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740A -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740A
KR20140049740A KR1020120115924A KR20120115924A KR20140049740A KR 20140049740 A KR20140049740 A KR 20140049740A KR 1020120115924 A KR1020120115924 A KR 1020120115924A KR 20120115924 A KR20120115924 A KR 20120115924A KR 20140049740 A KR20140049740 A KR 2014004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viding
unit
diar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740A/ko
Priority to EP13182233.0A priority patent/EP2704039A3/en
Priority to US14/015,579 priority patent/US9247144B2/en
Publication of KR2014004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단말의 위치정보, 교통카드 사용정보, 기분정보, 핵심내용 정보, 통화정보, 메시지 정보, 핵심어, 일정정보, 날씨정보, 웹사이트 이용정보 및 미디어 재생정보 등,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이어리를 작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DIARY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의 보급화에 의해, 이와 같은 이동단말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이동단말은, 일정, 메일, 메시지 통화 등이 독자적으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지난 일자의 행적을 찾기 위해서는, 캘린더, 메일, 메시지, 통화기록 등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이동단말 사용정보를 일기 형식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는,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제1제공부; 상기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공부가 제공하는 정보 및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이어리를 작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제공부는,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제2제공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교통카드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제3제공부; 음성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4제공부; 및 메시지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4제공부는, 음성호에서 사용자의 음성톤에 따른 사용자의 기분을 인식하여 기분정보를 제공하는 제6제공부; 및 상기 음성호 중 핵심어를 인식하여, 핵심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7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5제공부는, 메시지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8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는 제9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저장부는, 음성호의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 및 일정정보, 날씨정보, 웹사이트 이용정보 및 미디어 재생정보를 저장하는 제4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순서에 의해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별 카테고리에 의해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별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가공하여 자연스런 문장의 다이어리를 생성하여, 하루단위의 파일로 작성하여, 사용자의 하루 일과를 일기 형식으로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시간 순서대로 다이어리가 작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카테고리별로 작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다이어리의 요약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패드형 컴퓨터(pad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플리킹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공장치는, 이동단말(1)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1), 위치정보 제공부(12), 교통카드 제공부(13), 이동통신부(14), 저장부(15, 18, 20, 22), 음성톤 인식부(16), 핵심어 인식부(17), 핵심어 추출부(19) 및 디스플레이부(21)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동단말(1)이 본 발명의 설명 이외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위치정보 제공부(12)는 이동단말(1)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일 수 있다. 위치정보 제공부(12)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동단말(1)의 위치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이동단말(1)의 위치정보는, 주소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즉, 지하철역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장소의 명칭 형식으로 위치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교통카드 제공부(13)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NFC)에 의해 교통카드 기능을 제공한다. NFC에 의해 교통카드를 제공하는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단말(1)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교통카드 제공부(13)의 교통카드 사용정보는 제어부(11)에 제공된다. 즉,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출발점 및 도착점과, 환승점 등의 사용정보를 제어부(1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4)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부(14)가 송수신하는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및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데, 이동통신부(14)는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통화기록(송신자명 또는 수신자명, 통화시각 및 통화시간 등)을 제1저장부(15)에 저장할 수 있고, 메시지 및 메시지기록을 제2저장부(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4)가 음성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톤 인식부(16)은 사용자의 음성톤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기분을 인식하여, 이를 기분정보의 형태로 제어부(11)에 제공한다. 또한 핵심어 인식부(17)는 음성호 중 핵심어를 인식하여, 이를 핵심내용 정보로서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제1저장부(15)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부(14)가 음성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통화정보는, 송신자명 또는 수신자명, 통화시각 및 통화시간을 포함한다.
제2저장부(18)는 이동통신부(14)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와 메시지와 관련한 정보(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및 전자메일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메일의 경우에는, 이동통신부(14)가 이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무선인터넷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1)은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저장부(18)는 제어부(11)에 메시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핵심어 추출부(19)는 제2저장부(18)에 저장된 메시지(문자 메시지 또는 전자메일)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이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제3저장부(20)는 사용자가 작성한 일정(calendar) 정보, 날씨 정보, 웹사이트 정보, 및 미디어 재생정보 등을 저장한다.
일정의 경우, 이동단말(1)에 어플리케이션(일정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자신의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제3저장부(20)는 이러한 일정 어플이케이션에 등록되는 일정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어부(11)에 제공할 수 있다. 일정정보는, 날짜와 해당 날짜의 주요 일정을 포함한다.
날씨 역시, 이동단말(1)에 어플리케이션(날씨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3저장부(20)는 해당일 하루 날씨를 저장하여 이를 제어부(11)에 제공할 수 있다.
웹사이트 이용정보는, 사용자가 이동단말(1)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제3저장부(20)는 이를 저장하여 제어부(11)에 제공할 수 있다. 웹사이트 이용정보는, 사이트 URL 및 검색어를 포함한다.
미디어 재생정보는, 사용자가 이동단말(1)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제3저장부(20)가 이를 저장하고 제어부(1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1)은 멀티미디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정보는, 예를 들어, 음원인 경우 음원제목, 파일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저장부(15, 18, 20)는 별개의 저장영역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 저장영역일 수도 있고, 또는 이보다 더 많은 수의 저장영역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이동단말(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1)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1)이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및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1)는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작성되는 다이어리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부(2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위치정보 제공부(12)로부터 이동단말(1)의 위치정보, 교통카드 제공부(13)로부터 교통카드 사용정보, 음성톤 인식부(16)로부터 사용자의 기분정보, 핵심어 인식부(17)로부터 음성호 핵심내용정보, 제1저장부(15)로부터 통화정보, 제2저장부(18)로부터 메시지 정보, 핵심어 추출부(19)로부터 메시지의 핵심어 정보, 제3저장부(20)로부터 일정정보, 날씨정보, 웹사이트 이용정보, 미디어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이어리로 작성한다. 즉, 제어부(11)는 하루에 사용자가 사용한 이동단말(1)의 내역을 다이어리에 반영하여 작성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이어리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다이어리를 시간순서로 작성하거나 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작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선호도 별로도 작성할 수도 있다. 작성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a는 시간 순서대로 다이어리가 작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카테고리별로 작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형식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1)가 시간순서대로 다이어리를 작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1)가 위치이동, 미디어 파일재생, 전화, 메시지, 일정 등의 카테고리별로 다이어리를 작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제어부(11)는 이와 같이 작성된 다이어리를 제4저장부(22)에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열람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동일한 색상으로 다이어리가 작성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각 구성요소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다른 색상(예를 들어, 붉은색)으로 작성되거나, 또는 하이퍼링크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작성된 다이어리를 카테고리별로 제4저장부(22)에 저장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별로 제4저장부(22)에 다이어리를 저장하는 경우에, 카테고리별로 서머리(summary)를 디스플레이부(21)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11)가 디스플레이부(21)에 다이어리의 요약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1)의 디스플레이부(21)에, 기분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1),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2), 일정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3), 통화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4), 미디어 재생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5) 및 날씨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36)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다이어리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교통카드 사용정보(32)의 경우, 사용한 교통수단별로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열람을 원하는 교통수단을 선택하면, 해당 교통수단에 대한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다이어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단말 사용정보를 가공하여 일기 형식으로 자연스러운 문장의 다이어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일과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이동단말 11: 제어부
12: 위치정보 제공부 13: 교통카드 제공부
14: 이동통신부 15, 18, 20, 22: 저장부
16: 음성톤 인식부 17: 핵심어 인식부
19: 핵심어 추출부 21: 디스플레이부

Claims (9)

  1.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제1제공부;
    상기 이동단말의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공부가 제공하는 정보 및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이어리를 작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공부는,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제2제공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교통카드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제3제공부;
    음성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4제공부; 및
    메시지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5제공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제공부는,
    음성호에서 사용자의 음성톤에 따른 사용자의 기분을 인식하여 기분정보를 제공하는 제6제공부; 및
    상기 음성호 중 핵심어를 인식하여, 핵심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7제공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제공부는,
    메시지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8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는 제9제공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음성호의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 및
    일정정보, 날씨정보, 웹사이트 이용정보 및 미디어 재생정보를 저장하는 제4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이어리 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순서에 의해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다이어리 제공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별 카테고리에 의해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다이어리 제공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별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다이어리 제공장치.
KR1020120115924A 2012-08-31 2012-10-18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KR20140049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24A KR20140049740A (ko) 2012-10-18 2012-10-18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EP13182233.0A EP2704039A3 (en) 2012-08-31 2013-08-29 Mobile terminal
US14/015,579 US9247144B2 (en) 2012-08-31 2013-08-30 Mobile terminal generating a user diary based on extract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24A KR20140049740A (ko) 2012-10-18 2012-10-18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40A true KR20140049740A (ko) 2014-04-28

Family

ID=5065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924A KR20140049740A (ko) 2012-08-31 2012-10-18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7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323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323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US11262709B2 (en) 2014-08-25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figuring watch screen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US11327446B2 (en) 2014-08-25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figuring watch screen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776B1 (ko) 스케줄러 애플리케이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93746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based preferred media file
US8335496B1 (en) Playing local device information over a telephone connection
US201400253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texts
US825496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location based services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6633764B2 (ja) 動的情報表現システム、方法、装置及び端末
US2011017748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edia function and method
US20100325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rtual image world
KR101912177B1 (ko) 음성 인식 동적 사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G137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storing contact information to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geographical specific advertise
US20200178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nd annotating auditory signals from one or more parties
CN102868978A (zh) 获取通信系统中的用户设备的信息的方法和设备
CN112035031B (zh) 便签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763911A (zh) 一种视频播放的方法和终端
KR20140049740A (ko) 이동단말에서 다이어리 제공장치
WO2013160848A2 (en) User interface,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JP200831043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872075B1 (ko) 캐릭터 또는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스케줄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68447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CA2806485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based preferred media file
CN109408623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20086570A (ko) 화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서버
Marsden et al. Making technology invisible in the developing world
CN117061659A (zh) 内容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50119535A (ko) 메신저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