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305A -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305A
KR20140037305A KR1020120101007A KR20120101007A KR20140037305A KR 20140037305 A KR20140037305 A KR 20140037305A KR 1020120101007 A KR1020120101007 A KR 1020120101007A KR 20120101007 A KR20120101007 A KR 20120101007A KR 20140037305 A KR20140037305 A KR 2014003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battery module
module assembly
valve
coo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367B1 (ko
Inventor
현종석
박지훈
김선용
이경민
황규민
차현기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전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냉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냉매관에서 냉매의 누수를 수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며, 누수시 냉매관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폐쇄하고 냉매관에서 분기된 배출밸브를 개방하여 냉매관 내에 있는 냉매를 전지모듈 조립체와 접촉되지 않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Liquid cooling system for battery modu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특히 수냉식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체 냉각시스템의 제어방법도 포함한다.
최근,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컴팩트(Compact)하고 경량화된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고, 이러한 전기/저장장치는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HV, Hybrid Vehicles),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s) 등의 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차가 개발 및 생산되고 있고, 이러한 자동차에도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지 팩은 일정시간 동안 전기/저장장치 또는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 전지 팩은 충전/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및 리튬(Li) 전지, 리튬 이온(Li-ion) 전지 등의 리튬 이차전지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충전/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전지셀을 포함한 전지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냉각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9567호(발명의 명칭 : 리튬 이차전지의 냉각방법 및 냉각시스템)에 게재되어 있는바,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냉각시스템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공냉식 혹은 수냉식 냉매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이차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냉매관으로 열전달시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바, 특히 냉매관은 속이 비어 있는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로 공기나 물 등의 냉매가 유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냉각시스템은 결합 부위에서 냉매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양한 유형의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냉각시스템은 실링부재의 노후 등으로 예상치 못한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수분을 자체적으로 시스템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시스템 내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수분의 수위가 높아져서 이차전지가 수분에 의해 손상되어 2차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9567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전지모듈 조립체 내부에 냉매의 누수를 감지하는 한편 누수된 냉매를 조립체 내에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단위 전지를 적층한 전지모듈 조립체와; 저장보유된 냉매를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냉매의 복귀를 돕는 환수라인을 갖춘 냉매 공급원; 이 냉매 공급원의 급수라인을 개폐하는 제1밸브와 냉매 공급원의 환수라인을 개폐하는 제2밸브를 구비한 냉각장치; 및 냉매관의 외주면에 적층된 다수의 단위 전지 사이로 길이연장된 냉각핀;으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장치는 다수의 단위전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냉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냉매관과 수분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더불어서, 냉매관은 제1밸브와 제2밸브 사이에서 분기된 배출관을 추가로 구비하고, 배출관은 전지모듈 조립체 외부로 누출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제3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박스형상의 저수용 케이스를 단위 전지의 적층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배열하여, 단위 전지와 냉매관의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로, 저수용 케이스는 이의 바닥면에 배출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수분 감지 센서의 수분 감응에 따른 BMS 신호에 종속되어 제1밸브와, 제2밸브, 제3밸브 및/또는 배출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저수용 케이스는 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상기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한다.
냉매는 일반적으로 냉각수이며, 선택가능하기로 비전도 물질 또는 탈이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단위 전지를 적층한 전지모듈 조립체와; 저장보유된 냉매를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냉매의 복귀를 돕는 환수라인을 갖춘 냉매 공급원; 다수의 단위전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냉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냉매관과 이 냉매관의 길이연장을 돕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한 냉각장치; 및 냉매관의 외주면에 적층된 다수의 단위 전지 사이로 길이연장된 냉각핀;으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냉매관과 커넥터의 결합 부위를 둘러싸는 저수용 튜브를 추가로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저수용 튜브는 냉각관과 커넥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중관 형태로 냉각관과 커넥터의 결합 부위를 밀봉상태로 둘러싸고 있다.
저수용 튜브는 그 내부에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냉매관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부위에서 냉매(혹은 냉각수)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저수용 튜브는 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한다.
저수용 튜브는 이의 바닥면에 배출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는바, 냉매 공급원에서 냉매관을 따라 전지모듈 조립체 내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공급 단계와;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 내에 포집된 냉매량을 감지하는 냉매의 누수 감지 단계; 미리 설정된 냉매량에 따라 상기 냉매 공급원으로부터 냉매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누수된 냉매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냉매의 누수 감지 단계는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 내에 수분 감지 센서를 통해 구현된다.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 및 배출 단계는 수분 감지 센서에서 보내진 신호에 의해 BMS로 제어되되, 여기서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는 냉매관의 상류에 배치된 제1밸브를 폐쇄한다.
선택적으로,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는 냉매관의 하류에 배치된 제2밸브를 추가로 폐쇄할 수도 있다.
냉매의 배출 단계는 냉매관의 제1밸브 하류에 배치된 제3밸브를 개방하는바, 제3밸브는 제1밸브와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냉매의 배출 단계는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에 구비된 배출밸브를 추가로 개방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지모듈 조립체 내에 적층되어 있는 단위 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는 냉각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냉구조에서 누액될 냉매로 인해 전지모듈 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액시 신속하게 수분 감지 센서로 감지하여 냉매의 지속적인 순환을 차단하고 냉매관 내부에 남아 있는 냉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지모듈 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 예컨대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1)는 다수의 단위 전지(10)와 박스형상의 케이스(20) 및 냉각장치(30)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PCB와 단위 전지 등의 배선에 대한 설명은 배제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다수의 단위 전지(10)는 케이스(20) 내부에서 적층체로 설치되어 있는데, 인접해 있는 각각의 단위 전지(10) 사이에 삽입된 냉각핀(40)을 구비한다. 이 냉각핀(40)은 냉각장치(30)로부터 길이연장되는데, 냉각장치(30)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와 단위 전지(10) 사이에서 신속한 열교환을 돕는다.
케이스(2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 전지(10)를 적층하고 이를 보호하도록 둘러싸고 있는바, 다수의 단위 전지(10)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면 높은 충적도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충전 및/또는 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전지모듈 조립체(1)에서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냉각장치(30)는 단위 전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채용되는바, 전지모듈 조립체(1)의 열 축적과 단위 전지(10)의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3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저수용 케이스(31)와, 이 저수용 케이스(31) 내부를 가로질러 배열된 냉매관(32), 하나 이상의 수분 감지 센서(33), 냉매 공급원(34), 및 냉매관(32)의 냉매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밸브(35,36,37)를 구비한다.
저수용 케이스(31)는 박스형상의 케이스(20)의 일 측면에 배열되어 전지모듈 조립체(1)를 밀폐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저수용 케이스(31)는 냉매 공급원(34)으로부터 제공될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32)을 배열하여 전지모듈 조립체(1)의 단위 전지(10)와 열교환을 달성한다. 특히, 냉매관(32)은 이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냉각핀(40)을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냉각핀(40)은 다수의 단위 전지(10) 사이로 뻗어 단위 전지(10)의 일 측면과 접하게 배열된다.
냉매관(32)은 가늘고 긴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의 유동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냉매는 일반적으로 냉각수 혹은 물(water)일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위 전지(10)의 열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냉매 혹은 기체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냉매는 비전도 물질, 예컨대 탈이온수(deionized water) 혹은 비활성 가스(He)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전도 물질은 냉매관(32)에서 누출되어도 전지모듈 조립체(1)에 치명적인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1)는 일례로 차량용 배터리로서 채용되어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지모듈 조립체(1)의 냉매 공급원(34)은 차량용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 공급원(34)은 냉매(예컨대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라디에이터와 냉매 순환용 펌프를 구비할 수 있으며, 냉매관(32)을 통해 냉매를 순환공급함으로써 전지모듈 조립체(1)를 냉각시킬 수 있다. 화살표는 냉매의 이동경로를 표기한 것이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예컨대 냉매의 예상치 못한 유출로 인해 전지모듈 조립체(1), 구체적으로 저수용 케이스(31)에 냉매(혹은 수분)를 포집하는 경우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냉매의 추가적인 순환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냉각장치(30)는 제1밸브(35)와 제2밸브(36)를 구비한다. 제1밸브(35)는 냉매 공급원(34)의 급수라인(L1)에서 냉매관(32)으로 공급될 냉매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냉매관(32)의 유입구(혹은 상류)에 구비되는 반면에, 제2밸브(36)는 가늘고 긴 냉매관(32)을 따라 유동할 냉매를 냉매 공급원(34)의 환수라인(L2)으로 복귀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냉매관(32)의 유출구(혹은 하류)에 구비된다.
더욱이, 냉매관(32)은 배출관(38)을 추가로 구비하여 냉매관(32) 내부에 잔존해 있는 냉매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배출관(38)은 제3밸브(37)를 수단으로 하여 개폐될 수 있다. 배출관(38)은 도시되었듯이 냉매관(32)의 하류, 더욱 구체적으로 제1밸브(35)와 제2밸브(36) 사이에서 분기된다.
만약 냉매가 냉매관(32)에서 예상치 못하게 누유되면, 냉매는 저수용 케이스(31)에 포집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 수분 감지 센서(33)가 냉매의 누출 상태를 확인하고서 이를 BMS로 신호를 보낸다. BMS는 저수용 케이스(31) 내에 미리 설정된 수분량 이상으로 포집될 경우 제1밸브(35)와 제2밸브(36)를 폐쇄하고, 필요에 따라 제3밸브(37)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3밸브(37)의 개방으로 냉매관(32)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냉매를 전지모듈 조립체(1) 밖으로 확실하게 배출시켜, 저수용 케이스(31) 내부에 냉매의 추가적인 저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저수용 케이스(31)는 이의 바닥면에 배출밸브(311)를 구비한다. 배출밸브(311)는 전술된 바와 같이 냉매의 누수로 인해 저수용 케이스(31)에 포집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수분 감지 센서(33)는 저수용 케이스(31) 내부에 포집될 냉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저수용 케이스(31) 내부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기로 수분 감지 센서(33)는 저수용 케이스(31)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수분 감지 센서(33)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저수용 케이스(31) 내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채워졌을 때에 감응할 수 있도록 저수용 케이스(31)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저수용 케이스(31) 내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물체 표면에 발생되는 소량의 물방울에 의해서 냉각공정을 중단하지 않도록 설계하도록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1)에서 저수용 케이스(31)를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가늘고 긴 냉매관(32)의 결합 부위에 저수용 튜브(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냉매는 냉매관(32)의 결합 부위에서 누액되는바,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저수용 튜브(31')는 냉매관(32)과 커넥터(321;도 2에서는 엘보(elbow)로 도시되어 있음)의 결합 부위를 둘러싸는 이중관 형태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저수용 튜브(31')가 냉매관(32) 혹은 커넥터(3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저수용 튜브(31')의 내부 공간에 누수된 냉매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저수용 튜브(31')는 수분 감지 센서(33')와 함께 배출밸브(311')를 추가로 구비한다. 수분 감지 센서(33')는 저수용 튜브(31')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은 예상치 못한 냉매의 누수 상황하에서 전지모듈 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도 3의 플로우차트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작동방법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충전 및/또는 방전상태의 전지모듈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냉매관을 통해 냉매 공급원에 저장되어 있는 냉매를 전지모듈 조립체 내에 지속적으로 순환공급한다(S100 단계).
냉매를 공급하는 도중에,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가 냉매관의 파손 및/또는 냉매관의 결합 부위에서 예상치 못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누수될 냉매를 저수용 케이스(31;도 1 참조) 혹은 저수용 튜브(31';도 2 참조)에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저수용 케이스와 저수용 튜브는 누수될 냉매를 예컨대 전지모듈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S200 단계에서, 누수된 냉매가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의 내부에 채워지면서 누액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수분 감지 센서를 수단으로 하여 수분량을 감지하게 한다. 수분 감지 센서의 감응 신호는 BMS로 보내진다.
만약 수분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게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에 채워진 경우에는 전지모듈 조립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량으로 간주하여 냉각 시스템을 계속해서 구동하는 반면에, 만약 수분 감지 센서가 냉매의 미리 설정된 수위와 같거나 높게 채워진 것을 인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BMS를 통해 냉매의 순환공정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냉매의 과도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본 발명은 냉매 공급원에서 냉매관으로 유입될 냉매를 차단하기 위해 제1밸브를 폐쇄한다(S300 단계). 선택적으로 S300 단계에서, 본 발명은 냉매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냉매관의 제2밸브를 추가로 폐쇄하여 냉매관을 폐쇄계(closed system)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매관에 남아 있는 냉매는 제3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필요에 따라 냉매 공급원으로 우회시킬 수도 있다(S400 단계).
덧붙여서,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에 충전된 냉매는 배출밸브(311,311';도 1 및 도 2 참조)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필요에 따라 냉매 공급원으로 다시 우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 및 배출밸브는 수분 감지 센서에서 보내진 신호를 기초로 하여 BMS의 제어하에 개폐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전지모듈 조립체 10 ----- 단위 전지
20 ----- 케이스 30 ----- 냉각장치
40 ----- 냉각핀.

Claims (20)

  1. 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단위 전지를 적층한 전지모듈 조립체와;
    저장보유된 냉매를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냉매의 복귀를 돕는 환수라인을 갖춘 냉매 공급원;
    상기 냉매 공급원의 급수라인을 제어하는 제1밸브와 상기 냉매 공급원의 환수라인을 제어하는 제2밸브를 구비한 냉각장치; 및
    냉매관의 외주면에 상기 적층된 다수의 단위 전지 사이로 길이연장된 냉각핀;으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다수의 단위전지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냉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냉매관과 수분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제1밸브와 제2밸브 사이에서 분기된 배출관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은 전지모듈 조립체 외부로 누출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제3밸브를 구비한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박스형상의 저수용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케이스는 이의 바닥면에 배출밸브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케이스는 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상기 수분 감지 센서를 위치선정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비전도 물질 또는 탈이온수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관형의 커넥터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냉매관을 길이연장시키고, 상기 냉매관과 커넥터의 결합 부위를 둘러싸는 저수용 튜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튜브는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튜브는 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수분 감지 센서를 위치선정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튜브는 이의 바닥면에 배출밸브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튜브는 상기 냉각관과 커넥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중관 형태로 상기 냉각관의 결합 부위를 밀봉상태로 둘러싸고 있는 전지모듈 조립체형 액체 냉각 시스템.
  13. 냉매 공급원에서 냉매관을 따라 전지모듈 조립체 내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공급 단계와;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 내에 포집된 냉매량을 감지하는 냉매의 누수 감지 단계;
    미리 설정된 냉매량에 따라 상기 냉매 공급원으로부터 냉매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누수된 냉매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누수 감지 단계는 저수용 케이스 혹은 저수용 튜브 내에 수분 감지 센서를 통해 구현되는 제어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 및 배출 단계는 수분 감지 센서에서 보내진 신호에 의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제어되는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는 상기 냉매관의 상류에 배치된 제1밸브를 폐쇄하는 제어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공급 차단 단계는 상기 냉매관의 하류에 배치된 제2밸브를 추가로 폐쇄하는 제어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배출 단계는 상기 냉매관의 제1밸브 하류에 배치된 제3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배출 단계는 상기 저수용 케이스 혹은 상기 저수용 튜브에 구비된 배출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방법.
KR1020120101007A 2012-09-12 2012-09-12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07A KR102024367B1 (ko) 2012-09-12 2012-09-12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07A KR102024367B1 (ko) 2012-09-12 2012-09-12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305A true KR20140037305A (ko) 2014-03-27
KR102024367B1 KR102024367B1 (ko) 2019-09-24

Family

ID=5064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007A KR102024367B1 (ko) 2012-09-12 2012-09-12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6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761A (ko) * 2014-10-14 2016-04-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160128697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냉각 시스템
WO2018008947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수의 누수 안전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80007241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95257A (ko) * 2017-02-17 2018-08-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EP3476645A1 (en) * 2017-10-31 2019-05-01 Dura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WO2019117437A1 (ko) * 2017-12-11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00017822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20109723A (ja) * 2019-01-07 2020-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CN113314771A (zh) * 2020-02-25 2021-08-27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系统、用于其内部的泄漏检测的方法及包括其的车辆
EP3872889A1 (en) * 2020-02-25 2021-09-01 Samsung SDI Co., Ltd. A battery system, a method for leakage detection inside a battery system and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system
WO2022035296A1 (ko) * 2020-08-14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035123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냉각액을 이용한 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1380949B2 (en) 2018-01-23 2022-07-05 Samsung Sdi Co., Ltd. Coolant distribution interface for a battery module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9601A (ja) * 2010-02-04 2011-08-18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の温度調整装置
JP2011173447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20120069567A (ko)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의 냉각방법 및 냉각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9601A (ja) * 2010-02-04 2011-08-18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の温度調整装置
JP2011173447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20120069567A (ko)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의 냉각방법 및 냉각시스템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761A (ko) * 2014-10-14 2016-04-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160128697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냉각 시스템
WO2018008947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수의 누수 안전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80004990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수의 누수 안전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108292785A (zh) * 2016-07-05 2018-07-17 株式会社Lg化学 具有用于冷却水泄漏的安全装置的电池组
CN108292785B (zh) * 2016-07-05 2021-04-27 株式会社Lg化学 包括冷却剂泄漏安全装置的电池组
JP2018535528A (ja) * 2016-07-05 2018-11-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冷却水の漏水安全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US10629968B2 (en) 2016-07-05 2020-04-21 Lg Chem, Ltd. Battery pack including coolant leakage safety device
KR20180007241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80095257A (ko) * 2017-02-17 2018-08-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EP3476645A1 (en) * 2017-10-31 2019-05-01 Dura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US11114706B2 (en) 2017-10-31 2021-09-07 DUS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WO2019117437A1 (ko) * 2017-12-11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749856B2 (en) 2017-12-11 2023-09-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380949B2 (en) 2018-01-23 2022-07-05 Samsung Sdi Co., Ltd. Coolant distribution interface for a battery module housing
KR20200017822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20109723A (ja) * 2019-01-07 2020-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EP3872889A1 (en) * 2020-02-25 2021-09-01 Samsung SDI Co., Ltd. A battery system, a method for leakage detection inside a battery system and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system
CN113314771A (zh) * 2020-02-25 2021-08-27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系统、用于其内部的泄漏检测的方法及包括其的车辆
US11764409B2 (en) 2020-02-25 2023-09-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method for leakage detection inside the battery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system
WO2022035123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냉각액을 이용한 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035296A1 (ko) * 2020-08-14 2022-0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67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367B1 (ko)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9088057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thereof
US8552683B2 (en) Charging apparatus
CN107004804B (zh) 电池模块的歧管通风通道
KR101165511B1 (ko) 차량용 배터리 팩
US20230092616A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fixing structure and gas dischar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101781827B1 (ko)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US20090233158A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CN111742440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EP3567670A1 (en) Battery module
US20070037050A1 (en) Thermal control device
US11450908B2 (en) Battery module having path through which coolant introduced therein flows when thermal runaway occurs, and battery pack and ESS comprising the same
EP4027435A1 (en) Battery pack having structure allowing input of cooling water into battery module upon occurrence of thermal runaway phenomenon and ess comprising same
JP6279493B2 (ja) 電池システム
US2022012342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module
EP4195387A1 (en) Battery pack fram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same
EP3975321A1 (en) Power storage device
KR10165532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89911B1 (ko)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636090B1 (ko) 냉각 유로가 구비된 냉각판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모듈
KR102586103B1 (ko)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내부 누출 검출 방법, 및 배터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US10522879B2 (en) Cooling circuit for a battery having a Buchholz relay
EP404057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WO2021010677A1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JP2020109723A (ja) 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