined by the broadcaster, and the numerator is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s of the user. Equation (1) only calculates for a program viewed at least onc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ll program ratings for each program are grouped by program category and sorted in reverse order from highest score. Find content categories linked to the top ranked categories and sort them in order of highest viewer rating.

상기 SQL문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를 산출한다.The recommendation score (R2) of the program side is calculated by using the result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QL statement.

3) 컨텐츠 분석은 컨텐츠 이용통계를 토대로 컨텐츠 카테고리별 추천 점수를 산출한다. Content_Stat DB로부터 주어진 기간(period) 내의 이용빈도 및 이용시간을 토대로 컨텐츠의 이용 점수를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3) Content analysis calculates recommendation score for each content category based on content usage statistic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sage scor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usage frequency and the usage time within a given period from the Content_Stat DB as shown in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컨텐츠별로 계산된 이용 점수를 카테고리별로 종합하여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계산한다.In the formula (2), the use score calculated for each content is aggregated for each category to calculate a recommendation score (R3) on the content side.

이어서, 컨텐츠 추천단계(S15단계)에서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와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 그리고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였다. R1, R2, R3의 가중치를 각각

Figure pat00003
라 하면 최종 점수는 이를 가중합하여 계산되고, 초기에는 세 가중치
Figure pat00004
을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수학식 3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n, in the content recommendation step (S15), the final score i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recommendation score (R1) of the user preference, the recommendation score (R2) of the program side, and the recommendation score (R3) of the content side. The weights of R1, R2, and R3 are
Figure pat00003
The final score is calculated by weighting it, and initially, the three weights
Figure pat00004
May be set to a predefined value, and then adjusted to Equation (3) as needed.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다음으로 컨텐츠 선택 및 실행단계(S16단계)에서 Content_Stat DB로부터 추천 대상자가 이미 사용 중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외하고 컨텐츠 추천 모듈(40)에서 산출된 최종 점수(R)에 따라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TV 상에 제시한다.Next, in the content selection and execution step (step S16), the recommended target content is searched for and removed from the content_stat DB, and the recommended content lis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inal score R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On the smart TV.

마지막으로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17)에서 추천되어 사용된 컨텐츠는 Content_Stat DB에 업데이트하며, 이러한 컨텐츠 이용 통계 정보는 다음 컨텐츠 추천에서 사용하게 된다.Finally, the content recommended and used in the content update step S17 is updated in the content_stat DB, and the content usage statistical information is used in the next content recommend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선호도 등록모듈 20 :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모듈
30 :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 40 : 컨텐츠 추천모듈
50 : 컨텐츠 선택 및 실행모듈 60 : 컨텐츠 업데이트 모듈
10: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20: content / program matching module
30: Recommended content analysis module 40: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50: Content selection and execution module 60: Content update module

Claims (5)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 센터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컨텐츠 센터 접속단계(S10단계)와; 컨텐츠 추천 장치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단계(S11단계)와; 선호도 등록모듈(10)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선호도 등록/변경단계(S12단계)와;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모듈(20)로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와 TV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연결시키는 컨텐츠/프로그램 매칭단계(S13단계)와;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모듈(30)로 추천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도출하기 위한 다차원 추천대상 컨텐츠의 분석 작업을 하는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와; 컨텐츠 추천모듈(40)로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와 프로그램 측면의 추천 점수(R2), 그리고 컨텐츠 측면의 추천 점수(R3)를 종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하여 추천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추천단계(S15단계)와; 컨텐츠 선택 및 실행모듈(50)로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천 대상자가 이미 사용 중인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외하고 컨텐츠 추천 모듈(40)에서 산출된 최종 점수(R)에 따라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TV 상에 제시하는 컨텐츠 선택 및 실행단계(S16단계) 및; 컨텐츠 업데이트 모듈(60)로 추천되어 사용된 컨텐츠는 Content_Stat 데이터 베이스(DB)에 업데이트 하며, 이러한 컨텐츠 이용 통계정보는 다음 컨텐츠 추천에서 사용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17)로 이루어진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n the smart TV includes a content center connection step (S10) in which a user inputs an ID and a password to a content center and accesses the content center; An automatic driving step (S11) of driving the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 preference registration / changing step (S12) of registering or changing the preference of the user's content with the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A content / program matching step (S13) of connecting a category of content provided in the smart TV with a TV program category by the content / program matching module 20; A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14) for analyzing the multi-dimensional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for deriving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module 30;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calculates the final score by summing the recommendation score R1 of the user preference, the recommendation score R2 of the program side, and the recommendation score R3 of the content side, A recommendation step (step S15); The content selection and execution module 50 retrieves and excludes the content already being used by the recommendation target from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and calculates a recommended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final score R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module 40 Selecting and executing a content to be presented on a user's smart TV (step S16); The contents used and recommended by the content update module 60 are updated in the Content_Stat database DB. The content usage statistical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content recommendation step S17,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대상 컨텐츠 분석단계(S14단계)에서의 분석은 사용자 선호도 분석, TV 프로그램 분석, 컨텐츠 분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alysis in the recommendation target content analysis step (S14) is user preference analysis, TV program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분석은 선호도 등록 모듈(1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Preference DB로부터 추출하여 스마트 TV 상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것을 찾아 평점이 높은 순으로 정렬하는 것으로서, 이를 데이터베이스 언어인 구조적 질의어(SQL: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ELECT Category_Name, Category_Rating
FROM Contents DB, Preference DB
WHERE User_Preference_Category = Contents_Category
ORDER BY Category_Rating DESC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 측면의 추천 점수(R1)를 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preference analysis is performed by extracting, from the preference DB,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preference set by the user in the preference registration module (10) And expressed as a database language,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as follows.
SELECT Category_Name, Category_Rating
FROM Contents DB, Preference DB
WHERE User_Preference_Category = Contents_Category
ORDER BY Category_Rating DESC
And calculating a recommended score (R1) in terms of user preference using the extracted resul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V 프로그램 분석은 기존에 스마트 TV에서 시청한 프로그램 목록을 Program DB로부터 가져와서 분석하는 것으로서, 수학식 1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6
The intelligent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V program analysis is performed according to Equation (1) by analyzing a program list previously viewed on a smart TV from a program DB.
[Equation 1]
Figure pat0000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석은 컨텐츠 이용통계를 토대로 컨텐츠 카테고리별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Content_Stat DB로부터 주어진 기간(period) 내의 이용빈도 및 이용시간을 토대로 컨텐츠의 이용 점수를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상의 지능화된 컨텐츠 추천방법.
[수학식 2]
Figure pat00007
3.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ent analysis is to calculate a recommendation score for each content category based on content usage statistics, and calculates a usage scor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usage frequency and the usage time within a given period from the Content_Stat DB, 2 < / RTI >
&Quot; (2) "
Figure pat00007
KR1020120118450A 2012-10-24 2012-10-24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KR101406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450A KR101406820B1 (en) 2012-10-24 2012-10-24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450A KR101406820B1 (en) 2012-10-24 2012-10-24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87A true KR20140052387A (en) 2014-05-07
KR101406820B1 KR101406820B1 (en) 2014-06-17

Family

ID=5088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450A KR101406820B1 (en) 2012-10-24 2012-10-24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16A1 (en) * 2018-06-05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95779B1 (en) * 2019-05-08 2020-04-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Providing based on Sche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797A (en) * 2015-02-11 2016-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27B1 (en) * 2002-03-16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 recommendation of digital television receiver
JP2011257918A (en) 2010-06-08 2011-12-22 Sony Corp Content recommendation device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GB2486257B (en) * 2010-12-09 2015-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of recommending multimedia content
KR20120077873A (en)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using user inform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16A1 (en) * 2018-06-05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38366A (en) * 2018-06-05 2019-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82514B2 (en) 2018-06-05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95779B1 (en) * 2019-05-08 2020-04-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Providing based on Sche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820B1 (en)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000B1 (en) Computing similarity between media programs
US9396258B2 (en) Recommending video programs
KR1008496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s based on prior queries
Martinez et al. What's on TV tonight? An efficient and effective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 of TV programs
US94737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odeling
CN102263999B (en) Face-recognition-bas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television programs
Goren-Bar et al. FIT-recommend ing TV programs to family members
CN108108491B (en) Multimedia data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JP20085428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overall interest of a group of users for content
US20100050211A1 (en) Method for content presentation
WO20010154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recommendations from users profile built interactively
EP1505521A2 (en) Setting user preferences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20065268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file-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US201502890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viewer opinion information
KR2010008667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dicting preference rating for con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ample contents
US101653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udience measurements of a television program
US20190295123A1 (en) Evaluating media content using synthetic control groups
US20070277218A1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2005057713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6067992A (en) A kind of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user behavior and device
KR20220095445A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 contents
KR101406820B1 (en) An Intelligent Recommendati on Method of Smart TV Contents
US20030195891A1 (en) Describing media content in terms of degrees
CN114513687A (en) Server and media asset recommendation method
WO2016206035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us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