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528A -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528A
KR20140050528A KR1020130087585A KR20130087585A KR20140050528A KR 20140050528 A KR20140050528 A KR 20140050528A KR 1020130087585 A KR1020130087585 A KR 1020130087585A KR 20130087585 A KR20130087585 A KR 20130087585A KR 20140050528 A KR20140050528 A KR 20140050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handoff
message
communication
z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환
윤장우
김도형
염익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054,35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112307A1/en
Publication of KR2014005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5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Disclosed is a user terminal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from being disconnected when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is in hand-off.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registration unit which connects and registers an access node, and a communication cutoff prevention unit which receives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which become a hand-off candidate target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registered excess node and transmit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an opposite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opposit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one node among other access nodes of the hand-off candidate targe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mmunication from being cut off. [Reference numerals] (100) User terminal; (110) Connection registration unit; (120) Communication cutoff prevention unit; (200) Access node; (300) User terminal; (310) Z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Communication cutoff prevention unit

Description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장치 및 그 방법{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네트워크상에서 콘텐츠의 이름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중심 네트워크(Information Centric Network, ICN)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에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center network (ICN) that provides a service based on the name of content on a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related to handoff of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 center network.

정보 중심 네트워크(ICN)에서, 단말은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콘텐츠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청하는 P2P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다. 이는 콘텐츠를 보유한 호스트의 주소로 콘텐츠를 요청하던 기존의 URL 방식과 구별된다. P2P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논의가 발생한 것은 2009년 전후이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 및 기술 개발이 진행된 상태는 아니다. 그 중에서,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프(handoff) 방법은 이제 연구 초기 단계이다.In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ICN), a terminal uses a P2P application type network communication that uses the content name as it is to request the content.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URL method of requesting content to the address of the host holding the content. The full-fledged research discussion about P2P application type network communication took place around 2009, and much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Among them, a handoff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terminal is now in an early stage of research.

우선, ICN에 대해 살펴보며, 이를 위해 2012.07 IEEE Communication magazine에 실린 “A Survey of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을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 네임(host name)을 기반으로 하여, ftp://123.211.222.112/movie127.avi와 같은 서버 호스트의 주소와 콘텐츠 네임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한다. 이러한 방식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위의 주소 예와 같은 ftp 웹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항상 콘텐츠를 해당 호스트 서버에서 가져와야 하므로, 서버의 병목현상(scalability bottleneck)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바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First of all, we will look at ICN and refer to “A Survey of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in the 2012.07 IEEE Communication magazine. Thi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In an existing IP network, content is requested using a server host address and content name such as ftp://123.211.222.112/movie127.avi based on a host name. A typical example of this method is the ftp web method as shown in the address example above. Since this method always requires content to be pulled from the host ser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calability bottleneck is generat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ICN에서는 콘텐츠의 호스트 주소가 아닌 콘텐츠 이름을 그대로 주소로 사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Get movie 127.avi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굳이 특정된 하나의 서버에 접근할 필요 없이 movie 127.avi를 가진 아무 캐시 서버에서나 콘텐츠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가까이 위치한 캐시 서버로부터 매우 빠르게 콘텐츠를 가져올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도 감소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P2P 애플리케이션에서 콘텐츠 이름으로 검색하여 손쉽게 콘텐츠를 가까운 곳에서 받아가는 방법과, http에서 Get content_name과 같이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하고 중간에 캐시 서버를 두어 콘텐츠의 배포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결합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ICN requests content by using the content name as the address, not the host address of the content. For example, you would use something like Get movie 127.avi. This way, you can retrieve content from any cache server with movie 127.avi without having to access a single server. The result is very fast content retrieval from a nearby cache server, reducing network load. This method allows you to easily retrieve content from existing P2P applications by searching for the content name, and requests content using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uch as Get content_name on http, and has a cache server in between. Methods that facilitate the distribution of content can be viewed in a similar way as combined.

이 같은 ICN에서 콘텐트 요청을 할 때, 콘텐트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request message)를 interest라고 부르며, 콘텐트 네임(content name)인 데이터 네임(data name)은 ‘/Domain/dhkim/File’과 같이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가진다. 예를 들어, Etri의 dhkim이 가진 file-x를 가져가고 있으면 interest message를 게이트웨이 서버로 보내면 된다. 이때 interest message 패킷 안에는 ‘Etri/jhkim/file-x’를 요청하는 내용이 적혀 있는 것이다. 이 interest message는 라우팅 서버를 통해 hop-by-hop으로 정해진 라우팅 알고리즘을 따라 주변으로 전파된다.When a content request is made in such an ICN,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content is called interest, and a data name, which is a content name, is hierarchical such as '/ Domain / dhkim / File'. It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example, if you are taking the file-x of Etri's dhkim, you can send an interest message to the gateway server. At this time, the request message for 'Etri / jhkim / file-x' is written in the interest message packet. This interest message is propagated to the surroundings through a routing server, following a routing algorithm designated as hop-by-hop.

도 1은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요청시 interest 메시지 전달 과정을 도시한다. 요청 대상 콘텐츠 네임은 Dmain1/dhkim/file라 한다. interest 메시지는 R1, R2, R3 라우터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며, 이에 따라 해당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0)로 다운로드 된다. 이때 중간 라우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정보 베이스(Forwarding Information Base, FIB)라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interest의 도메인 정보를 이용해 라우팅을 수행하고, 전달된 interest에 대해서는 PIT(Pending Interest Table)에 정보를 기록해 두어 추후에 응답 메시지를 회신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ICN에 대한 많은 구현 방식 중에서도 특히 CCN(Content Centric Network)라는 구현 방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구현 방법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1 illustrates a process of delivering an interest message when a content request is made by a user terminal. The requested content name is called Dmain1 / dhkim / file. The interest message arrives at the destination via the R1, R2, and R3 routers, and thus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router refers to a routing table called a forwarding information base (FIB) as shown in FIG. 1 and performs routing using domai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interest, and a forwarding interest table (PIT) for the transferred interest. Make a note of the information so that you can refer to it later when replying to the response. This method is a method mainly used in an implementation method called a Content Centric Network (CCN) among many implementation methods for ICN, and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콘텐츠 요청을 위한 메시지가 전파되던 중 요청 대상 콘텐츠 이름을 보유하고 있는 서버(20)에 도달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다시 사용자 단말(10)로 전달된다. 이때 응답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간 노드들은 필요에 따라 자체 보유하고 있는 스토리지에 응답 데이터를 캐싱 형태로 저장한다. 이에 의해, 추후에 동일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중간 노드에서 바로 응답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같이 하면, 사용자들이 많이 요청하는 콘텐츠의 경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중간 라우터들에서 캐싱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굳이 멀리 위치한 원본 소스 서버까지 interest가 전달되지 않아도 중간 노드들로부터 응답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부하 감소와 함께 콘텐츠 다운로드가 빨라지게 된다.When the message for content request is propagated and reaches the server 20 that holds the content name of the request, the response data for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again.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nodes delivering the response data store the response data in the form of caching in storage that is owned as nee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at the intermediate nod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he same content later. In this case, the content requested by users is very likely to be cached at intermediate routers in the network, so that even if interest is not transmitted to a remote source server, it is possible to receive responses from intermediate nodes. As a result, content download is faster with less network load.

한편, ICN이 아닌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은 모바일 IP 방식으로 지원된다. 여기서 모바일 IP 방식이란 홈 에이전트(home agent)라는 관리 서버를 두고, 이 관리 서버가 단말의 이동성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이동이 있을 경우 모바일 단말의 패킷을 중간에서 릴레이 해주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현재 ICNdptj 제안된 핸드오프 방법들은 기존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릴레이 서버를 통해 모든 패킷이 릴레이 되도록 한다. 단말이 이동할 경우, 릴레이 서버가 단말의 이동 위치로 모든 패킷들을 재포장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Meanwhile, mobility of a mobile terminal in an existing IP network other than ICN is supported by a mobile IP method. The mobile IP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management server called a home agent is installed, and the management server monitors mo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relays packets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middle of movement. And the current ICNdptj handoff methods apply the same method as before, so that all packets are relayed through one relay server. When the terminal moves, a scheme for relaying all packets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terminal to repackage has been proposed.

도 2는 일 예의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R1, R2, R3는 중간 릴레이 라우터 노드이다. 사용자 단말(10)이 R2라는 액세스 노드(access node)에 연결되어 있다가 R3라는 노드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이동 시나리오는 4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차를 타고 빠르게 이동함에 따라, 스마트폰이 어느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혹은 와이파이(WiFi)를 사용중인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보도로 이동시에, 스마트폰이 어느 한 WiFi 액세스 노드에서 다른 WiFi 액세스 노드로 자동으로 연결을 핸드오프 하는 경우도 예로 들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scenario of a user terminal in an example connection network structure. In FIG. 2, R1, R2, and R3 are intermediate relay router nodes.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an access node called R2 and then moves to a node called R3. Such a mobile scenario may be a case in which a user carrying a smartphone using a 4G network moves quickly in a car, and thus the smartphone hands off from one base station to another. For example, when a user of a smartphone using Wi-Fi moves to the sidewalk,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hands off a connection from one WiFi access node to another.

도 2와 같은 이동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단말이 제1도메인(Domain 1)에서 interest를 전송하고 제2도메인(Domain 2)으로 이동한 경우,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기 전인 제1도메인(Domain 1)을 담당하는 R2를 통해 되돌아온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사용자 단말은 제2도메인(Domain 2)에서 Reissued interest를 재전송하게 되고, 그 이후 제2도메인(Domain 2)을 담당하는 R3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은 초기 interest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하여 다시 interest를 보내어 받게 되는바, 데이터 연결이 잠시 끊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핸드오프 과정은 일반적으로 200msec 이상의 시간을 요한다. 그러나 VoIP와 같은 실시간 통화 애플리케이션 같은 경우에, 200msec 이상의 시간 동안 통신이 두절되면 서비스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In the mobile scenario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interest in the first domain (Domain 1) and moves to the second domain (Domain 2), the response message is the first domain (Domain 1) before the user terminal moves. Come back through R2. Therefore, the user terminal cannot receive the response message. The user terminal not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retransmits the reissued interest in the second domain (Domain 2), and then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through R3 in charge of the second domain (Domain 2). That is, the user terminal does not receive a response to the initial interest and sends the interest again. Therefore, the data connection may be temporarily interrupted. This handoff process generally requires a time of 200 msec or more. However, in the case of real-time telephony applications such as VoIP, the loss of communication for more than 200msec can have a catastrophic effect on the servic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4333호(2003년 11월 01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4333 (November 01, 2003)

본 발명은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더라도 서비스의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cal schem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a service even when a user terminal performs handoff in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액세스 노드에 연결 등록하는 연결 등록부, 및 등록된 액세스 노드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중인 상대 통신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단절 방지부를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은 핸드오프시 상대 통신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핸드오프 후보 대상의 타 액세스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수신한다.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a connec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connection to the access node, and another access node that is the target of the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registered access node And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for receiving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communication, wherei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from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t the time of handoff. Receive through any one of these nodes.

통신 단절 방지부는 상대 통신 장치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transmits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존 정보 관리부, 및 수신된 존 정보를 통해 타 액세스 노드들을 식별하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로 전송하는 통신 단절 방지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center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handed of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Z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d managing zone information, including; and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for identifying other access nodes through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to the other identified access nodes. Include.

통신 단절 방지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transmits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handoff schedul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통신 단절 방지부는 메시지 전송시 그 메시지에 플러딩(flooding) 메시지임을 표시한다.The communication break prevention unit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 flooding message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은 연결 등록된 액세스 노드로부터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의 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중인 상대 통신 장치로 수신된 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핸드오프시 상대 통신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존 정보를 통해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center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handed off includes a peripher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adjacent to the access node registered connection; Receiving the zone information, forwarding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ng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nd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t the time of handoff from one of the other access nodes identified through the zone information. Receiving through.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은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주변의 노드들이다.Other adjacent access nodes are neighboring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은 상대 통신 장치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further includes sending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의 통신 단절 방지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수신된 존 정보로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center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handed off other targets of the handoff candidate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s,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to other access nodes identified by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존 정보를 수신한다.The receiving step receives the z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송하는 단계는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행된다.The method of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further includes receiving a handoff scheduled message from a user terminal, and the transmitting step is performed when a handoff scheduled message is received.

전송하는 단계는 메시지에 플러딩(flooding) 메시지임을 표시한다.The transmitting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 flooding messag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되더라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동안 메시지 통신의 두절이 발생하지 않고, 핸드오프 단말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라우터들에게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기 때문에 거의 끊김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terminal performs the handoff, the message communication is not interrupted during the handoff, and the message is continuously broadcasted to the routers where the handoff terminal is likely to move. Because of this, communication is almost seamless.

도 2를 참조로 효과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통신 두절이 발생하는 시간을 좀 더 세분화하면, ① 사용자 단말이 R2에서 R3로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physical한 유무선통신을 R3와 개시하기 시작하는 지연(delay)과, ② 사용자 단말이 R3와 유무선 통신을 시작하면서, R3에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여 정상적인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해지는 소프트웨어(SW)적인 연결 설정 완료 시간이 있다. 총 핸드오프 지연은 일반적으로 ①과 ②의 딜레이를 합한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①번의 지연은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밖에 없지만, ①과 ②의 지연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①의 지연은 매우 짧은데 비해, ②의 지연이 매우 긴 시간을 요하므로, 제안한 방법을 통해 거의 끊김 없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에 실시간 인터넷전화와 같은 서비스가 끊어지거나 불안정하던 것을 매우 안정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f the time for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during the handoff process is further subdivided, ① the user terminal physically moves from R2 to R3 to delay the start of physica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3, and ② the user terminal While start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3, there is a software (SW) connection establishment completion time for normal network communication by registe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3. The total handoff delay is typically the sum of the delays in ① and ②.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ay of ① must be similarly generated, but there can be no delay between ① and ②. In general, the delay of ① is very short, but the delay of ② requires a very long time.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enables almost seamless communication, making it very stable that existing services such as real-time Internet phone are disconnected or unstable. Can be serviced by

도 1은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요청시 interest 메시지 전달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예의 연결 네트워크 구조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존 정보를 통신중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 수행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존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process of delivering an interest message when a content request is made by a user terminal.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scenario of a user terminal in an example connection network struct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handoff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zone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when a user terminal performs hand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zone information by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message to a user terminal using zon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handoff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과 액세스 노드(200) 및 통신 장치(300)를 포함하며, 이들은 ICN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ICN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요청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access node)(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일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ICN을 통해 통신 가능한 장치이다.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는 콘텐츠를 보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원본 소스 서버이거나 원본 소스 서버가 보유한 콘텐츠를 캐싱하여 보유하는 라우터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입장에서는 통신의 상대방이므로, 상대 통신 장치라 부를 수 있다.As shown, the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n access node 200, and a communication device 300, which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via an IC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smartphone or a smart pad. The user terminal 100 may access the ICN and request and download content. The access node 200 is an access point for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be an access router.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n ICN.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retaining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be an original source server or a router that caches and retains content held by the original source server. Since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a counterpart of communi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called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사용자 단말(100)은 연결 등록부(110)와 통신 단절 방지부(120)를 포함한다. 연결 등록부(11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도메인을 담당하는 액세스 노드(200)에 액세스하여 연결 등록을 요청하며, 이에 요청받은 액세스 노드는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한다. 이 같은 등록 프로세스는 잘 알려진 바와 같다. 통신 단절 방지부(120)는 액세스 노드(200)로부터 주변의 존 정보(zone info)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절 방지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이 액세스 노드(200)에 등록되면 곧바로 액세스 노드(200)로부터 주변의 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nnection registration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120. The connection registration unit 110 accesses the access node 200 in charge of the domai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requests connection registration, and the access node thus requested registers the user terminal 100. This registration process is well know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120 receives zone information around the zone from the access node 200.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zon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s from the access node 200 as soon as the user terminal 100 is registered in the access node 200.

여기서 주변의 존 정보라 함은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를 해올 수 있는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정보 즉, 사용자 단말(100)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정보로서, 타 액세스 노드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액세스 노드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네트워크 인프라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존 정보를 각각의 액세스 노드에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혹은 액세스 노드가 주변 노드들이 핸드오프 해오는 최근 기록을 추적하여 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식별 정보라 함은 노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정보는 노드의 ID와 IP 주소의 묶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zon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area is information about other adjacent access nodes to which the user terminal can perform handoff, that is, information about other adjacent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100. I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cess nodes. Since the administrator managing the access nodes knows the network infrastructure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can input and manage the zone information to each access node. Alternatively, the access node may generate zone information by tracking recent records of neighboring handoff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y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node.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consist of a bundle of IDs and IP addresses of the nodes.

통신 단절 방지부(120)는 액세스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존 정보를 액세스 노드(200)를 통해 현재 통신중인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 같이 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핸드오프하더라도 통신 장치(30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타 액세스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특히, 통신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일 경우, 핸드오프 하더라도 재요청 없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서비스가 끊어지거나 불안정하던 문제가 해결된다.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120 transmits the zon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 node 20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urrently communicating through the access node 200.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through any one of the other access nodes even when the handoff. In particular, when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a response message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response message can be received without re-request even when handoff, so that the service is broken or unstable. do.

나아가 통신 단절 방지부(120)는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라 함은 사용자 단말(100)의 핸드오프가 임박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핸드오프가 임박하였음을 판단하는 근거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RSSI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경우, 통신 단절 방지부(120)는 핸드오프가 임박한 것으로 판단하여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RSSI 이외에도 핸드오프가 임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120 may transmit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Herein, the handoff scheduled message may b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100 is imminen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may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at the handoff is imminent. When the RSSI value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handoff is imminent and transmit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ddition to the RSSI, anything that can be determined to be impending handoff may be used.

통신 장치(300)는 존 정보 관리부(310)와 통신 단절 방지부(320)를 포함한다. 용어의 구별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단말 방지부(120)를 단말용 통신 단말 방지부로 지칭하고 통신 장치(300)의 통신 단절 방지부(320)를 장치용 통신 단말 방지부로 지칭할 수 있다. 존 정보 관리부(310)는 존 정보를 수신한다. 이 존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달한 것일 수 있다. 존 정보 관리부(310)는 수신된 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통신 장치(300)가 관리하는 존 정보는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구별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ID와 존 정보가 매칭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ncludes a z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and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erms,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evention unit 120 of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terminal prevention unit for a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will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terminal prevention unit for a device. Can be. The zone information manager 310 receives zone information. The zone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by the user terminal 100. The zone information manager 310 store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in a memory and manage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Since zone information manag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exist for each of the user terminals, the ID and the zon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matched and managed for discrimination.

통신 단절 방지부(320)는 수신되어 메모리에 관리되는 존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을시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의 수만큼 메시지를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절 방지부(320)는 액세스 노드(200)로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를 복사하여 전송할 때, 통신 단절 방지부(320)는 메시지의 헤더에 플러딩(flooding)임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단절 방지부(320)는 다수의 노드들로 zone-flooding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may identify other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zone information received and managed in the memory, and when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 message may be copied and transmitted by the number of other identified access nodes.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may also transmit a message to the access node 200. When copying and transmitting a message, the communication break prevention unit 320 may display a flag indicating flooding in the header of the message and transmit the message. That is,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sends a zone-flooding message to a plurality of nod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절 방지부(320)는 전송할 메시지가 있을시 무조건 타 액세스 노드들로 모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타 액세스 노드들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메시지를 타 액세스 노드들로 전송한다면,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320 does not transmit all the messages to other access nodes unconditionally when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but other access only when a handoff schedule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You can send a message to the nodes. If the message is sent to other access nodes only when a handoff scheduled message is received, waste of network resources can be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존 정보를 통신중인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을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zone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00)은 액세스 노드(액세스 라우터)(200)에 액세스하여 연결 등록한다(S100). 등록이 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액세스 노드(200)를 통해 ICN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액세스 노드(200)는 새로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로 주변 존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이 있을시 주변 존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이 없이도 사용자 단말(100)이 새로 등록되면 그 사용자 단말(100)로 주변 존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액세스 노드(200)로부터 주변 존 정보를 수신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존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존 정보를 현재 통신중인 통신 장치(300)로 전달한다(S300). 이에 존 정보는 액세스 노드(200)를 통해 통신 장치(300)로 전달된다.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access node (access router) 200 and registers the connection (S100). Once registered, the user terminal 100 can access the ICN through the access node 200. The access node 200 transmits the surrounding zone information to the newly registered user terminal 100. In one embodiment, the access node 200 transmits the peripheral zone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In another embodiment, the access node 200 transmits the surrounding zon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newly registered withou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peripheral zone information from the access node 200 (S200). As described above, the zone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other adjacent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urrently communicating (S300). As a result, the zon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through the access node 2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 수행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핸드오프가 임박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존 정보를 통신 장치(300)로 전달하였는지 확인한다(S200). 만일 전달하지 않았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존 정보를 통신 장치(300)로 전달한 후(S210), 통신 장치(300)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존 정보를 이미 전달하였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곧바로 S220을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핸드오프를 수행하며(S230), 통신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100)로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타 액세스 노드(200)를 통해 수신한다(S240).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when a user terminal performs hand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andoff is imminent, the user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zon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S200). If not,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zon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S210), and then transmits a handoff schedule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S220). If the zone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delivered, the user terminal 100 immediately performs S220.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a handoff (S230), and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it receives through the other access node 200 (S2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존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zone information by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중인 통신 장치(300)는 존 정보를 수신한다(S200). 여기서 존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존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달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존 정보는 액세스 노드(200)가 직접 전송할 것일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수신된 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210). 이때 존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ID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zone information (S200). In this case, the zone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djacent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100. In one embodiment, the zone information is deliver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 other embodiments, the zone information may be sent directly by the access node 200.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stores and manage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in a memory (S210). In this case, the zone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an ID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stor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다(S400).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한다(S410). 있을 경우, 통신 장치(30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존 정보를 확인하여 타 액세스 노드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모든 타 액세스 노드들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이때, 통신 장치(300)는 메시지의 헤더에 zone-flooding임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과정 중 S4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message to a user terminal using zon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receives a handoff schedule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100 (S400). When the handoff schedule message is received,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heck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410). If there is,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hecks the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o identify other access nodes, and transmits a message to all identified other access nodes (S42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display a flag indicating zone-flooding in the header of the message and transmit the same. Meanwhile, S400 may be omitted in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내용에 대해 도 8을 통해 다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서 R1, R2, R3, R4, R5는 중간 릴레이 라우터 노드이다. 사용자 단말(100)이 R4라는 액세스 노드(200)에 연결되어 있다가 R5라는 타 액세스 노드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00)은 R4로부터 주변의 존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존 정보는 {DN1, DN2, DN3}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존 정보를 통신 장치(300)로 전달한다.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s a specific example. In FIG. 8, R1, R2, R3, R4, and R5 are intermediate relay router nodes. This indicates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access node 200 called R4 and then moves to another access node called R5.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peripheral zone information from R4. In this case,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may be {DN1, DN2, DN3}.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사용자 단말(100)은 R4 라우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 장치(server)(300)로 inter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에 통신 장치(300)는 inter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를 R4/user/response라 예를 들기로 한다. 그런데 사용자 단말(100)이 interest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R4에서 R5로 이동한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R4를 통해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에 통신 장치(300)는 응답 메시지를 존 정보에 따른 R3, R4, R5로 모두 전송하는데, 헤더에 zone-flooding 메시지임을 표시하여 전송한다. 이때 R3에게는 R3/R4/user/response라고 보내고, R5에게는 R5/R4/user/response라고 보낸다. 즉, 원래 응답 메시지는 R4/user/response 이었으므로, 라우터 정보 앞에 도메인(domain) 정보를 붙여서 zone/Router/user/response 같은 형식으로 보내는 것이다. 단, R4의 경우엔 그대로 R4/user/response라고 보내도 되고, 다른 zone-Router처럼 R4/R4/user/response라고 보내도 된다. 그 이유는 R4는 원래 자기한테 오던 메시지였으므로, 굳이 zone-Router 형식으로 보내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원래 동작하던 것처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같이 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R5로 이동하더라도 통신 장치(3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send an interest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4 router.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he interest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this case, the response message is referred to as R4 / user / response. However, if the user terminal 100 moves from R4 to R5 after transmitting the interest message, the user terminal 10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through R4. In response,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to R3, R4, and R5 according to the zone information. At this time, send R3 to R3 / R4 / user / response, and send R5 to R5 / R4 / user / response. That is, since the original response message was R4 / user / response, the domain information is added in front of the router information in the form of zone / Router / user / response. However, in case of R4, it may be sent as R4 / user / response as it is, or as R4 / R4 / user / response like other zone-routers. The reason is that R4 was originally a message, so it can be processed as if it was working normally without sending it in zone-router format. In this way, even if the user terminal 100 moves to R5, it is possible to normally receive the response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 단말 110 : 연결 등록부
120 : 통신 단절 방지부 200 : 액세스 노드
300 : 통신 장치 310 : 존 정보 관리부
320 : 통신 단절 방지부
100: user terminal 110: connection register
120: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200: access node
300: communication device 310: z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Claims (12)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에 연결 등록하는 연결 등록부; 및
등록된 액세스 노드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중인 상대 통신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단절 방지부;를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은 핸드오프시 상대 통신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핸드오프 후보 대상의 타 액세스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수신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사용자 단말.
In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A connection register configured to register a connection with the access node; And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for receiving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a user terminal from a registered access nod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communication;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 message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at the time of handoff through any one of the other access nodes of the handoff candidate targ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절 방지부는 상대 통신 장치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is a user terminal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which transmits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존 정보 관리부; 및
수신된 존 정보를 통해 타 액세스 노드들을 식별하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로 전송하는 통신 단절 방지부;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
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handoff of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 center network,
A zone information manager configured to receive and manage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identifying other access nodes through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other identified access nodes;
Communication device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절 방지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 prevention unit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during handoff to transmit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handoff schedule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절 방지부는 메시지 전송시 그 메시지에 플러딩(flooding)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unit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 flooding message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에 있어서,
연결 등록된 액세스 노드로부터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의 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중인 상대 통신 장치로 수신된 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핸드오프시 상대 통신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존 정보를 통해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A method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handoff of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 center network,
Receiving peripheral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djacent access nodes from a connection registered access node;
Transferring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 message from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on one of the other access nodes identified through the zone information at the time of handoff;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method during the handoff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인접한 타 액세스 노드들은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주변의 노드들인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ther adjacent access nodes are neighboring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대 통신 장치로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ending a handoff scheduled message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method when the handoff further comprising.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를 위한 통신 장치의 통신 단절 방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핸드오프 후보 대상이 되는 타 액세스 노드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존(zon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메시지를 수신된 존 정보로 식별된 타 액세스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A method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disconnection when handoff of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 center network,
Receiving zon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ccess nodes that are candidates for handoff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to other access nodes identified by the received zone information;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method during the handoff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존 정보를 수신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receiving of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revention method in the handoff to receive the z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핸드오프 예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행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a handoff schedule message from a user terminal;
The transmitt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handoff scheduled message is receiv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메시지에 플러딩(flooding)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핸드오프시 통신 단절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wherein said transmitting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 flooding message.
KR1020130087585A 2012-10-19 2013-07-24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1400505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54,359 US20140112307A1 (en) 2012-10-19 2013-10-15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interuption of communica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22 2012-10-19
KR20120116922 201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528A true KR20140050528A (en) 2014-04-29

Family

ID=5065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585A KR20140050528A (en) 2012-10-19 2013-07-24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05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9901B (en) Terminal in content guiding network environment and the communication means of intermediate node and terminal and intermediate node
US8837511B2 (en) Seamless mobility schemes in names-data networking using multi-path routing and content caching
KR1011772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data in a mobile network environment using edge data storage
EP2705694B1 (en) Seamless mobility schemes in named-data networking using multi-path routing and content caching
KR101662018B1 (en) Mobile contents delivery method using a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JP63020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iscovery
KR20150091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ents based on ICN in mobile Ad-hoc Network
CN107250999A (en) Found with the distributed content cached in network
JP2014241135A (en) Communication method of node in content centric network, and node therefor
US20140112307A1 (en)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interuption of communica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20180034905A1 (en) Network apparatus, networ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602416B2 (en) Seamless consumer mobility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s using forwarding labels
US20080318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me agent attached by mobile node
CN108713336B (en) Correlation of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to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requests
EP22880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PTV service
KR20140050528A (en)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he user terminal's communication interruption preven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2013179482A (en) Relay device and relay method
CN103069917B (en) For setting up the method for data path,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JP5685992B2 (en) Proxy delivery serv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60772B1 (en) Mobile contents delivery method using a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Raissi et al. Named data networking architecture for vanet
KR101319832B1 (en) Mobile contents delivery service method and local cashing server
KR101556031B1 (en) Method and system of distributed mobility control on network
KR101200407B1 (en) Method for multicasting and access gateway
Nasir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Video Transport Service Using CCN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