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421A - 핸드 워셔 - Google Patents
핸드 워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4421A KR20140044421A KR1020120109802A KR20120109802A KR20140044421A KR 20140044421 A KR20140044421 A KR 20140044421A KR 1020120109802 A KR1020120109802 A KR 1020120109802A KR 20120109802 A KR20120109802 A KR 20120109802A KR 20140044421 A KR20140044421 A KR 20140044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washing water
- hand
- air suctio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핸드 워셔(Hand Washer)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핸드 워셔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는 손 투입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손 투입공간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관; 및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공과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공이 형성되는 공기흡입 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드 워셔 혹은 손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수(물)를 절약하고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한 평판디스플레이 등의 정밀한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은 대부분 클린룸(Clean Room)이라는 청정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스막룸(Smock Room)에서 무진복으로 갈아입고 세정수(물)가 나오는 핸드 워셔(Hand Washer)에서 손에 묻은 이물을 세정 혹은 세척하여야 한다.
이때, 클린룸용 핸드 워셔는 일반 수돗물이 아닌 고도의 정수 처리를 거친 물(Demi-Water)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처럼 클린룸용 핸드 워셔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수된 물은 일반 수돗물에 비해 제조원가가 대단히 높다.
따라서, 적은 양의 물로도 충분한 세정이 가능하여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클린룸용 핸드 워셔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요구는 클린룸용 핸드 워셔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일반 수돗물 등을 사용하는 일반용 핸드 워셔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양의 세정수로도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져 세정수를 절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 워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는 손 투입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손 투입공간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관; 및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공과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공이 형성되는 공기흡입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 연결관은,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워지고 채워진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챔버는,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관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은, 입구 측에서 상기 에어 챔버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구간과, 상기 에어 챔버 측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 내의 세정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횡단면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흡입공과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연결되는 세정수 분배관; 및 상기 세정수 분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세정수 분배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워셔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 중 상기 손 투입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손이 투입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만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드 워셔는, 상기 손 투입공간에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었는지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세정수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자동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드 워셔 혹은 손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을 연결하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공과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공이 형성되는 공기흡입 연결관을 포함함으로써, 공기흡입 연결관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되고 노즐부를 통해 혼합된 세정수와 공기가 분사되므로, 소량의 세정수로도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져 세정수를 절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워지고 공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 챔버가 공기흡입 연결관에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한편, 공기 흡입공 또는 공기 공급공에 별도의 체크밸브 등에 설치하지 않아도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흡입 연결관에서 공기 공급공이 세정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됨으로써, 공기흡입 연결관 내부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워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노즐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공기흡입 연결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흡입 연결관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B-B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노즐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공기흡입 연결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흡입 연결관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B-B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워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노즐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워셔(100)는 몸체부(110), 노즐부(120), 세정수 공급관(130), 센서부(140), 자동밸브(150) 및 공기흡입 연결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는 고도의 정수 처리를 거친 물을 사용하는 클린룸용 핸드 워셔를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클린룸용 이외의 다양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워셔(100)의 외관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는 세정 혹은 세척이 이루어지는 손 투입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는 노즐부(120), 세정수 공급관(130), 센서부(14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핸드 워셔(100)를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13)가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투입공간(111)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수단으로, 손 투입공간(111)과 인접한 몸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사용자의 손을 세정 혹은 세척하기 위한 물로, 클린룸에 사용되는 고도의 정수 처리를 거친 물이나 일반적인 수돗물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연결관(160)을 통해 세정수 공급관(130)과 연결되는 세정수 분배관(121)과, 세정수 분배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세정수 분배관(12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노즐부(120)는 한번에 여러 사람(사용자)이 손을 세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노즐부(120)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세정수 분배관(121)을 생략하고 하나의 분사노즐(123)이 세정수 공급관(130)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핸드 워셔(100)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3) 중 손 투입공간(111) 내에서 사용자의 손이 투입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123)만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핸드 워셔(100)를 동시에 이용하는 사람의 수와 무관하게 설치된 모든 복수 개의 분사노즐(123)이 불필요하게 세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세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후술할 센서부(140)는 손 투입공간(111)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별로 사용자 손의 투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세정수 분배관(121)에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3)을 개별적 혹은 독립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밸브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손 투입공간(111)에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었는지 혹은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투입공간(111)과 인접한 몸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40)는 예컨대 한 개 혹은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 등으로 쉽고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자동밸브(150)는 센서부(1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세정수 공급관(130)을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관(1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밸브(150)는 센서부(1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되는데, 사용자가 손 투입공간(111)에 손을 넣은 것으로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되면 세정수 공급관(130)을 개방하여 세정수를 노즐부(120)에 공급하고, 사용자가 손 세정을 마친 후 손 투입공간(111)에서 손을 빼낸 것으로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되면 세정수 공급관(130)을 폐쇄하여 노즐부(120)에 세정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세정수 공급관(1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노즐부(120)의 세정수 분배관(121)에 결합되어 세정수 공급관(130)와 노즐부(120)를 연결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일단부와 세정수 공급관(130)의 결합 및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타단부와 노즐부(120)의 결합은, 나사식 관이음쇠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관이음쇠(pipe fitt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여 세정수와 공기를 혼합시키기 위한 것인데,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핸드 워셔에서 공기흡입 연결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기흡입 연결관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의 B-B선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의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관벽(161,161a), 공기 흡입공(162), 공기 공급공(163) 및 에어 챔버(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벽(161,161a)은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161)과 에어 챔버(165)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내벽(161a)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 흡입공(162)은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외부와 에어 챔버(165) 사이에서 관벽(16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공(163)은 공기 흡입공(161)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챔버(165)와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내부 사이에서 관벽(161a)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챔버(165, air chamber)는 공기 흡입공(16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으로, 채워진 공기는 공기 공급공(16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챔버(165)는 공기 흡입공(162) 및 공기 공급공(163)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에어 챔버(165)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관벽(161,16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면서도 흡입된 공기가 다양한 위치 및 방향에서 공기흡입 연결관(160) 내의 세정수에 공급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데, 이를 위해 공기흡입 연결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IN) 측에서 에어 챔버(165)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구간(a)과, 에어 챔버(165) 측에서 출구(OUT)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구간(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에어 챔버(165) 위치에서의 유로 단면적이 입구 위치에서의 유로 단면적 및 출구 위치에서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및 이를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핸드 워셔(100)의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즉 소량의 세정수로도 충분한 세정이 가능하도록 세정수와 공기를 혼합시키기 위해, 공기 흡입공(162)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기 공급공(163)을 통해 공급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바로 혹은 직접 공급하지 않고 에어 챔버(165)를 경유하여 공급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한편, 공기 흡입공(162) 또는 공기 공급공(163)에 별도의 체크밸브 등에 설치하지 않아도 세정수가 누수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 연결관(160)은 기존의 핸드 워셔에 큰 설계변경 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워셔(100)에서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기흡입 연결관(160) 내부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혼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기흡입 연결관(160)에서 공기 공급공(16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벽(16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공기 흡입공(162)과 다르게, 공기흡입 연결관(160) 내의 세정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공기 공급공(16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본 실시예의 경우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공기 공급공(16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횡단면에 대한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공기 흡입공(162)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기 공급공(163)이 공기 흡입공(162)과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기 흡입공(16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에어 챔버(165)에 채워지지 않고 바로 공기 공급공(163)을 통해 공기흡입 연결관(160)의 유로로 배출되어 본 발명에서 에어 챔버(165) 구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워셔(100)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120)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130)을 연결하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공(162)과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공(163)이 형성되는 공기흡입 연결관(160)을 포함함으로써, 공기흡입 연결관(160)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혼합되고 노즐부(120)를 통해 혼합된 세정수와 공기가 분사되므로, 소량의 세정수로도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져 세정수를 절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워셔(100)는 공기 흡입공(16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워지고 공기 공급공(163)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 챔버(165)가 공기흡입 연결관(160)에 구비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한편, 공기 흡입공(162) 또는 공기 공급공(163)에 별도의 체크밸브 등에 설치하지 않아도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워셔(100)는 공기흡입 연결관에서 공기 공급공(163)이 세정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됨으로써, 공기흡입 연결관(160) 내부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핸드 워셔
110 : 몸체부
111 : 손 투입공간
120 : 노즐부
121 : 세정수 분배관
123 : 분사노즐
130 : 세정수 공급관
140 : 센서부
150 : 자동밸브
160 : 공기흡입 연결관
161,161a : 관벽
162 : 공기 흡입공
163 : 공기 공급공
165 : 에어 챔버
C-C : 공기흡입 연결관의 횡단면에 대한 중심선
110 : 몸체부
111 : 손 투입공간
120 : 노즐부
121 : 세정수 분배관
123 : 분사노즐
130 : 세정수 공급관
140 : 센서부
150 : 자동밸브
160 : 공기흡입 연결관
161,161a : 관벽
162 : 공기 흡입공
163 : 공기 공급공
165 : 에어 챔버
C-C : 공기흡입 연결관의 횡단면에 대한 중심선
Claims (10)
-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는 손 투입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손 투입공간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관; 및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공과 흡입된 공기를 세정수가 흐르는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공이 형성되는 공기흡입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1항에 있어서,
공기흡입 연결관은,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워지고 채워진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공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는,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관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은,
입구 측에서 상기 에어 챔버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구간과, 상기 에어 챔버 측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 내의 세정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공은,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의 횡단면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흡입공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흡입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연결되는 세정수 분배관; 및
상기 세정수 분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세정수 분배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워셔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 중 상기 손 투입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손이 투입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만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워셔는,
상기 손 투입공간에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었는지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세정수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워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802A KR20140044421A (ko) | 2012-10-04 | 2012-10-04 | 핸드 워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802A KR20140044421A (ko) | 2012-10-04 | 2012-10-04 | 핸드 워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4421A true KR20140044421A (ko) | 2014-04-15 |
Family
ID=5065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9802A KR20140044421A (ko) | 2012-10-04 | 2012-10-04 | 핸드 워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4442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1719A (zh) * | 2021-12-21 | 2022-04-05 | 徐玉林 | 一种医学用多功能公共卫生消毒仪 |
-
2012
- 2012-10-04 KR KR1020120109802A patent/KR2014004442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1719A (zh) * | 2021-12-21 | 2022-04-05 | 徐玉林 | 一种医学用多功能公共卫生消毒仪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33895A (ko) | 식기 세척기 | |
EP3087897A1 (en) | Washer | |
CN104545751A (zh) | 水槽式清洗机的透气、溢水保护和清洗剂添加装置 | |
CN106088263B (zh) | 一种透气、溢水、进水一体结构 | |
CN106524517B (zh) | 一种热水器的控制方法 | |
WO2006058374A1 (en) |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 |
CN109518775A (zh) | 低位吸水组件和水箱 | |
CN100566649C (zh) | 餐具清洗机 | |
KR20160003378U (ko) |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 |
KR20140044421A (ko) | 핸드 워셔 | |
KR100733307B1 (ko) |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
WO2006047381A3 (en) | Dry suction fitting assembly | |
KR102011712B1 (ko) | 절수형 자동 수전 | |
CN106193236A (zh) | 一种智能座便器 | |
CN204765494U (zh) | 节能型洗碗机 | |
CN105297356B (zh) | 一种洗衣机的絮凝容器进水结构及洗衣机 | |
CN105088695B (zh) | 一种具有内循环系统的洗衣机 | |
KR20090014510A (ko) | 식기세척기 | |
KR20110137526A (ko) | 공압을 이용한 절수형 양변기 | |
CN206760575U (zh) | 水疗中心和驱离水疗中心附近的蚊虫的寨卡雾化系统 | |
KR20090070865A (ko) | 식기 세척기의 유로 연결 구조체 | |
KR101496297B1 (ko) | 욕조에 설치 가능한 스파 시스템 | |
JP4919509B2 (ja) | 気泡浴槽付き浴室の吸気構造 | |
KR200424660Y1 (ko) | 에어샤워장치 | |
CN109594278B (zh) | 一种软器械清洗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