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329A - Drain trap - Google Patents

Drain 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329A
KR20140049329A KR1020120115455A KR20120115455A KR20140049329A KR 20140049329 A KR20140049329 A KR 20140049329A KR 1020120115455 A KR1020120115455 A KR 1020120115455A KR 20120115455 A KR20120115455 A KR 20120115455A KR 20140049329 A KR20140049329 A KR 2014004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base panel
water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to KR102012011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329A/en
Publication of KR2014004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ap for a laundry room, which is installed in a laundry room and can be used by connecting a washing machine hos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anel that is embedded on a floor surface; a water collecting vessel, whose opening/closing space on the side part is protruded to the outer side when it is embedded on the floor; an opening/closing unit that is to be inserted to the opening/closing space of the water collecting vessel for coupling; an overflow cup that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vessel when its upper border is secured to the stepped protrusion of the base panel; a horn tube, wherein more than one swirl induction uni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when the upper border is secured above the overflow cup; and a filtering net that is connected to a combining element, on which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to the washing machine hose to be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tagnant as the washing water is swirl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wirl induction unit on the lower part of the horn tube, and also prevents the black flow of bad smell and wastewater with the opening/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opening/closing space of the water collecting vessel.

Description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Drain trap}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본 발명은 세탁실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닥 위로 노출된 걸름망에는 세탁기 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하고, 바닥에 매립된 집수통에는 하나 이상의 하수관이 연결되도록 하되, 걸름망 하부의 나팔관의 하단을 통과하는 세탁수가 선회하면서 오버플로우 컵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물 빠짐이 원활하고, 상기 하수관이 연결된 집수통의 연결구를 개폐하여 악취 또는 오수의 역류를 보다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ap that is installed in the laundry room, specifically to be used by plugging the washing machine hose to the strainer net exposed on the floor, one or more sewage pipes are connected to the sump can be buried in the bottom, Regarding the drainage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is discharged to the overflow cup while smoothly draining the water,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ort of the sump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to more effectively block odor or backflow of sewage. will be.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베란다, 화장실, 목욕탕 또는 세탁실 등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생활 오수는 하수관으로 배출하면서 이물질은 걸러내도록 하고, 하수관으로부터 실내로 악취 및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세탁실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은 세탁기 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형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In general, the drain trap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floor of a porch, toilet, bathroom or laundry room, and it is form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while discharging the sewage into the sewage pipe, and to prevent odor and sewage from flowing back from the sewer pipe to the room. .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drain trap installed in the laundry room is provided to be used by inserting a washing machine hose.

이와 같은 종래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에 매립되면서 물이 모이도록 요입된 공간의 중앙에 결합구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내주연에는 단턱이 형성된 베이스 패널(10); 바닥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와 연결되고, 측부는 바닥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된 집수통(20); 상기 베이스 패널의 단턱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의 상부 측면에는 물이 넘쳐 상기 집수통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된 오버플로우 컵(30); 상기 오버플로우 컵 위에 안착되고, 하단이 상기 오버플로우 컵의 배수구 하부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로 모인 물이 하단을 경유하여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나팔관(40);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나팔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되, 중앙에는 세탁기 호스를 끼울 수 있도록 설치구가 형성된 걸름망(50);으로 구성된다.
Such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aundry room drain tra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ace concaved to collect water while being buried in the floor surface as shown in Figure 1, the coupling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is stepped Base panel 10; A sump 20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coupler of the base panel in a state buried in the bottom, and hav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o one or more sewer pipes embedded in the bottom; An overflow cup (30) installed inside the sump in a state seated on the step of the base panel, and having a drain hole so that water is overflowed into the sump at an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height; A fallopian tube 40 seated on the overflow cup, the lower end of which is lock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verflow hole of the overflow cup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base panel is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via the lower end;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fallopian tube, the center of the strainer 50 is formed to install the fitting so as to fit the washing machine hos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배수트랩은 세탁기 호스를 걸름망의 설치구에 끼운 후 세탁수를 배출시킬 때 갑자기 배출되는 세탁수가 나팔관의 하단을 통해 오버플로우 컵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정체되면서 걸름망 위로 역류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세탁수가 세탁실 바닥으로 넘치기 때문에 세탁 후 세탁실 바닥을 청소해야 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하여 상기 세탁기 호스를 끼워 사용하는 목적을 무색하게 한다. 또한, 상기 나팔관 하단에 정체되었던 물이 한꺼번에 오버플로우 컵으로 빠져나가면 울컥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세탁수가 다 배출될 때까지 반복해서 일어나면서 소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 시간을 상당히 지연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this type of drain trap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suddenly when draining the washing water after inserting the washing machine hose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strainer does not flow out smoothly into the overflow cup through the bottom of the fallopian tube and stagnates back into the strainer. This happens frequently. When such a phenomenon occurs, washing water overflows to the laundry room floor, resulting in inconvenience such as cleaning the laundry room floor after washing, thereby making the purpose of inserting the washing machine hose uncolor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stagnated at the bottom of the fallopian tube escapes to the overflow cup all at once, it generates a crying sound. Such a phenomenon occurs repeatedly until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generating noise, and draining time. There is a significant delay.

한편, 상기 집수통의 측면에는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어 오버플로우 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나 오수가 상기 연결구를 통해 집수통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집수통으로 유입된 악취나 오수는 상기 베이스 패널과 집수통의 연결부분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도 하고, 역류하는 수압이 높을 경우 오버플로우 컵과 나팔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mp is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is formed for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verflow cup, conventionally odor or sewage generated from the sewage pipe is introduced into the sump through the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odor or filthy water introduced into the sump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ase panel and the sump, o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verflow cup and the fallopian tube when the back pressure is high.

본 발명은 바닥 위로 노출된 걸름망에는 세탁기 호스를 꽂아 사용하도록 하고, 바닥에 매립된 집수통에는 하나 이상의 하수관이 연결되도록 하되, 걸름망 하부의 나팔관의 하단을 통과하는 세탁수가 선회하면서 오버플로우 컵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물 빠짐이 원활하고, 상기 하수관이 연결된 집수통의 연결구를 개폐하여 악취 또는 오수의 역류를 보다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to plug the washing machine hose to the net exposed to the floor, one or more sewage pipes are connected to the sump can be buried in the bottom, while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allopian tube of the bottom of the net is discharged to the overflow cup It is to provide a drainage trap for the laundry room installation so that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ort of the sump pipe connected to the sewer pipe to more safely block the backflow of odor or filthy water.

본 발명은 세탁실에 설치되어 세탁기 호스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바닥 표면에 매립되면서 물이 모이도록 요입된 공간의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내주연에는 단턱이 형성된 베이스 패널; 바닥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와 연결되고, 측부에는 바닥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측부에는 개폐공간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간으로부터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돌출 형성된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개폐공간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개폐틀과 상기 개폐틀의 외측 상부 양측에 축 결합하여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내부의 물은 배출시키고 외부의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개폐판으로 형성된 개폐유닛; 상기 베이스 패널의 단턱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의 상부 측면에는 물이 넘쳐 상기 집수통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된 오버플로우 컵; 상기 오버플로우 컵 위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오버플로우 컵의 바닥에 닿도록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된 하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선회 유도구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돌출된 선회 유도구의 끝단은 상기 오버플로우 컵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로 모인 물이 상기 선회 유도구를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 컵으로 통과하면서 일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형성된 나팔관;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나팔관으로 출입을 차단하되, 중앙에는 세탁기 호스를 끼울 수 있도록 설치구가 형성된 걸름망;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trap for a laundry room installation is installed in the laundry room to be plugged into the washing machine hose, the coupl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ace concaved to collect water while being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he coupler A base panel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In the state buried inside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on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one or more sewage pipes embedded in the bottom, the side connected to the sewer pipe opening and closing space protruding to the outside, A sump with a connector for projecting a sewer pipe from the space; Opening and closing frame for coupl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of the sump and the shaf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y self-weight is formed a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discharge the internal water and block the backflow of odor and sewage outsid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overflow cup installed inside the sump in a state where an upper edg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base panel, and an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height overflowing water to discharge the sump into the sump; Th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to reach the bottom of the overflow cup in a state that the upper edge is seated on the overflow cup, the one side of the extended lower protruding to form one or more turning guides to the outside, the protrusion An end of the revolving induction hole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verflow cup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base panel pivots in on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revolving induction port to the overflow cup; And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to block the entrance to the fallopian tube, the center of the strainer is formed so that the fitting hole can be fitted into the washer hose;

상기 개폐유닛의 개폐틀은 외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from the outer top to the bottom.

상기 개폐유닛의 개폐틀 또는 개폐판의 상호 접하는 테두리 면에 결합되는 밀폐용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sealing for sealing coupled to the bord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상기 나팔관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팔관의 내부 중심에 임의의 관을 끼워 고정하면서 상기 관 주변으로 물이 빠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llopian tub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ne or more fixing ribs formed so as to drain the water around the tube while fixing any tube in the inner center of the fallopian tube.

상기 걸름망은 상기 설치구에 결합되고, 상기 세탁기 호스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rainer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ort, and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washing machine hose.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 상측 내주연에는 레일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홈 양측에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개구를 통해 레일 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걸름망 상부에는 상기 걸름망을 돌리기 위한 손잡이 돌기가 형성된다.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a cutout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ail groove in a state in which a rail groove is formed, and in a state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strainer to fit into the rail groove through the cutout. The upper part of the strainer is formed with a handle projection for turning the strainer.

본 발명의 세타실 설치용 배수트랩에 의하면 걸름망에 세탁기 호스를 꽂은 상태로 많은 량의 세탁수를 한꺼번에 배출시키더라도 상기 나팔관 하부의 선회 유도구를 통해 세탁수가 선회하면서 배출되어 세탁수의 정체를 방지하기 때문에 세탁수가 세탁실 바닥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아울러, 상기 집수통의 개폐공간에 설치된 개폐유닛이 오수의 배출은 원활하게 하면서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오수와 악취의 역류로부터 더욱 안전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rainage trap for theta room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t once while the washing machine hose is plugged into the strainer,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urning induction hole under the fallopian tube to prevent stagnation of the washing water.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laundry room floor,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opening / closing space of the sump can smoothly discharge the effluent and blocks the odor and the backflow of the filthy water, thereby making it safer from the backflow of the filthy water and the odor. It works.

도 1은 종래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집수통과 개폐유닛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개폐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개폐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오버플로우 컵과 나팔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오버플로우 컵과 나팔관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오버플로우 컵과 나팔관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베이스 패널과 걸름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의 베이스 패널과 걸름망을 도시한 측단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a conventional laundry room installation.
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a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contain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flow cup and fallopian tube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flow cup and fallopian tube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verflow cup and fallopian tube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anel and the strainer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e panel and the strainer of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은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에 매립되는 베이스 패널(100), 바닥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측부에는 개폐공간(210)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집수통(200), 상기 집수통의 개폐공간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개폐유닛(300), 상기 베이스 패널의 단턱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컵(400), 상기 오버플로우 컵 위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단에 하나 이상의 선회 유도구(510)가 형성된 나팔관(500)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에 결합되면서 세탁기 호스를 끼울 수 있도록 설치구(610)가 형성된 걸름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nel 100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2 to 11, in the state buried inside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protruding outward to the outside (20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for fitting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of the sump, the overflow cup 400 installed inside the sump in a state where the upper edge is seated on the step of the base panel, the over In the state that the upper rim is seated on the flow cup at least one turning guide hole 5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allopian tube 500 and the coupling net formed with the mounting hole 610 to fit the washing machine hose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of the base panel And 600.

상기 베이스 패널(100)은 세탁실의 바닥 표면에 매립되면서 물이 모이도록 요입된 공간의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결합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0) 내주연에는 단턱(120)이 형성된된다. 상기 결합구(110) 외면에는 상기 집수통(200)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110) 내부의 단턱(120)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이 안착되며, 그 위로 상기 나팔관(500) 및 걸름망(600)이 올려진다. The base panel 100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room, the coupling hole 110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ace concaved to collect water, the stepped portion 120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device 110 Is formed. The sump 200 i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110, and the overflow cup 400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20 of the coupler 110, and the fallopian tube 500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strainer 600 is raised.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결합구(110)에는 상기 걸름망(600)을 끼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역류하는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 컵(400)과 나팔관(500) 및 걸름망(600)이 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실시 예로서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결합구(110) 상측 내주연에는 레일 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 홈(130) 양측에는 위로 개방되게 하는 절개구(140)를 형성하여 상기 걸름망(600) 양측에 돌출된 고정돌기(610)를 절개구(140)에 끼운 후 레일 홈(130)을 따라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By fitting the strainer 600 to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base panel 100, the overflow cup 400, the fallopian tube 500, and the strainer 600 are not lifted or pulled out by a countercurrent hydraulic pressure. For example, the rail groove 130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base panel 100, and the incision opening 14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ail groove 130. The fixing projections 61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trainer 600 are inserted into the incision 140 and then rotated along the rail groove 130 to be fixed.

상기 집수통(200)은 바닥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결합구(110)와 연결되고, 측부에는 바닥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측부에는 개폐공간(210)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간(210)으로부터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2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통(200)은 상기 개폐유닛(300)을 내부로부터 개폐공간(210)으로 밀어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공간(210)은 사각 박스 형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공간(2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결구(220)는 원통 형태로 형성한다.
The sump 200 is connected to the coupler 110 of the base panel 100 in the upper part in the state buried in the bottom, and connected to one or more sewage pipes buried in the bottom, the connection to the sewage pip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connector 220 for connecting the sewage pip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is formed. Therefore, the sump 200 is installed by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from the inside.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box-shaped space, the connector 220 formed in fro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개폐유닛(300)은 상기 집수통(200)의 개폐공간(210)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개폐틀(310)과 상기 개폐틀(310)의 외측 상부 양측에 축 결합하여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내부의 물은 배출시키고 외부의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개폐판(320)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판(320)이 개폐틀(310)의 외측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열리도록 하여, 개폐판(320)은 자중에 의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유닛(300)은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하수관으로부터 오수가 역류하더라도 개폐판(320)이 열리지 않기 때문에 오수의 역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세탁실에서 버려진 물이 집수통(200)으로 모이면 집수통(200) 내부의 수압에 의해 개폐판(320)이 열리면서 세탁수는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and the outer upper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to be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210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200 by closing its own weight inside Water is discharged and is formed a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to block the backflow of odor and sewage of the outside.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is opened from the bottom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is always kept closed by its own weight.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primarily prevents the odor from flowing back from the sewage pipe, and even if the sewage flows back from the sewage pip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is not opened, thereby preventing backflow of the sewage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discarded water in the laundry room is collected into the sump 200,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is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sump 200, and the washing water is smoothly discharged.

상기 개폐유닛(300)은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틀(310)이 외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여 개폐판(320)이 개폐틀(310)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6,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6. Keep it intact.

또한, 상기 개폐유닛(300)의 개폐틀(310) 또는 개폐판(320)의 상호 접하는 테두리 면에는 밀폐용 패킹(330)을 결합하여 기밀성을 더욱 높인다.
In addition, the sealing surface 330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10 or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to further enhance the airtightness.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단턱(120)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200)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의 상부 측면에는 물이 넘쳐 상기 집수통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구(4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항상 담아둘 수 있고, 그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상기 배수구(410)를 통해 넘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집수통(20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The overflow cup 400 is installed inside the sump 200 in a state where an upper edg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20 of the base panel 100, and the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height overflows the water sump. A drain 410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 Therefore, the overflow cup 400 may always hold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in, and when more water is introduced, it overflows through the drain 4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200.

상기 나팔관(500)은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 위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의 바닥에 닿도록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된 하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선회 유도구(510)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돌출된 선회 유도구(510)의 끝단은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로 모인 물이 상기 선회 유도구(510)를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으로 통과하면서 일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선회 유도구(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관(500)으로 유입된 물이 나팔관(500) 하부를 통해 오버플로우 컵(400)으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물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회 유도구(510)는 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팔관(500)의 측면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물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직선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선회 유도구(510)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형성하면서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면을 하부면이 개방된 반원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The fallopian tube 50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o reach the bottom of the overflow cup 400 in a state where the upper edge is seated on the overflow cup 400,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extended bottom The turning induction hole 51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end of the protruding turning induction hole 51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flow cup 400, the water collected in the base panel 100 is It is formed to turn in on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turning induction hole 510 to the overflow cup 400. That is, the turning induction hole 510 rotates in one direction in the process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allopian tube 500 exits the overflow cup 400 through the lower fallopian tube 500 as shown in FIG. 8. To induce flow. At this time, the turning guide port 51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form from the side of the fallopian tube 500 as shown in Figure 8, in a straight form in the range that the water can rotat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ddition, the turning guide port 51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open while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with the lower surface open.

이와 같은 나팔관(500)은 상부가 호퍼 형태로 벌어져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의 상부를 커버하고, 하부는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팔관(500)은 상기 오버플로우 컵(400)의 상부를 막고 있고 하단은 오버플로우 컵(400)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이므로 상기 배수구(410)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더라도,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fallopian tube 50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pper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cup 400, the lower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verflow cup 400. Therefore, the fallopian tube 500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overflow cup 400 and the lower part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overflow cup 400, so that even if the odor flows back through the drain hole 410, Block it.

한편, 상기 나팔관(50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52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 리브(520)는 상기 나팔관(500)의 내부 중심에 임의의 관을 끼워 고정하면서 상기 관 주변으로 물이 빠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임의의 관은 세탁기 호스가 될 수 있고, 세탁기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allopian tube 5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fixing ribs 520, the fixing rib 520 is fixed to any tube in the inner center of the fallopian tube 500 while fixing water around the tube It is formed to fall out. The optional tube may be a washer hose or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washer hose.

상기 걸름망(6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결합구(110)에 결합되어 상기 나팔관(500)을 차단하되, 중앙에는 세탁기 호스를 끼울 수 있도록 설치구(6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름망(600)은 세탁기 호스를 끼워 세탁수가 세탁실 바닥에 흐르지 않고 바로 나팔관(50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오수나 악취가 세탁실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다.The strainer 6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base panel 100 to block the fallopian tube 500, but the installation hole 610 is formed in the center to fit the washing machine hose. That is, the strainer 600 inserts a washing machine hose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allopian tube 500 without flowing to the floor of the laundry room, and blocks the sewage or odor from rising above the laundry room.

이때, 상기 걸름망(600)은 상기 설치구(610)에 결합하여 상기 세탁기 호스를 보다 편리하게 끼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620)은 일측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걸름망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trainer 6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member 620 in the form of a pipe for coupling the washing machine hose more conveniently by coupling to the installation hole 610. The connecting member 620 may be formed to be bent in one side and may be rotated from the strainer.

한편, 상기 걸름망(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결합구(110)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름망(600)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개구(140)를 통해 레일 홈(130)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63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600) 상부에는 상기 걸름망(600)을 돌리기 위한 손잡이 돌기(6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름망(600)의 고정돌기(630)를 베이스 패널(100)의 절개구(140)에 맞춰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돌기(640)를 잡고 일측으로 돌리면 상기 고정돌기(630)가 레일 홈(130)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trainer 600 is preferably fixed to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base panel 100,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the incision 140 is formed on both edges of the strainer 600. A fixing protrusion 630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130, and a handle protrusion 640 for turning the strainer 600 is formed on the strainer 600. Therefore, while holding the handle protrusion 64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rotrusion 630 of the strainer 600 is 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cutout 140 of the base panel 100, the fixing protrusion 630 is turned into a rail groove. It is inserted into 130 does not fal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름망(600)에 세탁기 호스를 꽂은 상태로 많은 량의 세탁수를 한꺼번에 배출시키더라도 상기 나팔관(500) 하부의 선회 유도구(510)를 통해 세탁수가 선회하면서 배출되어 세탁수의 정체를 방지하기 때문에 세탁수가 세탁실 바닥으로 넘치는 것을 막고, 상기 집수통(200)의 개폐공간(210)에 설치된 개폐유닛(300)이 오수의 배출은 원활하게 하면서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오수와 악취의 역류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washing machine is plugged into the strainer 600,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while turn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turning guide hole 510 of the lower fallopian tube 500 even whe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t once. Since the washing water prevents the congestion of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laundry room floor,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300 installed in the opening / closing space 210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200 smoothly discharges the wastewater while the backflow of the odor and the wastewater. Because it blocks the, it will be more safe from the backflow of sewage and odor.

100: 베이스 패널 110: 결합구
120: 단턱 130: 레일 홈
140: 절개구
200: 집수통 210: 개폐공간
220: 연결구
300: 개폐유닛 310: 개폐틀
320: 개폐판
400: 오버플로 컵 410: 배수구
500: 나팔관 510: 선회 유도구
520: 고정 리브
600: 걸름망 610: 설치구
620: 연결부재 630: 고정돌기
640: 손잡이 돌기
100: Base panel 110: Coupling port
120: step 130: rail groove
140: incision
200: reservoir 210: opening and closing space
220: connector
300: opening and closing unit 310: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opening and closing board
400: overflow cup 410: drain
500: fallopian tube 510: turning guide
520: fixed rib
600: strainer 610: mounting holes
620: connecting member 630: fixing protrusion
640: turning the handle

Claims (6)

세탁실에 설치되어 세탁기 호스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바닥 표면에 매립되면서 물이 모이도록 요입된 공간의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내주연에는 단턱이 형성된 베이스 패널;
바닥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와 연결되고, 측부에는 바닥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측부에는 개폐공간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간으로부터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돌출 형성된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개폐공간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개폐틀과 상기 개폐틀의 외측 상부 양측에 축 결합하여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내부의 물은 배출시키고 외부의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개폐판으로 형성된 개폐유닛;
상기 베이스 패널의 단턱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의 상부 측면에는 물이 넘쳐 상기 집수통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된 오버플로우 컵;
상기 오버플로우 컵 위에 상단 테두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오버플로우 컵의 바닥에 닿도록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된 하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선회 유도구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돌출된 선회 유도구의 끝단은 상기 오버플로우 컵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로 모인 물이 상기 선회 유도구를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 컵으로 통과하면서 일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형성된 나팔관;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나팔관으로 출입을 차단하되, 중앙에는 세탁기 호스를 끼울 수 있도록 설치구가 형성된 걸름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In the laundry room installation drain trap formed in the laundry room to be plugged into the washing machine hose,
A base panel having a coupler protruding downward from a center of the space confined to the water while being embedded on a bottom surface,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er;
In the state buried inside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on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one or more sewage pipes embedded in the bottom, the side connected to the sewer pipe opening and closing space protruding to the outside, A sump with a protruding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ewer pipe from the space;
Opening and closing frame for coupl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of the sump and the shaf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y self-weight is formed a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discharge the internal water and block the backflow of odor and sewage outsid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overflow cup installed inside the sump in a state where an upper edge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base panel, and an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height overflowing water to discharge the sump into the sump;
Th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to reach the bottom of the overflow cup in a state that the upper edge is seated on the overflow cup, the one side of the extended lower protruding to form one or more turning guides to the outside, the protrusion An end of the revolving induction hole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verflow cup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base panel pivots in on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revolving induction port to the overflow cup; And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anel to block the entrance to the fallopian tube, in the center of the trapping net formed with an installation port so as to fit the washing machine hose; Drain trap for the laundry room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의 개폐틀은 외측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The drain trap for laundry room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frame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from the outer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의 개폐틀 또는 개폐판의 상호 접하는 테두리 면에 결합되는 밀폐용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The drain trap for a laundry room installa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acking coupled to a bord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or the opening / clos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팔관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팔관의 내부 중심에 임의의 관을 끼워 고정하면서 상기 관 주변으로 물이 빠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llopian tube,
And one or more fixing ribs formed on an inner side and formed to drain water around the tube while inserting and fixing an arbitrary tube in the inner center of the fallopian t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은,
상기 설치구에 결합되고, 상기 세탁기 호스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ainer,
And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ort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 washing machine hose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 상측 내주연에는 레일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홈 양측에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절개구를 통해 레일 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걸름망 상부에는 상기 걸름망을 돌리기 위한 손잡이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ase panel is formed with cutouts on both sides of the rail gro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rail groove is formed,
Washing room installation drain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rojections for rotating the straine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rojection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through the incision opening on both sides of the strainer.
KR1020120115455A 2012-10-17 2012-10-17 Drain trap KR201400493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55A KR20140049329A (en) 2012-10-17 2012-10-17 Drain 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55A KR20140049329A (en) 2012-10-17 2012-10-17 Drain 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29A true KR20140049329A (en) 2014-04-25

Family

ID=5065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455A KR20140049329A (en) 2012-10-17 2012-10-17 Drain 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3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5043A (en) * 2018-08-16 2018-11-09 西南科技大学 A kind of flushing system based on b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5043A (en) * 2018-08-16 2018-11-09 西南科技大学 A kind of flushing system based on bu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129C2 (en) Discharge device for wash sink
KR101757620B1 (en) Waste trap for preventing backflow of foul smell
KR100538651B1 (en) Apparatus for drain sewage
KR101699850B1 (en) waste trap for bathtub
KR20110018071A (en) Settling tank for sewer
KR101415952B1 (en) Drain trap
KR200383882Y1 (en) A sewage tool
KR20140049329A (en) Drain trap
KR100895271B1 (en) Drain trap combined with coupling socket
KR200327344Y1 (en) A draining trap capable of installation and division
JP4872055B2 (en) Drain trap
KR101272416B1 (en) Drainage manhole
KR101422804B1 (en) a drain trap
KR200461517Y1 (en) anti-stench apparatus for a drain teap of sink
KR101109290B1 (en) A plural jointing type draining device of sink with U trap
KR101170813B1 (en) Structure Of Drain Trap
KR20090106677A (en) Washstand drainage pipe blockage preventing filtering implement
KR20180122109A (en) Exposed drain trap in washbasin
KR200292701Y1 (en) A singk for draining structure
KR20050095067A (en) Strench exclusion and sewbage trapper
KR200351785Y1 (en) Vanity assembly lower cover with access opening
KR20100005037U (en) Drain Trap Combined with Coupling Socket
KR200371721Y1 (en) Drainer of sink
KR200356294Y1 (en) Strench exclusion and sewbage trapper
KR200169068Y1 (en) An apparatus of a drain for bath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