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93A -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93A
KR20140041993A KR1020120106991A KR20120106991A KR20140041993A KR 20140041993 A KR20140041993 A KR 20140041993A KR 1020120106991 A KR1020120106991 A KR 1020120106991A KR 20120106991 A KR20120106991 A KR 20120106991A KR 20140041993 A KR20140041993 A KR 2014004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message
aeas
disas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김건
박소라
임형수
이용태
백명선
임보미
송윤정
허남호
전인찬
최성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993A/ko
Publication of KR2014004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무선 기기에서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된다. 본 명세서는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재난경보방송(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고, DM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함을 포함하며,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한다.

Description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MATIC DISASTER RECOGNITION}
본 발명은 재난 방송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재난을 자동으로 인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난이 예상되거나 이미 발생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정보를 피해 예상 지역에 전달할 경우, 피해 규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발생 당시 전철에 타고 있던 경관이 원세그(일본의 DMB)를 통해 재난발생사실을 확인하고 승객들을 대피시켜 40여명의 인명을 구한 사례가 있다. 한국에서도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효율적, 효과적인 재난방송매체로 활용하고 있다. T-DMB를 이용한 재난방송을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75조(재난방송)에서 지정하여 국가재난방송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터널형 재난방송 기술등의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효과적인 재난방송수신을 위해서는 기기가 다른 작업(웹 서핑, 내비게이팅 등)을 하거나 전원만 연결되고 꺼진 상태에서도 재난정보를 항상 감시하여 재난정보를 확인하면 즉시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자동인지"기능이라 정의한다. 재난경보방송(AEAS: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은 자동인지 기능을 가진 수신기가 출시되지 않아 재난방송의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
AEAS에 관한 규격인 AEAS 표준에서는 T-DMB를 수신하는 AEAS 수신기를 일반수신기와 전용수신기로 구분한다. 일반수신기는 T-DMB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만 재난경보를 수신하고, 전용수신기는 자동인지 기능을 가져 T-DMB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재난경보를 수신한다. 이는 AEAS 표준 작성 당시 모든 수신기가 전용수신기의 능력을 가지게 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동인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기 상태에서 전원 소모가 증가하고, 항상 T-DMB 안테나를 연결해야 한다. 이런 문제로 현재까지도 전용수신기가 출시되지 않아, T-DMB를 활용한 재난경보방송에 자동인지 기능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 푸시(mobile push) 기능은 에릭슨에서 제안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용 푸시 기술로 이동통신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깨우는 기술이다. 모바일 푸시를 이용하여 간단한 문자메시지로 재난사실을 알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T-DMB 수신 기능이 탑재된 무선 기기에서 재난 방송의 자동 인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기기에서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은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재난경보방송(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by)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무선 기기는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푸시수신모듈, 재난경보방송(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는 DMB모듈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AEAS 디코더를 포함하는 DMB앱을 포함하며, 상기 DMB앱은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DMB 수신 기능이 탑재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환경에서 자동 인지 기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신기가 재난 여부를 항상 확인할 수 있고, 재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을 자동인지 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2DM 서비스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C2DM 프레임 워크(framework)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무선 기기(예, 단말)는 인터넷 상의 새로운 정보를 즉시 수신하기 위해서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것이 요구된다. 무선 기기가 사용하는 OS(operating system), 특히, 스마트폰의 OS(예,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iOS)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이유 등으로 인하여 무선 기기의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능력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무선 기기가 인터넷에 항상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푸시 방식으로 재난 인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별도의 작업을 하거나 전원만 연결되고 꺼진 상태에서도 재난 관련 정보의 수신을 개시하는 메시지를 자동 인지 메시지라 한다.
안드로이드 OS의 푸시 알림 서비스 중 하나인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서비스는 안드로이드앱, 앱서버 및 C2DM서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앱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약자이다. 안드로이드앱은 무선 기기에 포함되며, 이하에서, 안드로이드앱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이며, 다른 OS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동일하게 본 발명이 적용된다.
또한, C2DM와 유사한 서비스로 GCM(Google Cloud Messaging for android) 서비스가 있다. C2DM과 GCM의 동작은 거의 유사하며, 이하에서 C2DM에 관한 설명은 GCM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2DM 서비스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C2DM 프레임 워크(framework)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드로이드앱은 C2DM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C2DM서버에(예,구글서버)"C2DM 사용"의 등록을 요청한다(S100).
이어서, C2DM 서버는 안드로이드앱의 C2DM 사용의 등록 요청을 확인하여, 안드로이드앱으로 등록 ID(registration ID)를 전달한다(S105).
등록 ID를 수신한 안드로이드는 앱은 상기 등록 ID를 앱서버에 보낸다(S110).
상기 단계 S100 내지 S110을 통해 C2DM 사용의 등록이 완료된다.
이어서, 앱서버는 수신한 등록 ID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message)를 C2DM서버에 전송한다(S115). 상기 메시지는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메시지일 수 있다.
C2DM서버는 상기 등록 ID를 이용해 무선 기기와 안드로이드앱을 식별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재난 메시지는 AEAS 표준에 따른 AEAS 재난 메시지(이하, AEAS 메시지라한다)는 재난의 종류, 경보 우선 순위, 재난의 발령 시간, 재난 지역 형식, 재난 지역의 수, 재난 지역, 단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AEAS 메시지의 구조(structure)의 일 예를 나타낸다.
재난의 종류(3바이트) 경보 우선 순위(2비트) 재난의 발령시간(28비트) 재난 지역 형식(3비트) 재난 지역의 수(4비트) Reserve(3비트) 재난 지역(가변) 단문(가변)
여기서, "단문" 항목은 타 DMB 서비스와 연계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있다. 일 예로, 상기 링크 정보는 따옴표(", ")를 이용하여 묶여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문 항목은 "링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링크 정보는 앙상블을 가리키는 DMB 채널 번호(예, 한국에서 사용되는 7A 내지 13C)와 서브 채널 ID(Sub-channel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앙상블은 DMB 채널을 말한다. 이때,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DMB 채널 번호 및 서브 채널 ID는 T-DMB에서 방송되는 특정 서비스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EAS 메시지의 단문 항목에 DMB 채널 번호 및 서브 채널 ID 정보를 포함시키고 따옴표와 같은 특정 문자(예, "DMB채널번호 서브채널ID")로 묶음으로서, 기존 AEAS 표준에서 지정된 바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링크 정보를 단문 항목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 들어, AEAS 재난 메시지에 포함되는 새로운 방식의 링크 정보는 중괄호("{, }")로 묶여서 포함될 수 있다(예, {8A 12}). 만약, DMB 채널 번호가 8A이고 서브 채널 ID가 12인 경우, AEAS 재난 메시지의 단문 항목은 다음 표 2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기상특보] 09-04 22:00 발표, 호우주의보 발표: 충청북도{8A 12}
여기서, 밑줄친 {8A 12}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링크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보 발령 서버는 재난 경보를 발령하는 서버이다.
경보 발령 서버는 AEAS 관련 정보를 방송사에 전달한다. 또한, 경보 발령 서버는 사전에 등록된 무선 기기(예,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상으로 앱(예, DMB앱)을 깨우기 위한 알림 신호(또는 재난 인지 신호)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예, 구글 서버, 이하 구글 서버를 일 예로 설명한다)에 전달한다.
구글 서버는 C2DM 프레임워크(예, 상기 도 1의 C2DM 프레임워크)에 따라 경보 발령 서버로부터 수신한 알림 신호(예, C2DM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무선 기기에 전달한다.
방송사는 경보 발령 서버로부터 받은 재난 정보를 방송망(예, T-DMB 방송망)을 통해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재난 정보는 AEAS 표준에 따라 AEAS 메시지의 형태로 T-DMB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방송사는 재난 정보와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연동되는 방송 링크 정보를 무선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링크 정보는 AEAS 메시지(또는 AEAS 관련 정보, 이하 AEAS 메시지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경보 발령 서버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재난알림앱을 실행시킨다.
상기 재난알림앱은 상기 무선 기기의 사용자에게 재난발생사실을 알리고,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상기 재난발생사실을 무시하거나 재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DMB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DMB앱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예, T-DMB FIC(Fast Information Channel)을 통해서 전송되는)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출하고, DMB 서비스(예, 관련 동영상, 오디오)도 사용자에게 표출한다. 만약, 상기 AEAS 메시지가 재난 방송과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에 연동되는 방송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DMB앱은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항을 전달(또는 화면에 표출)하고 사용자의 입력(또는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방송으로 채널을 전환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무선 기기(예, 스마트폰 단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무선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기기는 안드로이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시스템, 재난알림앱 및 DMB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안드로이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시스템(이하, 안드로이드 시스템이라 한다)은 이동 통신망, 와이파이(wifi) 등을 통해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모듈, C2DM 정보와 같은 재난 정보를 수신하는 푸시 수신 모듈,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모듈, DMB 방송(예, T-DMB)을 수신하는 DM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재난알림앱은 재난 정보(예, C2DM 정보)를 처리하는 푸시 알림 처리기,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알림정보 표출기, 재난알림앱 외의 다른 앱(예, DMB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타앱 실행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DMB앱은 DMB 서비스(예, T-DMB 서비스)를 디코딩하여 표출하는 T-DMB 디코더, 방송망(예, T-DMB FIC)을 통해 전송되는 AEAS 정보를 디코딩하여 표출하는 AEAS 디코더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장치는 무선 기기(예, 스마트폰 단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무선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만약, 무선 기기는 경보 발령 서버로부터 C2DM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예, 재난 관련 동작)이 시작된다(S400). 푸시 알림 수신기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C2DM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C2DM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알림 수신기는 재난알림앱을 깨우고(wake up) 상기 C2DM 메시지를 재난알림앱의 푸시 알림 처리기로 전달한다(S405).
재난알림앱의 푸시 알림 처리기는 알림정보표출기를 통해 재난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표출한다(S410).
사용자는 재난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여부를 무선기기(예, 재난알림앱, 알림정보표출기 또는 별도의 입력기기)에 입력할 수 있다(S415).
만약 사용자가 재난 정보 확인할 것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재난알림앱의 타앱실행기는 DMB앱을 실행시킨다(S420). DMB앱은 방송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일 예로, DMB앱은 방송 스트림을 T-DMB 표준 규격에 맞게 디코딩할 수 있다. DMB앱의 T-DMB 디코더는 임의의 T-DMB 서비스(예, 이전에 재생했던 채널의 동영상 또는 오디오)를 표출하고 동시에 T-DMB FIC의 AEAS 메시지를 AEAS 디코더로 전달한다.
AEAS 디코더는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재난 정보를 얻는다(S425). 일 예로, AEAS 디코더는 AEAS 메시지의 단문 항목을 디코딩 할 때, 먼저 AEAS 표준 링크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S430), AEAS 표준 링크 정보가 없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링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445).
AEAS 표준 링크 정보가 있으면, AEAS 디코더는 상기 링크 정보가 지시하는 표준 규격에 따라 채널 정보를 확인한 후(예, 지상파 DMB 로케이트 형식)(S435), 상기 채널 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T-DMB 서비스로 전환한다(S440).
새로운 방식의 링크 정보가 있으면(S445), AEAS 디코더는 상기 링크 정보가 지시하는 채널 정보를 상기 표 1 내지 표 2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서 확인한 후(S450), 상기 채널 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T-DMB 서비스로 전환한다(S440).
정리하면, 무선 기기에서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은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재난경보방송(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by)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자동 인지방법.
이때, 상기 무선 기기는 안드로이드 OS(operating system)을 사용하는 무선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인지 메시지는 모바일 푸시(mobile push)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기기를 깨우는(wake up) 메시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인지 메시지는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메시지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for android) 메시지이며, C2DM 서비스 사용 또는 GCM 서비스 사용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는 구글(google)사의 구글 서버일 수 있다.
상기 AEAS 메시지에 상기 링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EAS 표준에 따른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EAS 표준에 따른 링크 정보가 상기 AEAS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상기 AEAS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보다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AEAS 메시지는 재난의 종류, 경보 우선 순위, 재난의 발령 시간, 재난 지역 형식, 재난 지역의 수, 재난 지역, 단문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단문 항목은 상기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EAS 메시지에 포함된 단문 항목은 상기 링크 정보를 따옴표 또는 중괄호로 묶어서 포함시킬 수 있다.
재난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난 발생 사실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재난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MB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실행될 수 있다.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무선 기기는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푸시수신모듈, 재난경보방송(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는 DMB모듈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AEAS 디코더를 포함하는 DMB앱을 포함하며, 상기 DMB앱은,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지 메시지는 모바일 푸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깨우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지 메시지는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메시지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for android)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푸시수신모듈은, 상기 자동 인지 메시지를 구글 사의 구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MB앱은, 상기 AEAS 메시지에 상기 링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EAS 표준에 따른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MB앱은, 상기 AEAS 표준에 따른 링크 정보가 상기 AEAS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상기 AEAS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보다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AEAS 메시지는 재난의 종류, 경보 우선 순위, 재난의 발령 시간, 재난 지역 형식, 재난 지역의 수, 재난 지역, 단문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단문 항목은 상기 링크 정보를 따옴표 또는 중괄호로 묶어서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한 재난 정보를 처리하고, 재난 발생 사실을 표출하는 재난알림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B앱은, 사용자로부터 재난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 기기에서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자동 인지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서비스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재난경보방송(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AEAS) 메시지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by) 상기 AEAS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EAS 메시지에 DMB 채널 번호와 서브 채널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 정보가 지시하는 DMB 서비스를 상기 방송사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자동 인지방법.
KR1020120106991A 2012-09-26 2012-09-26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41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91A KR20140041993A (ko) 2012-09-26 2012-09-26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91A KR20140041993A (ko) 2012-09-26 2012-09-26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93A true KR20140041993A (ko) 2014-04-07

Family

ID=5065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91A KR20140041993A (ko) 2012-09-26 2012-09-26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9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17A1 (ko) * 2015-04-01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567688A (zh) * 2015-04-01 2018-01-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广播系统中处理紧急报警消息的设备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17A1 (ko) * 2015-04-01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567688A (zh) * 2015-04-01 2018-01-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广播系统中处理紧急报警消息的设备和方法
US10887668B2 (en) 2015-04-01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in broadcas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826A (zh) 系统信息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60939A (ko) 비상 방송 메시지 수신에 사용되는 단말, 칩 및 방법
JP5222534B2 (ja) 緊急情報配信システム、緊急情報配信方法、送信サーバ及び携帯端末
CN103546223A (zh) 用于车辆声频系统的广播内容
JP5871101B2 (ja) 情報送信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機器
KR20160030508A (ko) 셀룰러 운영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상에서 필수 기능들의 빠른 가용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2075505B (zh) 多媒体文件监控系统、方法、多媒体终端与网络侧服务器
EP2278771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 message
KR20140041993A (ko)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391145B (zh) 一种基于rds的调频紧急广播实现方法
CN102487480B (zh) 一种传输多媒体广播组播mbms业务的载波的选择方法、装置
KR20060084855A (ko) 방송 서비스 분류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67613A (ko) Dmb 시스템에서 재난방송 서비스를 위한 cbs 기반의 자동 인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3474A (ko) 자동인지 기능이 구비된 t-dmb 재난방송서비스장치
KR102030516B1 (ko) 커넥티드 모드에서 etws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후 보조 통지의 수신 방법
CN203104474U (zh) 结合网络功能的收音机系统
CN101686430A (zh) 告警的广播方法及显示告警的终端
WO200510722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ell broadcasting
CN204926520U (zh) 设于服务区或停车场的固定终端
CN103167628A (zh) 车载控制方法及系统
CN115152286B (zh) 通信方法及装置、用户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201839367U (zh) 一种可接收手机短信的视屏输出装置
US933851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via digital televis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electronic device
EP2991053A1 (en) Add-on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 alarming signal
KR102298732B1 (ko) 방송기기의 방송 내용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