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780A -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780A
KR20140046780A KR1020120112868A KR20120112868A KR20140046780A KR 20140046780 A KR20140046780 A KR 20140046780A KR 1020120112868 A KR1020120112868 A KR 1020120112868A KR 20120112868 A KR20120112868 A KR 20120112868A KR 20140046780 A KR20140046780 A KR 2014004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tage
target
connection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산
김동순
임한철
좌재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2011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780A/ko
Publication of KR2014004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은, 대상 곤충의 각 단위 스테이지마다 클래스 정보를 가진 노드에 대해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단위 노드에 대해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상 노드에 대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발생을 모의하기 위한 모델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결구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고, 이들간의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모델 프로그램의 자료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Method of model stage Linking structure}
본 발명은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발생을 모의하기 위한 모델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결구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모델 프로그램의 자료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체 중에서 곤충 등의 모형은 각각의 발육 단계에 따라 여러 스테이지(예: 곤충은 알, 유충, 용, 성충)로 구분되어 있다. 각각의 스테이지는 그 단계의 생물적 특성에 부합하는 함수식들과 조건식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기체들의 모형은 변량(예) 온도 등)을 입력받아 각 스테이지별로 고유한 연산과정을 거쳐 유기체의 발생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곤충의 개체군 모형이란 대상 곤충의 발육과 발생을 수리적으로 함수로 모델화한 것이다. 이러한 곤충 개체군 모형의 개괄적인 이해를 위해 어떤 나방 개체군 모형을 예로 들면, 나방은 알, 유충, 용, 성충의 발육단계로 구분된다. 이들 발육단계를 각각 단위(이하 스테이지로 칭함)로 구분하면, 각각의 단위 모형은 알-> 유충-> 용-> 성충의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 성충은 다시 알을 생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연중 나방의 개체군 모형은 알부터 성충까지의 단위 모형들을 반복적으로 거쳐야만 한다. 알 단위를 구성하는 수리적 모형은 산란된 알이 부화하여 유충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발육속도 모델(함수)과 이들의 개체들의 발육차이에 따른 발육완료 분포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충과 용의 단위 모형도 이 두 가지 모델을 사용한다. 성충은 알, 유충, 용과 달리 다소 복잡하다. 성충 단위 모델은 수명 모델, 총산란모델, 생존 모델, 산란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발생을 모의하기 위하여 모델 프로그램을 적용하게 되는데 그 대상에 따라 각 발육 스테이지가 다양한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발생을 모의하기 위한 모델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결구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모델 프로그램의 자료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은, 대상 곤충의 각 단위 스테이지마다 클래스 정보를 가진 노드에 대해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단위 노드에 대해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상 노드에 대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노드의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스테이지에서 기준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의 앞단 및 뒷단에 연결되는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에서 분지 노드 및 링크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의 연산이 시작되는 시작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설정 및 입력된 노드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단위 스테이지의 클래스 정보는 각 곤충의 알, 유충, 용, 성충들의 생물적 현상을 수리적 함수식, 조건값 및 연결된 노드들에 대한 연산과정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의 포인터값을 검토하여 분지 또는 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분지 노드이면 해당 분지 노드로 이동하여 분지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정보에 따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링크 노드이면 해당 링크 노드로 이동하여 링크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 정보 값이 참이면 뒷 노드로 이동하여 해당 뒷 노드의 연결 정보에 따라 검색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대상 노드에 대해 노드를 추가, 분지, 삭제 또는 링크하는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편집 단계에서 노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대상 노드 ID를 재설정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발생을 모의하기 위한 모델 프로그램의 다양한 연결구조의 스테이지를 구성하고, 이들간의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모델 프로그램의 자료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된 자료 연결 구조는 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복잡한 노드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검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구조체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구조체를 생성하는 각 단계별 입력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스테이지의 클래스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 노드의 검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구조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구조체를 생성하는 각 단계별 입력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은, 대상 곤충의 각 단위 스테이지마다 클래스 정보를 가진 노드에 대해 구조체를 생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구조체는 스테이지의 ID, 스테이지의 이름 예를 들면, 알, 유충, 용 등, 스테이지 타입정보저장, 현재 스테이지와 연결된 스테이지의 ID 저장, 시작 노드 P0, 앞 노드 P1, 링크된 노드 P2, ..., 뒷 노드 N1, 분지 또는 링크할 노드N2,...., 생물 정보와 관련된 클래스 정보 S1, S2, S3, S4,.... ,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노드의 구조체를 생성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단위 스테이지에서 기준 노드의 포인터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1). 여기서, 스테이지의 노드 형성 기준 노드의 앞에 연결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기준 노드의 2 스테이지의 P1 앞에 연결된 1 스테이지를 말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노드의 앞단 및 뒷단에 연결되는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2).
즉, 기준 노드가 연산 과정에서 결과값을 참조해야 할 노드를 입력하게 된다. 현재 기준 노드(3 스테이지)가 앞에 연결된 노드인 2 스테이지 외에 202 스테이지와 같이 결과값을 참조할 노드가 연결된 경우 P2 값은 202 스테이지의 이름인 202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N1은 현재 기준 노드 뒤에 연결된 노드를 가리키는 것으로 기준 노드(3 스테이지)는 4 스테이지와 연결되어 있고 N1은 4를 입력하게 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노드에서 분지 노드 및 링크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3). 즉, N2는 분지된 상태로 연결된 노드를 가리키는 것으로 기준 노드(2 스테이지)에서 201 스테이지라는 분지된 노드를 입력하게 된다.
그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노드의 연산이 시작되는 시작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4). 즉, 연결구조가 완성되고 정보 설정이 최종 완료한 후 모의를 시작할 때 사용자가 처음 시작할 단위, 즉 노드를 번데기(Pupa)로 선택하였을 경우 P0는 시작 노드의 이름인 0을 가리키고 있다. 여기서 0 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노드는 사용자가 0 노드에 설정한 조건값들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번데기 단계는 0 노드에서 연산한 결과값을 참조하여 번데기 스테이지에 설정된 조건에 대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다음 성충(Adult)은 번데기 스테이지의 연산값을 참조하여 수행하고, 다음 알(Egg) 스테이지로 넘어간다. 여기서 성충(Adult)의 N2는 1번 스테이지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계에서 설정 및 입력된 노드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5).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곤충의 단위 모형의 구성이 알-> 유충-> 용-> 성충과 선형관계만 있는 것이 아니고, 월동용 -> 성충-> 알-> 유충 과정의 유충 단계에서 용-> 성충 -> 알로 연결되는 것과 유충이 바로 월동용이 되는 구조로도 분지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분지를 원하는 단위(=스테이지)에서 분지가 되어야 하며, 모든 단위가 다음 발육이 되는 단위로 연결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는 대상 생물의 수리적 모델과 조건의 설정과 연산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알, 유충, 용과 같은 단위는 대개 2개의 함수식을 포함하고 있지만, 성충과 같은 경우 4개의 함수식이 필요하다. 이와 별도로 각 단위의 생존율을 설정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로 쓰이는 함수식들과 조건에 대하여 표준화된 타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산을 최초 시작하는 단위 선택을 선택할 수 있고, 시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알-> 유충-> 용-> 성충으로 구성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알이 아닌 유충부터 연산을 수행해야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시작 조건으로 한 개의 값과 다수의 분포 값들을 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된 단위(=스테이지)들 중 임의의 단위에서 시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단위에의 시작 조건들에 대하여 미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스테이지)들의 연결과 단위에 포함된 함수식과 조건식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신뢰할 수 있도록 표현하게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스테이지의 클래스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스테이지의 클래스 정보는 각 곤충의 알, 유충, 용, 성충들의 생물적 현상을 수리적 함수식, 조건값 및 연결된 노드들에 대한 연산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곤충마다 단위 스테이지의 수에 차이가 있다. 즉, 나방 같은 경우 알-> 유충-> 용-> 성충 4개의 단위 스테이지만 필요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따라 알-> 1령유충-> 2령유충-> 3령 유충->....-> 종령유충-> 용-> 성충으로 세분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임의의 수의 단위 스테이지를 생성, 삭제가 가능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 노드의 검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단위 노드에 대해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06).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의 포인터값을 검토하여 분지 또는 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분지 노드이면 해당 분지 노드로 이동하여 분지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정보에 따라 검색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대상 노드의 N2의 포인터 (*N2)의 값을 검토하여 참인지를 검토한다. *N2가 참일 경우 *N1이 참이면 분지이고 거짓이면 링크임을 알 수 있다. 분지된 것일 경우 N2로 이동하여 N2의 연결정보로부터 검색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링크 노드이면 해당 링크 노드로 이동하여 링크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 정보 값이 참이면 뒷 노드로 이동하여 해당 뒷 노드의 연결 정보에 따라 검색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N2가 거짓일 경우 *N1의 값을 검토한다. 참이면 N1으로 이동하여 N1의 연결정보로부터 검색을 수행하고 거짓일 경우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대상 노드에 대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7).
이어, 상기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대상 노드에 대해 노드를 추가, 분지, 삭제 또는 링크하는 편집 단계가 수행된다(S108). 여기서, 상기 편집은 노드의 추가 또는 삭제 대상 노드 ID를 재설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는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는 것으로, 대상 노드의 N1에 새로운 노드가 연결된다. 여기서, 새로운 노드의 P1은 대상 노드를 가리킨다. 상기 분지는 기존 노드로부터 분지 된 새로운 노드가 추가되는 것으로, 대상 노드의 N2에 새로운 노드가 연결되고, 새로운 노드의 P1은 대상 노드를 가리킨다.
링크는 뒤에 추가된 노드가 없는 노드의 경우 기존의 존재하는 노드에 링크를 할 수 있다. 연결한 노드의 N2가 대상노드를 가리키고 대상노드의 P2는 연결한 노드를 가리킨다. 삭제는 대상 노드를 삭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편집 과정에서 생물적 정보가 셋팅 되었을 경우 먼저 생물적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노드의 분지 여부, 해당 노드가 삭제되었을 때 앞, 뒤 노드의 연결구조에 대한 상황에 맞춰 삭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대상 곤충의 각 단위 스테이지마다 클래스 정보를 가진 노드에 대해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단위 노드에 대해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대상 노드에 대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스테이지에서 기준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의 앞단 및 뒷단에 연결되는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에서 분지 노드 및 링크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노드의 연산이 시작되는 시작 노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설정 및 입력된 노드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테이지의 클래스 정보는 각 곤충의 알, 유충, 용, 성충들의 생물적 현상을 수리적 함수식, 조건값 및 연결된 노드들에 대한 연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노드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의 포인터값을 검토하여 분지 또는 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분지 노드이면 해당 분지 노드로 이동하여 분지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정보에 따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상 노드와 연결된 노드가 링크 노드이면 해당 링크 노드로 이동하여 링크 노드의 연결 노드 값을 검토하여 연결 정보 값이 참이면 뒷 노드로 이동하여 해당 뒷 노드의 연결 정보에 따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대상 노드에 대해 노드를 추가, 분지, 삭제 또는 링크하는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단계에서 노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대상 노드 ID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KR1020120112868A 2012-10-11 2012-10-11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KR20140046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68A KR20140046780A (ko) 2012-10-11 2012-10-11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68A KR20140046780A (ko) 2012-10-11 2012-10-11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80A true KR20140046780A (ko) 2014-04-21

Family

ID=5065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68A KR20140046780A (ko) 2012-10-11 2012-10-11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7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137A (ko) * 2014-06-02 2015-12-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테이지 모델 생성을 이용한 사용자 정의형 수식 통합 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137A (ko) * 2014-06-02 2015-12-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테이지 모델 생성을 이용한 사용자 정의형 수식 통합 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ireman III et al. Molecular phylogeny and evolution of world Tachinidae (Diptera)
Everaars et al. Fragmentation of nest and foraging habitat affects time budgets of solitary bees, their fitness and pollination services, depending on traits: results from an individual-based model
CN105468702B (zh) 一种大规模rdf数据关联路径发现方法
Brodland et al. Video force microscopy reveals the mechanics of ventral furrow invagination in Drosophila
JP5149225B2 (ja) テストケース生成装置およびテストケース生成方法
Årthun et al. Climate based multi-year predictions of the Barents Sea cod stock
Armstrong et al. Advances in reintroduction biology of Australian and New Zealand fauna
Alba-Alejandre et al. Observing the devastating coffee berry borer (Hypothenemus hampei) inside the coffee berry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ailleret et al. Global stability and optimisation of a general impulsive biological control model
Wu et al. Vector bionomics and vectorial capacity as emergent properties of mosquito behaviors and ecology
Zschokke et al. Spider orientation and hub position in orb webs
Linz et al. The origins of novelty from within the confines of homology: the developmental evolution of the digging tibia of dung beetles
Pereyra et al. Disentangling the multiple components of anuran diversity associated to different land‐uses in Yungas forests, Argentina
Rossini et al. Distributed Delay Model and Von Foerster's equation: Different points of view to describe insects' life cycles with chronological age and physiological time
KR20140046780A (ko) 모델 스테이지 연결 구조 형성방법
Kavitha et al. An efficient social spider optimization for flexible job shop scheduling problem
Taylor et al. The Nasonia pair-rule gene regulatory network retains its function over 300 million years of evolution
Griendling et al. An architecture-based approach to identifying system-of-systems alternatives
Gusmão et al. New records and modell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black-tailed marmosets
Melin et al. The allometry of proboscis length in Melittidae (Hymenoptera: Apoidae) and an estimate of their foraging distance using museum collections
Wolff et al. Reconstruction of cell lineages and behaviors underlying arthropod limb outgrowth with multi-view light-sheet imaging and tracking
Baek et al. Determination of an optimum sampling unit of Rican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eggs in persimmons
Nervo et a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sex rather than morphological traits drive intraspecific dung removal in two dung beetle species
Blyuss et al. Complex dynamics near extinction in a predator-prey model with ratio dependence and Holling type III functional response
KR101767142B1 (ko)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로부터 질병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