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709A -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709A
KR20140051709A KR1020120118071A KR20120118071A KR20140051709A KR 20140051709 A KR20140051709 A KR 20140051709A KR 1020120118071 A KR1020120118071 A KR 1020120118071A KR 20120118071 A KR20120118071 A KR 20120118071A KR 20140051709 A KR20140051709 A KR 2014005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agricultural
module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894B1 (ko
Inventor
박길주
Original Assignee
메타라이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라이츠(주) filed Critical 메타라이츠(주)
Priority to KR102012011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8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GAP(Good Agriculture Practice)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글로벌 GAP에 의해서 기 정의된 복수의 관리 항목을 속성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복수의 관리 모듈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농업 관련 정보를 복수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GRIGULTURE INFORMATION}
본 발명은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로벌 우수농산물인증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농산물 유통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범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농산물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글로벌 기준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농산물 품질과 관련된 많은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특히 Global GAP(Good Agriculture Practice) 인증 방식은 국제적인 농산물 품질 인증 방식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비록 농산물의 종류, 지역, 생산 단체별로 개별적으로 농산물 품질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Global GAP 인증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가 않다.
특히, Global GAP(Good Agriculture Practice) 표준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또한, Global GAP 인증 방식과 국내 GAP 인증 방식은 서로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
Global GAP 인증에 따르면 농가가 지켜야할 사항을 200여개 이상의 항목으로 나열하고 있고, 이러한 200여개의 항목을 어떻게 농업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할 것인지와 어떤 방법으로 해당 항목 정보를 관리하여 효과적으로 농업 정보 관리를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화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Global GAP 표준에 따라 농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Global GAP를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농업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Global GAP를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GAP(Good Agriculture Practice)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글로벌 GAP에 의해서 기 정의된 복수의 관리 항목을 속성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복수의 관리 모듈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농업 관련 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관리 모듈은,
단체 관리 모듈, 농가 관리 모듈, 생산 관리 모듈, 유통 관리 모듈 및 분석 평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체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농가에 대한 식별 정보는, 단체 정보, 농가 정보, 개인 정보, 교육 훈련 정보, 단체 규정 정보, 농가 규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농가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에 대한 정보는, 관리 정보, 장비 정보, 정비 정보, 비료 관리 정보, 농약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산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 과정에 대한 영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농 정보는, 작목 관리 정보, 영농 일지 정보, 관수 관리 정보, 배지 관리 정보, 해충 관리 정보 및 관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통 관리 모듈은, 생산된 농산물의 유통 과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통 과정 정보는, 농산물 입고 관리 정보, 폐기 관리 정보, 이의 제기 정보, 출고 관리 정보 및 회수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석 평가 모듈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정보는, 농가 위험성 정보, 자체 평가 정보, 식품 위험성 정보 및 분석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GAP(Good Agriculture Practice)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글로벌 GAP에 의해서 기 정의된 복수의 관리 항목을 속성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복수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산물 생산지에 설치되고, 상기 농업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농산물 생산지에 관련된 농업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외부 장치는, USN 시스템,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분석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단체 관리 모듈, 농가 관리 모듈, 생산 관리 모듈, 유통 관리 모듈 및 분석 평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영농 일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SN 시스템으로부터 관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분석 평가 모듈은 상기 분석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분석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관리 모듈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체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농가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생산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통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분석 평가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ㅂ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가의 작업 정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글로벌 GAP에 따른 다양한 농가 제어 항목을 디지털 정보화하여 속성 별로 분류하고, 모듈화시켜 관리하는 관리 모듈이다. 이러한 복수의 관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개별 관리 모듈은 상호간에 정보 데이터를 교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제어부(200)의 제어하에서 모듈 사이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관리 모듈 사이의 정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농가 제어 항목의 속성 별로 그룹화된 데이터 베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의 관리 모듈에서 농가 제어 항목이 추가되거나,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연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각각의 관리 모듈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농가 제어 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고, 제어부(200)를 통해서 외부 장치(300)로부터 필요한 제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복수의 관리 모듈(100)이 각각 개별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겠고, 단일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에 의해서 복수의 모듈로 분리될 수도 있다.
단일 하드웨어로 구현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과 제어부(200)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통신부 등을 별도의 구성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 및 제어부(200)에 의해서 글로벌 GAP를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복수의 관리 모듈(100) 및 제어부(200)는 본원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이고, 그 밖에 다양한 구성이 직렬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하지만, 부가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발명의 본질을 흐리지 않기 위해서 생략한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를 속성 별로 식별 정보에 의해서 관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개별 관리 모듈의 정보 속성에 관한 식별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농업 관련 정보에 포함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관리 모듈에 해당 정보를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정보에 대해서 복수의 관리 모듈(100)에 해당 특정 정보를 맵핑시켜 전달한다. 이때 복수의 관리 모듈(100)이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경우에는 맥 어드레스 및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관리 모듈(100)이 하나의 하드웨어 상에서 구현된 경우라면, 메모리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복수의 관리 모듈(100)중 해당 관리 모듈에 적합한 농업 관리 정보를 할당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관리 모듈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단체 관리 모듈(110), 농가 관리 모듈(120), 생산 관리 모듈(130), 유통 관리 모듈(140) 및 분석 평가 모듈(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제어 항목의 속성 별로 그룹화되고, 각각의 그룹에 포함되는 제어 항목은 하나로 모듈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GAP 지원을 위한 제어 항목은, 생산자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의 위험 요소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힌 기록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모든 작업자는 건강과 안전 교육을 받고 있는 지 여부, 농업 생산의 중요 사항이 기록되고 보존되고 있는지 여부, 작업장 복귀 전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는 안내문이 잘 보이도록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 등과 같은 200여개 이상의 제어 항목을 명시하고 있다.
이렇게 글로벌 GAP를 지원하기 위한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농업 정보를 속성에 따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농업 정보를 객관화하고, 정보 변경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정보 교환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농업 정보를 속성 별로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는 단순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GAP의 기준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농업 정보를 체계적인 구조로 분류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단체 관리 모듈(110)은 농산물 생산자가 속하는 단체에 관련된 농업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단체 관리 모듈(110)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체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체 관리 모듈(110)은 단체 정보(111), 농가 정보(112), 개인 정보(113), 교육 훈련(114), 단체 규정(115) 및 농가 규정(116)에 대한 항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체 정보(111)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를 포함하는 대부류 집단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작물을 생산하는 다수의 농가로 구성되는 A 작물 단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체 정보(111)는 해당 단체의 일반적인 정보, 단체 명칭, 단체 주소, 단체 구성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농가 정보(112)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를 포함하는 중분류 집단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작물을 생산하는 다수의 개인으로 구성된 A-1 작물 농가를 의미한다. 이러한 농가 정보(112)는 해당 농가의 일반적인 정보, 농가 명칭, 농가 주소, 농가 구성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113)는 A 라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최소 단위에 대한 정보이다. 보통 개인 정보(113)는 A 작물 생산자 개인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인 정보(113)는 해당 개인의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훈련(114)은 해당 단체에서 주관하는 교육 훈련에 관한 정보에 정보를 포함한다. 교육 훈련(114)은 교육 내용, 교육 참석 대상, 교육 참석 결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체 규정(115)은 해당 단체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정관, 규칙, 관련 법령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농가 규정(116)은 해당 농가를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의 계약 관계, 내부 규정, 정관,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체 관리 모듈(110)은 농산물 생산자가 속하는 단체, 농가 및 개인의 신상과 관련된 정보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단체 관리 모듈(110)에 포함되는 항목은 비주기적으로 정보 변경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단체 관리 모듈(110)에 포함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농가 관리 모듈(120)에 대한 세부 항목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농가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농가 관리 모듈(120)은 관리 정보(121), 장비 정보(122), 정비 정보(123), 비료 관리(124) 및 농약 관리(125)를 포함한다.
즉, 농가 관리 모듈(120)은 농가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농기계, 농기구, 각종 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 정보(121)는 해당 농가에서 보유하거나 사용중인 각종의 장비, 기구, 장치 및 약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장비 정보(122)는 농가에서 사용중이거나 보유중인 장비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 이앙기, 트랙터 등과 같은 농업 장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비 정보(123)는 농가에서 사용중이거나 보유중인 장비 중에서 정비 상태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콤바인의 정비 이력, 정비 진행 상태, 정비 업체, 정비 비용 등에 관한 정보이다.
비료 관리(124)는 농가에서 해당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비료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비료의 종류, 비료의 사용량, 비료의 재고량, 비료의 가격, 비료의 제조사 등에 관한 정보이다.
농약 관리(125)는 농가에서 해당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농약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농약의 종류, 농약 살포 횟수, 1회 농약 살포시 사용량, 농약의 재고량, 농약의 가격, 농약의 제조사, 농약 사용 허용량 등에 관한 정보이다.
이러한 농가 관리 모듈(120)은 각각의 농가마다 맞춤형의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특히, 농가 관리 모듈(120)은 비료 관리(124) 및 농약 관리(125)를 통해서 친환경 농산물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즉, 해당 농산물에 비료 및 농약을 사용할 경우에 해당 비료 및 농약의 사용량이 자동으로 갱신되어 저장됨으로써 해당 농작물을 재배하여 출하할 경우에 해당 농작물에 사용된 비료 및 농약의 총 사용량을 확인하여 해당 농작물이 친환경 농작물인지 인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생산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생산 관리 모듈(130)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토지와 관련된 정보이다. 생산 관리 모듈(130)은 작목 관리 정보(131), 영농 일지 정보(132), 관수 관리 정보(133), 배지 관리 정보(134), 해충 관리 정보(135) 및 관제 정보(136)를 포함한다.
작목 관리 정보(131)는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특정 토지에서 작목 작업을 수행한 날짜, 작목 작업 수행 결과 정보, 작목 작업 참여 인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농 일지 정보(132)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외부 장치(300)로부터 영농 일지를 수신한다. 수신된 영농 일지는 단체, 농가, 개인별로 카테고리에 맞춰서 저장될 수 있다.
영농 일지 정보(132)는 개인 영농 일지, 농가 영농 일지, 단체 영농 일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영농 일지에는 농작물별로 작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영농 일지에는 일일 단위로 작성될 수 있다. 영농 일지에는 작성 날짜의 최저온도, 최고온도, 작업인원, 작업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관수 관리 정보(133)는 농작물 재배 토지에 대한 수분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토지별 수분 정보, 토지별 급수 날짜, 토지별 배수 날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 관리 정보(134)는 농작물이 재배되는 토양에 대한 배지 정보이다. 예를 들어 해당 토양의 산성도, 통기성, 보수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충 관리 정보(135)는 농작물 별로 발생하는 해충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발생 해충 종류, 해충 개체수, 해충 발생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정보(136)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관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정보(136)는 토지별로 기온, 풍향, 강수량, 강우량, 습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생산자에 의해서 생산된 농작물은 유통 과정을 거쳐서 도매상이나 소매상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농작물의 유통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 관리 모듈(14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통 관리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유통 관리 모듈(140)은 입고 관리 정보(141), 폐기 관리 정보(142), 이의 제기 정보(143), 출고 관리 정보(144) 및 회수 관리 정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입고 관리 정보(141)는 생산자에 의해서 생산된 농작물을 유통 과정을 거치기 전에 작물을 선별하거나 포장하기 위해서 창고나 공장등에 입고되는 것과 관련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입고 관리 정보(141)는 입고되는 장소, 입고 시간, 입고 관리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폐기 관리 정보(142)는 작물을 선별 기준에 따라 선별하여 상품성이 없는 작물이 있는 경우에 폐기하는 경우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폐기 작물 수량, 폐기 방법, 폐기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제기 정보(143)는 중간 유통 과정에서 이의가 발생될 경우에 관한 정보이다. 즉, 선별 과정이나 폐기 과정에서 이의가 제기되는 경우에 해당 이의 제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의 제기 이유, 이의 제기 내용, 이의 제기 시기, 이의 제기 결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고 관리 정보(144)는 정상적인 작물로 판정되서 포장이되거나 출하가 되는 경우에 해당 작물의 출고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출고 수량, 출고 시기, 출고 방법, 출고 관리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관리 정보(145)는 일단 출고된 작물이 반품 또는 재고에 따라 회수되는 경우에 해당 작물의 회수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들어, 회수 수량, 회수 시기, 회수 방법 및 회수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관리 모듈들은 농작물과 관련된 토지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농작물을 생산, 유통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속성별로 정리하여 그룹화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단체, 개인에 대한 정보 및 농가의 토지, 기후, 환경에 대한 정보, 농작물 유통 과정에 관한 정보를 유사한 속성에 따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정보 갱신이 간편하고, 관련된 정보를 한꺼번에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정보 조작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러한 농작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 단체, 농가, 개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된 농작물을 출하하고 유통하는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농작물의 친환경 유무를 생산 단계에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농약 및 비료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농작물을 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각종의 농업 정보를 기초로 하여 농가별 위험성 분석, 농가 평가 정보, 식품 위험성 정보, 분석 관리 정보 등을 이용함으로써 글로벌 GAP 기준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분석 평가 모듈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분석 평가 모듈(150)은 농약 및 비료 사용 정도, 농기계 정비 상태, 장비 보유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농가 위험성 정보(151)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평가 모듈(150)은 사용자에 의해서 오프라인 상으로 입력된 자체 평가 정보(15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평가 모듈(150)은 생산 관리 모듈(130) 및 유통 관리 모듈(140)로부터 농업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농작물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농작물마다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해당 농작물을 이용한 식품 위험성 정보(15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평가 모듈(150)은 외부 장치(300)로부터 분석 관리 정보(154)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분석 관리 정보(154)는 단체 관리 모듈(110), 농가 관리 모듈(120) 생산 관리 모듈(130) 및 유통 관리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해서 기초하여 단체 및 농가를 상호 평가하는 항목이다. 예를 들어, A 단체는 B 농가를 평가할 수 있고, C 농가는 D 단체를 평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외부 장치(300)는 USN 시스템(310), 현장 관리 시스템(320) 및 분석관리 시스템(330)을 포함한다.
USN 시스템(310)은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로 구축된 시스템이다. USN 시스템(310)은 복수의 센서들에서 의해서 센싱된 값이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신된다. 기 저장된 XML 형태로 정의된 관리 조건과 센싱값을 비교하여 센서가 설치된 장소와 일치하는 장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고, 일치되는 경우에 정의된 행동을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형성한다.
USN 시스템(310)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서 관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관제 정보를 유형별로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복수의 센서는 습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풍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SN 시스템(310)은 센싱된 정보를 관제 정보로 하여 센싱된 위치 정보와 함께 농업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현장 관리 시스템(320)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현장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영농 일지를 복수의 관리 모듈(100)의 생산 관리 모듈(13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영농 일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현장 관리 시스템(320)은 PDA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장 관리 시스템(320)을 통해서 영농 일지를 작성하고 Wifi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복수의 관리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분석관리 시스템(33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장치의 단체 및 농가 상호간에 평가 항목을 입력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 정보 관리 장치에서 관리되는 A 단체와 B 농가는 각각 분석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상호의 분석 관리를 평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관리 모듈(100), 제어부(200) 및 외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리 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농업 정보 관리 장치의 복수의 관리 모듈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관리 모듈(100)을 제어하여 농업 정보를 속성별로 모듈화하여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0)는 농작물이 재배되는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에 의해서 센싱된 정보를 관제 정보로 생산 관리 모듈(130)로 전송할 수 있는 USN 시스템(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현장에서 영농 일지를 작성하여 이를 복수의 관리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는 현장 관리 시스템(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단체 또는 농가의 사용자가 상호간을 평가하는 분석 관리 정보를 작성하여 분석 평가 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는 분석 관리 시스템(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글로벌 GAP를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농가가 지켜야할 항목을 크게 6개의 내부 모듈과 3개의 외부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3개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영농 일지 사항은 보다 세부화된 규격으로 정의한다.
또한, 6개의 내부 모듈은 단체 별로 정보를 분류한다. 이때 단체는, 영농 조합, 작목반과 같은 농가들의 집합이고, 단체가 지켜야 할 사항은 단체 관리 모듈(110)에 모듈화하여 관리한다. 각 농가가 지켜야 하는 사항은 농가 관리 모듈(120)에 모듈화하여 관리한다. 농가와 단체가 상호 평가를 하는 항목은 분석 평가 모듈(150)에 모듈화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단체가 농가를 대신하여 농산물을 판매 유통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유통 관리 모듈(140)에 모듈화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농가가 생산(농산물 재배)을 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제반 사항은 생산 관리 모듈(130)에 모듈화하여 관리한다. 특히, 영농 일지는 농업 생산에 중요한 기록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본 정보", "작업정보" 그리고 "비료/농약"으로 필수 항목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정보의 세부 사항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가의 작업 정보의 상세한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작업 정보의 세부 사항은 종자/종묘 관리, 재배관리, 토양/양분 관리, 환경 관리, 위해성 관리, 병해충방제, 시설관리, 수확/후 관리, 및 기타 차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각의 작업 유형별로 작업 내용이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글로벌 GAP의 규격을 준수하기 위하여 제어되는 200여개의 항목을 농가가 분석하여 준수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많은 항목을 농가가 분석하여 준수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200여개 항목을 6개의 관리 모듈과 3개의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아 모듈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글로벌 GAP 규격을 준수할 수 있고, 농산물 수출입에서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글로벌 GAP에 대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100 : 복수의 관리 모듈 110 : 단체 관리 모듈
120 : 농가 관리 모듈 130 : 생산 관리 모듈
140 : 유통 관리 모듈 150 : 분석 평가 모듈
200 : 제어부 300 : 외부 장치
310 : USN 시스템 320 : 현장 관리 시스템
330 : 분석 관리 시스템

Claims (10)

  1. 글로벌 GAP(Good Agriculture Practice)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GAP에 의해서 기 정의된 복수의 관리 항목을 속성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복수의 관리 모듈;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농업 관련 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리 모듈은,
    단체 관리 모듈, 농가 관리 모듈, 생산 관리 모듈, 유통 관리 모듈 및 분석 평가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체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농가에 대한 식별 정보는, 단체 정보, 농가 정보, 개인 정보, 교육 훈련 정보, 단체 규정 정보, 농가 규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농가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에 대한 정보는, 관리 정보, 장비 정보, 정비 정보, 비료 관리 정보, 농약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모듈은,
    농산물을 생산 과정에 대한 영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농 정보는, 작목 관리 정보, 영농 일지 정보, 관수 관리 정보, 배지 관리 정보, 해충 관리 정보 및 관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관리 모듈은,
    생산된 농산물의 유통 과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통 과정 정보는, 농산물 입고 관리 정보, 폐기 관리 정보, 이의 제기 정보, 출고 관리 정보 및 회수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평가 모듈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정보는, 농가 위험성 정보, 자체 평가 정보, 식품 위험성 정보 및 분석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8. 글로벌 GAP(Good Agriculture Practice)을 지원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GAP에 의해서 기 정의된 복수의 관리 항목을 속성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복수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산물 생산지에 설치되고, 상기 농업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농산물 생산지에 관련된 농업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USN 시스템,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분석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 정보 관리 장치는, 단체 관리 모듈, 농가 관리 모듈, 생산 관리 모듈, 유통 관리 모듈 및 분석 평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영농 일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SN 시스템으로부터 관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분석 평가 모듈은 상기 분석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분석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20118071A 2012-10-23 2012-10-23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51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71A KR101517894B1 (ko) 2012-10-23 2012-10-23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71A KR101517894B1 (ko) 2012-10-23 2012-10-23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709A true KR20140051709A (ko) 2014-05-02
KR101517894B1 KR101517894B1 (ko) 2015-05-08

Family

ID=5088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071A KR101517894B1 (ko) 2012-10-23 2012-10-23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47A (ko) * 2019-11-28 2021-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친환경 생육환경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10106739A (ko) 2020-02-21 2021-08-31 채윤병 농업 경영체를 위한 erp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878B1 (ko) * 2021-01-11 2021-10-27 박기선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6392A (ja) * 2008-11-04 2010-11-04 Kenichi Yasui 農水産物栽培養殖消費情報通信基盤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47A (ko) * 2019-11-28 2021-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친환경 생육환경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10106739A (ko) 2020-02-21 2021-08-31 채윤병 농업 경영체를 위한 erp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894B1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6130A (zh) 农产品定制化种植与全程溯源平台及方法
McFadden et al. The digitalisation of agriculture: A literature review and emerging policy issues
JP2006252105A (ja) 農産物生産情報管理システム
Winsa et al. Recovery of plant diversity in restored semi‐natural pastures depends on adjacent land use
KR10227103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Shekhar et al. Intelligent infrastructure for smart agriculture: An integrated food, energy and water system
JP2020024703A (ja) 生産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opa-Tsakalidi et al. Application of mobile technologies throug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ion
Flachs et al. Farmer knowledge across the commodification spectrum: Rice, cotton, and vegetables in Telangana, India
JP2020024702A (ja) 生産流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4701A (ja) 生産流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7894B1 (ko) 농업 정보 관리 장치 및 농업 정보 관리 시스템
Kwanmuang et al. Small-scale farmers under Thailand’s smart farming system
Balkrishna et a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dvances in Indian Digital Agricultural architecture
KR20210078464A (ko) 모듈형 다품종 식물 재배를 위한 농장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027393U (zh) 农产品质量溯源系统及监管系统
CN112801679A (zh) 一种农业精准种植预警管理系统及方法
JP2005137209A (ja) 植物管理システム
Ogorodnikova et al. Digital technolog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of the Russian Federation
Xu et al. Economic viability of steam as an alternative to preplant soil fumigation in California strawberry production
CN113946662A (zh) 一种基于数据分类的专家诊断方法、服务器和客户端
Guevara et al. Technology Platform for th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obroma Cacao Crops based on the Colombian Technical Standard 5811.
Rowley Developing flexible automation for mushroom harvesting (Agaricus bisporus): innovation report
Kolodinsky et al. Developing Metrics for Novel Value-Added Products: The Case of Hemp in Vermont
Sucharitha et al. Developments in Agriculture Technology Using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