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746A -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746A
KR20140047746A KR1020120110166A KR20120110166A KR20140047746A KR 20140047746 A KR20140047746 A KR 20140047746A KR 1020120110166 A KR1020120110166 A KR 1020120110166A KR 20120110166 A KR20120110166 A KR 20120110166A KR 20140047746 A KR20140047746 A KR 2014004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fingerprint
user
fingerprint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용
서종철
주효민
조성미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11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746A/ko
Publication of KR2014004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연결 감지부, 지문 센서부, 자료 검색부 그리고 자료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 감지부는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한다. 지문 센서부는 저장기기가 연결되면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다. 자료 검색부는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한다. 그리고, 자료 표시부는 검색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USER DEVICE, METHOD OF ATTESTING USE OF STORAGE DEVICE TO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등 개인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부가 기능, 또는 국제 전화 기능 등에 잠금 장치를 적용시키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을 때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점, 사용자 입장에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을 보완하고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 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좌우로 긴 바(Bar) 형태의 센서에 손가락을 긁듯이 지문을 인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지문 인식 센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지문 인식 센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다른 기능과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도 행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강화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 감지부; 상기 저장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상기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는 자료 검색부; 그리고 상기 검색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자료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기에는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자료 검색부는,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기기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입력된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저장기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인식을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와 기 등록된 지문 정보가 일치해야만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저장기기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지문 센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문 센서부(1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1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0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워크스테이션 등에 별도의 지문 인식 장치가 연결된 경우도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부(12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 지문 센서부(1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를 지문 센서부(120)에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부분적인 단편 영상(P1~P4)이 획득된다.
즉, 사용자의 지문 영상이 단편적이지만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지문 센서부(120)에서 읽어들인 단편 지문 영상들은 하나의 지문 영상으로 정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사용자의 등록된 지문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지문 센서부(120)를 통해 획득된 당해 지문 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영상과 비교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일 이상의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특정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지문에 대해 특정 동작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지문 센서부(120)에 의해 획득된 정합된 지문 영상이 특정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이와 매칭된 특정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퀵 런칭' 기능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진정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진정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을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지문 센서부(120)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고, 지문 센서부(120)에 의해 획득된 정합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엄지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한다면, 이와 매칭된 동작, 즉,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연결 감지부(110), 지문 센서부(120), 자료 검색부(130) 그리고 자료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감지부(110)는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저장기기(20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기기(200)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외장 하드'라 부르는 외부 하드 디스크(external hard disk) 및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기기(200)의 연결이라 함은 저장기기(200)와 사용자 단말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 감지부(110)가 저장기기(200)의 연결을 감지하면, 지문 센서부(120)는 저장기기(200)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지문 센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을 인증해 달라는 지문 인증 요구창(115)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문 인증 요구창 표시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기기(200)에는, 저장기기(200)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기기(200)는, 저장기기(200)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지문 정보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저장기기(200)의 자료는 저장기기(200)에 저장된 모든 파일, 파티션(partition)(또는 드라이브)의 하위에 있는 모든 폴더 및 파일, 특정 폴더의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 및 특정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기기(200)의 자료에 대한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기기(200)는 파티션별, 폴더별, 파일별, 및 각 프로그램별 등등에 정합되는 지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각각의 다른 지문 정보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별로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자료 검색부(130)는 지문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저장기기(200)에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입력된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저장기기(200)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저장기기(200)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저장기기(200)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료 표시부(140)는,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색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기기(200)의 자료는 지문 정보를 통해 인증된 진정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수준이 높아질 수 있고, 사생활 보호의 기능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S310)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기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2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지문을 인증해 달라는 지문 인증 요구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S33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20) 이전에, 저장기기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S330)는 입력받은 지문 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였을 때 진행되는 것임은 물론이며, 저장기기의 자료는 저장기기에 저장된 모든 파일, 파티션(partition)(또는 드라이브)의 하위에 있는 모든 폴더 및 파일, 특정 폴더의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 및 특정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기기의 자료에 대한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저장기기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저장기기가 보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저장기기에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입력된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기기의 자료는 지문 정보를 통해 인증된 진정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수준이 높아질 수 있고, 사생활 보호의 기능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연결 감지부
116: 지문 인증창 표시부 120: 지문 센서부
130: 자료 검색부 140: 자료 표시부
200: 저장기기

Claims (5)

  1.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 감지부;
    상기 저장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 센서부;
    상기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는 자료 검색부; 그리고
    상기 검색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자료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기에는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자료 검색부는,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기기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입력된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저장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저장기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기기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기기의 자료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10166A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47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166A KR20140047746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166A KR20140047746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46A true KR20140047746A (ko) 2014-04-23

Family

ID=5065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166A KR20140047746A (ko) 2012-10-04 2012-10-04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7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420B2 (en) Terminal, unlocking method, and program
KR101449681B1 (ko) 지문을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40079960A (ko) 지문 인식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180226B1 (ko)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17963B2 (en) User-touchscreen interaction analysis authentication system
US2014011962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gnizing fingerprint
KR101435482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EP289348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EP3680807B1 (en)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password set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426717A (zh) 一种展示界面的方法及装置
KR101435487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페이지 사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53031B1 (ko)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385711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특정 영역 비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31480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140109221A1 (en) User device, method of using function lock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6168967B (zh) 网页信息收藏方法、网页信息保护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20140047746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기기 사용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47747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지문별 숏컷 정보 안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35757A (ko) 홈 화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10121251A (ko)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432271B1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전송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418988B1 (ko) 파일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50029251A (ko) 전자 장치 내의 객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1462227B1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40093537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북마크 이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