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613A -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613A
KR20140048613A KR1020120114774A KR20120114774A KR20140048613A KR 20140048613 A KR20140048613 A KR 20140048613A KR 1020120114774 A KR1020120114774 A KR 1020120114774A KR 20120114774 A KR20120114774 A KR 20120114774A KR 20140048613 A KR20140048613 A KR 2014004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urrent
charge
voltage batte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297B1 (ko
Inventor
이상규
한대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2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원과, 고전압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LDC 소모 전류 등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량의 상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ESTIMATING METHOD FOR HIGH VOLTATGE BATTERY CHARGING TIM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환경차량에 탑재되는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환경차(PHEV, EV 등)의 고전압 배터리 충전방식은 대용량전원을 사용한 급속충전과 가정용전원을 사용한 완속충전이 있다.
현재 고전압배터리의 열화문제와 사용 편의성 때문에 급속충전보다는 완속충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급속충전의 충전시간은 30분 이내이지만, 완속충전의 충전시간은 5시간 정도로서, 장시간 충전을 하는 완속충전은 사용자의 편의성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정확히 충전시간을 추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시간 예측은 배터리의 남은 용량을 충전용량으로 나누는 간단한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에서의 배터리 충전 시간은 AC입력 전원의 변화와 충전 중 차량 제어기 구동 및 냉각장치에 필요한 전장부하 소모량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한 충전시간 추정방법으로는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원과, 고전압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LDC 소모 전류 등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량의 상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은
충전해야 할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충전목표량을 구하는 충전량산출단계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출력전류를 구하는 출력전류산출단계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의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산출하는 소모전류산출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로부터 상기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차감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터리충전전류를 산출하는 충전전류산출단계와;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을 상기 배터리충전전류로 나누어 충전시간을 산출하는 충전시간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원과, 고전압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LDC 소모 전류 등을 함께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충전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량의 상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 순서도,
도 2는 AC입력 전압에 따른 충전기의 출력파워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충전시간의 경과에 따른 배터리 평균충전전압의 의미를 설명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의 원리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의 실시예는 충전해야 할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충전목표량을 구하는 충전량산출단계(S10)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출력전류를 구하는 출력전류산출단계(S20)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의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산출하는 소모전류산출단계(S30)와;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로부터 상기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차감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터리충전전류를 산출하는 충전전류산출단계(S40)와;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을 상기 배터리충전전류로 나누어 충전시간을 산출하는 충전시간산출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출력전류산출단계(S20)를 통해 충전기에서 출력하는 전류를 구하고, 이로부터 상기 소모전류산출단계(S30)에서 구해진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차감하여, 순수하게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터리충전전류를 구한 후, 이것으로 배터리충전목표량을 나누어 충전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원과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에너지 및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을 모두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충전시간의 추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충전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충전기로서, OBC(On Board Charger)로 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정리될 수 있는 바,
Figure pat00001
여기서, C[fBatt(?SOC)]는 현재 고전압배터리의 충전하여야 할 양으로 단위는[Ah]이며, IOBC[f(Vac,?SOC)]는 AC 입력 전압에 따른 충전기의 현재 출력 전류이며, ILDC[f(?SOC)]는 충전중 차량 전장부하 작동을 위한 LDC의 소모 전류를 의미한다.
상기 충전량산출단계(S10)에서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은 상기 수식에서 C[fBatt(?SOC)]으로서,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 ?SOC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바, 예컨대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에 따른 충전목표량의 맵을 구비해 두고 이 맵으로부터 충전개시 시에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출력전류산출단계(S20)는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른 충전기의 출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개시 때부터 충전 종료 때까지의 충전평균전압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출력을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평균전압으로 나누어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를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압이 통상 110V 내외나 220V 내외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AC입력 전압에 따른 충전기의 출력파워곡선은 도 2와 같이 표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파워곡선이 전압에 따라 선형적으로 상승하다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것은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때문으로,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입력전류 제한에 의해 100V 내지 120V 까지는 선형적으로 출력파워가 증가하다가 120V 이상 125V 이하의 범위에서는 1.6KW로 제한되고, 195V 내지 230V 까지는 선형적으로 출력파워가 증가하다가 230V 이상 245V 이하의 범위에서는 3.3KW로 제한됨을 표현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AC전압에 따라 충전기의 출력을 구한다.
즉,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의 제한치에 따라, 입력 전압에 따른 충전기 출력의 최대치를 제한하여 충전기 출력을 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평균전압은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에 따른 완전충전시까지의 개방전압의 평균값으로 결정된다.
즉,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배터리는 현재의 잔존충전량으로부터 완전충전시까지의 개방전압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는 바, 현재의 잔존충전량으로부터 통상 고전압배터리의 완전충전으로 보는 SOC 90%지점까지의 전압의 평균값으로 상기 충전평균전압을 결정하는 것이다.
보다 실질적으로는 잔존충전량에 대한 충전평균전압의 맵을 구성해 놓고, 이 맵으로부터 현재의 잔존충전량에 해당하는 충전평균전압을 선정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력전류산출단계(S20)에서 구해지는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는 상기 수학식에서 IOBC[f(Vac,?SOC)]로 표시되고, AC입력전압과 잔존충전량의 함수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소모전류산출단계(S30)에서는, 현재 LDC의 소모 에너지를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평균전압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즉, 현재 차량의 냉방장치 등이 작동되어 LDC가 소모하고 있는 에너지를 상기 충전평균전압으로 나누면, 상기 LDC를 통해 차량의 전장부하들이 소모하고 있는 전류를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상기 수학식 1에서는 ILDC[f(?SOC)]로 표시되고 있으며, 역시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의 함수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해진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로부터 상기 LDC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차감하여 순수하게 고전압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되는 상기 배터리충전전류를 구할 수 있으며, 이 배터리충전전류로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을 나누면 궁극적으로 고전압배터리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은 별도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거나, 기존의 전자컨트롤러 등에 상기 기능을 겸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 충전량산출단계
S20; 출력전류산출단계
S30; 소모전류산출단계
S40; 충전전류산출단계
S50; 충전시간산출단계

Claims (6)

  1. 충전해야 할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충전목표량을 구하는 충전량산출단계(S10)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출력전류를 구하는 출력전류산출단계(S20)와;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의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산출하는 소모전류산출단계(S30)와;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로부터 상기 전장부하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차감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터리충전전류를 산출하는 충전전류산출단계(S40)와;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을 상기 배터리충전전류로 나누어 충전시간을 산출하는 충전시간산출단계(S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류산출단계(S20)는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른 충전기의 출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개시 때부터 충전 종료 때까지의 충전평균전압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기의 출력을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평균전압으로 나누어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류를 산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을 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의 제한치에 따라, 입력 전압에 따른 충전기 출력의 최대치를 제한하고,
    상기 충전평균전압은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에 따른 완전충전시까지의 개방전압의 평균값으로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소모전류산출단계(S30)에서는, 현재 LDC의 소모 에너지를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평균전압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량산출단계(S10)에서 상기 배터리충전목표량은 고전압배터리의 잔존충전량에 따른 충전목표량의 맵으로부터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제어유닛.
KR1020120114774A 2012-10-16 2012-10-16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KR10189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74A KR101897297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74A KR101897297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13A true KR20140048613A (ko) 2014-04-24
KR101897297B1 KR101897297B1 (ko) 2018-09-12

Family

ID=5065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774A KR101897297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801A (ko) * 2017-08-30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9893A (ko) 2020-04-21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충전 시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15122951A (zh) * 2021-03-24 2022-09-30 观致汽车有限公司 充电方法、充电系统、电动汽车、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423A (ko) 2019-08-20 2021-03-03 임주영 Dc 오프셋을 이용한 pwm 방식의 배터리 충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3373A (ja) * 2009-03-06 2010-09-24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1130580A (ja) * 2009-12-17 2011-06-30 Toyota Motor Corp 充電装置
JP2012182962A (ja) * 2011-03-03 2012-09-20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3373A (ja) * 2009-03-06 2010-09-24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1130580A (ja) * 2009-12-17 2011-06-30 Toyota Motor Corp 充電装置
JP2012182962A (ja) * 2011-03-03 2012-09-20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801A (ko) * 2017-08-30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9893A (ko) 2020-04-21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충전 시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US11953860B2 (en) 2020-04-21 2024-04-0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vehicle battery charging time using big data
CN115122951A (zh) * 2021-03-24 2022-09-30 观致汽车有限公司 充电方法、充电系统、电动汽车、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297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80B1 (ko) 충전 소요 시간 산출 방법
US10000136B2 (en)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US10647211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device
CN103217647B (zh) 一种电动汽车铅酸动力电池荷电状态估算方法
US9118197B2 (en) Charging control system
US9365120B2 (en) Techniques for enhanced battery pack recharging
US9352664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
US10040364B2 (en) Charging apparatus
CN103728566A (zh) 一种基于不同温度和倍率充电曲线修正soc的方法
CN103267953B (zh) 一种磷酸铁锂动力电池soc的估算方法
Demircalı et al.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on energy management in battery-ultracapacitor electric vehicles
KR101897297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충전시간 추정방법
WO2020163548A1 (en) Battery state of health estimation using open circuit voltage slope
JP2019523967A (ja) バッテリパックの熱調整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90073151A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N111434518A (zh) 一种燃料电池车辆及其启动方法和装置
JP2020072581A (ja) 移動可能距離算出装置
KR20130116419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보조배터리의 충전상태 판단방법
KR101713744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시간 계산 방법
US10059218B2 (en) Control method for optimal reserved charging of battery and vehicle thereof
KR20140084543A (ko) 차량의 전기충전방법 및 전기충전시스템
KR20150075654A (ko)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56682B2 (ja) 二次電池の管理装置
US8704496B2 (en) Charge control system
KR102177723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가용 용량 연산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