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263A -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263A
KR20140052263A KR1020120118183A KR20120118183A KR20140052263A KR 20140052263 A KR20140052263 A KR 20140052263A KR 1020120118183 A KR1020120118183 A KR 1020120118183A KR 20120118183 A KR20120118183 A KR 20120118183A KR 20140052263 A KR20140052263 A KR 2014005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contents
eyeb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299B1 (ko
Inventor
심욱
곽노현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면, 서비스 장치가,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없이 안구의 움직임만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관심 콘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CONTENTS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CONTENTS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를 확인한 후,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들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콘텐츠 서비스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기기 등에 장착된 카메라는 사진/동영상 촬영, 화상 통화와 같은 기본 기능 외에 얼굴 인식을 이용한 이름 토킹, 표정 인식 촬영, 눈동자 응시 여부를 활용한 화면 온/오프 기능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기기 등에서는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눈동자의 응시 여부 등을 감시할 수 있으나,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 없이 자동으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술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3772호, 2012년 07월 02 등록 (명칭: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를 추적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눈동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및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장치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안구 이동에 따른 안구 추적을 수행하는 안구 추적 모듈; 및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관심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안구 추적 모듈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머무는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위치에 해당하는 안구 추적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안구 추적 모듈은, 안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들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안구의 이동거리에 따른 화면 픽셀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픽셀 크기에 따라 물체(UI 요소)를 식별하고, 식별된 물체의 개수로 해상도를 나누어서 개당 소정 픽셀 이상의 크기를 지닌 요소(element)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안구 추적 모듈은, 카메라의 해상도, 화각, 디스플레이 해상도, 안구의 실제 이동거리 및 이를 식별하기 위한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수신된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별로 관심 콘텐츠들을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통해 감시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들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되어 추천된 관심 정보들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추천된 관심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관심 콘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수신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관심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수집된 콘텐츠들을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에 따른 안구 추적을 수행하여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에 연관되어 추천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없이 안구의 움직임만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관심 콘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콘텐츠의 특징 및 취향을 분석하여 신규 콘텐츠 제작 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을 통한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에 따른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에 따른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고 있는 사용자의 눈동자(안구)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통해 감시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 수행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서 안구 움직임의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따른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 정보들에서 적합한 관심 콘텐츠(광고, 사진, 동영상, 뉴스 등)를 구성하여 구성된 관심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을 통한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촬영부(140), 저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콘텐츠 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관심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콘텐츠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제공받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1), 안구 추적 모듈(112) 및 콘텐츠 처리 모듈(1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1)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출력부(160)의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은 자유도가 높으나 화면 상단의 광고 영역을 지니고 나머지 영역에 3*3 형태의 아이콘을 표출하는 앱을 예로 들어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장치(100)가 낮은 신뢰도의 안구 추적 정보를 지닌 기기인 경우에는 가능한 큰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1)는 아이콘 영역의 경우, 예를 들어, 썸네일 사진,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비롯하여 뉴스 헤드라인 등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구 추적 모듈(11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안구 추적 알고리즘 및 솔루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이동에 따른 안구 추적을 수행하여 안구 추적 정보를 파악한다. 즉, 안구 추적 모듈(112)는 촬영부(140)에서 감시된 즉,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머무는 위치를 파악하여 안구 추적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안구 추적은 카메라의 해상도, 화각, 디스플레이 해상도, 안구의 실제 이동거리 및 이를 식별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 다양한 요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40)의 카메라에서 안구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화면 위치 즉, 안구의 이동거리에 따른 화면 픽셀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픽셀 크기에 따라 물체(UI 요소)를 식별하고, 식별된 UI 요소 개수로 해상도를 나누면 개당 소정 픽셀 이상의 크기를 지닌 요소(element)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모두 HD(1280*720)이라 가정하고, 화각은 60도, 카메라와 눈과의 거리를 400mm라고 가정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촬영 범위는 460mm가 된다. 이에 따라 안구의 이동 거리를 5mm라고 가정하면, 비례식에 의해서 촬영된 HD 영상에 안구의 이동이 약 13.9px의 크기로 나타난다. 이때, 1px 이상 움직임이 있을 경우 안구 이동의 검출이 가능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3.9개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데, 이때, 화면의 가로 해상도인 1280을 13.9로 나누면, 개당 92px 이상의 크기를 지닌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 모듈(113)는 안구 추적 모듈(112)에서 추적된 안구 추적 정보를 전달받아 생성된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한다. 즉, 콘텐츠 처리 모듈(113)는 안구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해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파악하고, 디스플레이 위치에서 실행된 콘텐츠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처리 모듈(113)는 파악된 위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콘텐츠로 간주하여 파악된 위치의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콘텐츠 처리 모듈(113)는 확인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 모듈(113)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안구 추적 정보에 따른 관심 정보에 연관되어 추천된 관심 콘텐츠들을 포함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공받은 관심 콘텐츠들을 출력부(160)의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정보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310)로 입력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서비스 장치(200)로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안구 추적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촬영부(140)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실시간으로 안구의 이동거리에 따라 HD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정보들 및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한 안구 추적 정보 및 실행되는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신된 관심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60)에서 안구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에 따른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안구 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 콘텐츠를 구성하고, 구성된 관심 콘텐츠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관심 콘텐츠로 구성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구성된 관심 콘텐츠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해당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안구 추적 정보와 기존 사용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조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관심 콘텐츠(광고, 사진, 동영상, 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개인의 이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전체의 이력을 조합하여 사용자 그룹을 취향별로 분류하여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해당 그룹에서 선호하는 콘텐츠를 개별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존의 콘텐츠들의 선호들을 안구 추적 정보에 따라 재분류하여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안구 추적 정보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해당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저장부(230)는 영상 공유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안구 추적 정보를 저장하고,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콘텐츠 정보에 연관되어 수집된 관심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들을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별도의 저장 장치로 구성되어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안구 추적에 따른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1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촬영부(140)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시하고, 이에 따른 영상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1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1104단계에서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1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확인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1106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서 수신된 관심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추천하여 제공할 관심 콘텐츠를 구성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1107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구성된 관심 콘텐츠들을 포함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관심 콘텐츠 제공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8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관심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관심 콘텐츠들을 출력부(160)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에 따른 안구 추적을 수행하여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에 연관되어 추천된 관심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없이 안구의 움직임만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관심 콘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콘텐츠의 특징 및 취향을 분석하여 신규 콘텐츠 제작 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안구 추적을 통해 선호하는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으로,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112: 안구 추적 모듈
113: 콘텐츠 처리 모듈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촬영부 150: 저장부
16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Claims (11)

  1.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및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장치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고,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안구 이동에 따른 안구 추적을 수행하는 안구 추적 모듈; 및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관심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처리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추적 모듈은,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머무는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위치에 해당하는 안구 추적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추적 모듈은,
    안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들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안구의 이동거리에 따른 화면 픽셀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픽셀 크기에 따라 물체(UI 요소)를 식별하고, 식별된 물체의 개수로 해상도를 나누어서 개당 소정 픽셀 이상의 크기를 지닌 요소(element)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추적 모듈은,
    카메라의 해상도, 화각, 디스플레이 해상도, 안구의 실제 이동거리 및 이를 식별하기 위한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7.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수신된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별로 관심 콘텐츠들을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
  8.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통해 감시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들을 분석하여 안구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관심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관심 콘텐츠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에 연관되어 추천된 관심 정보들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관심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
  9.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안구 추적을 통해 얻은 안구 추적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관심 콘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수신된 콘텐츠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콘텐츠들을 추천할 관심 콘텐츠로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관심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콘텐츠들을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18183A 2012-10-24 2012-10-24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197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183A KR101978299B1 (ko) 2012-10-24 2012-10-24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183A KR101978299B1 (ko) 2012-10-24 2012-10-24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63A true KR20140052263A (ko) 2014-05-07
KR101978299B1 KR101978299B1 (ko) 2019-05-14

Family

ID=5088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183A KR101978299B1 (ko) 2012-10-24 2012-10-24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29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1944A1 (ko) * 2015-09-24 2017-03-30 주식회사 뷰노코리아 의료 영상 판독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판독 효율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KR101864871B1 (ko) * 2016-12-01 2018-06-05 주식회사 노크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8101512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노크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400605A (zh) * 2020-04-26 2020-07-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眼球追踪的推荐方法及装置
WO2020235730A1 (ko) * 2019-05-23 2020-11-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스캔 패턴에 기초한 학습 성과 예측 방법
KR102304475B1 (ko) * 2020-06-27 2021-09-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청자의 관심 인물 기반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3548062A (zh) * 2021-08-03 2021-10-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的交互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114918A1 (ko) * 2020-11-30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장치, 증강 현실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1005A (ko) * 2022-01-17 2023-07-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시선인식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191259A1 (ko) * 2022-03-30 2023-10-05 쉐어잇 주식회사 시선 추적을 통한 공간 이미지 추천 장치 및 방법
US11829527B2 (en) 2020-11-30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gmented reality device,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780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문화방송 콘텐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910A (ko) * 2010-04-16 2011-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일정 관리 방법
KR20120057033A (ko) * 2010-11-26 2012-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제어를 위한 원거리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163772B1 (ko) 2005-05-31 2012-07-06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를 추적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20076471A (ko) * 2010-11-25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772B1 (ko) 2005-05-31 2012-07-06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를 추적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10111780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문화방송 콘텐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910A (ko) * 2010-04-16 2011-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일정 관리 방법
KR20120076471A (ko) * 2010-11-25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7033A (ko) * 2010-11-26 2012-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제어를 위한 원거리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1944A1 (ko) * 2015-09-24 2017-03-30 주식회사 뷰노코리아 의료 영상 판독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판독 효율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US10769779B2 (en) 2015-09-24 2020-09-08 Vuno, Inc. Method for increasing reading efficiency in medical image reading process using gaze information of us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8101512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노크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64871B1 (ko) * 2016-12-01 2018-06-05 주식회사 노크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34751A (ko) * 2019-05-23 2020-1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스캔 패턴에 기초한 학습 성과 예측 방법
WO2020235730A1 (ko) * 2019-05-23 2020-11-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스캔 패턴에 기초한 학습 성과 예측 방법
CN111400605A (zh) * 2020-04-26 2020-07-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眼球追踪的推荐方法及装置
KR102304475B1 (ko) * 2020-06-27 2021-09-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청자의 관심 인물 기반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22114918A1 (ko) * 2020-11-30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장치, 증강 현실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29527B2 (en) 2020-11-30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gmented reality device,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548062A (zh) * 2021-08-03 2021-10-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的交互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30111005A (ko) * 2022-01-17 2023-07-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시선인식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191259A1 (ko) * 2022-03-30 2023-10-05 쉐어잇 주식회사 시선 추적을 통한 공간 이미지 추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299B1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99B1 (ko)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장치
EP3465620B1 (en) Shared experience with contextual augmentation
CN110998566B (zh) 基于眼睛跟踪和生理测量而生成和显示360度视频的方法和装置
JP6165846B2 (ja) 目のトラッキングに基づくディスプレイの一部の選択的強調
KR102184272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317113B1 (en) Gaze assisted object recognition
US9329677B2 (en) Social system and method used for bringing virtual social network into real life
KR102039427B1 (ko) 스마트 글라스
CN11032630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92931B1 (ko)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KR101945082B1 (ko) 미디어 컨텐츠 송신 방법, 미디어 컨텐츠 송신 장치, 미디어 컨텐츠 수신 방법, 및 미디어 컨텐츠 수신 장치
US20170347039A1 (en) Video pinning
US8451344B1 (en) Electronic devices with side viewing capability
JP2018505462A (ja) アバター選択機構
KR20160058519A (ko) 복수의 영상들에 대한 영상 처리
KR102657053B1 (ko) 옵트아웃 인터스티셜을 이용한 미디어 컬렉션 탐색
CN109154862B (zh) 用于处理虚拟现实内容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05653032A (zh) 显示调整方法及装置
KR2016005230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얼굴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KR20160055337A (ko) 텍스트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2063561A1 (ja) 情報報知システム、情報報知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CN109189986A (zh)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17007306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6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0024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