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252A -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252A
KR20140049252A KR1020120115279A KR20120115279A KR20140049252A KR 20140049252 A KR20140049252 A KR 20140049252A KR 1020120115279 A KR1020120115279 A KR 1020120115279A KR 20120115279 A KR20120115279 A KR 20120115279A KR 20140049252 A KR20140049252 A KR 2014004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un
sentence
phrase
noun phrase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석
Original Assignee
임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석 filed Critical 임근석
Priority to KR102012011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252A/ko
Publication of KR2014004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에 따라, "제 1 명사구 + 동사구 + 제 2 명사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는 제 3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1 명사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제 2 명사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English education direct reading- direct translation method based on displaying part of speech in total sentence and on-line edu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법칙을 바탕으로 한 영어문장 직독직해 교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어 문장에 쓰이는 품사위치에 따라 우리말의 조사를 연결해 주는 직독직해의 학습을 제공하여 독해에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영어식 어순감각을 훈련하기 위한 전체 문장구조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영어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를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국어 어순과 거의 정반대인 영어 어순(품사배열)을 제대로 터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영어의 4가지 영역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영어 어순 감각 극복이라는 데에 있다.
예를 들어 To부정사가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고 동사원형-ing가 문장에서 명사나 형용사로 쓰이는 것처럼 문장에 쓰인 품사를 알아야 문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어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로 이루어진 영어 학습에 있어서 품사를 통해 구조를 파악하고, 해석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제시해주고 있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학생들은 영어 문장에서 다양하게 쓰여지는 각 단어의 품사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해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문장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영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Method for learning english and online learning system using the same)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3768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어 문장에서 쓰이는 단어(품사)의 위치에 우리말의 조사를 연결해 주는 직독직해의 학습을 제공하여 독해에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영어식 어순감각을 훈련하기 위한 영어 문장구조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은,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에 따라, "제 1 명사상당어구 + 동사구 + 보충어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는 제 3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보충어구 ( )"의 질문 문장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형용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서의 상기 보충어구에 해당하는 형용사를 "하다" 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제 2 명사상당어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인 상기 대명사는 상기 제 2 명사구"이다"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보충어구(전치사 + 명사상당어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be동사 + 보충어구(부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상당어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일반동사 + 제 2 명사상당어구"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상당어구는 동사다 제 2 명사상당어구"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일반동사 + 보충어구(명사2 + 명사3)"의 구조로 명사2과 명사3가 같지 않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는 동사다 명사2"에게" 명사3"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보충어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1 + 일반동사 + 보충어구(명사2 + 명사3)"의 구조로 명사2과 명사3가 같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2"를" 명사3"이라고"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영문교육서버로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을 수행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제 1 명사상당어구 + 동사구 + 보충어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며,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고, 상기 보충어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는, "상기 제 1 명사상당어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보충어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고,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영어 문장에서 쓰이는 단어에서 우리말의 조사를 연결해 주는 직독직해의 학습을 제공하여 독해에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영어식 어순감각을 잡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유형 학습을 통해 각 실시예별 및 문장 유형별 동사구 및 명사구가 어떤 실시예 및 유형의 의미로 해석되는지 순간적으로 대입 비교하게 하고, 각 제1명사구, 동사구 및 제2명사구 순인 영문어순으로 바로 파악하게 하여 의미를 이해시키며, 가장 핵심인 각 동사구 및 명사구가 문장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지, 주어진 문장이 어떤 실시예 유형의 문장에 해당되는지를 속도감있게 바로 분석하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온라인 영문교육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온라인상에서 음성설명을 통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예시문을 보여주는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 통신망(20) 및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10)은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7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사용자단말(10),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 및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서비스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송수신부(31), 제어부(32), 영어문장 제공모듈(33) 및 데이터베이스(34)를 포함한다. 영어문장 제공모듈(33)은 기본문장 제공수단(33a), 품사해석수단(33b) 및 문제제공 및 채점수단(33c)을 포함한다. 이하, 영어문장 제공모듈(33)의 구성을 중심으로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본문장 제공수단(33a)은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 뒤,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제 1 명사구 + 동사구 + 제 2 명사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추출한 뒤, 품사해석수단(33b)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 1 명사구, 제 2 명사구는 두 개 이상의 명사로 형성 가능하며, 동사구도 동사+전치사, 동사 숙어로 형성가능하다.
품사해석수단(33b)은 기본문장 제공수단(33a)에서 추출된 기본 영어 문장에서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한다.
품사해석수단(33b)은 동사구에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한다.
품사해석수단(33b)은 제 2 명사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데이터베이스(34)에서 추출하여 기본문장 제공수단(33a)에 의해 추출된 기본 영어 문장에 대한 해석 문장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품사해석수단(33b)에서 해석 문장 생성의 실제의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품사해석수단(33b)은 "제 1 명사구 (은, 는, 이, 가) + 동사구 (-다)" 를 기본구조로 동사구는 시제를 결정한다. 시제의 결정 예는 하기와 같다.
ex1) I study English everyday. -> 나(는) 공부(한다) 영어(를) 매일 (동사가 현재-다)
ex2) I will study English tomorrow. -> 나(는) 공부(할 것이다) 영어(를) 내일(동사가 미래-다)
ex3) I studied English yesterday. -> 나(는) 공부(했다) 영어(를) 어제 (동사가 과거-다 )
품사해석수단(33b)은 보충어구의 형태에 따라 하기의 예와 같은 해석 문장을 형성한다.
<실시예 1>
You are smart.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형용사(보충어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제1명사상당어구는 형용사"하다" 로 해석한다. 즉, You는 smart"하다"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2>
You are a student.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명사(보충어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제 1 명사구인 (대)명사는 보충어구"이다"로 해석한다. 즉, You는 s student"이다"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3>
We are in the academy.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be동사 + (전치사 + 명사)-보충어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제 1 명사상당어구는 있다 "~에"로 해석한다. 즉, We는 있다 academy"에"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4>
I am here.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be동사 + 부사(보충어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제 1 명사구는 있다 "~에"로 해석한다. 즉, I는 있다 here"에"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5>
I love you.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일반동사 + 제2 명사상당어구(보충어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제 1 명사구는 동사다 제 2 명사구"를"로 해석한다. 즉, I는 love한다 you"를"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6>
I will give you an English book.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일반동사 + 보충어구(명사1 + 명사2)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명사1과 명사2가 같지 않은 경우,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1"에게" 명사2"를"로 해석한다. 즉, I는 give 할 것이다 you"에게" an English book"을"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시예 7>
I call you Sarang.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일반동사 + 보충어구(명사1 + 명사2)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명사1과 명사2가 같은 경우, I는 call한다 you"를" Sarang"이라고"로 해석한다.
한편, 하기와 같은 부가적인 실시예를 품사해석수단(33b)는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You makes me happy.
대명사(제 1 명사상당어구) + 일반동사 + 보충어구(명사2 + 형용사)인 경우 명사2 다음에 형용사는 명사2의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9>
You makes me smile. (동사원형)
You wants me to go outside together. (to부정사)
I am seeing him standing by me. (현재분사)
제 1 명사상당어구 + 동사구(일반동사) + 보충어구 (명사2 + 동사원형, to부정사, 현재분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보충어구 다음에 (동사원형, to부정사, 현재분사)가 오면 명사2가 (동사원형, to부정사, 현재분사에 있는) 동사를 능동적으로 행하도록 해석한다.
<실시예 10>
I got my finger broken yesterday.
제 1 명사구 + 동사구(일반동사) + 보충어구 (명사2+ 과거분사)의 구조에 대한 해석 문장은, 명사2 다음에 과거분사가 오면 명사2가 과거분사의 동사를 당하도록 해석한다.
문제제공 및 채점수단(33c)은 "제 1 명사구 ( ) + 동사구 ( ) + 보충어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문제제공 및 채점수단(33c)은 품사해석수단(33b)에 의해 생성된 해석 문장과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이러한 영어교육방법은 반복 유형 학습을 통해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10까지의 문장 유형별 동사구 및 명사구가 어떤 실시예 및 유형의 의미로 해석되는지 순간적으로 대입 비교하게 하고, 각 제1명사구, 동사구 및 제2명사구 순인 영문어순으로 바로 파악하게 하여 의미를 이해시키며, 가장 핵심인 각 동사구 및 명사구가 문장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지, 주어진 문장이 어떤 실시예 유형의 문장에 해당되는지를 속도감있게 바로 분석하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에 따라, 제 1 명사구 + 동사구 + 보충어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추출한다(S11).
단계(S11) 이후,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단계(S11)에서 추출된 기본 영어 문장에서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한다(S12).
단계(S12) 이후,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동사구는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한다(S13).
단계(S13) 이후,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보충어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데이터베이스(34)에서 추출하여 단계(S11)에서 추출된 해석 문장을 생성한다(S14).
단계(S14) 이후,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제 1 명사구 ( ) + 동사구 ( ) + 보충어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한다(S15).
단계(S15) 이후, 온라인 영문교육서버(30)는 단계(S14)에 따른 해석 문장과 단계(S15)에 따른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S16).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또한, 본 발명에서 온라인 영문교육서버는 강의자인 선생님으로 대체되거나, 그 주체로 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은 학생으로 대체되거나, 그 주체로 되어 본 영문교육방법이 실시될 수 있고, 온라인 교육시스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영문 문장의 각 실시예의 교육 및 설명별로 교육 현장 또는 온라인 교육시스템상에서 시각적으로 영문 배열 및 표기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청각적으로 음성 발음을 통해 보다 더 각인될 수 있도록 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더 효율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4a 내지 도4d는 온라인에서 음성설명을 통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예시문을 보여주는 참고도로서, 상기한 교육방법 및 다양한 예문들을 보여준다.
도4a 내지 도4d의 설명에서 명사(상당어구)는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 동명사, 부정사의 명사적용법 등 명사의 역활을 할 수 있는 모든 말을 통칭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사용자단말
20: 통신망
30: 온라인 영문교육서버
31: 송수신부
32: 제어부
33: 영어문장 제공모듈
33a: 기본문장 제공수단
33b: 품사해석수단
33c: 문제제공 및 채점수단
34: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에 따라, "제 1 명사구 + 동사구 + 제 2 명사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는 제 3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1 명사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제 2 명사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형용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서의 상기 제 2 명사구에 해당하는 형용사를 "하다" 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구인 상기 대명사는 상기 제 2 명사구"이다"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전치사 포함 명사(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be동사 + 부사(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구는 동사다 제 2 명사구"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명사1 + 명사2)"의 구조로 명사1과 명사2가 같지 않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1"에게" 명사2"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명사1 + 명사2)"의 구조로 명사1과 명사2가 같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1"을" 명사2"이라고"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9.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의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에 따라, "제 1 명사구 + 동사구 + 제 2 명사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는 제 3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1 명사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제 2 명사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제 2 명사구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형용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서의 상기 제 2 명사구에 해당하는 형용사를 "하다" 로 해석하고,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구인 상기 대명사는 상기 제 2 명사구"이다"로 해석하며,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be동사 + 전치사 포함 명사(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상기 제 1 명사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고,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be동사 + 부사(제 2 명사구)" 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구는 있다 "~에"로 해석하며,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의 구조인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제 1 명사구는 동사다 제 2 명사구"를"로 해석하고,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명사1 + 명사2)"의 구조로 명사1과 명사2가 같지 않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1"에게" 명사2"를"로 해석하며,
    상기 기본 문장이 "대명사(제 1 명사구) + 일반동사 + 제 2 명사구(명사1 + 명사2)"의 구조로 명사1과 명사2가 같은 경우 상기 해석 문장에 대명사(제 1 명사구)는 동사다 명사1"을" 명사2"이라고"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10. 사용자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영문교육서버로 영문 온라인 교육 요청을 수행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제 1 명사구 + 동사구 + 제 2 명사구"를 기초로 하는 기본 영어 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상기 기본 영어 문장에서 상기 제 1 명사구를 "은, 는, 이, 가" 중 하나로 해석하며, 상기 동사구를 시제를 적용한 "-다"로 해석하고, 상기 제 2 명사구에 따른 해석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석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는,
    "상기 제 1 명사구 ( ) + 상기 동사구 ( ) + 상기 제 2 명사구 ( )"의 질문 문장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여 3개의 괄호의 답변을 포함하는 답변 문장을 수신하고, 상기 온라인 영문교육서버가 상기 해석 문장과 상기 답변 문장을 비교하여 채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 문장 파악 방식의 영문 교육 방법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1020120115279A 2012-10-17 2012-10-17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20140049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79A KR20140049252A (ko) 2012-10-17 2012-10-17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79A KR20140049252A (ko) 2012-10-17 2012-10-17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52A true KR20140049252A (ko) 2014-04-25

Family

ID=5065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79A KR20140049252A (ko) 2012-10-17 2012-10-17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2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09A (ko) * 2017-11-30 2019-06-10 김광수 다수의 상이한 표시객체로 표시하는 영어문장 의미파악 훈련 제어방법
CN113366484A (zh) * 2018-11-19 2021-09-07 因韦克有限责任公司 用于解释自然语言句子的神经网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09A (ko) * 2017-11-30 2019-06-10 김광수 다수의 상이한 표시객체로 표시하는 영어문장 의미파악 훈련 제어방법
CN113366484A (zh) * 2018-11-19 2021-09-07 因韦克有限责任公司 用于解释自然语言句子的神经网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ngranu Errors in translation made by English major students: A study on types and causes
Myhill et al. Playful explicitness with grammar: A pedagogy for writing
Wu et al. Types and attributes of English writing errors in the EFL context-A study of error analysis
Shaalan 1 An intelligent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system for Arabic learners
Dipolog-Ubanan L1 Influence on Writing in L2 among UCSI Chinese Students: A Case Study.
Lee et al. The use of English prepositions in lexical bundles in essays written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Volodina et al. A flexible language learning platform based on language resources and web services.
Koletnik Expanding vocabulary through translation–An eclectic approach
Hirata et al. Applying ‘Sketch Engine for language learning’in the Japanese English classroom
Fontich Should we teach first language grammar in compulsory schooling at all? Some reflections from the Spanish perspective
Villanueva et al. Effects of code switching among college instructors and students in a Philippine classroom setting
Cons The use and misuse of academic words in writing: Analyzing the writing of secondary English learners and redesignated learners
KR20140049252A (ko)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품사 배열 방식을 바탕으로 한 직독직해 교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20210023288A (ko) 학문적 글쓰기를 위한 문법 및 작문 규칙 기반 논문 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e et al. Expanding students’ registerial repertoire with a writing assistance tool
Handford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language and social context in the language classroom: Interpersonal turn taking for ELF learners
Ramothwala et al. Translanguaging in a Northern Sotho classroom: A case study of Khelobedu-speaking learners and their teachers in the Foundation Phase in Mopani District
Bluemel Pedagogical applications of Chinese parallel corpora
Ferreira et al. Using computational resources on bilingual deaf literacy: an analysis of benefits, perspectives and challenges
Çakır et al. The Effect of Machine Translation on Translation Classes at the Tertiary Level
Frankel et al. Navigable, customizable TTS for algebra
Adika et al. A study of the relative clause as a modifier in two Ghanaian newspapers
Fuyuno The usage of psychological passives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A corpus-based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Ezemba et al. An analysis of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amongst students of our Lady of Mount Carmel College Muea-Buea in Cameroon
Tarnanen et al. Studying in comprehensive school with low second language writing pro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