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472A -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472A
KR20140047472A KR1020120113819A KR20120113819A KR20140047472A KR 20140047472 A KR20140047472 A KR 20140047472A KR 1020120113819 A KR1020120113819 A KR 1020120113819A KR 20120113819 A KR20120113819 A KR 20120113819A KR 20140047472 A KR20140047472 A KR 20140047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pace
frame
house
interi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0377B1 (en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오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완곤 filed Critical 오완곤
Priority to KR102012011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77B1/en
Publication of KR2014004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n expandable interi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door to open the rear side of an interior space; a base frame which is taken out to the rear side by being supported by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at the side of a vehicle body; and a main house which is installed at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and has an expandable space to exp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n being taken out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Description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Multi-purpose car that can expand the interior space.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장하여 레저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an indoor space that can be used as a leisure space by expanding an interior space of an automobile.

일반적으로, 다인승 승합차, 레저용 차량 등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모든 자동차는 한정된 실내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공간 확장이 불가능하다. 특히, 레저활동을 위한 캠핑카는 제조 시 실내공간에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레저생활 하는데 불편함이 없으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레저활동을 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Generally, all cars that are mass-produced such as multi-passenger van, leisure vehicle, etc. have limited interior space, so that it is impossible to expand the space if necessary. In particular, the camping car for leisure activities has various facilities in the indoor space at the time of manufacture,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leisure life, but the price is relatively high, and it can not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 normal time without leisure activitie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중소형 승합차를 개량하여 레저차량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제안되었다. In view of thi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mall and mid-sized vans produced by automobile manufacturers so that leisure vehicles can be used as well.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0350884호에는 자동차의 플로워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게시되어 있으며, 공개 특허 제 2012-0045435호에는 다용도 차량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다용도 차량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 좌석의 설치공간에 싱크대, 좌변기, 냉장고를 설치하고, 차량의 지붕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팝업루프가 설치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0350884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increase the floor area of the vehicle, and Patent Publication No. 2012-0045435 discloses a utility vehicle. The posted utility vehicle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slidably installed bed, a sink, a left side lid, and a refrigerator are installed in a seating space of a seat, and a pop-up loop for raising the roof of the vehicle can be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는 실내공간을 설정된 공간 내에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단을 활용하는 것과, 지붕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평면적으로 넓힐 수 없다. The above-mentioned automobile can not use the stairs so as to increase the usability in the set space of the indoor space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roof, so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automobile can not be widened in a plan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983626호에는 측면패널이 확장된 캠핑카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캠핑카는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측면패널이 외부를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실내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측면패널과 본체 사이의 전, 후면 또는 천장면은 일단이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측면패널에 접하는 주름접힘 판으로 가려진 구성을 가진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983626 discloses a camper with an extended side panel. The posted camper can increase the indoor space by moving the side panel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outside. The front, rear, or ceiling scenes between the side panel and the main body are fixed at one end to the main body, Has a configuration that is covered with a folded folding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anel.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캠핑카의 측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캠핑카의 양측벽이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technical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extend the side surface of the camper, which requires disconnec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existing camp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장하여 다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레저활동 시 캠핑카로 이용할 수 있는 실내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satile vehicle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expanding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nd which can be used as a camper in a leisure activ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공간의 후방으로 연장하고, 연장된 후방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실내공간을 다단 확장할 수 있는 실내공간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vehicle that can extend the interior space of the interior space can be extended in a multi-stage by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extended rea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는 실내공간의 후방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후방도어를 구비한 것으로,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ultipurpose vehicle which can be expanded in the indoor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ar door to open the rear of the indoor space,

자동차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부측에 설치되며 실내공간의 내주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부터 인출 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장하는 확장공간을 가지는 메인하우스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 base frame supported by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at a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drawn in and drawn out rearward, and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house having an expansion space for exten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r when withdrawing from the sp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스의 하면과 메인프레임의 하면 사이에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측에는 제 2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레일에는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측으로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 1,2서브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서브프레임에는 상기 메인하우스의 양측에 형성된 제 1,2개구로부터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1,2서브하우스를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hou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In addition, a second guide rail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the second guide rail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frames which are respectively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First and second sub-houses, each of which is drawn in and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ouse,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스의 후방측면에 설치되어 접철 가능한 후방확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후방확장부는 메인하우스의 후방측면에 제 3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제 3개구부의 하면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3개구부의 가장자리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보다 점차적으로 작은 궤적으로 형성된 제 2, 3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3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자바라를 구비한다. And a rear extension par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e and foldable. The rear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first frame having a third opening formed on a rear side surface of the main house, a first frame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and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an edge trajectory of the third opening, And a second and third frames formed in a trajectory gradually smaller than the first frame and suppor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ames.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는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후방과 양측면으로 확장가능 하므로 캠핑카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캠핑카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메인하우징을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일상생활용 자동차로 사용 가능하다. The multi-purpose car which can expand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amper because the interior space of the car can be extended to the rear and both sides, and when not used as a camping car, the main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main frame as a daily living car.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frame and the subframe shown in FIG. 1,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the indoor space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the indoor space shown in Fig. 1,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rsatile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는 중소형 승합차의 실내공간 즉, 좌석이 설치되지 않은 실내공간을 자동차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interior space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van, that is, the interior space in which the seat is not insta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10)는 좌석이 설치되는 않은 실내공간(13)을 가지며, 실내공간(13)을 개방할 수 있는 후방도어(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본체(11)의 양측벽의 하부측 즉, 실내공간(13)을 구획하는 자동차본체(11)의 바닥면과 인접되는 양측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가이드레일(20)이 설치되고, 이 제1가이드레일(20)에 의해 후방의 개구를 통하여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메인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2자동차 본체(11)에 형성된 실내공간은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뒷바퀴커버(14)가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뒷바퀴커버를 감싸는 고정프레임(15)을 자동차본체(11)에 설치하고, 이 고정프레임(15)에 제 1가이드레일(20)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 1가이드레일(20)에 의해 전후진되는 메인프레임(30)은 자동차의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은 제 1지지부(31)와 제 1지지부(3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지지부(32)를 가진 지지부재(33)들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33)(33)가 연결부재(34)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을 이루는 지지부재(33)(33)들의 각 제 1지지부(31)(31)와 고정프레임(15)(15)의 사이에는 제1가이드레일(20)(20)들이 설치되어 자동차본체(11)에 대해 메인프레임(30)이 인입 및 인출되게 된다. 즉, 좌측에 위치되는 제 1지지부와 고정프레임의 사이와 우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와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제 1가이드레일들이 설치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ulti-function vehi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space 13 in which a seat is not installed, and a rear door 12 capable of opening the interior space 1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 on the low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automobile body 11, that is, both side wall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tomobile body 11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13, first guide rails And a main frame 30 which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through a rear opening by the first guide rail 20 is provided. The interior spac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bodies 11 has a curv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ar wheel cover 14 is installed at both sides, so that the fixing frame 15 surrounding the rear wheel cover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rail 20 is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15.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frame 30,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guide rails 20 supporting the both side surfaces,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tomobile. The main frame 30 is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members 33 hav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extending inwardl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face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33 is opposed to each other. 33 has a structu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4. First guide rails 20 and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s 31 and 31 and the fixed frames 15 and 15 of the support members 33 and 33 constituting the main frame 30. The main frame 30 is drawn in and drawn ou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11. That is, the first guide rails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frame, respectively.

상기 메인프레임(30)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좌우측의 가이드레일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상기 제 1가이드레일(20)은 제1지지부(31)와 고정프레임(15)에는 각각 제 1,2고정레일(21)(22)이 설치되고, 제 1,2고정레일(21)(22)의 사이에는 제1가동레일(23)이 설치된 3단 가이드레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가이드레일은 리이어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guide rai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or drawing in and drawing out the main frame 3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first guide rail 20 has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fixed frame 15 respectively. The fixed rails 21 and 22 are installed,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21 and 22, it is preferable to use a three-stage guide rail provided with the first movable rail 23.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guide rail may be a reed motor.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0)은 자동차의 본체(11)의 바닥면에 설치된 이송유닛(120)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유닛(120)은 자동차 본체(11)의 실내공간 바닥면에 길이 방향으로 리드스크류(121)가 설치되고, 이 리드스크(121)에는 이송부재(122)가 나사결합되고, 이 이송부재(122)메인프레임(30)의 연결부재(34)에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121)는 자동차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정, 역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유닛(120)은 모터가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30)을 자동차 본체(11)의 실내공간으로부터 인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frame 30 may be drawn in and drawn out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the transfer unit 12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 The transfer unit 120 has a lead screw 121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11, the transfer member 122 is screwed to the lead screw 121, the transfer member It may be made to be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34 of the main frame (30). The lead screw 121 is rotated forward and reverse by a moto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The transfer uni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raw the main frame 30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11 by rotating the motor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프레임(30)에는 확장공간의 내부에 형성된 메인하우스(4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에 대한 메인하우스(40)의 지지는 상기 메인하우스(40)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지지턱(41)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에 제 1지지부(31)(31)에 지지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5참조) 따라서 실내공간의 확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 메인하우스(40)를 쉽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스(40)는 상기 자동차본체(11)의 실내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단면적과 길이를 가진다.In the main frame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main house 40 formed in the extended space is installed. Support of the main house 40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30 is a support jaw 4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dges of the main house 40,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31) (See Fig. 5). Therefore, when the expansion of the indoor space is not necessary, the main house 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frame 30 and stored. The main house 40 has a cross-sectional area and 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automobile body 11. [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스(40)의 후방측면(42)에는 접철 가능한 후방확장부(50)가 더 구비된다. 이 후방확장부는 화장실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별도로 캠핑을 위한 짐들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rear side 42 of the main house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oldable rear extension 50. This rear extension can be used as a toilet space or as a space for storing loads for camping separately.

상기 후방확장부(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스(40)의 후방측면에 제 3개구부(51)가 형성되고, 이 제 3개구부(51)의 하면에 힌지축(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3개구부(51)의 가장자리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 1프레임(53)과, 상기 제 1프레임(53) 보다 점차적으로 작은 궤적을 가지는 제 2,3프레임(54)(55)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3프레임(53-55)에 의해 지지되어 접어지거지 펼쳐질 수 있는 자바라(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2)에는 자바라(56)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회전판(57)이 설치되는데, 이 회전판은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외주면과 상면측에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출입문 또는 창문이 형성될 수 있다. 1 and 4, the rear extension 50 is formed with a third opening 51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e 40. A hinge shaft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51, 52 having a trajectory gradu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rame 53 and a second frame 53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irst frame 53 and has a trajectory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rajectory of the edge of the third opening 51, Three frames 54 and 55 and a bellows 56 suppor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ames 53-55 and folded and unfolded. The hinge shaft 52 is provided with a rotary plate 57 which forms the bottom of the space formed by the bellows 56. The rotary plate is provided with a stopper (not shown) to achieve a horizontal state.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a door or a window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frame 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확장부는 메인하우스(40)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는 후방인출하우스(58a)와, 이 후방인출하우스(58a)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는 상방인출하우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인출하우스(58a)의 외주면의 일측과 메인하우스(4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인출하우스(58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인출되는 상방인출하우스(58b)는 인출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유닛(58c)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스토퍼유닛(58c)은 후방인출하우스(58a)의 내측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스토퍼(58d)를 구비하는데, 상기 스토퍼(58d)는 스프링에 의해 후방인출하우스의 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rear extension part may include a rear drawing house 58a drawn out rearward from the main house 40 and an upper drawing house drawn out upward from the rear drawing house 58a. Betwee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draw-out house 58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house 40, guide rails for guiding the draw-in and draw-out can be provided. A stopper unit 58c may be provided to fix the drawn-out position of the upwardly outgoing house 58b draw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earwardly extending house 58a. And a stopper 58d provided inside the house 58a so as to be rotatable by a hinge shaft and inserted and withdrawn. The stopper 58d is elastically biased to the inside of the rear draw-out house by a spring.

한편, 상기 메인하우스(40)의 양측면에는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 1,2서브하우스(60)(70)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subhouses 60 and 7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ouse 40, respectively.

상기 메인하우스(40)에 대한 제1,2하우스(60)(70)의 설치는 메인하우스(40)의 양측면에 각각 제 1,2개구부(61)(71)가 형성되고, 이 제1,2개구부(61)(71)와 대대응되는 메인프레임(30)에는 메인프레임(30)의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가이드레일(80)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레일(80)에는 양측으로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 1,2서브프레임(62)(7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2서브프레임(62)(72)의 길이의 합은 상기 메인프레임(3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 1,2서브프레임(62)(72)을 인입시켰을 때에 폭은 자동차본체(11)의 실내공간으로 메인하우스(40)의 삽입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3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다. The first and second houses 60 and 70 are installed on the main house 40,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61 and 7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ouse 40, respectively. The main frame 30 corresponding to the two openings 61 and 71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rail 80 which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30, and the second guide rail 80 is provided on both sides. First and second sub-frames 62 and 7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withdraw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ub-frames 62 and 7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main frame 30. 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frames 62 and 72 are drawn in, the width of the main frame 30 is set such that the width of the main frame 30 .

상기 제 2가이드레일(80)은 단면이 찬넬 또는 도브테일 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고정레일부(81)들과, 상기 제 1,2서브프레임(62)(72)의 양측에 설치되어 고정레일(81)과 결합되는 가동레일부(8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서브프레임(62)(72)에는 제 1,2서브하우스(60)(7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2서브하우스(60)(70)는 메인하우스(40)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부위가 개방되어 있어 메인하우스(40)와 단일의 확장공간을 형성한다.The second guide rail 80 has fixed rail portions 81 made of a section steel having a channel or dovetail cross section, and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frames 62 and 72 so that the fixed rail ( 81 is provided with a movable rail portion 82 that is coupled. The first and second sub-housings 60 and 70 ar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frames 62 and 7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ubhouses 60 and 70 are ope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e 40 to form a single extended space with the main house 40.

한편, 상기 메인하우스(40)에 설치되는 제 1,2서브하우스(60)(70)중 일측의 서브서브 하우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기기를 놓을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펼쳐지는 회동지지판(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회동지지판(90)은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단부측이 메인하우스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메인하우스 측벽의 일부를 이루게 되며, 펼쳤을 때에 메인하우스의 측벽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메인하우스의 측벽에 스토퍼가 설치된다. 6, one sub-sub-house of the first and second sub-houses 60 and 70 installed in the main house 40 includes a pivoting support plate (not shown) (90) may be installed. Although the pivotal support plate 90 is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end side is coupled by the main house and the hinge shaft to form a part of the main house side wall. When the main housing side wall is opened,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e.

상기 자동차본체(11)로부터 돌출된 메인프레임(30)의 후단부측에는 메인프레임(30)이 처지는 것을 지지할 수 있는 서포트부재(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support member 1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30 protruding from the automobile body 11 to support the sagging of the main frame 30.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스(40)의 천정에는 내부공간을 상방으로 확장하기 위한 천정확장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ceiling of the main house 40 may further include a ceiling extending portion 110 for extending the internal space upward.

상기 천정확장부(110)는 메인하우스(110)의 천정에 제 4개구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제 4개구부(111)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에 돔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개의 폴대(1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폴대(112)는 돔을 형성하기 위한 외피(113)가 지지된다. 상기 외피(113)의 하단부측은 제 4개구부(111)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폴대(112)는 메인하우스에 폴대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The ceiling extension unit 110 has a plurality of elastic force to form a fourth opening 111 in the ceiling of the main house 110, and to form a dom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ning 111 The pole 112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pole 112 is supported by an outer shell 113 for forming a dome. The lower end side of the outer shell 113 is coupled to the fourth opening 111. Here, the pole 112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e with a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pole, and the pole 112 may b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support.

상기 천정확장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천정을 확장할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메인하우스(40)의 천정부위에 메인하우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되어 천정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ceiling extend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the ceiling. For example, an extensio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extend the ceiling upwardly from the main house on the ceiling portion of the main house 4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 메인하우스(40)를 분리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30)을 상기 자동차본체(11)의 바닥면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통상적인 자동차와 같이 실내공간을 활용한다. First, the main house 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frame 30 in order to routinely use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main frame 30 is dra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tomobile body 11, the interior space is used like a typical automobile.

그리고 레저생활을 위해 캠핑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프레임(30)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하우스(40)를 프레임에 장착한다. 이때에 상기 메인하우스(40)의 양측면으로 인입 및 인출가능한 제 1,2서브하우스(60)(70)는 메인하우스(4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장착한다.In order to use it as a camper for a leisure life, the main house 40 is mounted on the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frame 30 is drawn out.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ub-houses 60 and 70, which can be drawn into and drawn ou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house 40, are installed while being pulled into the main house 40.

상기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면 메인하우스(40)의 메인프레임(40)을 자동차본체(11)의 실내공간으로 인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메인하우스(40)의 장착은 실내공간에 메인하우스가 완전하게 인입되므로 자동차의 운행에 전혀 간섭을 주지 않는다.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40 of the main house 40 is drawn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1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house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door space,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house 4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t all.

그리고 캠핑장으로 이동 후, 실내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캠핑장소로 이동시킨 후, 후방도어(12)를 열고,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메인프레임(30)을 인출시킴으로써 메인하우스(40)가 인출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을 후방으로 확장한다. 이때에 상기 메인하우스(40)의 인출은 이송유닛(120)의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리드스크류(121)에 나사결합된 이송부재(122)를 후퇴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스(40)의 인출이 완료도히면 메인하우스(40)의 양측으로부터 제 1,2서브하우스(60)(70)를 인출시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좌우측으로 확장한다. 또한 상기 메인하우스(40)의 후방에는 후방확장부(50)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1,2,3프레임을 힌지축(52)에 대해 회동시켜 자바라(54)를 펼침으로써 실내공간을 후방으로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후장으로 확장된 실내공간은 화장실, 물건의 저장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xpand the indoor space after moving to the camp site, the vehicle is moved to a camping location, and then the rear door 12 is opened and the main house 30 is taken out from the indoor space so that the main house 40 is taken out Thereby extending the interior space rearward. At this time, the withdrawal of the main house 40 can be performed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ransfer unit 120 to retract the transfer member 122 screwed to the lead screw 121. [ When the main house 4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first and second subhouses 60 and 70 are drawn ou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house 40 to exp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automobile to left and right sides. Further, since the rear extension 50 is further provided behind the main house 40,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ames are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52 to spread the bellows 54 to rearward Can be further extended. The extended indoor space can be used as a toilet or a storage space for objects.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스(40)의 천정을 높일 수 있는 천정확장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므로 확장된 실내공간의 천정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7, the ceiling of the main house 40 can be further elevated to increase the ceiling of the extended roo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는 캠핑차로 이용 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장하여 주거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메인하우스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통상적인 자동차료 사용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car which can expand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sidential space by expanding the indoor space of the car when used as a camping vehicle, and in general, by using a normal car charge by separating the main house from the frame It is possib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는 실내공간을 후방과 양측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래저용 뿐만아니라 상업용으로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The multifunctional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indoor space to the rear side and both side rooms and is widely applicable not only for the ladder but also for the commercial use.

Claims (6)

실내공간의 후방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후방도어를 구비한 것으로,
자동차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부측에 설치되며 실내공간의 내주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부터 인출 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장하는 확장공간을 가지는 메인하우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It has a rear door to open the rear of the indoor space,
A base frame supported by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at a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drawn in and drawn out rearward, and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A multipurpose car capable of expanding an interior space, comprising a main house having an expansion space that extends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hen withdrawing from the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스의 하면과 메인프레임의 하면 사이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치.
The method of claim 1,
Versatile automatic value expansion of the indoo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hou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측에는 제 2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레일에는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측으로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 1,2서브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서브프레임에는 상기 메인하우스의 양측에 형성된 제 1,2개구로부터 각각 인입 및 인출되는 제1,2서브하우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Second guide rails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the second guide rails include first and second subframes respectively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and the main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subframes are located in the main frame.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an indoor spa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houses which are respectively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u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스의 후방측면에 설치되어 접철 가능한 후방확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후방확장부는 메인하우스의 후방측면에 제 3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제 3개구부의 하면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3개구부의 가장자리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이한 형상을 가지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보다 점차적으로 작은 궤적으로 형성된 제 2,3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3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자바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e and further includes a foldable rear extension. The rear expansion portion has a third opening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e, the first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by a hinge axis and has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dge trajectory of the third opening. And a second and a third frame formed of a trajectory gradually smaller than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bellow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ram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본체의 실내공간 바닥면과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자동차의 본체의 실내공간부로부터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ransfer unit for introducing and withdrawing the main frame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interior spac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main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스의 천정에 천정을 확장하기 위한 천정확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A utility vehicle capable of extending an indoor space, further comprising a ceiling extension unit for extending the ceiling to the ceiling of the main house.





KR1020120113819A 2012-10-12 2012-10-12 room space variation for vehicle KR101420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19A KR101420377B1 (en) 2012-10-12 2012-10-12 room space variation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19A KR101420377B1 (en) 2012-10-12 2012-10-12 room space variation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72A true KR20140047472A (en) 2014-04-22
KR101420377B1 KR101420377B1 (en) 2014-07-16

Family

ID=5065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819A KR101420377B1 (en) 2012-10-12 2012-10-12 room space variation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37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9A1 (en) * 2014-06-20 2015-12-23 이상기 Vehicle camping house
CN105329149A (en) * 2015-11-13 2016-02-17 太仓东泰精密机械有限公司 Travel trailer device
KR101990732B1 (en) * 2018-01-03 2019-06-18 성용호 Living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WO2020111355A1 (en) * 2018-11-29 2020-06-04 남상학 Space expansion module and space expansion-type camper comprising same
KR102197713B1 (en) * 2020-06-17 2020-12-31 에이스캠퍼(주) A Camping Car
JP7132577B1 (en) 2021-08-27 2022-09-07 有限会社ツカサオート Vehicle luggage compar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8192B2 (en) * 2015-12-25 2020-01-21 Shanghai Hingwah Honeycomb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xtension structure with expandable space
KR101847706B1 (en) 2016-04-15 2018-04-11 김현수 Car camping trailer
KR101861241B1 (en) * 2018-02-27 2018-05-28 윤용안 Equipment for expansion of inner space of vehicle and method using thereof
KR20220010593A (en) 2020-07-18 2022-01-25 박병혁 VAN type camping car making shower tray in spare tire space
KR20220022562A (en) 2020-08-19 2022-02-28 안희태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KR20230133033A (en) 2022-03-10 2023-09-19 렉스온 주식회사 Camping car gear to allocate sufficient space for rotating features
KR20230148957A (en) 2022-04-19 2023-10-26 렉스온 주식회사 A horizontally and vertically expandable type camping house structure for unloading from vehicles
KR20230148958A (en) 2022-04-19 2023-10-26 렉스온 주식회사 A Camping house structure for unloading from vehicles
KR20240001529A (en)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프로스코 Camping car with a pull-out camping ho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825A (en) * 1995-11-02 1997-05-13 Hiroshi Sugihara Automobile provided with rear part extending func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19A1 (en) * 2014-06-20 2015-12-23 이상기 Vehicle camping house
CN105329149A (en) * 2015-11-13 2016-02-17 太仓东泰精密机械有限公司 Travel trailer device
KR101990732B1 (en) * 2018-01-03 2019-06-18 성용호 Living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WO2020111355A1 (en) * 2018-11-29 2020-06-04 남상학 Space expansion module and space expansion-type camper comprising same
KR20200064554A (en) * 2018-11-29 2020-06-08 남상학 Space expansion module and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including the same
KR102197713B1 (en) * 2020-06-17 2020-12-31 에이스캠퍼(주) A Camping Car
JP7132577B1 (en) 2021-08-27 2022-09-07 有限会社ツカサオート Vehicle luggage compartment
JP2023032773A (en) * 2021-08-27 2023-03-09 有限会社ツカサオート Vehicular cargo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377B1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77B1 (en) room space variation for vehicle
US6428073B1 (en) Vehicle with slide-out room
EP3875313A1 (en) Variable expansion apparatus for activity space of camping car
US9056575B2 (en) Recreation vehicles with nesting expansion chambers
HU222478B1 (en) Mobile morgue
US20170138056A1 (en) Awning Assembly Attachment
CN111152712A (en) Car as a house
KR20200089977A (en) Camping Car with Variable Bathroom
KR20160020771A (en) A caravan for camping
KR101540013B1 (en) Car loading-type camping house
KR20140137468A (en) A roof top tent for vehicle
KR20190070013A (en) Foldable architectural structure
US7731256B1 (en) Recreational vehicle slide out system
CN105966299A (en) Foldable type expandable space structure of motor home
KR101998039B1 (en) Camping car toilet for space variable type
KR102420424B1 (en) Space expansion type truck loaded camping car
KR102326894B1 (en) Simple bathroom of motorhome
CN211893006U (en) Car as a house
US11110847B2 (en) Expandable vehicle shelter system and method
JP4297343B2 (en) Deck floor structure
US20070257511A1 (en) Slideout room with movable/removable endwalls and/or retractable ceiling
KR200336166Y1 (en) House expander for a camping car
US9597994B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space saving moveable kitchen section
KR200402023Y1 (en) A camping car
KR200479724Y1 (en) Vehicle with Retractable Aw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