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187A -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187A
KR20140049187A KR1020120114921A KR20120114921A KR20140049187A KR 20140049187 A KR20140049187 A KR 20140049187A KR 1020120114921 A KR1020120114921 A KR 1020120114921A KR 20120114921 A KR20120114921 A KR 20120114921A KR 20140049187 A KR20140049187 A KR 2014004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uid
dimensional
communication termina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준
김진현
김철문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에프컨설팅
동남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에프컨설팅, 동남이엔씨(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에프컨설팅
Priority to KR102012011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187A/ko
Publication of KR2014004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6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natural phenomena, e.g. rain, snow, water or p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24Fluid dyn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데스크탑컴퓨터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앱, App) 프로그램나 웹(Web)을 이용해서 지리정보와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데이터 및 유체데이터를 입력하여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결과를 원격으로 전송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통신망(20)을 통해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 및 유체정보, 해석범위를 입력하고, 렌더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말기(10);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부(34)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수정부(32);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로부터 가공된 지형데이터, 구조물데이터, 유체정보, 해석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34);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에 의해 지형과 구조물을 각각의 3차원객체로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고, 격자형태의 모델링에 유체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부(42); 전처리부(42)에서 형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에서 출력되는 모의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부(4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Mobile and web-based three-dimensional fluid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데스크탑컴퓨터 등과 같은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앱, App) 프로그램나 웹(Web)을 이용해서 지리정보와 구조물에 대한 3차원데이터 및 유체데이터를 입력하여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결과를 원격으로 전송받아 재해예방설계, 하천구조물설계, 영화, 게임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발생빈도와 그 피해규모는 해마다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지구촌은 매해 천문학적인 재산피해와 많은 수의 사망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해안홍수, 돌발홍수, 하천홍수, 도시홍수와 같이 크게 4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해안홍수의 경우는 대부분 강한 호우를 동반한 태풍에 의해 발생되며, 많은 강우를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바닷물을 지상으로 밀어 올려 모래사장이나 해안가에 위치한 건물들을 밀려온 바닷물에 의해 침수시키거나 휩쓸어버리기도 하며, 해양에서 발생한 화산폭발이나 지진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높은 파도인 쓰나미도 일종의 해안홍수에 해당되며 이러한 쓰나미는 내륙 깊숙한 지역까지 침투하여 대규모 인명피해를 낳기도 한다.
두 번째, 돌발홍수는 경사가 급한 계곡에서 많은 비가 짧은 기간 동안에 집중될 때, 계곡에 모인 빗물이 쌓여 높은 수위의 홍수파를 형성한 후 순식간에 낮은 지역까지 흘러가서 발생되며, 첨단부에서의 높은 수위와 빠른 유속으로 계곡에 잔류하던 흙, 자갈, 바위, 나무 등이 빗물에 휩쓸려서 토석류(土石流) 형태로 흐르며, 짧은 시간동안에 발생되기 때문에 특히 계곡에 머문 등산객이나 야영객의 인명피해가 크다.
세 번째, 하천홍수는 강을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홍수로, 주로 우기에 많은 비가 내려 하천 제방이 월류되어 발생하며, 상류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 비가 내리지 않은 하류의 제방이 월류되어 발생될 수도 있다.
네 번째, 도시홍수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아스팔트 도로 등과 같은 불투수면에서 강우가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지하주차장, 저지대 도로, 지하철로, 지하실 등을 침수시키는 형태이며, 특히 도시홍수는 강우가 도시배수시설 처리능력 이상일 때 발생하며, 빗물에 쓸려 내려오는 도시쓰레기 등이 배수구를 막아 빗물배수를 어렵게 하면서 침수를 가중시키게 된다.
최근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비가 오는 날은 줄어들고 있으나 집중호우가 해마다 높아지면서 하천이 범람하여 발생되는 형태가 아닌 빗물이 미처 배수되지 못해 저지대에 그대로 누적되어 생기는 국지성 도시홍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큰 하천지역의 홍수 예측을 위해 설치된 우량계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도시의 국지성 호우를 대비하는데 이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대책으로 도심하천정비, 빗물 배수관 확충과 같은 기존의 구조물적 홍수대처 방안에 대한 점검과 확충이 필요하나 현재에는 구조물과 주변 지형이 강풍이나 강우에 대비해 재해유형이 어떻게 발생되는가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설되기 때문에 태풍이나 홍수로 인해 많은 피해를 낳고 있어 이에 대한 사전 평가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그리고,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도시 지하공간 내 대형 빗물 지하저류시설의 건설 또는 배수시설의 용량 확대 등 구조물적 홍수대처방법은 도시홍수 발생을 확실히 줄여 줄 수 있으나 천문학적인 건설비용과 밀집된 구조물에서의 건설어려움, 오랜 건설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적 홍수대처방법을 홍수예방과 같은 비구조물적 대책과 연계하면 보다 적은 비용과 효율적 노력으로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과 주변지형이 태풍, 집중호우 등 기후 변화에 따른 유체의 이동에 의해 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한 출력결과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 및 유체정보, 해석범위를 입력하고, 하기의 후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렌더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말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를 가공하여 하기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이동파일서버;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수정부; 데이터이동파일서버로부터 가공된 지형데이터, 구조물데이터, 유체정보, 해석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상호 연관된 관계형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에 의해 지형과 구조물을 각각의 3차원객체로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고, 격자형태의 모델링에 유체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부; 전처리부에서 형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모의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부로 구성하여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단말기로부터 유체해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통신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오류를 검사하고 정정하는 오류정정단계;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여 유체 해석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단계; 전처리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3차원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시뮬레이션단계; 시뮬레이션단계에서 생성된 모의출력 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조물과 주변 지형정보 및 유체데이터를 활용하여 태풍, 홍수와 같은 재해유형을 미리 예측하여 재해대비 최적의 구조물 건설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데스크탑컴퓨터와 같은 유/무선통신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해서 원격지에서 구조물데이터와 지형데이터 및 유체데이터를 입력하면 시뮬레이션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재해예측 평가업무에 곧 바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업무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유/무선통신망(20)을 통해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 및 유체정보, 해석범위를 입력하고, 하기의 후처리부(46)를 통해 출력되는 렌더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말기(10)와;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를 가공하여 하기의 데이터베이스부(34)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와;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수정부(32)와;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로부터 가공된 지형데이터, 구조물데이터, 유체정보, 해석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상호 연관된 관계형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34)와;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에 의해 지형과 구조물을 각각의 3차원객체로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고, 격자형태의 모델링에 유체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부(42)와; 전처리부(42)에서 형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와;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에서 출력되는 모의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부(46)로 구성한다.
상기 통신단말기(10)는 터치패널을 갖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앱, App)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스마트폰(12)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터치패널을 갖춘 태블릿컴퓨터(14), 유/무선인터넷으로 접속이 가능한 노트북컴퓨터(16)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18)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무선통신망(20)은 인터넷, 와이파이(Wi-Fi)통신망, 유선전화통신망, 무선데이터통신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42)와,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 및 후처리부(46)는 모두 워크스테이션, 슈퍼컴퓨터 등과 같은 고속으로 대량의 데이터연산이 가능한 수치연산컴퓨터(4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구조물데이터는 예컨대 건축물, 댐, 보, 교량, 도로, 터널, 배수관로, 지하차도, 지하빗물저류시설, 공항, 지하철도, 지상철도 등의 3차원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 지형데이터는 예를 들어서, 구조물 주변의 3차원 등고선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류수정부(32)는 예를 들어서 수동으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키보드와 마우스, 디스플레이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은 유/무선통신망(20)을 통해 통신단말기(10)로부터 유체해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S10)와;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오류를 검사하고 정정하는 오류정정단계(S20)와;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여 유체 해석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단계(S30)와; 전처리단계(S30)에서 생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3차원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시뮬레이션단계(S40)와; 시뮬레이션단계(S40)에서 생성된 모의출력 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입력단계(S10)는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와; 유체의 종류 및 유체의 유형을 설정하는 단계(S12)와; 유체의 발생위치 및 해석결과 도출위치인 유체해석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3)와; 출력유형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S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계 S12에서 유체의 종류는 바람과 같은 기체이거나 물과 같은 액체로 구분되며, 유체의 유형은 액체인 경우 강우와 같은 고른분포 낙하와, 상수 또는 하수와 같은 집중낙하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상기 오류정정단계(S20)는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의 입력오류를 판별하는 단계(S21)와; 입력된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데이터를 수정하는 데이터수정단계(S22)로 구성된다.
상기 전처리단계(S30)는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S31)와;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기초로 지형과 구조물의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는 단계(S32)와; 지형과 구조물에 대한 각각의 3차원 객체모델을 합성하는 단계(S33)와; 유체해석을 위한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35)로 구성된다.
상기 후처리단계(S50)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션 결과를 형상화하는 단계(S51)와; 형상화된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단계(S52)로 구성된다.
도2의 단계 S52의 렌더링하는 단계에서 정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미국 어도비사에서 만든 파일 형식인 어도비 플래시(Adobe Flash)파일이나 PDF(Portable Document Format)파일로 출력될 수 있고, 플래시 파일로 출력될 경우 예를 들어서 화면에 유속, 유량, 유압 등을 나타내는 스크롤바를 출력하여 스크롤바를 움직이면 각각의 입력값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건설되었거나 건설예정인 구조물과 주변지형에 의해 강우나 강풍으로 인한 재난이나 재해규모를 미리 예측하거나 하천의 토사퇴적량을 구하여 구조물의 설계에 반영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도2의 데이터입력단계(S10)의 단계 "S11"에서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유체해석 데이터인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입력하여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로 전송하게 되면,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는 단계 "S12"에서 통신단말기(10)를 통해 다시 유체의 종류 및 유체의 유형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0)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종류를 입력한 다음 해당 유체가 강우와 같은 고른분포낙하인가 아니면 상수 또는 하수와 같은 집중낙하인가를 결정하여 입력하게 되면,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는 단계 "S13"에서 유체의 발생위치 및 해석결과 도출위치인 유체해석범위 입력을 요청하게 되고, 사용자가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유체해석범위를 입력한 다음 단계 "S14"에서 유속, 유량, 유압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출력할 유형을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종료된다.
이후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오류를 오류수정부(32)를 통해 검사하여 오류정정단계(S20)의 단계 "S21"에서 판별해 내며, 그 다음 단계 "S22"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오류수정부(32)를 통해 데이터를 수정하게 된다.
그 후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로부터 오류검사를 마친 유체해석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34)를 통해 저장되고, 전처리단계(S30)에서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여 유체 해석조건을 부여하게 된다.
즉, 전처리부(42)는 전처리단계(S30)의 단계 "S31"에서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34)로부터 로딩한 다음 단계 "S32"에서 로딩된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기초로 지형과 구조물의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게 되며, 다시 단계 "S33"에서 지형과 구조물에 대한 각각의 3차원 객체모델을 합성하고, 단계 "S35"에서 유체해석을 위한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이후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는 도2의 시뮬레이션단계(S40)에서 생성된 3차원 격자모델 데이터를 이용 3차원 유체흐름을 수치연산처리하여 시뮬레이션하게 된다.
그 다음 후처리부(46)에서 도2의 후처리단계(S50)의 단계 "S51"에서 3차원 유체시뮬레이션 결과를 형상화한 다음 다시 단계 "S52"에서 형상화된 이미지를 렌더링하게 된다.
이때 후처리부(46)에서 생성된 모의 출력결과인 렌더링영상과 시뮬레이션데이터가 통신단말기(10)로 전송되어 출력되며, 사용자는 이를 참고로 구조물의 설계에 반영하게 된다.
10 : 통신단말기 12 : 스마트폰
14 : 태블릿컴퓨터 16 : 노트북컴퓨터
18 : 데스크탑 컴퓨터 20 : 유/무선통신망
30 : 데이터이동파일서버 32 : 오류수정부
34 : 데이터베이스부 40 : 수치연산컴퓨터
42 : 전처리부 44 :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
46 : 후처리부 S10 : 데이터입력단계
S20 : 오류정정단계 S30 : 전처리단계
S40 : 시뮬레이션단계 S50 : 후처리단계

Claims (10)

  1. 유/무선통신망(20)을 통해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 및 유체정보, 해석범위를 입력하고, 하기의 후처리부(46)를 통해 출력되는 렌더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말기(10);
    상기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를 가공하여 하기의 데이터베이스부(34)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
    상기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수정부(32);
    상기 데이터이동파일서버(30)로부터 가공된 지형데이터, 구조물데이터, 유체정보, 해석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상호 연관된 관계형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34);
    지형데이터와 구조물데이터에 의해 지형과 구조물을 각각의 3차원객체로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고, 격자형태의 모델링에 유체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부(42);
    전처리부(42)에서 형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 및
    3차원 유체시뮬레이터(44)에서 출력되는 모의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부(46)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앱, App)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스마트폰(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10)는 터치패널을 갖춘 태블릿컴퓨터(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10)는 유/무선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노트북컴퓨터(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10)는 유/무선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데스크탑 컴퓨터(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유/무선통신망(20)을 통해 통신단말기(10)로부터 유체해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S10);
    통신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오류를 검사하고 정정하는 오류정정단계(S20);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고 합성한 후 격자형태로 분할하여 유체 해석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전처리단계(S30);
    전처리단계(S30)에서 생성된 3차원 격자모델에서의 3차원 유체흐름을 수치연산하는 시뮬레이션단계(S40); 및
    시뮬레이션단계(S40)에서 생성된 모의출력 결과를 형상화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후처리단계(S50)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입력단계(S10)는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
    유체의 종류 및 유체의 유형을 설정하는 단계(S12);
    유체의 발생위치 및 해석결과 도출위치인 유체해석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3);
    출력유형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S14)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정정단계(S20)는 통신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유체해석 데이터의 입력오류를 판별하는 단계(S21);
    입력된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데이터를 수정하는 데이터수정단계(S22)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S30)는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S31);
    지형데이터 및 구조물데이터를 기초로 지형과 구조물의 3차원객체를 모델링하는 단계(S32);
    지형과 구조물에 대한 각각의 3차원 객체모델을 합성하는 단계(S33);
    유체해석을 위한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S50)는 3차원 유체시뮬레이션 결과를 형상화하는 단계(S51);
    형상화된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단계(S52)를 포함하는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20114921A 2012-10-16 2012-10-16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9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21A KR20140049187A (ko) 2012-10-16 2012-10-16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21A KR20140049187A (ko) 2012-10-16 2012-10-16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187A true KR20140049187A (ko) 2014-04-25

Family

ID=5065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921A KR20140049187A (ko) 2012-10-16 2012-10-16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1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7203A (zh) * 2015-07-03 2015-10-28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智能家居系统的通讯装置
CN105007204A (zh) * 2015-07-03 2015-10-28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有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CN105045124A (zh) * 2015-07-03 2015-11-11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WO2018199356A1 (ko) * 2017-04-26 2018-11-01 쎄딕 주식회사 웹기반 가상풍동을 이용한 유동장 자동해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6327A (ko) * 2020-05-07 2021-11-17 국방과학연구소 도심지 유동해석 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7203A (zh) * 2015-07-03 2015-10-28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智能家居系统的通讯装置
CN105007204A (zh) * 2015-07-03 2015-10-28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有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CN105045124A (zh) * 2015-07-03 2015-11-11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CN105045124B (zh) * 2015-07-03 2018-02-02 广东淘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CN105007203B (zh) * 2015-07-03 2018-05-08 浙江视野环境艺术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无线通讯智能家居系统的通讯装置
CN105007204B (zh) * 2015-07-03 2018-06-26 南京圣恩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Li-Fi有线通讯的智能家居系统
WO2018199356A1 (ko) * 2017-04-26 2018-11-01 쎄딕 주식회사 웹기반 가상풍동을 이용한 유동장 자동해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6327A (ko) * 2020-05-07 2021-11-17 국방과학연구소 도심지 유동해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 et al. Flood risk assessment and increased resilience for coastal urban watersheds under the combined impact of storm tide and heavy rainfall
Luo et al. Urban flood numerical simulation: Research, methods and future perspectives
Lyu et al. Inundation analysis of metro systems with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incorporated into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 case study in Shanghai
Zeleňáková et al. Flood risk modelling of the Slatvinec stream in Kružlov village, Slovakia
Schubert et al. Building treatments for urban flood inundation models and implications for predictive skill and modeling efficiency
Sinnakaudan et al. Flood risk mapping for Pari River incorporating sediment transport
Cheng et al. Flood risk zoning by using 2D hydrodynamic modeling: A case study in Jinan City
CN107832931A (zh) 一种平原水网地区内涝风险的模块化分析方法
Yang et al. Linking 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to a novel two-dimensional model for urban pluvial flood modeling
Vachaud et al. Flood-related risks in Ho Chi Minh City and ways of mitigation
KR101906858B1 (ko) 수치모형 및 침수선 보간을 이용한 하천 범람 예측 방법
Sanders Hydrodynamic modeling of urban flood flows and disaster risk reduction
Krzhizhanovskaya et al. Distributed simulation of city inundation by coupled surface and subsurface porous flow for urban flood decision support system
KR20140049187A (ko) 모바일과 웹기반의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hang et al. Overland-gully-sewer (2D-1D-1D) urban inundation modeling based on cellular automata framework
Xing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ity-scale hydrodynamic flood modelling through a GIS-based DEM correction method
Hailemariam et al.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minor hydraulic structures on modeling flood events in lowland areas
Sridharan et al. Local-inertial shallow water model on unstructured triangular grids
Kahl et al. Grid edge classification method to enhance levee resolution in dual-grid flood inundation models
Li et al. Stormwater and flood simulation of sponge city and LID mitigation benefit assessment
KR20140093830A (ko)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하천의 홍수피해 유체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Analysis of drainage efficiency unde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Mo et al. Simulation of one-dimensional dam-break flood routing based on HEC-RAS
KR101508603B1 (ko) 도로의 배수 성능을 모의하기 위한 3차원 유체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Saul et al. Integrated urban flood mode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1

Effective date: 2015060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52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1

Effective date: 201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