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635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635A
KR20140045635A KR1020120111597A KR20120111597A KR20140045635A KR 20140045635 A KR20140045635 A KR 20140045635A KR 1020120111597 A KR1020120111597 A KR 1020120111597A KR 20120111597 A KR20120111597 A KR 20120111597A KR 20140045635 A KR20140045635 A KR 20140045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vehicle
control
control sig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충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635A/en
Publication of KR2014004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6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a vehicle using a smart terminal, where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vehicle comprises a communication par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 storage par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in which vehicle driv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are mapped; a command recognizing part for calling the mapping table i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and recognizing the vehicle driv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 drive control part for generating a drive control signal for driving a drive mo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driv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signal. [Reference numerals] (100) Smart terminal; (200) Vehicle drive controller

Description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연결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vehicle using a smart terminal connected wirelessly.

최근, 대부분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소지하고, 휴대 단말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휴대 단말과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차량에 구비된 전자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Recently, as most users have a portable terminal and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ed,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on / off of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vehicle has been implemented.

일 예로서, 특허출원 제2006-0000082호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 시동, 에어컨, 트렁크, 램프 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Patent Application No. 2006-0000082 discloses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door, a start, an air conditioner, a trunk, a lamp, and the like of a vehicle using a mobile phone.

하지만, 종래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단순히 온/오프만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t was possible to simply control on / off using a mobile phone.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제어 응용의 구현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a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mart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smart terminal that enable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at a remote location without boarding the vehicle And providing a method.

특히,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구비된 바퀴의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that enables the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to be controlled such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provided in the vehic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는, 스마트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매핑 테이블을 호출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을 인식하는 명령 인식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A storage unit storing a mapping table mapped to the vehicle driving command, a command recognition unit calling the mapping table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is received, and recognizing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 And a driving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또한, 상기 통신부는, WiFi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using a WiFi-based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구현되는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과 제어신호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매칭된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control icon display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smart terminal and the control signal match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atched control signal.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방법은, 스마트 단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매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Calling a mapping table to which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is mapped, recognizing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pping table, and recognizing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command.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wirelessly connecting the smart terminal through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before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단계는, WiFi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wirelessly connecting through the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smart terminal using a WiFi-based communication scheme.

또한,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구현되는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과 제어신호가 서로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매핑된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e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icon displayed by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smart terminal and a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icon is mapped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apped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제어 응용의 구현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a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at a remote location without boarding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제어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to which a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to which a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원격지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100)과 무선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100)의 조작에 따라 차량(10)의 구동 모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10)에 승차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100 located at a remote place,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00. To control.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vehicle 10 using the smart terminal 100 at a remote location without getting on the vehicle 10.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은 원격지에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와 무선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단말 자체적으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차량 제어 응용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로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100)을 통해 차량(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공간 이동의 제약이 적은 휴대용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00)은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이 해당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smart terminal 100 has a communication interface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by itself is performed. As a possible terminal,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smart terminal 100 at a remote place where the user wants any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with less restrictions on space movement. For example, the smart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tablet) PC,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스마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지에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스마트 단말(100)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무선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WiFi(wireless fidelity)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스마트 단말(100)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무선 연결 방식은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의 통신모듈이 마스터,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통신모듈이 슬레이브로 동작하며, 스마트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스마트 단말(100)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통신모듈 간에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from a remote place through the smart terminal 100,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re wireless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using a wireless fidelity (WiFi) based communication scheme. Of course, th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is naturally applicable to various embodiments.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terminal 100 is a master,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200 operates as a slave,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200 at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100 Pair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will be wirelessly connected.

한편,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로부터 차량(10)의 구동을 위한 명령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구동 제어신호를 구동 모터로 출력하여 차량(10)이 구동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100,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recognizes a command for driving the vehicle 10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driv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motor. To drive the vehicle 10.

여기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에 의해 출력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 모터는 차량(10)에 구비되어 특정 수단을 구동하는 모터라면 어느 것이든 해당 될 수 있으나,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는 차량(10)에 구비된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 즉, 차량(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 the driving mot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ny motor provided in the vehicle 10 to drive a specific means, but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driving motor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provided in the vehicle 10, that is, a motor for rotating the wheel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0.

이에, 스마트 단말(100) 및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Thus, a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of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will refer to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100)은 제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응용 구현부(150), 조작 감지부(160) 및 출력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스마트 단말(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user interface 120, a storage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 application implementation unit 150, and an operation detection unit 160. ) And an output control unit 170. Her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smart terminal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수단 및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은 터치스크린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user interface 120 include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a user and output means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input means and output means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like a touch screen, bu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저장부(130)는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차량의 구동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응용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30)는 차량 제어 응용 구현 시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setting values for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for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is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con manipulated when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implemented.

통신부(140)는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기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통신부(140)는 차량 제어 응용이 실행되면, 원격지의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를 탐색하고, 이 중 선택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통신모듈과의 페어링을 통해 해당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와 무선 연결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s a wireless fidelity (WiFi) based communication scheme.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mmunication unit 140 searches for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through pair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lected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200 is wirelessly connected.

응용 구현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 제어 응용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차량 제어 응용을 실행한다. 이때, 응용 구현부(150)는 차량 제어 응용이 실행되는 동안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아이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The application implementing unit 150 execute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f a user requests the execu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implementation unit 150 allows the control icon implemen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120 while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running.

여기서, 제어 아이콘은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바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Here, the control icon may be an icon indica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조작 감지부(160)는 응용 구현부(150)에 의해 차량 제어 응용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제어 아이콘의 조작을 감지한다. 만일,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이 조작됨을 감지하면,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조작 감지부(160)는 제어 아이콘이 조작되는 동안 계속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5초 동안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을 클릭하고 있는 경우, 조작 감지부(160)는 5초 동안 계속해서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operation detecting unit 160 detects an operation of a control icon displayed through a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120 while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application implementing unit 150. If it is detected that one of the control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120 is manipulated,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control icon is output. At this time,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160 continuously outputs a detection signal while the control icon is operated. As an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on any one control icon for 5 seconds, the operation detecting unit 160 continuously outpu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control icon for 5 seconds.

출력 제어부(170)는 조작 감지부(160)에 의해 출력되는 감지 신호로부터 조작된 제어 아이콘을 인지하고, 이때 인지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 제어부(170)는 조작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은 계속해서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controller 170 recognizes the manipulated control icon from th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manipulation detector 16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ntrol icon. At this time, the output control unit 170 continuously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while the detection signal is output by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160.

여기서, 출력 제어부(17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부(140)에 의해 연결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로 송신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Here,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output control unit 170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200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A detailed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된 제어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icon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0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at a remote location without boarding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명령 인식부(240), 및 구동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 command recognition unit 240, and a driving control unit 250. . Here,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200.

통신부(220)는 스마트 단말(100)과의 무선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기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통신부(220)는 스마트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100)의 통신모듈과의 페어링을 통해 해당 스마트 단말(100)과 무선 연결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smart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supports a wireless fidelity (WiFi) based communication schem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100 through pair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terminal 100 at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100.

통신부(220)를 통해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와 스마트 단말(100)이 무선 연결되게 되면, 차량은 동작 모드가 원격 제어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차량의 동작 모드가 원격 제어 모드로 전환되면, 통신부(220)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명령 인식부(240)로 전달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nd the smart terminal 100 ar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vehicle is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is switched to the remote control mode, the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100 to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240.

저장부(230)는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이 저장된다. 여기서, 매핑 테이블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a set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and a mapping table in which the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100 is mapped. . Her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mapping t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명령 인식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스마트 단말(100)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호출한다. 이때, 명령 인식부(240)는 호출된 매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을 인식한다.When the control unit 24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240 calls a mapping 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0. In this case,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240 recognizes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alled mapping table.

구동 제어부(250)는 차량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해당되는 구동 모터로 출력한다. 이때, 구동 제어부(250)는 명령 인식부(240)에 의해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에 해당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서, 구동 제어부(250)는 명령 인식부(240)에 의해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이 전진 명령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driving controller 25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and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motor.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ler 250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riving command recognized by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240. As an example, when the vehicle driving command recognized by the command recognizing unit 240 is a forward command, the driving controller 250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따라서, 차량의 구동 모터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 경우, 구동 모터는 차량이 원격 제어 모드에서 설정된 속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맵핑 테이블에 속도 제어 정보가 추가되어, 그에 따라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controller 25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is rotated. In this case, the driving motor may rotate the vehicle within a speed range set in the remote control mode, and the speed contro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mapping table, there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제어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0)은 차량의 구동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응용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 제어 응용을 실행함으로써 차량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mart terminal 100 includes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for driving control of a vehicle, and when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smart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vehicle driving by execut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do.

여기서, 차량 제어 응용은 사전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한 응용일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응용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응용을 제공받는 방법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제어 응용을 제공 받는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Here,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 server in advance, or may be an applic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The method of receiving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any method may be applied as long as data can be provid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provided with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omitted.

스마트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응용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해당 차량 제어 응용을 실행한다. 스마트 단말(100)에 의해 실행되는 차량 제어 응용은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아이콘을 스마트 단말(100)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구현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차량의 바퀴를 제어하는 응용인 경우, 해당 차량 제어 응용은 차량 바퀴의 방향 제어를 위해 '→', '←', '↑', '↓', '↗', '↖'와 같은 제어 아이콘을 스마트 단말(100)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한다.The smart terminal 100 execute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when the user requests the execu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executed by the smart terminal 100 allows a plurality of control ico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00.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wheels of a vehicle,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may include '→', '←', '↑', '↓', '↗', and '↖'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wheels. The same control icon is implemented on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00.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00)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복수의 제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아이콘을 조작하면, 스마트 단말(100)은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로 송신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410)을 조작한 경우, '↑'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로 송신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manipulates a control icon of any of a plurality of control icons implemented on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00, the smart terminal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control icon to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 200).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manipulates '↑' 410,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따라서, 차량 구동 제어 장치(200)는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에 해당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바퀴가 구동하도록 구동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200 controls the driving motor to drive the wheel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1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도시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구동 제어 장치는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아이콘이 조작되면,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수신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명령이 맵핑된 맵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차량 구동 제어 장치에 저장되는 맵핑 테이블은 도 5와 같다.When the control icon implemen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s manipulate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control icon, wherein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con is received based on the mapped mapping table.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recognized. At this time, the mapping tab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is shown in FIG. 5.

이때, 맵핑 테이블은 스마트 단말의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아이콘의 제어신호 별로 차량 구동을 위한 명령이 맵핑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mapping table, commands for driving the vehicle are mapped to control signals of control icons implemen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일 예로서,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아이콘이 '→', '←', '↑', '↓', '↗', '↖'이라면, 맵핑 테이블에는 '→', '←', '↑', '↓', '↗', '↖' 각각에 대응하는 명령이 맵핑된다.As an example, if the control icons implemen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re '→', '←', '↑', '↓', '↗', '↖', the mapping table includes '→', '←', Commands corresponding to '↑', '↓', '↗' and '↖' are mapped.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는 우회전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좌측 바퀴는 전진, 우측 바퀴는 후진이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는 좌회전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좌측 바퀴는 후진, 우측 바퀴는 전진이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는 전진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 모두 전진이다. 또한, 도 5의 (d)를 참조하면, '↓'는 후진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 모두 후진이다.First, referring to FIG. 5A, '→' is a control icon for a right turn,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is left wheel forward and right wheel backwar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5 (b), '←' is a control icon for the left turn,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eft wheel is backward, the right wheel is forwar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C, '↑' is a control icon for moving forward,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is moving forward in both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D, '↓' is a control icon for reversing, and the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is backward for both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한편, 도 5의 (e)를 참조하면, '↗'는 우측대각선 방향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좌측 바퀴는 전진이며, 우측 바퀴 정지이다. 또한, 도 5의 (f)를 참조하면, '↖'는 좌측대각선 방향에 대한 제어 아이콘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명령은 우측 바퀴는 전진이며, 좌측 바퀴는 정지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5 (e), '↗' is a control icon for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the corresponding command is the left wheel is forward, the right wheel stop.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F, '↖' is a control icon for the left diagonal direction, and the corresponding command is the right wheel forward and the left wheel stop.

따라서, 차량 구동 제어 장치는 스마트 단말의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아이콘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맵핑 테이블을 통해 해당 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명령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의 구동 모터로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바퀴가 회전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control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con implemen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is receive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command through the mapping table, and controls the driving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mmand. Sending a signal to the drive motors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causes the wheels of the vehicle to ro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은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응용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 제어 응용을 실행한다(S100).Referring to FIG. 6, when the smart terminal requests execu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user, the smart terminal execute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100).

이때,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차량 구동을 제어할 차량 구동 제어 장치를 탐색하여, 해당 차량 구동 제어 장치 간 페어링을 수행한다(S110). 'S110' 과정에 의해 스마트 단말과 차량 구동 제어 장치 간 무선 연결되면, 차량 제어 응용은 차량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아이콘을 스마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S120).At this time,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search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nd pairing betwee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s is performed (S110). When the smart terminal and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are wirelessly connected by the 'S110' proces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displays a control icon for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on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S120).

'S120' 과정에서 스마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 아이콘이 조작되면(S130), 차량 제어 응용은 'S130' 과정에서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40).When the control icon selected by the user is manipulated among the control icons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in step S120 (S130),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con operated in step S130 (step S130). S140).

따라서, 스마트 단말은 차량 제어 응용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차량 구동 제어 장치로 송신한다(S150). Therefore, the smart terminal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to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S15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구동 제어 장치는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의해 스마트 단말 간 페어링을 수행하고(S200), 차량 구동 제어 장치와 스마트 단말 간에 무선 연결되면, 차량의 동작모드를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S210).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performs pairing between the smart terminals at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S200), and whe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the smart terminal are wirelessly connected, operate the operation mode of the vehicle in the remote control mode. (S210).

차량이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S220), 기 저장된 맵핑 테이블을 호출하여 'S220' 과정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인식한다(S230). 이때, 차량 구동 제어 장치는 'S230' 과정에서 인식된 명령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해당되는 구동 모터로 출력한다(S240).When the vehicle operates in the remote control mode,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S220), the pre-stored mapping table is called to recogniz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in step 'S220' (S230).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recognized in the 'S230' process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motor (S240).

따라서, 해당 차량의 구동 모터가 'S240' 과정에서 출력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output during the 'S240' process, which enables the us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a smart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without boarding the vehicle.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protected. It can be applied within.

10: 차량 15: 구동 모터
100: 스마트 단말 110: 제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응용 구현부
160: 조작 감지부 170: 출력 제어부
200: 차량 구동 제어 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240: 명령 인식부 250: 구동 제어부
10: vehicle 15: drive motor
100: smart terminal 110: control unit
120: user interface 130: storage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application implementation unit
160: operation detection unit 170: output control unit
200: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210: control unit
220: communication unit 230: storage unit
240: command recognition unit 250: drive control unit

Claims (8)

스마트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매핑 테이블을 호출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을 인식하는 명령 인식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 storage unit storing a mapping table to which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is mapped;
A command recognizing unit that recognizes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y calling the mapping table when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is received; And
And a driving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iFi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using a WiFi-based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구현되는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과 제어신호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매칭된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he control icon display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smart termi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matched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matched to the operated control icon of the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terminal.
스마트 단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이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매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구동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인식된 차량 구동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방법.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If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is received, calling a mapping table to which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is mapped;
Recognizing a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pping table; And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driv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mart terminal, the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irelessly connecting through the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는 단계는,
WiFi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irelessly connecting through the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using a WiFi-based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구현되는 차량 제어 응용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과 제어신호가 서로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 중 조작된 제어 아이콘에 매핑된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구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he control icon displayed by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smart termi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mappe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mapped to the operated control icon of the contr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Vehicle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KR1020120111597A 2012-10-09 2012-10-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KR201400456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597A KR20140045635A (en) 2012-10-09 2012-10-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597A KR20140045635A (en) 2012-10-09 2012-10-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35A true KR20140045635A (en) 2014-04-17

Family

ID=5065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597A KR20140045635A (en) 2012-10-09 2012-10-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6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684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974322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645752B1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EP258315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CN109314854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between electric tool and mobile device
US9020566B2 (en) Vehicle on-board unit and mobile device linkage system
CN109981009B (en) Control method of stepping motor and mobile terminal
EP1403833A1 (en) Remote control system
KR20150049842A (en) Electronic device, power controlling method of tethering mode and system
CN110072013B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1537163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3002148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7828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102267008B1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key of portable terminal
KR20120055142A (en) Robo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89752A (en)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ca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400456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ing smart terminal
CN111813314A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89749A (en) A car display appratus for providing a car interface
CN108469107B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device,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US11108586B2 (en) Infotainment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5130079A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2044282B1 (en)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for vehicle
KR102064432B1 (en) Controlling method for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for vehicle
KR102064428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