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973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973A
KR20140040973A KR1020120107709A KR20120107709A KR20140040973A KR 20140040973 A KR20140040973 A KR 20140040973A KR 1020120107709 A KR1020120107709 A KR 1020120107709A KR 20120107709 A KR20120107709 A KR 20120107709A KR 20140040973 A KR20140040973 A KR 2014004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bile terminal
unit
guide layer
to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942B1 (ko
Inventor
박진욱
강영택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Abstract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홈버튼의 차광부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이나 돌기가 형성된 광필터부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된 홈버튼 둘레로 사출되는 빛이 투광부를 통해 사출될 수 있도록 빛을 홈버튼의 둘레에 집중시켜 사출하는 구조를 부가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면서 키패드나 각종 버튼이 생략되는 추세이다. 다만, 터치입력이 오작동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홈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된 홈버튼 둘레로 사출되는 빛이 투광부를 통해 사출될 수 있도록 빛을 홈버튼의 둘레에 집중시켜 사출하는 구조를 부가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광가이드층을 향하여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탑버튼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 상면에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반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버튼의 차광부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이나 돌기가 형성된 광필터부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회절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절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돌기에 입사된 빛의 반사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홈버튼(131), 카메라(121), 음향출력부(152) 및 근접센서(141) 등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및 근접센서(141)와 같이 빛이 투과되어야 하는 위치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 글래스를 배치한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는 큰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모두 커버할 수도 있고, 개구부 별로 별도의 투명한 윈도우 글래스(10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일감 있는 전면 디자인을 위해 일체형 윈도우 글래스(108)을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한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홈버튼(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이드 버튼(132)과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부의 크기나 화질 등에 민감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에 배선이나 카메라 촬상소자(121)나 음향모듈(152)의 리시버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전자부품을 커버하는 베젤이 배치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면 명령이 입력하는 키(134)와 물리적인 압력가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버튼(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1, 132, 133, 134)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상기 버튼(131, 132, 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버튼(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사이드버튼(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리셋 버튼(133)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을 끄고 켜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13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버튼(131)은 탑버튼(210), 액추에이터(220), 광필터부(230), 광가이드층(240), 회로기판(250) 및 메탈돔(255) 등을 포함한다.
탑버튼(210)은 상기 메탈돔(25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탈돔(255)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고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노출되므로, 윈도우 글래스(108)와 같이 투명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버튼(210)은 둘레부분에 빛이 사출되는 투광부(T)를 포함하고, 가운데 부분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광부(B)를 포함한다. 상기 탑버튼(210)의 차광부(B)는 투명한 플라스틱 버튼(211)의 후면에 인쇄층(212)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처음에는 외관에 드러나는 색상의 잉크로 인쇄하고 마지막에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어두운 색상의 잉크로 인쇄하여 차광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차광부(B)의 둘레는 인쇄되지 않아 빛이 투과할 수 있으며, 또는 비전도 코팅기법(NCVM: Non-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빛이 은은한 빛으로 발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탑버튼(210)의 하단부는 윈도우 글래스(108)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탑버튼(210)의 하단에는 양 옆으로 연장되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1, 102) 또는 내부 부품에 고정할 수 있는 버튼 베이스(2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20)는 메탈돔(255)의 상면에 배치되어 탑버튼(210)이 눌릴때 메탈돔(255)의 돌출된 면이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메탈돔(255)의 돌출된 부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으며, 메탈돔(255)의 형상 변화에도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탈돔(255)이 안착되어 메탈돔(255)의 형상이 변화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로기판(250)은 단단한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플렉서블한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원(257)은 회로기판(250)에 장착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사출하며, 작은 크기에 밝은 빛을 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광원(257)에 램프를 복수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을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른 빛이 사출되도록 제어하여 표시등(indicator)으로 이용할 수 있다.
광원(257)은 도면에서와 같이 탑버튼(210)의 양측에 한 쌍을 구비하거나 일측에만 장착할 수도 있다. 양측에 구비하는 경우에 보다 균일한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원(257)은 광가이드층(240)을 향해 빛을 사출하며, 광가이드층(240)의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거나, 광가이드층(240) 하면에서 빛을 공급할 수도 있다.
광가이드층(240)은 상기 광원(257)에서 공급되는 점광원(257)을 면광원(257)으로 사출되도록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표적인 예로 투명한 필름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형성된 광확산필름(Light Guid Film)이 이용된다.
상기 확산패턴은 광원(257)으로부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광원(257)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빛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적은 양의 빛을 많이 산란시켜야 하므로 확산패턴이 더 조밀하고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240)은 광원(257)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광원(257)이 실장되는 회로기판(250)에 메탈돔(255)을 커버하며 적층된다. 이때, 광원(257)은 광가이드층(240)의 배면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층의(240) 측면에 배치되어 광가이드층(240)에 빛을 공급한다.
광필터부(230)는 상기 광가이드층(240)과 상기 탑버튼(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B)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T)로 빛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광부(B)로 공급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에 차광부(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사판(235)을 형성하여 광가이드층(240)에서 차광부(B) 방향으로 사출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반사판(235)은 도면상으로는 광필터부(2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광필터부(230)와 광가이드층(240)과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반사된 빛은 다시 투광부(T)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차광부(B) 방향으로 사출되는 빛은 차광부(B)의 인쇄층에 의해 차단되어 버리므로 에너지적으로 낭비가 된다. 이렇게 낭비가 되는 빛을 광필터부(230)의 반사판(235)을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투광부(T)로 빛을 공급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T)에 대응하는 부분에 회절홀(232)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절현상이란 좁은 공간을 통과한 파동은 도 4와 같이 확산되는 원리로서, 회절홀(232) 즉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빛은 회절현상에 의해 빛이 확산된다. 회절홀(232)을 통해서만 빛이 통과되면, 빛이 점광원처럼 보일 수 있으나, 회절현상을 통해 빛이 확산되어 투광부(T)에 균일하게 빛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광원이 위치한 부분의 빛의 세기는 더 세고 멀리 떨어진 위치는 빛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광원으로 부터 먼 부분에 빛의 확산효과를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광원이 위치한 부분의 회절홀(232)의 갯수를 더 적게 형성하고 광원으로 부터 멀어질 수록 회절홀(232)을 조밀하게 형성하면, 투광부(T) 전체적으로 균일한 세기의 빛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회절현상은 회절홀(232)의 크기가 작을 수록 더 크게 나타나므로,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회절홀(232)의 크기가 가까운 곳의 회절홀(232)보다 크게 하면, 이격된 위치에서 빛의 확산 효과가 크기 때문에 약한 빛으로도 홈버튼 전체적으로 균일한 세기의 빛이 사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광필터부(23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나, 광필터부(230)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필터부(230)는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기(2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절돌기(234)는 상술한 반사판(235)을 통해 반사된 빛이 입사되면 상기 회절돌기(234)를 중심으로 빛이 확산되어 반사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참조)
차광부(B)로 입사된 빛이 반사판(235)에서 반사되고 다시 광필터부(230)의 회절돌기(234)에 입사되면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빛이 산란되어 투광부(T) 측에 빛이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필름에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돌기(234)가 형성되고 차광부(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반사판(235)이 형성된다.
회절돌기(234)는 빛이 보다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 반구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절홀(232)을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버튼의 차광부(B)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T)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232)이나 회절돌기(234)가 형성된 광필터부(230)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T)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01, 102, 108: 케이스
151: 디스플에이부 131: 홈버튼
210: 탑버튼 211: 플라스틱 버튼
212: 인쇄층 213: 버튼 베이스
220: 액추에이터 230: 광필터부
231: 광필터층 232: 회절홀
233: 투명필름 234: 돌기
235: 반사판 240: 광가이드층
250: 회로기판 255: 메탈돔

Claims (9)

  1.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광가이드층을 향하여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절홀을 포함하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수록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광가이드층 상면에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돌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돌기는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107709A 2012-09-27 2012-09-27 이동 단말기 KR10193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ko) 2012-09-27 2012-09-27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ko) 2012-09-27 2012-09-2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73A true KR20140040973A (ko) 2014-04-04
KR101931942B1 KR101931942B1 (ko) 2018-12-24

Family

ID=5065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ko) 2012-09-27 2012-09-2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36A (ko) 2019-09-10 2021-03-19 민인걸 공기홀을 갖는 맥주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05A (ko) * 2003-06-19 2004-12-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버튼 스위치
JP2006114379A (ja) * 2004-10-15 2006-04-27 Toppan Printing Co Ltd 照明装置
JP2007094154A (ja) *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光源装置
JP2009163897A (ja) * 2007-12-28 2009-07-23 Shin Etsu Polymer Co Ltd 表示装置及び操作スイッチ
KR20100095939A (ko) * 2009-02-23 201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
KR20110131437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05A (ko) * 2003-06-19 2004-12-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버튼 스위치
JP2006114379A (ja) * 2004-10-15 2006-04-27 Toppan Printing Co Ltd 照明装置
JP2007094154A (ja) *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光源装置
JP2009163897A (ja) * 2007-12-28 2009-07-23 Shin Etsu Polymer Co Ltd 表示装置及び操作スイッチ
KR20100095939A (ko) * 2009-02-23 201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
KR20110131437A (ko)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36A (ko) 2019-09-10 2021-03-19 민인걸 공기홀을 갖는 맥주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42B1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US9182842B2 (en) Mobile terminal
US8527020B2 (en) Mobile terminal
KR101799460B1 (ko) 전자기기
US10007381B2 (en) Mobile terminal
KR101474459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131437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40134163A (ko)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939293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0974A (ko) 이동 단말기
EP2426896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se thereof
KR201301006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미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9319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62225A (ko) 이동단말기
KR20160126453A (ko) 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924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5338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20160029569A (ko) 이동 단말기
KR101978208B1 (ko) 이동단말기
CN212569806U (zh) 显示组件及电子设备
US11419183B2 (en) Outer frame, terminal housing and terminal
CN217820950U (zh) 一种导光模组、显示装置及终端设备
KR101336710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30178A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