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538A - Box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ox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538A
KR20140042538A KR1020120109420A KR20120109420A KR20140042538A KR 20140042538 A KR20140042538 A KR 20140042538A KR 1020120109420 A KR1020120109420 A KR 1020120109420A KR 20120109420 A KR20120109420 A KR 20120109420A KR 20140042538 A KR20140042538 A KR 2014004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wer cover
component
wa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8671B1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671B1/en
Publication of KR2014004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for a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cover (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main body (1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30) is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The top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a relatively longer edge. The main body (10) has, on the top surface (11) thereof, a part-mounting part (12) for mounting parts (18), wherein a moisture shielding protrusion (14) is formed to envelop the circumference of the part-mounting part (12). The moisture shielding protrusion (14) prevents water flowing on the top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from coming into the part mounting part (12). A side wall (20) protrudes to envelop the edge of the lower cover (20). The top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is also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th sides of relatively longer edges among the edges of the top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A water outlet (22)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to discharge downward water transmitted to the top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 is wholly protected from water more reliably.

Description

차량용 박스{Box for vehicle}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박스로서 외부에서 수분이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등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 for use in a vehicle,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a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차량에서는 다양한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박스가 사용된다. 상기 박스의 내부에는 퓨즈와 릴레이 등이 설치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박스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경향이 있다.In vehicles, various types of boxes are used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 fuse and a relay are installed inside the box to control power supply. Such a box may vary depending on its function, and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box.

이와 같은 박스는 엔진룸, 트렁크, 차실의 내부 등 다양한 부분에 위치되는데, 엔진룸 등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박스의 경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box is located in various parts such as an engine room, a trunk, and an interior of a vehicle room. In the case of a box installed in a location that can be affect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an engine room, a structur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terior is employed .

박스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은 다양하지만, 급격하게 물이 박스로 유입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고, 적은 양의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적은 양이 물이 유입되는 경우, 박스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이나 그에 실장된 부품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x,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the water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box, and a small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introduced. However, if such a small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inflowed, it will cause problems while continuously aff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the box or the par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2-0077132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713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로 외부로 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box.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물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moothly discharg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x, so that the influence of water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minimized.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둘러서는 상기 상면보다 돌출된 수분차단턱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하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a component is mounte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be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being inclined downwardly at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A lower cov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공간의 내면은 상기 부품의 외면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져 상기 부품공간의 내면에 상기 부품의 외면이 밀착된다.A component space in which the component is seated is form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space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space.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는 상기 메인몸체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inclin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latively long edge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몸체에는 인디케이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에는 상기 인디케이터부에 연결되는 인디케이터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도피부가 형성된다.An indicator part is formed on the main body, and an indicator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indicator part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An escape part i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connecting part.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가장자리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가 만들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an edge of a relatively long edge among the edges of the lower cover.

상기 하부커버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중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cover, the drain holes being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는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와 나란한 중앙선에서 시작해서 양측의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inclin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line parallel to the relatively long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to the edges of both sides.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메인몸체 상면에 양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를 마련하였으므로, 메인몸체의 상면으로 물이 전달되더라도 메인몸체의 상면 외측으로 쉽게 전달되어 메인몸체의 상면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downward inclina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ain body of the box, even if wate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can be easily transferred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v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몸체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품장착부의 주변을 둘러서 수분차단턱을 형성하였으므로, 부품장착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메인몸체의 상면을 통해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blocking jaw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ater can not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는 부품장착부의 내면치수를 설계함에 있어 부품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설계조립 최소공차 또는 자동 삽입기 기준 최소공차를 적용하여 부품장착부와 부품 사이를 통해 메인몸체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므로 물이 메인몸체의 내부로 부품장착부를 통해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signing the inner surface dimensions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the minimum tolerance of design assembly or the minimum tolerance of the automatic insertion device is applied betwee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component The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의 부품장착부 내부를 설계함에 있어서, 부품장착부 내면의 구조가 부품 외면의 구조와 대응되게 하여 갭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장착부의 내면과 부품의 외면 사이의 갭이 매우 좁게 되어 물의 점성 및 표면장력에 따른 물유입방지 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designing the in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struc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thereby minimizing the gap.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becomes very narrow,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according to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s enhanced.

한편, 메인몸체의 하면에 장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의 상면에도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고,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가장 낮은 쪽에 배수구를 형성하였으므로,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들어온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cover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the lower cover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can be drained smoothly.

그리고, 메인몸체의 상면 쪽에서 박스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 그 구조물이 인쇄회로기판을 도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을 구조물과 인접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When there is a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box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the structur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scaped, or the shap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adjacent to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하향경사면을 보이는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수분차단턱의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메인몸체에 형성된 부품장착부의 내면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피부와 관련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wnwar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isture barrier ja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surface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main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ortion of a lower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scaping portion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박스는 그 자체가 독립된 하나의 박스로 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박스 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하나의 박스블럭이 예로 도시되어 있다. 하여튼간에,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parate box itself, bu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box block installed in the box is shown as an example. Neverthel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몸체(10)는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몸체(10)는 입체적으로 볼 때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은 양측 가장자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양측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 메인몸체(10)의 중간부분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 형성되는 경사는 메인몸체(10)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와 나란한 중앙선에서 시작해서 양측의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면(11)의 양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됨에 의해 상면(11)에 떨어진 물이 이 경사를 타고 가장자리로 안내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is made rectangular in plan view.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three dimensions.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both side edges.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the downward inclination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opposite side edges i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In other words, the inclin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line parallel to the relatively long edge of the main body 10 to the edges of both sides.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falling on the upper surface 11 is guided to the edge on the inclination by being inclined downward in both directions of the upper surface 11.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18)들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각각의 부품(18)의 크기에 맞도록 다른 부분과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에는 부품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공간(12')은 그에 안착되는 부품(18)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품공간(12')의 내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18)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된다. 상기 부품공간(12')은 상기 메인몸체(10)를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커버(20)와 메인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된다.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is a portion to which the components 18 to be described below are mounted, and is formed by being partitioned from the other portions so as to match the siz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18. A component space 12 'is form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and the component space 1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mponent 18 to be mounted thereon.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18 to be described below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space 12 '. The part space 12 'communicates with the space defined by the lower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rough the main body 10.

상기 부품장착부(12)를 상기 상면(11)의 다른 부분과 구획하도록 수분차단턱(14)이 형성된다. 상기 수분차단턱(14)은 그 높이가 상기 상면(11)에서 조금이라도 돌출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분차단턱(14)의 일부를 더 높이 돌출되게 하여 부품(18)의 외측면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수단차단의 목적 외에 부품(18)이 안정되게 부품장착부(12)에 장착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이다. 상기 수분차단턱(14)은 상기 상면(11)에 떨어져 상면(11)의 경사에 의해 이동되던 수분이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water blocking jaw 14 is formed to partiti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from the oth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1. [ The water blocking jaw 14 is formed such that its height protrudes slightly from the upper surface 11. Of course, a part of the water blocking step 14 is projected to a higher height so as to guid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18. This serves to ensure that the component 18 is stably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blocking the means. The water blocking jaw 14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1 and serves to prevent water that has been moved by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11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 즉 상기 메인몸체(10)와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커버(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되게 레그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통공(16)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18)들의 레그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레그통공(16)은 A leg hole 16 is form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so as to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to be described below do. Through which the legs of the components 18, described below, pass. The leg hole (16)

상기 부품장착부(12)에는 각각의 부품(18)들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의 예로는 릴레이와 퓨즈가 있다. 이들 릴레이와 퓨즈들은 각각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레그들이 있는데, 이들 레그들은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레그통공(16)을 관통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릴레이의 경우 레그가 일반적으로 3개가 있고, 퓨즈의 경우 2개가 있다.Each component 18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Examples of such components include relays and fuses. Each of these relays and fuses has legs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these legs pass through the leg holes 16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For reference, the relay generally has three legs and the fuse has two legs.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 일측에는 인디케이터부(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9)는 상기 메인몸체(10)와 아래의 하부커버(20)??? 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9)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9') 내에는 인디케이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An indicator 19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The indicator unit 19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 A through hole 19 'is formed through the indicator portion 19 so as to pass through the indicator portion 19, and an indicat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9'.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하부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커버(20)는 도 2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형상과 치수가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커버(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20')은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을 둘러 감싸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은 하부커버(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의 바닥면이 된다.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 역시 상기 하부커버(20)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도 상기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이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것은 소정 이상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가장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사이의 높이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A lower cover 2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lower cover 20 is well illustrated in FIGS. 2 and 6, and its shape and dimensions are made to be engageab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side wall 20 'surrounding the edge of the lower cover 20 is formed. The side wall 20 'surrounds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Therefore,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is a bottom surface of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20. [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is also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dge of the lower cover 20. Again, the edge is a relatively long edge. Such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relatively long edge is to minimiz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part and the lower part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에는 배수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A plurality of drain ports (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The drain port (22)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hole 22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 height position.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인디케이터부(19)와 대응되는 부분에 인디케이터연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24)에도 상하로 관통하여 또는 상부로 개방되어 관통공(26)이 형성된다. An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24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portion 19 of the main body 10. [ The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24 is also vertically or vertically opened to form the through hole 26.

상기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에 안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32)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32)은 주로 포크터미널로서 상기 부품(18)의 레그가 그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A printed circuit board (30)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A plurality of terminals 32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he terminal 32 is primarily a fork terminal and the legs of the part 18 are inserted and engaged therebetween.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도피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도피부(34)는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2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24)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상기 도피부(34)가 만들어진다. 상기 도피부(34)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24)와 인쇄회로기판(30)이 간섭되지 않고,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24) 내부로 수분이 전달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30)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An escape portion 34 is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he escaping portion 34 is design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indicator connection portion 24. The escaping portion 34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24. Since the escape portion 34 is formed so that the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24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moisture is transferred into the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24, Lt; / RTI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는 서로 결합되고,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 내에서 상기 하부커버(20) 상에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가 결합되는 구성이라든지,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상기 하부커버(2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했다.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printed on the lower cover 20 in the space cre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 A circuit board 30 is provided.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fixed to the lower cover 20 and is not a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 omitted.

상기와 같이 조립된 차량용 박스에는 각각의 부품장착부(12)에 부품(18)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부품(18)들은 각각의 위치에 있는 자신에 맞는 부품장착부(12)에 장착되는데,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부품공간(12')은 각각의 부품(18)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일단 부품장착부(12)에 부품(18)이 장착되고 나면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직접 물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vehicle box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s 18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omponent mounting portions 12 and mounted. The component parts 18 of the parts mounting part 12 are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1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arts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12. The component parts 12 ' . Therefore, once the component 18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directly.

특히, 상기 부품(18)들은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에 설치될 때, 부품(18)과 부품장착부(12) 사이의 갭이 설계조립 최소공차를 적용하고 자동삽입기 기준 최소공차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부품(18)의 외면과 부품장착부(12)의 내면 사이를 통해 물이 전달되는 것은 거의 어렵다. 물론, 직접 물방울이 부품(18)의 외면과 부품장착부(12)에 떨어졌을 경우에도, 부품(18)의 외면과 부품장착부(12)의 내면 사이를 통해 물이 전달되는 것은 최대한 속도가 늦추어지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components 18 are installed insid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the gap between the component 18 an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applies the minimum design tolerance and applies the minimum tolerance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hardly possible for water to be transmit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 Of course, even when the water droplets directly fal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18 an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the transfer of wat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is slowed down as much as possible .

그리고, 상기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메인몸체(10)의 상면(11)을 통해서 물이 들어가는 것은 상기 수분차단턱(14)이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분차단턱(14)은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 떨어진 물이 흘러 오더라도 부품장착부(1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water blocking jaw 14 prevents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through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 The water blocking jaw 14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even if water falls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11)에 물이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상면(11)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 쪽으로 만들어진 하향 경사 때문에 물이 메인몸체(10)의 상면(11) 가장자리로 흘러가게 된다. 이 물중에서 상기 부품장착부(12) 쪽으로 흘러가는 것은 상기 수단차단턱(14)에 의해 막혀 부품장착부(12)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메인몸체(10)의 가장자리로 흘러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drops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is directed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due to the downward inclination made toward the relatively longer edge of the upper surface 11 It flows. The flow of the water from the water 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is blocked by the means blocking jaw 14 and flows into the edge of the main body 10 without entering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12. [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부(19)의 관통공(19')으로 물이 들어가는 경우, 상기 하부커버(20)의 인디케이터연결부(24)의 관통공(26)을 통해 하부커버(20)의 하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부(19)로 전달된 물은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외부로 그대로 배출된다.When water enters the through hole 19 'of the indicator unit 19, the wat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6 of the indicator connection portion 24 of the lower cover 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water delivered to the indicator unit 19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affecting other parts.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의 사이를 통해서 혹시라도 물이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으로 전달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21)의 경사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배수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으로 전달된 물이 하부커버(20)와 메인몸체(10) 사이의 공간에 남아서 인쇄회로기판(3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a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ower cover 2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In this case, (2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2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20 from remaining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and aff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 모두에 배수를 위한 구조가 채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메인몸체(10)에 해당되는 구조들만이 있고, 메인몸체(10)의 상면(11)으로 주로 많은 물이 전달되므로 하부커버(20)에 관련된 구조들은 없더라도 상관없다.For example, although it i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at both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have a structure for draining,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For example, since there are only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10 and mainly wate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structures related to the lower cover 20 may not exist.

그리고, 메인몸체(10)의 상면(11)의 경우에도 양측 가장자리로의 하향 경사와 수분차단턱(14)만 있더라도 웬만한 물은 박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18)과 부품장착부(12) 내면 사이의 갭에 대한 설정이 반드시 채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Even in the case of the upper surface 11 of the main body 10, even when there is only the downward inclination to the both side edges and the water blocking jaws 14,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x, The setting for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 is not necessarily adopted.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몸체(10)와 하부커버(20)의 상면(11,21)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양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가 형성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일단,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즉, 양측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중 하나에서 부터 시작해서 타측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나머지 가장자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inclined downwardly to the opposite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s 11 and 21, . Once, it can be inclined downward to a relatively long edge. That is, it may be possible to start from one of the relatively long edges of both sides an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ther relatively long edge of the other side.

10: 메인몸체 11; 상면
12: 부품장착부 12': 부품공간
14: 수분차단턱 16: 레그통공
18: 부품 19: 인디케이터부
19': 관통공 20: 하부커버
20': 측벽 21: 상면
22: 배수구 24: 인디케이터연결부
26: 관통공 30: 인쇄회로기판
32: 터미널 34: 도피부
10: main body 11; Top surface
12: part mounting part 12 ': part space
14: water blocking jaw 16: leg hole
18: part 19: indicator part
19 ': Through hole 20: Lower cover
20 ': side wall 21: upper surface
22: Drain 24: Indicator connection
26: through hole 30: printed circuit board
32: Terminal 34: Escape

Claims (7)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를 둘러서는 상기 상면보다 돌출된 수분차단턱이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하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A main body having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and formed with inclined downward inclined surfaces at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with a moisture barrie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surrounding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 lower cov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main bod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a spac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and having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공간의 내면은 상기 부품의 외면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져 상기 부품공간의 내면에 상기 부품의 외면이 밀착되는 차량용 박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mponent space in which the component is seated is form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space corresponds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mponent, Automotive box in close conta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는 상기 메인몸체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The vehicle cab of claim 2, wherein a slop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relatively long edge of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에는 인디케이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에는 상기 인디케이터부에 연결되는 인디케이터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인디케이터연결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도피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The vehicle cabinet of claim 3, wherein an indicator portion is formed on the main body, and an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dicator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wherein an escape portion i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가장자리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가 만들어지는 차량용 박스.
The vehicle cab of claim 1, wherein a slop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relatively long edge of the edge of the lower co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중 상기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6] The vehicle cab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cov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s, the drains being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는 메인몸체와 하부커버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와 나란한 중앙선에서 시작해서 양측의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The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and 5, wherein the inclin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includes a main body and a lower cover which ar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center line parallel to the longer edge, box.
KR1020120109420A 2012-09-28 2012-09-28 Box for vehicle KR101958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20A KR101958671B1 (en) 2012-09-28 2012-09-28 Box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20A KR101958671B1 (en) 2012-09-28 2012-09-28 Box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538A true KR20140042538A (en) 2014-04-07
KR101958671B1 KR101958671B1 (en) 2019-03-18

Family

ID=5065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420A KR101958671B1 (en) 2012-09-28 2012-09-28 Box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6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82Y1 (en) 2015-11-03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ater block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KR20180003080U (en) * 2017-04-18 2018-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arts mounting apparatus
KR101996447B1 (en) * 2017-12-29 2019-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Multi-box having draining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04A (en) * 2010-12-24 2012-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ircuits board block for vehicle
KR20120077132A (en)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Engine room junction box preventing water-infl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04A (en) * 2010-12-24 2012-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ircuits board block for vehicle
KR20120077132A (en)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Engine room junction box preventing water-inflow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82Y1 (en) 2015-11-03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ater block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KR20180003080U (en) * 2017-04-18 2018-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arts mounting apparatus
KR101996447B1 (en) * 2017-12-29 2019-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Multi-box having drain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671B1 (en)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49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wire harness
US937491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072947B1 (en) Waterproof control device
US9992886B2 (en) Waterproof type control apparatus
US20150303666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958671B1 (en) Box for vehicle
CN109076712B (en) Substrate unit
JP2014103797A (en) Electric connection box
WO2017209203A1 (en) Board unit
WO2017213144A1 (en) Substrate unit
JP588413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6123163A (en) Drainage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ion box
JP2012100476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12125119A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6976671B2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housing
JP5898546B2 (en) Electronic equipment
US20210267070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989394B1 (en) Box for vehicle
KR200426001Y1 (en) Parts mounting portion of parts box
JP547179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636288B1 (en) Junction box
JP6830733B2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housing
US20150280409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13394594B (en) Anti-drip structure, connector with anti-drip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7110852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