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711A -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711A
KR20140035711A KR1020120102316A KR20120102316A KR20140035711A KR 20140035711 A KR20140035711 A KR 20140035711A KR 1020120102316 A KR1020120102316 A KR 1020120102316A KR 20120102316 A KR20120102316 A KR 20120102316A KR 20140035711 A KR20140035711 A KR 2014003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all service
free call
fre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711A/en
Publication of KR2014003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senting a no-charge call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presenting a no-charge call ser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apable of presenting a related service to enable a user to use a no-charge call by displaying an identifier, which indicates that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elongs to a no-charge call service area, using the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user locates in the no-charge call service area. To achieve this, the apparatus for presenting the no-charg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a cell identifier of a serving base station belongs to a base station list when the base station list including the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for presenting the no-charge call service u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ceiving the data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ell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are received. When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elongs to the base station list, the identifier, which displays that the current location belongs to the no-charge call service area, is displayed in the terminal. A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dentifier in the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00) User terminal; (200) Service device; (300)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400) Base station information apparatus; (500) Base station; (S405) Request authentication; (S410) Request authentication; (S415) Authentication result; (S420) Base station inforamtion; (S425) Base station information; (S430) Cell identifier; (S435) Determine the existence of a free-call service area; (S440) Display an identifier which indicates the affiliation of the free-call service area

Description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무료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is located in a free calling service area,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elongs to the free calling service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related service so that a user can use a free cal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화 시 특정 영역에 위치한 가입자간에 통화를 무료로 제공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기존의 무료 통화 서비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When a call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free call service is provided that provides a free call between subscribers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following problems exist in the existing free call service.

첫 번째는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동으로 수신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특정 Prefix을 붙이고 통화 발신을 시도한 후, 무료 통화 서비스 지역이면, 무료 통화에 성공하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무료 통화의 발신이 불가능하다는 교환기의 멘트를 듣고 나서야 판단을 할 수 있다. First, the user cannot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an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n area where free calling service is available, the user manually attaches a predetermined prefix to the incoming phone number and attempts to make a call, and if the calling area is free, the free call is successfu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a judgment only after listening to the statement of the exchange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free call.

두 번째는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수신 전화번호 앞에 #, #11, #99 등과 같은 특정 Prefix를 붙인 후 통화 발신을 시도해야지만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었다. 아울러, #, #11, #99 등과 같은 특정 Prefix를 붙인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발신 또는 수신 이력에 그대로 저장되기 때문에, 무료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이 아닌, 일반 서비스 영역에서 발신 또는 수신 이력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 특정 Prefix가 붙어 발신이 이뤄지기 때문에, 정상적인 통화 발신이 불가하며, 사용자는 수동으로 다시 수신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통화가 가능하였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닐 수 없다. Secondly, if the user wants to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the user needs to attach a specific prefix such as #, # 11, # 99, etc. before the incoming phone number and attempt to make the call, but the free calling service is available. In addition, since a phone number with a certain prefix, such as #, # 11, # 99, etc., is stored in the phone number origination or reception history as it is, it is stored in the outgoing or reception history in the general service area, not in the area where free call service is provided. If you select a phone number and press the call button, a specific prefix is attached and the call is made. Therefore, normal call is not possible and the user can call after inputting the incoming phone number manually. This is cumbersome for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e call service that can display,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ser,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ser's current location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An apparatus for a compute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ar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자의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통화 요청을 발신 이력으로 저장 시 상기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자동적으로 삭제한 후 저장할 수 있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et calling code to a receiver's telephone number when a user's call request is detected in a free call service area and stores the call request as a calling histo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that can automatically delete and store a compute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는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수신되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현재 위치가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base station list including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ell identifier of a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When include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belongs to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이때,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supporting a user's input. When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the input unit detects a call number input and a call request of the receiver through the input unit. After attaching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receiver's telephone numb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all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시도 후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하고, 발신코드가 제거된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the free call servic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removes the calling code fro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ipient wit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after the call connection attempt, the calling code is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elephone number of the intended recipien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일반 통화와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의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detects a call number input and a call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a general call and a free call service metho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free call through the input unit. When a selection input of a service method is detected, the calling code may be attached to the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then controlled to make a call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과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통화 기록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 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한 후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put unit for supporting a user input; A storage unit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 free call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phone number input of a receiver and a call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ing a list of base stations including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ell identifier of a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cell identifier of a serving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and if included, a preset call code is attached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nd then controlled to make a call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number after the call code is stored when the numb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 call recor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속하는 지 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is provided by a user terminal; Obtaining a base station list including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nd a cell identifier of a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whether a current location is located in a free call service area according to whether a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elongs to the base station li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이때,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통화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free call service area belongs, the user terminal detects a telephone number and a call request of a receiver input from a user; Attaching, by the user terminal,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nd attempting, by the user terminal, to make a call throug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상기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하고, 발신코드가 제거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After the controlling of the call connection, the user terminal removing the calling code fro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and stor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from which the calling code has been removed as a call log. It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more.

또한,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일반 통화 또는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의 선택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telephone number input and call request of the receiver, displaying a screen for the user terminal to select a general call or a free call service method; And detecting, by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input of the free calling service method from a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by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is able to call the current location free call It can be more clearly recognized whether the service is available.

또한,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통화 요청 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자동적으로 부착하여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발신코드를 입력할 필요 없이 보다 용이하게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ithin the free calling service area, when a user requests a call, the caller automatically attaches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recipient's phone number to make a cal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without having to enter the calling code every tim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확인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확인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선택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외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dentifying a free call servic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n identifier for recognizing this when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 free call service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a free call service area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e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fre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e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fre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a calling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free call service sel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n exception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장치(200), 가입자 인증 장치(300), 기지국 정보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500)을 포함한다.1,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terminal 100, a service device 200, a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300, a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500 may be used. ).

서비스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영역에 위치한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100) 간에 무료 통화를 제공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의 가입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이 있으면, 가입자 인증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인증한다. 인증된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지국 리스트를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The service device 20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for providing a free call between a user terminal 100 of a subscriber located i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for the subscription of the free call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authenticates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300.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 list of base stations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base station list to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가입자 인증 장치(300)는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별로 각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검증하여, 검증 결과를 서비스 장치(200)에 알린다.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300 stores a list of services subscribed to by each user for each user who has subscribed to the free calling service, and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for a specific user terminal 100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 corresponding user. It is verified whether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 service, and notifies the service device 200 of the verification result.

기지국 정보 장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기지국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최신의 기지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한다.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pparatus 400 may store a list of at least one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free call service i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iodically update the lis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 latest base st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rvice device 200.

한편, 기지국(500)은 자신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에 광대역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500), 즉,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셀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500 is to provide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500, that is, the serving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ell identifier may be obtained.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 받고, 인증된 경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셀 식별자을 획득한 후, 기지국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해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User terminal 100, if the received authentication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service device (200), joined to the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rvice device 200, the authentication service unit (200) Base st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list of base stations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is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after obtaining a cell identifier from its serving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compare whether the mobile station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by comparing with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통신 모듈(210), 저장 모듈(220) 및 제어 모듈(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a storage module 220, and a control module 230.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 가입자 인증 장치(300) 및 기지국 정보 장치(400) 등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 모듈(230)로 전달한다. 또한, 가입자 인증 장치(3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2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210)은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00,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300,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pparatus 400,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for whether a free call service is subscrib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230. In addition,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300 may receive whether the user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ing servic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ontrol module 23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receiv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저장 모듈(220)은 통신 모듈(210)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개별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220 may receiv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store it. If necessary,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individual user terminal 100 may be stored.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모듈(210)을 통해 가입자 인증 장치(300)에 인증을 요청하며, 가입자 인증 장치(300)가 해당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검증하고, 그 검증 결과를 제공하면, 통신 모듈(210)을 통해 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기지국 정보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module 23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requests the authentication to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300. Verifies whether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 service, and provides the verification result, receives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performs authent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30 receives a list of base stations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authenticates the received base st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Control to transmit to the terminal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통신부(110)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에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자신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셀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s to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authentic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obtain a cell identifier from its serving base station.

표시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12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1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is a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t.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2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30.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입력부(1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and, a selection, data, and information of a user.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input unit 130 senses a key input of the user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key input to the controller 150. The input unit 130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joystick,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formed as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3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예컨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140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device and an auxiliary memory device.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applicat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orage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provide a free call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located in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 free call service are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 list of base stations for providing may be stored.

이러한,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Such data stored in the storage 140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제어부(150)는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저장부(1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부(130)를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40)로부터 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control unit 150 may be a process unit that actually operates the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n the power of the user terminal 100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50 moves the operating system from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of the storage unit 140 to the main storage device, and then boots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130 of the user,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aded and executed from the storage unit 140. Such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확인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a free call service area in a method of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 of charge. If the location is located in the call service area, it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n identifier for recognizing this through the user terminal.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인지 인증이 이뤄져야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in order for the user terminal 100 to use a free call service, first, a user recognition authentication of a free call service must be performed.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S40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의 인증을 요청한다. 이러한 인증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무료 통화를 시도할 때,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할 때 또는 주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가입자 식별정보 등)를 같이 전송한다.Therefore,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authentication of whether or not the service device 200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 service in step S405. The authentication request may be made periodically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attempts a free call, updates data for a free call service, or periodically.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e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S4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가입자 인증 장치(300)에 요청한다. 그러면, 가입자 인증 장치(300)는 미리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service apparatus 200 requests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300 to authenticat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ing service in step S410. Then,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apparatus 30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free call service through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이후, 가입자 인증 장치(300)는 S41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인증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인증 결과는 응답 메시지, 예컨대, ACK 또는 NACK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이며, 인증에 성공한 상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300 provide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service device 200 in step S415. Here,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sponse message, for example, an ACK or NACK messag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a free call service and is successfully authenticated. Explain.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S420 단계에서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의 기지국 리스트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의 기지국의 셀 식별자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0)는 S425 단계에서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로 기지국 리스트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가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하는 S420 단계는 S415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기지국 리스트는 언제라도 갱신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혹은, 필요한 때에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S425 단계에서 전송되는 기지국 리스트는 S420 단계와 연속되어 발생되는 것은 아니며, S425 단계에서 전송되는 기지국 리스트는 서비스 장치(200)가 가장 최근에 수신하여 저장한 기지국 리스트가 될 것이다. S425 단계에서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기지국 리스트를 저장하게 된다.Thereafter,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base station list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in step S420. Here, the base station list may be cel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Thereafter,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a base station list to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in step S425.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S420 in which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base station list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400 is illustrated as being performed after step S415, but the base station list may be updated at any time. The service device 200 may receive the base station list periodically or when necessary. Therefore, the base station list transmitted in step S425 is not generated continuously in step S420, and the base station list transmitted in step S425 will be the base station list most recently received and stored by the service apparatus 200.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base station list in step S425 stores the received base station list.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S430 단계에서 자신의 서빙 기지국(500)으로부터 셀 식별자를 얻는다. 이러한 셀 식별자는 무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방송 채널, 동기 채널 등의 특정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기지국, 즉,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이다. 이러한 S430 단계는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한 후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0)이 셀 선택/재선택, 주파수간 이동, 주파수내 이동, 핸드오버, 등, 셀 식별자가 변동되는 동작을 취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S430 단계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이 속한 셀의 셀 식별자를 얻는 동작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다른 단계들의 순서와는 무관하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obtains a cell identifier from its serving base station 500 in step S430. Such a cell identifier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adio protocol, but may be received through a specific channel such as a broadcast channel or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is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to which it belongs, that is, a serving base station. Although the step S430 is illustrated as being performed after receiving the base station lis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cell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cell selection / reselection, inter-frequency movement, intra-frequency movement, handover, and the like. It can be performed every time a variable action is taken. Therefore, this step S430 should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obtaining the cell identifier of the cell to which the current user terminal 100 belongs, and is not related to the order of the other steps.

사용자 단말(100)은 S435 단계에서 기지국 정보와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기지국 정보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의 기지국 리스트를 포함하므로, 사용자 단말(100)은 획득한 셀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속한 기지국(500)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435,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its current location is a free call service area us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the cell identifier. That is, sinc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ncludes a list of base stations within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base station 500 to which the base station 500 belongs to the base station provides the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obtained cell identifier. As a resul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free call service area.

S43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서빙 기지국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S435, when the serving base st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free call servic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be displayed through (10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이 아닐 경우 흰색 아이콘(510)으로 표시하거나(A), 또는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할 경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빨간색 아이콘(520)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B).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a white icon 510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not the free call service area (A), or when the current location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It may also be indicated by a red icon 5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B).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인지를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his current location is available for free call ser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하고, 자신의 서빙 기지국(500)의 셀 식별자를 확인한 후 직접 자신이 접속한 서빙 기지국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의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가 기지국 리스트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base station list from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a cell identifier of its serving base station 500, and then the serving base sta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base station list. For exampl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is located within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the servic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list. In comparis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확인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인지에 대한 인증이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50)는 S605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의 인증을 요청한다. 여기서의 인증 요청은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무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또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요청 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즉,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가입자 식별정보 등)가 같이 전송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a free call service area of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makes a free call. In order to use the service, you must first verify that you are subscribed to a free calling service. Therefore, the control unit 150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step S605 The service device 200 requests an authentication of whether the free call service is subscribed.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request is performed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tries to make a free call through the input unit 130, or when updating data for using a free call service, or periodically requests the authentic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e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for identifying a user (ie, a subscriber)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gether.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증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서비스 장치(200)는 기지국 정보 장치(400)로부터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the service device 200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a free call service,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s a list of base stations from the device 400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100.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50)는 S61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리스트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의 기지국의 셀 식별자 정보를 의미한다.Then, the controller 150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a base station li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step S610. Here, the base station list means cel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또한, 제어부(150)는 S615 단계에서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500)으로부터 셀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셀 식별자는 예컨대,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기지국, 즉,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이다. 예컨대, LET의 경우, 셀 식별정보로 eNodeB ID와 Cell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LTE에서는 ECI(E-utran Cell ID)가 28Bit로 이루어지며, "ECI(28)=eNB ID(20) + 본부구분(3) + 기지국 번호(15) + Cell 번호(6) + Network(2)"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28 자리를 후킹(hooking)하여 획득하고, 앞의 28 자리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eNodeB ID와 Cell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WCDMA의 경우, 셀 식별자로 표 1과 같은 구조의 Cell ID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obtain a cell identifier from the base station 500 to which it is connected in step S615. Such a cell identifier may be received, for exampl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nd is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to which it belongs, that is, a serving base st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LET, an eNodeB ID and a cell number may be used as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LTE, an E-utran Cell ID (ECI) is composed of 28 bits, and "ECI (28) = eNB ID (20) + headquarters division (3) + base station number (15) + cell number (6) + network (2). Is configured as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may acquire 28 hooks to obtain an eNodeB ID and a cell number where the current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by analyzing the preceding 28 digits. In the case of WCDMA, a cell ID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Table 1 may be used as a cell identifie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술한 S610 및 S615 단계는 마치, 기지국 리스트를 얻은 후, 셀 식별자를 얻는 것과 같이 설명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지국 리스트 및 셀 식별자를 얻는 순서는 무관하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기지국 리스트 및 셀 식별자 양자 모두를 얻은 후, 제어부(150)는 S620 단계에서 기지국 리스트와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기지국 리스트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의 기지국의 셀 식별자 정보를 의미하므로,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500)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의 셀 식별자 정보에 포함되는 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s S610 and S615 are described as if the base station list is obtained and then the cell identifier is obtained, but the order of obtaining the base station list and the cell identifier is not limited. As such, after obtaining both the base station list and the cell identifier,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by using the base station list and the cell identifier in step S620. That is, since the base station list means cel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e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it is checked whether the cell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500 to which the base station 500 is connected is included in the cell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lis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s an area where free calling service is available.

이후, 제어부(150)는 S625 단계에서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표시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이 아닐 경우 흰색 아이콘(510)으로 표시하거나(A),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일 경우 빨간색 아이콘(520)으로 표시할 수 있다(B). 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n identifi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in step S625.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not the free call service area, a white icon 510 may be displayed (A), or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a red icon 520 may be displayed (B). .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표시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and display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and thus the user may easily identify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free call service area.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7에서는 무료 통화 서비스 중 음성 통화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영상 통화 혹은 메시지 전송 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a voice call among free call services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a video call or a message transmission.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면, 도 5의 식별자(510)와 같이 인디케이터(80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indicator 801 as shown in the identifier 510 of FIG. 5. It can indicate that it is located in the are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다이얼러)를 호출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S705 단계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과 통화 요청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S710 단계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기 설정된 발신코드 #(803)를 수신자의 전화번호의 앞에 부착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S715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발신코드 #(803)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8의 (B)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별다른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의 통화 연결 시 자동적으로 발신코드 #(803)을 부착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8A, the user can call an application (dialer) having a dial function, inpu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nd request a call. Then, the controller 150 detects the telephone number input and the call request of the user's receiv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step S705.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attaches a preset calling code # 803 for the free call service in front of the receiver's phone number in step S710. 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attempts to connect the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 803 is attach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step S715.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As shown,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anything, the call code # 803 is automatically attached when a call is connec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and a call connection is attempted.

한편, 통화 연결의 시도 후, 제어부(150)는 S720 단계에서 통화 연결 성공 여부와는 무관하게, 발신 이력에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기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발신 이력에 수신자의 전화번호 기록 시 부착된 발신코드 #(803)을 제거하고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8의 (C)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시에 자동적으로 부착되었던 발신코드 #은 삭제된 채 발신 이력으로 기록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all connection attempt, the controller 150 record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in the call histor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all connection is successful in step S720.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ing code # 803 attached to the recording of the recipient's phone number in the calling history is removed and stored.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calling code # which was automatically attached when the call was connected can be recorded as the calling history while being de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의 통화 연결 시 사용자가 직접 발신코드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발신코드를 부여하여 통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통화가 종료된 후에 발신코드를 생략하여 발신 이력으로 저장함으로써,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이외의 서비스 지역에서의 재통화를 시도하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s connec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input the call code, the call code can be automatically assigned to connect the call. By omitting and storing as an outgoing call history,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a user who attempts to recall in a service area other than the free call service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reen example illustrating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100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the indicator 1001 may indicate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currently located in a free call service are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무조건적으로 무료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무료 통화 또는 일반 통화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the user may select and use a free call or a general call, rather than unconditionally attempting a free call.

즉, 사용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다이얼러)를 호출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S905 단계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과 통화 요청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S910 단계에서 통화 연결을 일반적인 통화 연결로 수행할 것인지 또는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화면을 도 10의 (B)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버튼(1003) 및 일반적인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버튼(1005)을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call an application (dialer) having a dial function, input a phone number of a receiver, and request a call, as shown in FIG. 10A. Then,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telephone number input and the call request of the user's receiv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step S905.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to perform the call connection in the general call connection or the free call service method in step S910. This selection screen is shown in Fig. 10B. As shown, a button 1003 for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and a button 1005 for performing a general call connection may be displayed in a free call service method.

제어부(150)는 S915 단계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일반 통화 또는 무료 통화를 선택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고, 일반 통화를 선택한 경우, S920 단계로 진행하고, 무료 통화를 선택한 경우, S925 단계로 진행한다. The controller 150 detects whether the user selects a general call or a free call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step S915, and if the general call is selected, proceeds to step S920, and if the free call is selected, step S925. Proceed to

제어부(150)는 S920 단계에서 일반적인 통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무료 통화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50)는 S925 단계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발신코드 #(1007)를 수신자의 전화번호의 앞에 부착한다. 이러한 발신코드 #(1007)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S93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발신코드 #(1007)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무료 통화 서비스에 따른 통화 연결, 예컨대 영상 통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10의 (C)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은 없었지만, 발신코드 #(1007)을 부착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If 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a general call process in step S920 and selects a free call, the control unit 150 attaches the calling code # 1007 for the free call service in front of the receiver's phone number in step S925. This call code # 1007 is set in advance. Then, the control unit 150 attempts a call connection, for example, a video call according to the free call servic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 1007 is attach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step S930.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As shown, there is no user input, but the call code # 1007 is attached to attempt to connect the call.

한편, 통화 연결의 시도 후, 제어부(150)는 S935 단계에서 통화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발신 이력으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기록 시 부착된 발신코드 #(1007)를 제거하고 저장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10의 (D)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기록에는 발신코드 #(1007)이 생략된 채 기록되었다. On the other hand, after attempting a call connection, the controller 150 removes and stores the calling code # 1007 attached when recor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s the calling history regardless of whether the call is connected in step S935.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illustrated in FIG. 10D. As shown, the call record was recorded with call code # 1007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도, 일반 통화 및 무료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료 통화 한도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도 선택적으로 일반 통화 또는 무료 통화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f the general call and the free call can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hat is, when there is a free call limit available to the user,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 general call or a free call even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1에서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reen example illustrating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using a free call service.

사용자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1203)을 호출한 후,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메시지를 입력하고,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S1105 단계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메시지 입력 및 통화 요청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S1110 단계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발신코드 #(1205)를 수신자의 전화번호의 앞에 부착한다. 이러한 발신코드 #(1205)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12의 (B)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별다른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수신자 전화번호 앞에 발신코드 #(1205)을 부착하고, 제어부(150)는 S1115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발신코드 #(1205)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As shown in FIG. 12A, the user may call the application 1203 having a text message function, input a phone number and a message of the receiver, and request to transmit a message. Then, the controller 150 detects the user's receiver's phone number input, message input and call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step S1105.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attaches the calling code # 1205 for the free call service in front of the receiver's phone number in step S1110. This source code # 1205 is set in advance.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illustrated in FIG. 12B. As shown, the user automatically attaches the calling code # 1205 in front of the recipient's telephone number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anything, the control unit 150 is attached to the calling code # 120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step S1115 The message to the intended recipient's telephone number.

메시지 전송 후, 제어부(150)는 발신 메시지 기록에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송신한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착된 발신코드 #(1205)을 제거하고 저장할 수 있다.After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e controller 150 may record the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the transmitted message in the outgoing message record. In this case, the attached outgoing call code # 1205 may be removed and stor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3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a calling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신코드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연결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발신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무료통화 어플리케이션 내의 환경설정에서 무료통화 발신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ing code is for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using the free call service. This calling code can be set by the user. That is, the free call origination code may be set in the environment setting in the free call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200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즉, 도 13의 (A)와 같은 무료통화 환경설정 화면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망하는 발신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99"를 발신코드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 입력란(1301)에 "*99"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을 누르게 되면, "*99"로 발신코드가 설정되며, 도 13의 (B)와 같은, 설정 결과를 보인 화면에 표시(1303)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자동적으로 설정된 발신코드를 수신자의 전화번호 앞에 부착하고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free call environment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13A, the user can input a calling code that he or she desires.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set "* 99" as the calling code, when the user enters "* 99" in the input field 1301 and presses the completion button, the calling code is set to "* 99" and the calling code of FIG. The display 1303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showing the setting result as shown in B). After tha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the calling code is automatically set in front of the receiver's phone number and the free calling service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앞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가 부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자의 전화번호 뒤, 중간 등 어떠한 위치에도 부착이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t calling code is attached to the receiver before the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선택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4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free call service sel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시도하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메시지 송신은 무료 통화 서비스를 통해 시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일반 통화 또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the voice call, the video call, or the message transmission attemp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is attempted through the free call ser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user may selectively use a general call or a free call service.

이때, 사용자는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는 항상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지 또는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즉,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료통화 환경설정에서, 무료 통화 내 전화 발신 시 알림 기능을 선택하면, 도 14의 (B)와 같이, 라디오 버튼을 통해 무료 통화 서비스 또는 일반 통화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하거나, 또한 도 14의 (C)와 같이, 라디오 버튼을 통해 항상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decide whether to always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or selectively use the service within the free calling service area.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If you select the notification function when sending out my phone, as shown in FIG. 14 (B), a function for selectively using a free call service or a general call service through a radio button is set, or as shown in FIG. 14 (C). You can also set the radio button to always use the free calling service.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상황, 예컨대 무료 통화 한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료 통화 또는 일반 통화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user may select and use a free call or a general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even if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in a specific situation, for example, a free call limit is set.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외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5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n exception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예외 번호는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적용할 수 없는 예외가 되는 번호로, 예컨대, "112", "113", "114" 및 "119" 등의 번호, 또는 기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번호가 될 수 있다.Here, the exception number is an exception number to which the free calling service is not applicable, for example, numbers such as "112", "113", "114" and "119", or other numbers according to user settings. have.

이러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적용할 수 없는 예외 번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도 15의 (A)와 같은 화면에서 예외 번호 설정을 위한 기능을 요청하면, 도 15의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며, 여기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예외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의 (C)와 같은 화면을 호출하여, 예외 번호를 입력하면, 도 15의 (D)와 같이 예외 번호가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외 번호로 설정되면, 해당 전화번호는 통화 혹은 문자 메시지 전송시, 발신코드가 자동으로 부착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In order to register an exception number to which such a free calling service is not applicable, when a function for setting an exception number is requested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15A, a screen as shown in FIG. 15B is displayed. In, the user can set the desired exception number. Accordingly, when the screen shown in FIG. 15C is called and an exception number is input, the exception number can be registered as shown in FIG. 15D. As such, when the exception number is set,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is not automatically attached when the call or text message is transmitted, and a general call or text message process is perform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It has been described above how to provide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orm readable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digital video disk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solid state disk (SSD), a hard disk drive (HDD)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무료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 cal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is located in a free calling service area,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elongs to the free calling service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related service so that a user can use a free cal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통화 요청 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자동적으로 부착하여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발신코드를 입력할 필요 없이 보다 용이하게 무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by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is free of the current location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call service area is available. Also,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when the user requests a call, the user automatically attaches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receiver's phone number to perform the call. It is possible to use a free call service more easily, without having to enter the calling code,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dustry.

1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표시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 모듈 220: 저장 모듈
230: 제어 모듈 300: 가입자 인증 장치
400: 기지국 정보 장치 500: 기지국
100: us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unit
120: display unit 130: input unit
140: storage unit 200: service apparatus
210: communication module 220: storage module
230: control module 300: subscriber authentication device
400: base station information device 500: base station

Claims (9)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수신되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현재 위치가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a base station list including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ell identifier of a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are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belongs to an area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unit supporting a user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When the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when a receiver's telephone number input and a call request are detected through the input unit, a preset call code is attached to the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evice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is made.
제2항에 있어서,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시도 후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하고, 발신코드가 제거된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torage unit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 free call servic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After the call connection attempt to remove the calling code fro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wit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tore the phone number of the receiver with the calling code is removed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vice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일반 통화와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의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er inputs a phone number and a call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a screen for selecting a general call and a free call service method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selection input of the free call service method is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If detected,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all to be ma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attaching the calling cod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무료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과 통화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통화 기록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 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한 후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An input unit supporting a user input;
A storage unit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 free call ser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receiver inputs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 request through the input unit, the base station list including the cell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ell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are received and the serving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ell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and if included, attaches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nd controls the call connection to be ma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tore after removing the calling code whe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 call record;
Apparatus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omprising a.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리스트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셀 식별자가 상기 기지국 리스트에 속하는 지 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위치가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ing ser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free call service
Obtaining, by the user terminal, a base station list including a cell identifier of a base station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and a cell identifier of a currently connected serving base station;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whether a current location is located in a free call service area according to whether a cell identifi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elongs to the base station li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located in the free call service area,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belongs to the free call service are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통화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기 설정된 발신코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displaying an identifier indicating belonging to the free calling service area,
Detecting, by the user terminal, a telephone number and a call request of a receiver input from a user;
Attaching, by the user terminal, a preset calling cod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And
The user terminal attempting to make a call throug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이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발신코드가 부착된 수신자의 전화번호에서 상기 발신코드를 제거하고, 발신코드가 제거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controlling to make the call connection,
Removing, by the user terminal, the calling code fro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to which the calling code is attached, and stor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er from which the calling code is removed as a call recor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일반 통화 또는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료 통화 서비스 방식의 선택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detecting the caller's phone number input and call request,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user terminal can select a general call or a free call service method; And
Detecting, by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input of the free calling service method from a use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fre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20102316A 2012-09-14 2012-09-14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357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16A KR20140035711A (en) 2012-09-14 2012-09-14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16A KR20140035711A (en) 2012-09-14 2012-09-14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11A true KR20140035711A (en) 2014-03-24

Family

ID=5064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316A KR20140035711A (en) 2012-09-14 2012-09-14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711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992A (en) * 2003-08-12 2005-02-23 강우석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me zone service
KR20050061791A (en) * 2003-12-18 2005-06-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forming the fact of being in the discounting zone in mobile phone
KR20080023964A (en)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ethod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cessing the same
KR100827197B1 (en) * 2006-11-21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privat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KR20100130013A (en)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zone service
KR20110042896A (en)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te network ser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992A (en) * 2003-08-12 2005-02-23 강우석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me zone service
KR20050061791A (en) * 2003-12-18 2005-06-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informing the fact of being in the discounting zone in mobile phone
KR20080023964A (en)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ethod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cessing the same
KR100827197B1 (en) * 2006-11-21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privat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KR20100130013A (en)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zone service
KR20110042896A (en)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te network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190B1 (en) NSA and SA networking mode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1020603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terminal
RU2572615C2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local domain and terminal supporting same
EP3072334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wlan
JP59388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601817B2 (en) Postponed eSIM delivery to secondary mobile wireless device for cellular wireless service subscription
CN1111076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portable terminal
CA2784651C (en) Apparatus and method in a wireless device for reestablishing a call
WO201612382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US20130059579A1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07466022B (en) SIM card swit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9041145B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59487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CN111988867B (en) Communication method with limited radio resource control and terminal equipment
CN105979552B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anual PLMN selection mode
EP2733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35711A (en) An apparatus for presenting no-charge call ser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9174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512194A1 (en) Method for registration or unregistration applied in home information machine and home information machine thereof
JP2009224876A (en) Mobile terminal unit, access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62177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2291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mtocell search
JP6615487B2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753088B1 (en) Communication device apparatus having packet based call request function
CN116939874A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