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33A -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33A
KR20140051533A KR1020120117623A KR20120117623A KR20140051533A KR 20140051533 A KR20140051533 A KR 20140051533A KR 1020120117623 A KR1020120117623 A KR 1020120117623A KR 20120117623 A KR20120117623 A KR 20120117623A KR 20140051533 A KR20140051533 A KR 2014005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mobile phone
engaging
folded
engag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식
Original Assignee
최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식 filed Critical 최윤식
Priority to KR102012011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533A/ko
Publication of KR2014005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의 일측에 코인(11)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부(12)와, 상기 개구부(12) 내측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과,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양측 선단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3)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5)와,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인출공(14)과, 상기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 및 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삽입부(17)로 구성되는 코인수납부(10);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일측에 제1연결부(71)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일면은 액정크린너(31)를 구비하며 타면은 휴대폰(34)을 거치하는 거치부(32)를 구비하는 휴대폰거치부(30); 및 상기 휴대폰거치부(30)의 일측에 제2연결부(72)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52)를 구비하며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51)를 구비하는 결합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로 동전의 수납, 액정화면의 세척 및 휴대폰의 거치 및 보관의 다기능을 구비하면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포장 및 운반이 극히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장 및 운반에 소용되는 비용도 현저히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Multifunctional Folded Cellular Phone Holder}
본 발명은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이식 구조 형성된 하나의 휴대폰 거치대에 광고용 로고 등이 인쇄된 코인이나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코인수납부를 구비하고,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세척하는 액정크린너부를 구비하며, 휴대폰을 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형상으로 접어 휴대폰이 거치부의 일면에 접착된 상태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휴대할 경우에는 포개어 접혀진 상태로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폰 거치대를 포장 및 운반할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인수납, 액정화면의 세척 및 휴대폰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을 구비하게 하면서 휴대와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폰은 전자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그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고 이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고, 이러한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액정화면의 세척 및 거치와 휴대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구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414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27호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414호의『휴대폰용 액세서리』는, 본체 전면의 일측에 동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동전이 슬라이딩 수납되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과, 수납된 동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편과, 상기 동전을 밀어서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공을 구비하는 코인수납부와; 삼각형 형상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펜; 및 상기 본체의 이면에 형성되어 액정화면을 세척할 수 있는 크린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유통매장에서 쇼핑카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코인을 수납하는 기능과 액정화면을 세척하는 기능 및 액정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을 구비하면서 사용자가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위 휴대폰용 액세서리는 휴대폰의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의 증가에 따라 필요로 하게 되는 휴대폰의 거치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책상 등에 올려놓을 경우 핸드폰이 평면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휴대폰의 보관이 매우 불편하고, 휴대폰에 나타나는 메시지 내용 등의 확인에 필요한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휴대폰용 액세서리를 접어서 휴대할 수 없어 휴대가 불편하고, 휴대폰용 액세서리에 또 다른 기능을 구비할 경우 그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복합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27호의『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는, 가죽케이스에 다수개의 스냅단추에 의하여 결합되는 핸드폰 홀더와, 가죽케이스와 홀더에 회전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공 및 삽입홈과; 클립에 가죽케이스를 세워주는 서포트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부의 축공에 절개공을 통해 탄력을 부여받는 다수개의 탄성돌기와, 탄성훅에 탄성돌기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림홈과 절개부, 회전부와 삽입홈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훅과 고정홈, 회전부와 홀더의 회전방지턱에 서로 결합되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죽케이스를 책상 등에 세워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액정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고 클립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위 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는 핸드폰 케이스와 거치대의 기능만을 구비하여 핸드폰의 사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그 구조가 복잡하며, 휴대시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제품의 포장 및 운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414호『휴대폰용 액세서리』(2010. 1. 14. 공고)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18491호『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2005. 9. 12. 공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형성된 코인수납부에 광고용 로고 등이 인쇄된 코인이나 동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쇼핑카트를 대여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코인에 인쇄된 광고용 로그 등에 의해 광고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하나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크린너를 구비하게 하여 오염된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삼각형상으로 접혀진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코인수납부 후면부가 책상 등의 상면에 접촉하고, 삼각형상으로 접혀진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거치부의 일면은 경사진 상태에서 휴대폰을 거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이 접촉하여 거치되는 면에는 접착부재를 형성하여 접착부재에 의해 휴대폰이 거치부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으로 포개어지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포장 및 운반할 경우에는 그 두께와 길이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포개어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운반이 극히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며, 포장 및 운반에 소용되는 비용도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의 일측에 코인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내측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측 선단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인출공과, 상기 개구부 주위의 전면부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삽입부 및 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삽입부로 구성되는 코인수납부; 상기 코인수납부의 일측에 제1연결부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일면은 액정크린너를 구비하며 타면은 휴대폰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휴대폰거치부; 및 상기 휴대폰거치부의 일측에 제2연결부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를 구비하며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인수납부의 후면부에는 인출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거치부의 상부면에는 접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고정부의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는 단부에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고정부의 제1결합돌기삽입부와 제2결합돌기삽입부는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인수납부의 일측에는 체결고리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로 광고용 로고 등이 인쇄된 코인이나 동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쇼핑카트를 대여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코인에 인쇄된 광고용 로그 등에 의해 광고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된 크린너를 이용하여 오염된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형상으로 접은 상태에는 거치부에 휴대폰이 견고하게 거치 및 보관될 수 있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가 다단으로 포개어지면서 접혀져 사용자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포장 및 운반할 경우에는 다단으로 포개어져 접혀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운반이 극히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장 및 운반에 소용되는 비용도 현저히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코인이 삽입되고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코인이 삽입되고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코인이 인출되고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부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부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가 서로 포개어지게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가 삼각형상으로 접혀져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는 코인(11)을 수용하면서 이를 인입, 보관 및 인출하는 코인수납부(10)와, 상기 코인수납부(10)에 연결되고 일면에 액정크린너(31)가 형성되며 타면에는 휴대폰(34)을 거치하는 거치부(32)를 구비하는 휴대폰 거치부(30), 상기 휴대폰 거치부(30)에 연결되고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으로 포개어지게 접어 고정하거나 삼각형상으로 접어 고정하는 결합고정부(50) 및 상기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 및 상기 휴대폰거치부(30)와 결합고정부(50)를 각각 연결하면서 포개어지게 접혀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부(7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는 제조원가나 휴대의 용이성 측면에서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재 외의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 재료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먼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코인수납부(10)는 동전과 같은 원 형상 또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시 광고용 로고 등이 인쇄된 코인(11)을 인입,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으로 포개어지게 접어 결합하거나 삼각형상으로 접어서 결합하는데 필요한 삽입부 등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에는 코인(11)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내측에는 코인(11)을 슬라이딩 이동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상부면에는 코인(11)을 손가락 등으로 밀어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공(14)을 구비한다.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는 상면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코인(11)이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개구부(12)의 상면부 중 일부를 밀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12)를 밀폐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개구부(12)와 후술하는 인출공(14) 사이의 거리가 코인(11)의 직경 또는 길이보다 크게 되면 코인(11)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인입 및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개구부(12)와 인출공(14) 사이의 거리를 코인(11)의 직경 또는 길이보다 작은 거리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선단에는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된 코인(11)이 개구부(12)측을 향해 임으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코인(11)의 둘레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는 슬라이딩홈(13) 선단의 양측에 설치하에 설치하여 코인(11)의 둘레면을 양측에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양측의 슬라이딩홈(13)의 선단 중에서 선택되는 일측의 슬라이딩홈(13)에 한하여 탄성부재(15)를 설치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상부면에 코인(11)을 손가락 등으로 밀어 인입 및 인출하기 형성하는 인출공(14)은, 인출공(14)의 직경 등에 대한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코인(11)을 손가락 등으로 밀어 인입 및 인출하기가 어렵게 되고, 인출공(14)의 직경 등에 대한 크기가 코인(11)에 비해 큰 경우에는 코인(11)이 인출공(14)을 통해 외부로 탈락될 수 있으므로, 인출공(14)의 크기는 코인(11)의 외측 상부면을 적절히 감싸 코인(11)이 외부로 탈락되지 아니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코인수납부(10)의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삽입부(16)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 형상이 되도록 접어 결합할 경우 후술하는 결합고정부(50)의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5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결합돌기삽입부로,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에 하나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1결합돌기삽입부(16)와 제1결합돌기(51)간의 결합력을 크게 하여 안정된 상태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에 복수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 상단에는 제2결합돌기삽입부(17)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결합돌기삽입부(17)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의 포개진 형상으로 접을 경우 후술하는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5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하는 제2결합돌기삽입부(17)이다. 상기 제2결합돌기삽입부(17)는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를 관통하지 아니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돌기삽입부(17)는 큰 결합력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제2결합돌기(52)의 단부에 더 구비하는 걸림돌기(53)가 걸려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구조로 제2결합돌기삽입부(17)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돌기(53)가 걸려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구조로 제2결합돌기삽입부(17)를 형성할 경우, 제2결합돌기삽입부(17)가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를 관통하는 형상이고, 이때 제2결합돌기(52)의 단부에 더 형성된 걸림돌기(53)가 제2결합돌기삽입부(17)에 탄성작용을 하면서 인입 및 인출되어 큰 결합력을 발휘하면서도 코인(11)의 인입 및 인출을 방해하지 아니하는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에는 코인(11)을 손가락 등으로 밀어 인입 및 인출하기 형성하는 인출공(2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에 인출공(20)을 더 형성하면 사용자가 코인(11)을 코인수납부(10)에 인입 및 인출을 할 때 손가락으로 전면부에 형성되는 인출공(14)을 통해 코인(11)의 일면을 파지하고, 후면부에 형성되는 인출공(20)을 통해 다른 손가락으로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코인(11)을 밀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코인(11)을 코인수납부(10)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코인수납부(10)의 일측면부에는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휴대폰(34)에 연결한 상태로 휴대하기 위해 체결고리(19)와 결합되는 체결고리공(18)이 더 형성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거치부(3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폰거치부(30)의 전면부에는 휴대폰(34)의 액정화면이 오염된 경우 오염된 액정화면의 세척을 위한 액정크린너(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거치부(30)의 후면부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 형상으로 접어 결합할 경우 휴대폰(34)이 접촉된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부(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32)에는 휴대폰(34)이 거치부(32)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 형상에 변형이 없이 초기의 거치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32)의 상면에 접착부재(3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3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33)는 휴대폰(34)을 거치부(32)에 거치할 경우, 상기 거치부(32)로부터 휴대폰(34)의 이탈을 방지하고 초기의 거치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재인 경우 접착부재의 재질 등에 관계없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부재(33)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접착면의 오염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접착면을 물 등으로 세척하여 오염을 제거하면 접착력이 복원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접착부재(현진화학의 겔 패드 등)나, 마찰계수가 커 미끄럼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결합고정부(5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고정부(50)는 그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51)와 상기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52)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5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 형상이 되도록 접어 결합할 경우 코인수납부(10)의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삽입부(16)에 제1결합돌기(51) 삽입되어 삼각 형상으로 접힌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형상이 지속적으로 삼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 상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52)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포개진 형상으로 접을 경우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 상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삽입부(17)에 상기 제2결합돌기(52)가 상입되게 결합되어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포개진 형상으로 접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돌기(52)가 제2결합돌기삽입부(17)에 결합될 경우 큰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2결합돌기(52)의 단부에 걸림돌기(53)을 더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연결부(7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 사이에 제1연결부(71)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거치부(30)와 결합고정부(50) 사이에 제2연결부(7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71)는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혀지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제2연결부(72)는 휴대폰거치부(30)와 결합고정부(5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혀지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71)와 제2연결부(72)가 더욱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 및 결합고정부(50)가 구비하는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을 위한 작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코인(11)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코인(11)의 인입은 코인(11)을 코인수납부(10)의 개구부(12)에 위치시킨 후 손가락 등으로 코인(11)을 슬라리딩홈(13)을 향해 밀면 코인(11)의 측면부가 탄성부재(15)를 밀면서 슬라리딩홈(13)에 인입되게 되고, 슬라리딩홈(13)에 안착된 코인(11)은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리딩홈(13)에 견고히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인(11)이 슬라리딩홈(13)에 안착되면 코인(11)이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에 일체로 결합되게 되어 코인(11)과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함께 휴대하거나 운반 및 포장을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 등이 코인수납부(10)의 인출공(14, 20)을 통해 코인(11)에 인쇄된 광고용 로고 등을 볼 수 있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카트 등을 사용하기 위해 코인수납부(10)로부터 코인(11)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리딩홈(13)에 안착된 코인(11)의 상면,하면 또는 상하면 모두를 인출공(14,20)을 통해 손가락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코인(11)을 개구부(12)측으로 밀면 코인(11)의 측면부가 탄성부재(15)를 밀면서 개구부(12)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코인(11)이 코인수납부(1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인출되게 되고, 인출된 코인(11)을 카트의 코인 투입구에 넣어 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삼각 형상으로 접어 사용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결합고정부(50)의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52)가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삽입부(16)을 향하도록 제1연결부(71)와 제2연결부(72)를 접어 제1결합돌기(52)를 제1결합돌기삽입부(16)에 삽입시키면,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는 삼각형상으로 접혀지게 되고, 삼각형상으로 접혀진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코인수납부(10) 후면부가 책상 등의 거치면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면 휴대폰(34)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거치부(30)의 거치부(32)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거치부(32)에 휴대폰(34)이 접촉되도록 위치시키면 휴대폰(34)이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부(32)에 경사진 형태로 거치 및 보관된다.
이 경우 상기 거치부(32)에 접착부재(33)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부재(33)의 접착력에 의해 휴대폰(34)이 거치부(32)의 접착부재(33)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거치 및 보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가 삼각 형상으로 접혀지고 휴대폰(34)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코인수납부(10)에 인입된 코인(11)은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볼 수 있어 광고효과를 갖게 되며, 코인(11)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손가락 등을 인출공(2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코인(11)을 개구부(12) 방향으로 밀면 코인(11)이 외부로 인출되게 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코인(11)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으로 포개어진 형상으로 접어 사용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52)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결합고정부(50)의 후면부가 휴대폰거치부(30)의 거치부(32)와 겹쳐지게 접은 후,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52)가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 상부측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삽입부(17)에 삽입되도록 다시 접으면 제2결합돌기(52)가 제2결합돌기삽입부(17)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결합되게 되고, 이때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와 결합고정부(50)의 전면부가 서로 겹쳐지면서 결합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를 다단으로 포개어진 형상으로 접혀지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는 서로 겹쳐지게 접혀진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외측 일측면을 형성하게 되고, 휴대폰거치부(30)의 액정크린너(31)가 형성된 면은 포개지게 접혀진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외측 타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는 작은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며, 코인수납부(10)에 인입된 코인(11)을 인출공(14)을 통해 인출하여 카트 등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외측의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액정크린너(31)를 이용하여 오염된 휴대폰(34)의 액정화면 등을 세척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포장 및 운반을 위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 및 결합고정부(50)가 펼쳐진 상태로 포장을 할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두께가 작은 상태로 포장할 수 있고, 코인수납부(10)와 휴대폰거치부(30) 및 결합고정부(50)가 서로 포개진 형상으로 접어 결합된 상태로 포장할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길이가 작은 상태로 포장할 수 있어,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의 포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포장하여 이를 운반함으로써, 포장 및 운반이 극히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장 및 운반에 소용되는 비용도 현저히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코인수납부 11: 코인
12: 개구부 13: 슬라이딩홈
14: 인출공 15: 탄성부재
16: 제1결합돌기삽입부 17: 제2결합돌기삽입부
18: 체결고리공 19: 체결고리
20: 인출공 30: 휴대폰거치부
31: 액정크린너 32: 거치부
33: 접착부재 34: 휴대폰
50: 결합고정부 51: 제1결합돌기
52: 제2결합돌기 53: 걸림돌기
70: 연결부 71: 제1연결부
72: 제2연결부 100: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Claims (8)

  1. 전면부의 일측에 코인(11)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부(12)와, 상기 개구부(12) 내측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과,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양측 선단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홈(13)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5)와, 상기 슬라이딩홈(1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인출공(14)과, 상기 개구부(12) 주위의 전면부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 및 후면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삽입부(17)로 구성되는 코인수납부(10);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일측에 제1연결부(71)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일면은 액정크린너(31)를 구비하며 타면은 휴대폰(34)을 거치하는 거치부(32)를 구비하는 휴대폰거치부(30); 및
    상기 휴대폰거치부(30)의 일측에 제2연결부(72)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로 연결되고, 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돌기(52)를 구비하며,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돌기(51)를 구비하는 결합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에는 인출공(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거치부(30)의 거치부(32) 상부면에는 접착부재(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부(50)의 제1결합돌기(51)와 제2결합돌기(52)의 단부에는 각각 걸림돌기(53)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5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3)는 전면부측으로 돌출되고, 제2결합돌기(52)의 단부에는 형성되는 걸림돌기(53)는 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제1결합돌기삽입부(16)는 코인수납부(10)의 전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제2결합돌기삽입부(17)는 코인수납부(10)의 후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인수납부(10)의 일측에는 체결고리공(1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KR1020120117623A 2012-10-23 2012-10-23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20140051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23A KR20140051533A (ko) 2012-10-23 2012-10-23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23A KR20140051533A (ko) 2012-10-23 2012-10-23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33A true KR20140051533A (ko) 2014-05-02

Family

ID=5088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23A KR20140051533A (ko) 2012-10-23 2012-10-23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644B1 (ko) * 2020-11-20 2021-08-05 이부한 휴대폰 클리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644B1 (ko) * 2020-11-20 2021-08-05 이부한 휴대폰 클리너
KR102329702B1 (ko) * 2020-11-20 2021-11-19 이부한 세정액을 이용한 휴대폰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6976U (ja) 折畳可能な支座
US20130048520A1 (en) Accessory retention band
WO2019079289A1 (en) CONNECTION SYSTEM WITH ROTATION LIMITATION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9218329U (zh) 一种多功能充电盒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101098523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40051533A (ko) 다기능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200447414Y1 (ko) 휴대폰용 액세서리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CN216268334U (zh) 具有物品支撑功能的卡片收纳结构
KR20140004961U (ko) 폴더형 휴대기기 케이스
CN104417221A (zh) 多功能笔筒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09801079U (zh) 电子器物的手持式辅助器
CN210958432U (zh) 一种用于手机的背贴
CN214900971U (zh) 一种可容纳蓝牙耳机的手机壳
KR200472575Y1 (ko) 핸드폰 부착형 보관장치
CN210276269U (zh) 手机配件收纳盒
CN203194827U (zh) 手持电子产品外套
US20230300230A1 (en) Mobile airbag bracke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