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855A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855A
KR20140038855A KR1020120105487A KR20120105487A KR20140038855A KR 20140038855 A KR20140038855 A KR 20140038855A KR 1020120105487 A KR1020120105487 A KR 1020120105487A KR 20120105487 A KR20120105487 A KR 20120105487A KR 20140038855 A KR20140038855 A KR 2014003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bstrates
light sources
dispose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085B1 (ko
Inventor
정법성
허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085B1/ko
Priority to US13/690,502 priority patent/US9299277B2/en
Priority to EP12008046.0A priority patent/EP2711764B1/en
Priority to CN201310126408.9A priority patent/CN103672585B/zh
Publication of KR201400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1Illuminating devices for spatial active di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기판부(Substrate Part) 및 각각의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빛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제조단가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백라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기판부(Substrate Part) 및 각각의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가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및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상기 광원의 개수가 가장 작은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제 1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A×B(A 및 B는 자연수)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기판 중 제 2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C×D(C는 A와 다른 자연수, D는 B와 다른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3 기판,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4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 및 상기 제 3 기판과 상기 제 4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1, 2, 3, 4 기판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기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이고,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제 1, 2 기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기판부(Substrate Part) 및 각각의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가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및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상기 광원의 개수가 가장 작은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제 1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A×B(A 및 B는 자연수)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기판 중 제 2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C×D(C는 A와 다른 자연수, D는 B와 다른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3 기판,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4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 및 상기 제 3 기판과 상기 제 4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1, 2, 3, 4 기판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기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이고,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제 1, 2 기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4:3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3, 4 기판이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21: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 2 기판이 오프(Off)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4:3, 16:9 및 21:9의 화면비율에 대응하도록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제조단가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30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4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시트(Optical Layer, 110) 및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0B)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10)는 후면기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10B)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라이트 유닛(10B)은 광원부(Light Source Part, 120) 뿐만 아니라,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Light Source)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0B)은 직하형(Direct Type)의 백라이트 유닛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10B)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후면커버(130)는 백 라이트 유닛(10B) 및 다양한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10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 필터 기판(101) 및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컬러 필터 기판(101)과 TFT 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 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컬러 필터 기판(101)을 전면기판이라 칭하고, TFT 기판(111)을 후면기판이라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컬러 필터 기판(101)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FT 기판(111)은 스위칭 소자로서 화소 전극(미도시)을 스위칭할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도시하지 않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 기판(101)에 입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103) 및 하부 편광판(10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컬러 필터 기판(101)의 상측 면에 상부 편광판(103)이 형성되고, TFT 기판(111)의 하측 면에 하부 평관판(10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0B)은 복수의 기능층들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능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B)의 하측에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안착되는 하부 커버(bottom cover,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그레이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백라이트 유닛(10B)의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밝기, 즉 해당 광원의 밝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10B)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부의 단면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10B)의 광원부(120)는 기판부(210), 광원(220), 수지층(230) 및 반사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220)은 기판부(210)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220)의 상부 및 반사층(240)의 상부에는 수지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층(230)은 복수의 광원들(220)을 감싸는 형태로 기판부(2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부(210)는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부(2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넥터(Connector, 미도시)와 광원(220)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상면에는 광원(220)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 나노 튜브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는 광원(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 Unit,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폴리카보네이트와 실리콘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필름 기판(Film Substrate)일 수 있다.
광원(2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220)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광원(220)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색 LED는 적색 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기판부(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지층(230)은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기판부(210)와 수지층(23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부(210)의 상면에는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40)은 수지층(230)의 경계로부터 전반사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층(240)은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 중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적층한 것, 합성수지제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기포가 분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은(Ag)이 코팅(coating)될 수도 있다. 또는, 반사층(240)은 기판부(210)의 상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지층(230)은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지층(2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 혹은 적어도 두 개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10B)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수지층(230)의 굴절률은 약 1.4 내지 1.6일 수 있다.
수지층(230)은 광원(220) 및 반사층(24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층(230)은 불포화폴리 에스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지층(230)은 액상 또는 겔(gel) 상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220) 및 반사층(240)이 형성된 기판부(2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기판부(210)의 상측 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지층(230)의 두께(T)가 증가할수록,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수지층(230)의 두께(T)가 증가함에 따라 수 지층(230)에 흡수되는 광의 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크게 감소시키지 아니하면서 균일한 휘도의 광을 제공하기 위해, 수지층(230)의 두께(T)는 0.1 내지 4.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백라이트 유닛(10B)의 광원부(120)의 다른 구성의 단면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살펴보면, 기판부(210)에 복수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기판부(210)의 상측에는 수지층(230)이 배치되고, 수지층(230)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산란 입자들(231)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산란 입자(231)는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입자(231)는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스티렌 (PS), 실리콘,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산란 입자(231)는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층(230)에 기포(bubble)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산란 입자(231)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고분자 물질 또는 무기 입자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층(230)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에 산란 입자들(231)을 혼합한 후 복수의 광원들(220) 및 반사층(240)이 형성된 기판부(2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지층(230)의 상측에는 광학시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시트(110)는 프리즘 시트(251) 및 확산 시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시트(110)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접착 또는 밀착된 상태로 제공되어, 광학 시트(110) 또는 백라이트 유닛(10B)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광학시트(110)는 수지층(230)에 밀착될 수 있다.
확산 시트(25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수지층(230)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251)는 확산 시트(252)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시트(110)에서 프리즘 시트(251) 및 확산 시트(252)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될 수 있고, 또는 프리즘 시트(251) 및 확산 시트(252) 이외에 다양한 기능층들이 더 구비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직하방식에서 광원(220)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도 5에는 직하 방식 중 탑뷰(Top view) 방식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10B)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들(220)은 각각 발광면이 상면에 배치되어, 상부 방향, 예를 들면 기판부(210) 또는 반사층(24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6에는 직하 방식 중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10B)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들(220)은 각각 발광면이 측면에 배치되어, 측면 방향, 즉 기판부(210) 또는 반사층(240)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들(220)은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220)이 화면상에서 핫 스팟(hot spot)으로 관찰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지층(230)의 두께(T)를 감소시켜 백라이트 유닛(10B),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10B)은 복수의 수지층(230, 235)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제 1 광원(220-1)으로부터 측면으로 방출되는 광은 제 1 수지층(230)을 투과하여 인접한 임의의 제 2 광원(220-2)이 배치된 영역까지 진행할 수 있다.
제 1 수지층(230)을 투과하여 진행하는 광 중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방향인 상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수지층(23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231)을 포함하여 상기 진행하는 광의 방향을 상측 방향으로 산란 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 일부는 반사층(240)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반사층(240)으로 입사된 광은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확산될 수 있다.
한편, 광원(220) 근처에서의 강한 산란 현상 또는 광원(220)으로부터 상측에 가까운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 등에 의해, 광원(2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많은 양의 광이 방출될 수 있어 화면상에 높은 휘도의 광이 관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제 1 수지층(230) 상에 제 1 차광 패턴(260)을 형성하여 광원(220)에 인접한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차광 패턴(260)은 복수의 광원들(22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 1 수지층(23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2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차단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과시켜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차광 패턴(260)은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2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하측 방향으로 반사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과시킬 수 있다.
제 1 수지층(230)의 상측에 제 2 수지층(235)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지층(235)은 제 1 수지층(230)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수지층(23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 백라이트 유닛(10B)의 광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수지층(235)은 제 1 수지층(23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와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수지층(235)이 제 1 수지층(230)보다 높은 굴절율의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수지층(2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보다 넓게 확산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 2 수지층(235)이 제 1 수지층(230)보다 낮은 굴절율의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수지층(2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 2 수지층(235)의 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 1 수지층(230)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지층(230) 및 제 2 수지층(235)은 각각 복수의 산란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수지층(235)에 포함된 산란 입자들의 밀도는 제 1 수지층(230)에 포함된 산란 입자들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수지층(235)에 보다 높은 밀도로 산란 입자들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수지층(230)으로부터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을 보다 넓게 확산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지층(235)의 상측에 제 2 차광 패턴(265)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 2 수지층(23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수지층(235)으로부터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어 화면상에서 높은 휘도로 관찰되는 경우, 제 2 수지층(235)의 상측 면 중 상기 특정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 2 차광 패턴(265)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특정 부분에서의 광의 휘도를 감소시켜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 2 차광 패턴(265)은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수지층(235)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제 2 차광 패턴(265)에서 하측 방향으로 반사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과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반사층(240)에는 제 1 광원(220-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제 2 광원(220-2)까지 진행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40)의 상측 면에 형성된 패턴은 복수의 돌출부들(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220)으로부터 방출된 후 복수의 돌출부들(241)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진행 방향으로 산란 또는 굴절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240)에 형성된 돌출부들(241)의 밀도는 광원(220)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2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가까운 영역에서 상측으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10B)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241)은 반사층(24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층(240)의 상측 면을 가공함으로써 돌출부들(24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들(241)은 반사층(240)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사층(240)의 상측 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인쇄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들(241)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프리즘 등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30은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살펴보면, 기판부(210)는 복수의 기판(211~21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기판(211~215)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기판(211~215)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판(211~215)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부(21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에는 제 1 기판(211)이 위치하고,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에는 제 2 기판(212)이 위치하고,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는 제 3 기판(213)이 위치하고,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는 제 4 기판(214)이 위치하고,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12)의 사이 및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의 사이에는 제 5 기판(215)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1 방향(DR1, 혹은 가로 방향)의 폭(L1)은 제 3, 4, 5 기판(213, 214, 215)의 제 1 방향(DR1)의 폭(L4, L6)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1 방향(DR1)과 다른 제 2 방향(DR2, 세로 방향)의 폭(L2)은 제 3, 4, 5 기판(213, 214, 215)의 제 2 방향(DR2)의 폭(L3, L5)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 3, 4 기판(213, 214)의 제 1 방향(DR1)의 폭(L4)은 제 5 기판(215)이 제 1 방향(DR1)의 폭(L6)과 다를 수 있다.
또한, 기판부(210)의 복수의 기판(211~215) 중 제 2 방향(DR2)의 폭이 가장 긴 기판은 기판부(21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판부(210)의 제 1 단변(SS1)에는 제 3 기판(213)이 배치되고, 기판부(210)의 제 2 단변(SS2)에는 제 4 기판(214)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210)의 복수의 기판(211~215) 중 제 1 방향(DR1)의 폭이 가장 긴 기판은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 및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에는 제 1 기판(211)이 배치되고, 기판부(210)의 제 2 장변(LS2)에는 제 2 기판(212)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부(210)에 포함된 각각의 기판(211~215)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판(211~215)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와 같이,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에는 각각 복수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또한 제 3, 4 기판(213, 214)에는 각각 전송라인(TPL)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송라인(TPL)의 각각의 광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라인(TPL)은 제 3, 4 기판(213, 214)에 패터닝(Patterning)될 수 있다.
제 3, 4 기판(213, 214)에는 전송라인(T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1000, 10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3, 4 기판(213, 214)에는 전송라인(T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부(미도시)는 제 3, 4 기판(213, 214)에 형성된 전송라인(TPL)을 통해 각각의 광원(2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광원(220)을 턴-온(Turn-On)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는 제 3 기판(213)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과 제 4 기판(214)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가 제 3 기판(213)에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제 3 기판(213)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을 턴-온시키면서, 제 4 기판(214)에는 구동신호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제 4 기판(214)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을 턴-오프(Turn-Off)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부(210)의 각각의 기판(211~215)에는 서로 다른 경로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판(211)에는 제 1 전원(Vcc1)이 공급되고, 제 2 기판(212)에는 제 2 전원(Vcc2)이 공급되고, 제 3 기판(213)에는 제 3 전원(Vcc3)이 공급되고, 제 4 기판(214)에는 제 4 전원(Vcc4)이 공급되고, 제 5 기판(215)에는 제 5 전원(Vcc5)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제 1~5 기판(211~215)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12)에는 제 1 전원(Vcc1)이 공급되고,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에는 제 2 전원(Vcc2)이 공급되고, 제 5 기판(215)에는 제 3 전원(Vcc3)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기판(211)과 제 2 기판(212)이 연동하여 구동되고,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이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기판(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노드(Node)와 제 2 기판(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노드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기판 중 소정의 기판에서는 광원(220)들이 A×B(A 및 B는 자연수)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서는 광원(220)들이 C×D(C는 A와 다른 자연수, D는 B와 다른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제 1, 2 기판(211, 212)에는 각각 1×16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16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3, 4 기판(213, 214)에는 각각 2×7 매트릭스 형태로 14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5 기판(215)에는 12×7 매트릭스 형태로 84개의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5 기판(215)에 배치되는 광원(220)의 개수는 제 1, 2, 3, 4 기판(211, 212, 213, 214)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러한 기판부(210)의 제 1~5 기판(211~215)들은 16:9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14의 (A)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일 수 있다.
또는, 도 14의 (B)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에서 제 1, 2 기판(211, 212)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16: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2, 3, 4, 5 기판(211~215)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21: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도 16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2 기판(211, 212)이 오프(Off)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2, 3, 4, 5 기판(211~215)로 기판부(210)를 구성하게 되면, 21:9 영상 표현할 때, 21:9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110)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21:9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110)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5개의 기판(211~215)을 이용하여 로컬 디밍(Local Dimming) 구동을 구현하더라도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4:3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3, 4 기판(213, 214)이 오프(Off)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2, 3, 4, 5 기판(211~215)로 기판부(210)를 구성하게 되면, 4:3 영상 표현할 때, 4:3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110)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4:3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110)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의 경우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4:3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제 1, 2 기판(211, 212)에 구동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3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110)에서 제 1, 2 기판(211, 212)에 배치되는 광원(220)이 턴-온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기판부(210)는 복수의 기판(211~215) 중 제 1, 2 기판(211, 212)은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판(211)은 제 1-1 기판(1800), 제 1-2 기판(1820), 제 1-3 기판(1830)으로 분할되고, 제 2 기판(212)은 제 2-1 기판(1810), 제 2-2 기판(1840), 제 2-3 기판(1850)으로 분할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기판(213~215, 1800~1850)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에는 제 1-1 기판(1800)이 위치하고, 제 2 장변(LS2)에는 제 2-1 기판(1810)이 위치하고, 제 1 단변(SS1)에는 제 3 기판(213)이 위치하고, 제 2 단변(SS2)에는 제 4 기판(214)이 위치하고, 제 1-1 기판(1800)과 제 2-1 기판(1810)의 사이 및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의 사이에는 제 5 기판(215)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과 제 1 단변(SS1) 사이의 코너(Corner) 부분에는 제 1-2 기판(1820)이 위치하고, 제 1 장변(LS1)과 제 2 단변(SS2) 사이의 코너 부분에는 제 1-3 기판(1830)이 위치하고, 제 2 장변(L21)과 제 1 단변(SS1) 사이의 코너 부분에는 제 2-2 기판(1840)이 위치하고, 제 2 장변(LS2)과 제 2 단변(SS2) 사이의 코너 부분에는 제 2-3 기판(185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1, 2-1 기판(1800, 1810)의 제 1 방향(DR1)의 폭(L10)은 제 1-2, 1-3, 2-2, 2-3, 3, 4, 5 기판(1820, 1830, 1840, 1850, 213, 214, 215)의 제 1 방향(DR1)의 폭(L12, L4, L6)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 1-1, 2-1 기판(1800, 1810)의 제 2 방향(DR2)의 폭(L11)은 제 3, 4, 5 기판(213, 214, 215)의 제 2 방향(DR2)의 폭(L3, L5)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2-1 기판(1800, 1810)의 제 2 방향(DR2)의 폭(L11)은 제 1-2, 1-3, 2-2, 2-3 기판(1820, 1830, 1840, 1850)의 제 2 방향(DR2)의 폭(L1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210)의 복수의 기판(213~215, 1800~1850) 중 제 2 방향(DR2)의 폭이 가장 긴 기판은 기판부(21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방향(DR2)의 폭이 가장 긴 제 3 기판(213)과 제 4 기판(214)이 기판부(210)의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210)의 복수의 기판(213~215, 1800~1850) 중 제 1 방향(DR1)의 폭이 가장 긴 기판은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 및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방향(DR1)의 폭이 가장 긴 제 1-1 기판(1800)과 제 2-1 기판(1810)이 기판부(210)의 제 1 장변(LS1)과 제 2 장변(L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기판부(210)에 포함된 각각의 기판(213~215, 1800~185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판(213~215, 1800~1850)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210)에 배치되는 제 1-1, 1-2, 1-3, 2-1, 2-2, 2-3 기판(1800~1850)에는 서로 다른 경로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2 기판(1820)에는 제 10 전원(Vcc10)이 공급되고, 제 1-3 기판(1830)에는 제 11 전원(Vcc11)이 공급되고, 제 2-2 기판(1840)에는 제 12 전원(Vcc12)이 공급되고, 제 2-3 기판(1850)에는 제 13 전원(Vcc13)이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1, 2-1 기판(1800, 1810)에도 서로 다른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제 1-1, 1-2, 1-3, 2-1, 2-2, 2-3 기판(1800~185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2 기판(1820), 제 1-3 기판(1830), 제 2-2 기판(1840) 및 제 2-3 기판(1850)에는 제 20 전원(Vcc20)이 공통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2 기판(1820), 제 1-3 기판(1830), 제 2-2 기판(1840) 및 제 2-3 기판(1850)이 서로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2 기판(1820), 제 1-3 기판(1830), 제 2-2 기판(1840) 및 제 2-3 기판(185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노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경우와 같이, 제 1-1, 2-1 기판(1800, 1810)에는 각각 1×12 매트릭스 형태로 12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1-2, 1-3, 2-2, 2-3 기판(1820, 1830, 1840, 1850)에는 각각 1×2 매트릭스 형태로 2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3, 4 기판(213, 214)에는 각각 2×7 매트릭스 형태로 14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5 기판(215)에는 12×7 매트릭스 형태로 84개의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판(213~215, 1800~1850) 중 광원(220)의 개수가 가장 작은 제 1-2, 1-3, 2-2, 2-3 기판(1820, 1830, 1840, 1850)은 기판부(210)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부(210)의 복수의 기판(213~215, 1800~1850)들은 16:9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21의 (A)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선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16: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제 1-1, 1-2, 1-3, 2-1, 2-2, 2-3, 3, 4, 5 기판(213~215, 1800~185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B)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에서 제 1-1, 1-2, 1-3, 2-1, 2-2, 2-3 기판(1800~1850)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일 수 있다.
또한, 도 16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21: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제 1-1, 1-2, 1-3, 2-1, 2-2, 2-3 기판(1800~1850)이 오프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C)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에서 제 1-2, 1-3, 2-2, 2-3 기판(1820, 1830, 1840, 1850), 제 3 기판(213) 및 제 4 기판(214)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4:3일 수 있다.
또한,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4:3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제 1-2, 1-3, 2-2, 2-3 기판(1820, 1830, 1840, 1850), 제 3 기판(213) 및 제 4 기판(214)이 오프될 수 있다.
한편, 기판부(210)에 포함된 각각의 기판은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제 1-2 기판(1820), 제 1-1 기판(1800), 제 1-3 기판(1830)은 물리적으로 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두 개의 기판은 소정 간격(G1)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의 상부에는 공통으로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3의 경우와 같이, 반사층(240)에 복수의 홀(1000)을 형성하고, 광원(220)이 홀(1000)에 정렬(Align)되도록 하여 반사층(240)을 제 1-2, 1-1, 1-3 기판(1820, 1800, 18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층(240)은 반사율이 높은 재질, 예컨대 은(Ag)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240)은 은재질의 호일(Foil)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반사층(240)은 적어도 2개의 기판에 공통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예컨대, 시트 형태의 하나의 반사층(240)을 총 5개 혹은 9개의 기판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반사층(240)의 형성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기판(1820, 1800, 1830)의 상부에 일체화된 반사층(240)을 형성함으로써 반사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하는 기판(1820, 1800, 1830)들의 경계부분에서 반사층(240)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효율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기판(1820, 1800, 1830)의 상부에 반사층(240)을 배치하기 이전에 복수의 기판(1820, 1800, 1830)의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반사층(240)과 복수의 기판(1820, 1800, 183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기판(1820, 1800, 1830)들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도 24의 경우와 같이, 광원(220) 및 반사층(240)의 상부에 수지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층(230)의 형성공정에서는 광원(220) 및 반사층(240)이 형성된 각각의 기판(1820, 1800, 1830)의 상부에 수지 재질을 도포하고, 도포한 수지 재질을 건조하여 수지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기판부(210)에 포함된 복수의 기판은 논리적(Logically)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제 1 기판(211)에 복수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1 기판(211)의 제 1-1 부분(180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들을 제 2 전송라인(TPL2)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제 1 기판(211)의 제 1-2 부분(182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들을 제 1 전송라인(TPL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제 1 기판(211)의 제 1-3 부분(183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들을 제 4 전송라인(TPL3)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1 부분(180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 제 1-2 부분(182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 제 1-3 부분(183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20)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 1 기판(211)을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으로 사용하여 로컬 디밍 구동이 가능하다.
한편, 기판부(210)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제 5 기판(215)은 각각 광원(220)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제 5 기판(215)은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제 1, 2 기판(211, 212)에는 16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3, 4 기판(213, 214)에는 14개의 광원(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기판(211~214, 215a~215f)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1 방향(DR1)의 폭(L1)은 제 3, 4 기판(213, 214) 및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의 제 1 방향(DR1)의 폭(L4, L21)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2 방향(DR2)의 폭(L2)은 제 3, 4 기판(213, 214) 및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의 제 2 방향(DR2)의 폭(L3, L20)과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제 3, 4 기판(213, 214)의 제 1 방향(DR1)의 폭(L4)은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의 제 1 방향(DR1)의 폭(L21)과 다르고, 제 3, 4 기판(213, 214)의 제 2 방향(DR2)의 폭(L3)은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의 제 2 방향(DR2)의 폭(L20)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의 크기는 서로 대략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5 기판(215)은 물리적으로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는,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5 기판(215)은 논리적(Logically)으로 제 1~6 서브 기판(215a~215f)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제 5 기판(215)의 복수의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의 경우와 같이, 제 1, 2, 3 서브기판(215a, 215b, 215c)에는 각각 4×3 매트릭스 형태로 12개의 광원(220)이 배치되고,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에는 각각 4×4 매트릭스 형태로 16개의 광원(22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5 기판(215)의 복수의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의 크기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2, 3 서브기판(215a, 215b, 215c)의 제 2 방향(DR2)의 폭(L30)은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의 제 2 방향(DR2)의 폭(L32)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반면에, 제 1, 2, 3 서브기판(215a, 215b, 215c)의 제 1 방향(DR1)의 폭(L31)은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의 제 1 방향(DR1)의 폭(L33)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220)의 개수를 비교하면,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220)의 개수는 16개로서, 제 1, 2 기판(211, 212)에 배치되는 광원(220)의 개수(16개)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의 제 1 방향(DR1)의 폭(L33)은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1 방향(DR1)의 폭(L1)과 다를 수 있고, 제 4, 5, 6 서브기판(215d, 215e, 215f)의 제 2 방향(DR2)의 폭(L32)은 제 1, 2 기판(211, 212)의 제 2 방향(DR2)의 폭(L2)과 다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오프시키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영상의 화면 비율과 관계없이 로컬 디밍 구동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선 도 28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판(215)이 복수의 서브기판(215a~215f)으로 분할되는 경우에 복수의 서브기판(215a~215f)을 로컬 디밍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Driver)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계조 연산부(2000), 로컬 디밍부(Local Dimming, 2010), 휘도 보정부(2020) 및 구동부(LED Driver, 20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조 연산부(200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연산할 수 있다.
로컬 디밍부(2010)는 계조 연산부(2000)가 연산한 계조 값에 따라 광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휘도 보정부(2020)는 로컬 디밍부(2010)의 출력을 고려하여 광원의 휘도 보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030)는 로컬 디밍부(2010) 및 휘도 보정부(2020)의 출력을 고려하여 각각의 광원에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휘도 보정부(2020)는 로컬 디밍부(2010)의 출력 신호로서 로컬 디밍 구동이 적용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로컬 디밍 구동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계조 연산부(2000)가 연산한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분석하여 각각의 화면영역의 계조를 기준 계조와 비교할 수 있다.
기준 계조와 각각의 화면영역의 계조를 비교/판단한 결과, 기준계조보다 작은 계조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기준계조보다 작은 계조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면 해당 영역의 휘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준계조보다 작은 계조를 갖는 영역의 광원(220)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조절하여 광원(22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상의 화면 비율에 관계없이 로컬 디밍 구동을 실시할 수 있다.
영상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여 각각의 기판을 온/오프시키면서도, 화면 비율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로컬 디밍 구동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30의 경우와 같이, 기판부(210)는 제 1-1, 1-2, 1-3 기판(1800, 1820, 1830)을 포함하는 제 1 기판(211), 제 2-1, 2-2, 2-3 기판(1810, 1840, 1850)을 포함하는 제 2 기판(212), 제 3 기판(213), 제 4 기판(214), 제 1~6 서브기판(215a~215f)을 포함하는 제 5 기판(215)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기판(211)은 제 1-1, 1-2, 1-3 기판(1800, 1820, 1830)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고, 제 2 기판(212)은 제 2-1, 2-2, 2-3 기판(1810, 1840, 1850)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고, 제 5 기판(215)은 제 1~6 서브기판(215a~215f)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4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에 의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체결을 위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LD)으로 접착층(400)보다 더 연장된 부분(W1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2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베이스부(1000)와 머리부(10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베이스부(1000)와 후면기판(110)의 사이에 접착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브라켓(140)은 함몰부(홈)를 포함하고 접착층(400)이 적용되는 제 1 면(Firs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돌출부(1001) 및 제 1 돌출부(100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돌출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1001)는 후면기판(111)의 폭방향(수직방향(DRV))으로 후면기판(1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002)는 제 1 돌출부(1001)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돌출부(1001)와 제 2 돌출부(1002)는 뒤집어진 L 형상(Inverted L-shape)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접착층(400)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부(1000)의 폭(R101)은 머리부(1002)의 폭(R100)보다 큰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이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기둥부(1001)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브라켓(14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2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상부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머리부(1002)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브라켓(140), 보조 브라켓(4800)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브라켓(140)을 제 1 브라켓(140)이라 하고, 보조 브라켓(4800)을 제 2 브라켓(4800) 또는 시트지지부(Sheet Supporter)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후면기판(111)에 근접하게 위치한 부분(48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에서 후면기판(111)에 근접한 부분을 저고도부분(4801)이라 한다.
자세하게는, 후면기판(111)의 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의 높이(HA2)는 브라켓(140)의 최대 높이(HA1)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은 브라켓(14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거리(LA1)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된 제 1 레지(Ledge, 4802)와 제 2 레지(4801)를 포함하고,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는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번호 미지정)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는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레지(4802)는 제 2 돌출부(1002)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Fram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은 제 1 레지(4802)와 접촉(Contact)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에 고정되지 않고,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시트부(110)는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광학시트부(110)가 배치되면, 광학시트부(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면기판(111)과 광학시트부(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시트부(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4800)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광학시트부(110)의 상부에는 광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부(120)는 광학시트부(110)와 함께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타입(Direct Type) 광원부(120)를 갖는 경우이다.
또는, 도 35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레지(4802)에 광학시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는 홀(10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003)을 통해 연결 프레임(5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프레임(5000)의 일부가 브라켓(140)의 홀(1003)에 단순히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5000)에 전달되는 비틀림 등의 외력이 브라켓(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50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측벽(5004)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탭(Tab Portion, 500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탭(5003)은 브라켓(140)의 제 1 연장부에 형성된 홀(1003)을 관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DRH)으로 제 1 탭(5003)의 폭은 브라켓(140)의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5000)에는 홀(5001)이 형성되고, 보조 브라켓(4800)에도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에 대응되는 홀(48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과 보조 브라켓(4800)의 홀(4804)을 통해 스크류 등이 체결수단(S100)이 연결 프레임(5000)과 보조 브라켓(48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홀(1003)(또는 홈)에 끼워지는 제 1 탭(5003) 및 보조 브라켓(4800)과 체결되는 측벽(50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의 제 1 탭(5003)은 수평부분이라 하고, 측벽(5004)은 수직부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7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1600)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600)은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된 프레임일 수 있고, 또는 백라이트 유닛과 별개인 프레임인 경우도 가능하다.
프레임(1600)의 끝단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프레임(1600)의 일부는 보조 브라켓(4800)과 접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Side Cover, 44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등의 소정의 체결수단(S110)이 프레임(1600)과 측면커버(4400)를 연결할 수 있다.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측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3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Back Cover, 13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후면커버(130)는 측면커버(44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측면커버(44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폭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후면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측면커버(44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는 전면기판(101)에 부착되는 전면편광필름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예컨대 소정의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실질적으로 모든 영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또 다른 테두리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4400)는 측벽(4400V)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걸친 부분(4400H)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의 제 1 끝단부(4403)는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H)의 제 2 끝단부(440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친 부분(4400H)은 수직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SAR)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의 제 1 끝단부(4403)과 제 2 끝단부(4404)의 사이에 위치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제 1 끝단부(4403) 및 제 2 끝단부(440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걸친부분(4400H)과 측벽(4400V)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4400V)은 측면커버(4400)의 제 1 부분 또는 수직부분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고, 걸친 부분(4400H)은 측면커버(4400)의 제 2 부분 또는 수평부분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4400)의 측벽(4400V)은 제 1 끝단부(4403)과 제 2 끝단부(440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영역(FAR) 및 제 2 끝단부(4404)와 걸친 부분(4400H)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역(SAR)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제 2 영역(SAR)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10B)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영역(FAR)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을 지나는 직선(CSL1)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39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쪽 끝단에는 측면커버(4400)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개시한 것이다. 도 3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 40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 측면커버(4400) 및 프레임(1600)은 체결수단(S400)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수단(S400)에 의해 후면커버(130), 측면커버(4400) 및 프레임(16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파 장애(EMI)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40의 (B)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1600HA)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1600H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홀(1600HA)은 도 40의 (A)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을 후면커버(130) 및 측면커버(44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S4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홀(1600HB)은 프레임(1600)을 소정의 구조물, 예컨대 후면커버(130)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다른 구조물이 관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방송신호 수신기(TV)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단말기(100~105)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단말기(100~105)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LAN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Ethernet Port인 것이 가능하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1에서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오디오 출력부(185Q)는 스피커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단말기(100~105)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Q)는, 단말기(100~105)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5)

  1. 복수의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기판부(Substrate Part); 및
    각각의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Light Source);
    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른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가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및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와 다른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상기 광원의 개수가 가장 작은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제 1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A×B(A 및 B는 자연수)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기판 중 제 2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C×D(C는 A와 다른 자연수, D는 B와 다른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3 기판,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4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 및 상기 제 3 기판과 상기 제 4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1, 2, 3, 4 기판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보다 많은 백라이트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른 백라이트 유닛.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이고,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제 1, 2 기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인 백라이트 유닛.
  13.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기판부(Substrate Part); 및
    각각의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Light Source);
    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의 폭 및 세로 방향의 폭은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의 폭과 각각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가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및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상기 광원의 개수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상기 광원의 개수가 가장 작은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장 긴 기판은 상기 기판부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 중 제 1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A×B(A 및 B는 자연수)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기판 중 제 2 기판에서는 상기 광원들이 C×D(C는 A와 다른 자연수, D는 B와 다른 자연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에 위치하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3 기판,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에 위치하는 제 4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 및 상기 제 3 기판과 상기 제 4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판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상기 제 1, 2, 3, 4 기판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보다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기판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는 나머지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광원의 개수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은 대략 16:9이고,
    상기 기판부에서 상기 제 1, 2 기판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비율은 대략 21:9인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4:3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3, 4 기판이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이 21:9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 2 기판이 오프(Off)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05487A 2012-09-21 2012-09-21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87A KR102034085B1 (ko) 2012-09-21 2012-09-21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3/690,502 US9299277B2 (en) 2012-09-21 2012-11-30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EP12008046.0A EP2711764B1 (en) 2012-09-21 2012-11-30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N201310126408.9A CN103672585B (zh) 2012-09-21 2013-04-12 背光单元和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87A KR102034085B1 (ko) 2012-09-21 2012-09-21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55A true KR20140038855A (ko) 2014-03-31
KR102034085B1 KR102034085B1 (ko) 2019-10-18

Family

ID=4743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487A KR102034085B1 (ko) 2012-09-21 2012-09-21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9277B2 (ko)
EP (1) EP2711764B1 (ko)
KR (1) KR102034085B1 (ko)
CN (1) CN10367258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757B2 (en) 2014-08-22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mold frame with elastic protective member
WO2020055121A1 (en) * 2018-09-12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0683A (zh) * 2018-03-12 2018-09-04 安徽芯瑞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背光模组用背光源及其制备方法
KR102514485B1 (ko) * 2018-05-10 2023-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803149B (zh) * 2018-07-20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面光源及其制作方法以及液晶显示装置
CN111158190A (zh) * 2020-01-19 2020-05-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模组和智能终端
CN111505868A (zh) * 2020-05-11 2020-08-0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面板
US11221518B2 (en) 2020-05-20 2022-01-11 Tcl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930A (ja) * 2007-11-13 2009-06-25 Mitsumi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90113376A (ko) * 2007-02-16 2009-10-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조명 부재의 2d-디밍
KR20110103661A (ko) * 2010-03-15 2011-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354B2 (en) * 1999-08-06 2002-09-24 Rainbow Displays, Inc. Design features optimized for tiled flat-panel displays
KR101095637B1 (ko) * 2004-09-23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발생 장치,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JP2006189661A (ja) * 2005-01-06 2006-07-20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US7638754B2 (en) * 2005-10-07 2009-12-29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backlight device,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backlight device
US8182105B2 (en) 2006-10-31 2012-05-22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membe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8158449A (ja) 2006-12-26 2008-07-10 Toshiba Corp 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
US20100207866A1 (en) * 2007-12-21 2010-08-19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backlight unit and television set
EP2470947B1 (en) * 2009-08-27 2016-03-30 LG Electronics Inc.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885103B2 (en) * 2010-12-28 2014-11-1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376A (ko) * 2007-02-16 2009-10-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조명 부재의 2d-디밍
JP2009139930A (ja) * 2007-11-13 2009-06-25 Mitsumi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10103661A (ko) * 2010-03-15 2011-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757B2 (en) 2014-08-22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mold frame with elastic protective member
WO2020055121A1 (en) * 2018-09-12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990341B2 (en) 2018-09-12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764B1 (en) 2017-01-04
US20140085344A1 (en) 2014-03-27
CN103672585B (zh) 2016-09-28
CN103672585A (zh) 2014-03-26
KR102034085B1 (ko) 2019-10-18
US9299277B2 (en) 2016-03-29
EP2711764A1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08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586070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n outer side surface entirely exposed to form an exterior side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directly adhered to a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KR1017715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529073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odule
CN104062778B (zh) 具有窄边框区域的液晶显示器
US10007134B2 (en) Display device
US8851695B2 (en) Display apparatus
US20190129229A1 (en) Narrow fram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200980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106121A1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5572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6155439A (zh) 触摸屏、触摸显示组件及电子设备
US20140177268A1 (en) Optical Film Layer,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8107619B (zh) 一种显示模组结构及终端设备
KR101965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84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13441A1 (en) Display device
KR1018395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253478A (zh) 显示装置
KR10167241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55724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08753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9080319A1 (zh) 触控模组、液晶显示屏及终端设备
KR101695629B1 (ko) 확산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150054468A (ko) 광학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