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64A - 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64A
KR20140034664A KR1020120128076A KR20120128076A KR20140034664A KR 20140034664 A KR20140034664 A KR 20140034664A KR 1020120128076 A KR1020120128076 A KR 1020120128076A KR 20120128076 A KR20120128076 A KR 20120128076A KR 20140034664 A KR20140034664 A KR 2014003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container body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ublication of KR2014003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acking for an airtight container and an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for an airtight container includes an outer edge and an inner edge, which are formed at a fix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n air groove between the outer edge and the inner edge. In the air groove, an air blocking film is formed. When a cover is joined to a body, the air blocking film is adhered to the cover of the container. When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container, the air blocking film remains to adhere to the cover for a while and then stops to adhere to the cover.

Description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패킹의 밀폐력을 장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패킹이 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metically sealed packing and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the same. Specifically, a hermetically sealed packing and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the same,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sealing force for a long time and prevent the pack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It is about.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날개(14)가 걸림단턱(18)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In recent years, sealed containers have been widely used for storing food and for hygienic storage. 1, the conventional sealed container 10 is composed of a cover 12 and a container body 16, and a coupling vane 14 is provided around the cover 12, and the container body 16 A hooking step 18 is formed around which the four coupling vanes 14 are hooked. The cover 12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6 in the process of engaging or disengaging the engaging wings 14 with the engaging step 18.

그리고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내부에 패킹(20)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20)은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하는 경우, 양자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밀폐용기(10)에 사용되는 패킹(20)의 단면도로서, 패킹(20)의 내부에는 빈 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빈 공간(22)에는 공기가 유입되어 있다. The sealed container (10) has a packing (20) inside the cover (12). The packing 20 serves to seal between the cover 12 and the container body 16 when they are engaged with the container body 16.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ing 20 used in a conventional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10, in which a hollow space 22 is form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empty space 22 as described above.

종래의 패킹(20)은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빈 공간(22)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빈 공간(22)에 잔존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패킹(20)의 밀폐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Since the conventional packing 20 is generally formed of rubber or silicon, air flowing into the hollow space 22 flows out to the outside when used for a long time. When the air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22 flows out to the outside,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20 may be weakened.

그리고 종래의 밀폐용기(10)에서,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대해 결합시킨 상태로 장시간 동안 사용한 경우,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패킹(20)이 용기본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패킹(20)이 용기본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된 경우,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20)이 커버(12)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sealed container 10, when the cover 12 is used for a long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6, the packing 20 may be packed by the contents (not shown) inside the container body 16. )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6).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cking 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6, when the cover 12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16,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acking 20 is released from the cover 12 .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이 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o provide a sealing packing and a sealed container having the same that can prevent the pack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은 패킹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ling packing and a sealed container having the same to prevent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from being lowe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 패킹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와,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공기홈을 포함하고, 공기홈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차단막은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커버에 흡착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면 일정 시간 동안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를 유지하다가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가 해제된다. Sealing pack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border and the inner bord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s an air groove formed between the outer border and the inner border, the air groove is formed with an air barrier membrane,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cover is adsorbed to the cover, and when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adsorption state on the cover is released while maintaining the adsorption state on the cover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패킹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차단막의 상단부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Sealing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air barrier layer may be formed intaglio.

그리고 공기차단막에 의해 공기홈은 제1공기홈 및 제2공기홈으로 구분되고, 제1공기홈에는 용기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제2공기홈에는 공기차단막이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제1공기홈에 유입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groove is divided into the first air groove and the second air groove by the air blocking membrane, the air inside or outside the container body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and the air blocking membrane is adsorbed to the cover by the second air groove. When the state is release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may be introduced.

외측테두리의 일 측에는 돌출부가 외향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의 상면에는, 용기본체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측공기통로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공기통로는 제1공기홈과 연통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outer edge protrudes outwardly,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outer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n intaglio, the outer air passag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groove.

외측공기통로는,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폐되어, 용기본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용기본체 외부 공기가 제1공기홈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utside air passage is close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of the container body is blocked, and is opene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reby opening the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내측테두리에는 내측공기통로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공기통로는 제1공기홈과 연통될 수 있다. The inner edge of the inner air passage is formed in the intaglio, the inner air passag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groove.

내측공기통로는,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폐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용기본체 내부 공기가 제1공기홈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ner air passage is close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o block the inflow of air into the container body, and is opene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reby opening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외측테두리에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돌출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통로는 내측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외측돌출부는 가압되어 공기통로가 폐쇄되며,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외측돌출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공기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The outer edge is formed with an outer protrusion, the outer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air passage, the air passage extends to the inner edge, and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outer protrusion is pressurized and the air passage is When the cover is closed and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pressurization of the outer protrusion may be released to open the air passage.

내측테두리에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내측돌출부는 밀폐용기의 커버와 접하고 있으며,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내측돌출부는 커버에서 분리되어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ner edge is formed with an inner protrusion, an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inner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and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inner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cover. Separation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passage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상기와 같은 밀폐용 패킹을 구비하는 것으로, 밀폐용 패킹이 결합되는 커버와,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되는 경우, 밀폐용 패킹이 수축하게 된다. An ai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ling packing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cover to which the sealing packing is coupled, and a container body coupled to the cover. The packing will shrink.

밀폐용 패킹은 외측공기통로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커버에는 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부재는 돌출부를 가압하여 외측공기통로를 폐쇄하게 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가압돌기의 단부에는 패킹걸림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걸림단부는,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돌출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부를 하강시켜서 외측공기통로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Sealing packing has a protrusion having an outer air passage,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rotatably,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for closing the outer air passage by pressing the protrusion, the end of the pressing projection The packing catching end is formed, and the packing catching end may allow the outer air passage to be opened by lowering the protrud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when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밀폐용 패킹이 결합되는 커버와,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부재는 외측돌출부를 가압하여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가압돌기는,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외측돌출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돌출부를 하강시켜서 공기통로가 개방되게 한다. The ai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to which the sealing packing is coupled, and a container body coupled to the cover. The cov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pressurizes the outer protrusion. A pressurizing protrusion is provided to close the air passage, and the pressurizing protrusion causes the air passage to be opened by lowering the outer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protrusion when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이 커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ealing container and a sealing container having the same to prevent the pack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body.

또한, 본 발명은 패킹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aling packing and a sealed container having the same to prevent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from being lowered.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밀폐용기의 패킹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결합부재가 분리된 후에도 공기차단막이 커버의 내측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패킹에 형성된 외측공기통로가 개방되고 공기차단막이 커버의 내측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결합부재가 분리된 후에도 공기차단막이 커버의 내측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공기차단막이 커버의 내측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losed contai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ealed contain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packing illustrated in FIG.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th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arrier membrane is adsorbed inside the cover even after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air passage formed in the packing is open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of FIG. 9 and the air barrier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ir barrier membrane is adsorbed inside the cover even after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in FIG. 12.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arrier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of FIG. 13.
15 is a plan view of a sealing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5.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in FIG. 17.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 패킹(100)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ealing packing 100 illustrated in Figure 3, Figure 5 is a portion A of FIG.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 4.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사각 형상을 가지고 각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밀폐용기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되어서 용기본체와 커버 사이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밀폐용 패킹(100)의 형상은, 밀폐용기의 커버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해서 형성된다.3 to 7,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quare shape and each corner portion is formed rounded.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 of the airtight container cover serves to provide a sealing for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Therefore, the shape of the sealing packing 1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edge shape of the cover of the sealing container.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측테두리(110) 및 내측테두리(130)와, 외측테두리(110) 및 내측테두리(130) 사이에 형성된 공기홈(140)과, 외측테두리(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홈(140)에는 한 쌍의 공기차단막(144)이 형성되어, 공기홈(140)을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으로 구분한다.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border 110 and the inner border 1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air groove 140 formed between the outer border 110 and the inner border 130 And, it includes a protrusion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border (110). In addition, a pair of air blocking membranes 144 are formed in the air groove 140 to divide the air groove 140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groove 148.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측테두리(110) 및 내측테두리(130)는, 커버(도 8의 210 참조)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외측테두리(110)가 내측테두리(130)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커버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이다.The outer border 110 and the inner border 1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edge shape of the cover (see 210 in FIG. 8). In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edge 110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inner edge 130, which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dge shape of the cover that is roundly formed.

외측테두리(110) 및 내측테두리(130)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공기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홈(140)에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되는 경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홈(140)에 유입되는 공기는, 용기본체(230) 외부의 공기 및/또는 용기본체(230) 내부의 공기에 해당한다. An air groove 14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between the outer border 110 and the inner border 130. When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groove 140.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groove 140 corresponds to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230 and / or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230.

밀폐용기의 커버에 결합되는 패킹은, 커버가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경우에는 수축되어 커버와 용기본체의 사이에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수축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패킹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패킹의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패킹의 밀폐력이 약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외측공기통로(122) 및 내측공기통로(132)를 통해서 용기본체(230) 외부 및/또는 내부의 공기가 다시 공기홈(140)에 유입되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acking coupled to the cover of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contracts when the cover closes the container body to provide a sealing force between the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ntracted state lasts for a long time,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may be weakened because air inside the packing flows out of the packing. However, when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ir outside and / or inside the container body 230 through the outer air passage 122 and the inner air passage 132. Since it flows back into the air groove 14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ealing force by always maintaining the same air pressure.

공기홈(140)은 밀폐용 패킹(100)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홈(140)의 특정 위치에는 공기차단막(144)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차단막(144)에 의해서 공기홈(140)은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으로 구분된다. Air groove 140 is formed over the entirety of the sealing packing (100). In addition, an air barrier layer 144 is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air groove 140. The air groove 140 is divid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groove 148 by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제1공기홈(142)은 공기차단막(144)에 의해 형성되는 짧은 구간으로서, 용기본체(230) 외부의 공기가 먼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공기홈(142)의 일 측에는, 용기본체(23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0)에 형성된 외측공기통로(122)에 의해,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제1공기홈(142)으로 용기본체(23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The first air groove 142 is a short section formed by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230 first enters.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groove 142, a protrusion 120 through which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230 is introduced is formed. When the cover 210 is releas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by the outer air passage 122 formed in the protrusion 120, the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23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air groove 142. Inflow.

제2공기홈(148)은, 일측의 공기차단막(144)에서 다른 일 측의 공기차단막(144)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2공기홈(148)의 길이는 제1공기홈(142)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제2공기홈(148)에는 제1공기홈(142)에 먼저 유입된 공기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유입된다. 즉, 제2공기홈(148)과 제1공기홈(142)은 공기차단막(144)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는데, 공기차단막(144)은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된 후 일정한 시간 후에 커버(210)의 내면에 대한 흡착 상태를 해제한 후 분리된다. 따라서 제1공기홈(142)에 공기가 유입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공기차단막(144)이 커버(210)의 내측에서 분리되면, 제1공기홈(142)에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홈(148)에 유입된다. The second air groove 148 corresponds to a portion formed from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on one side to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on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length of the second air groove 148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air groove 142. Air first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groove 148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at is, the second air groove 148 and the first air groove 14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after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After a certain time, the release state of the adsorp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10 is separated. Therefore,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21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is the second air groove ( 148).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결합할 때 외측공기통로(122)가 차단되고, 공기차단막(144)이 커버(210)의 내측에 압착되어 흡착되기 때문에,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에서 잔존하게 되는 공기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를 밀폐하는 경우, 일정 정도 압축되어 패킹(100)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blocked, and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is compressed and adsorbed inside the cover 210, so that the first air groove 142 is closed.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groove 148 does not flow out of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groove 148. The air remaining in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groove 148 is compressed to a certain degree when the cover 210 seals the container body 230 to maintain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100. To be able.

공기차단막(144)은 공기홈(140)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100)이 커버(210)에 내부에 일정 시간 동안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21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100)이 커버(2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공기차단막(144)이 커버(210)의 내측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1공기홈(142)에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홈(148)으로 유입된다.Air blocking membrane 14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air groove 140, when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packing 100 in the cover 210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packing 1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210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cover 210. When the air barrier layer 144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21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groove 148.

공기차단막(144)은 외측테두리(110)에서 내측테두리(130)를 연결하여 공기홈(140)을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다소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외측테두리(110)에 비해 내측테두리(130)가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차단막(144)도 외측테두리(110)에서 내측테두리(13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ir blocking membrane 144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inner border 130 from the outer border 110 to close the air groove 140, the upper end is formed somewhat intaglio. In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inner edge 130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edge 110, the air barrier layer 144 also moves from the outer edge 110 to the inner edge 13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물론, 외측테두리(110)가 내측테두리(130)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에는, 공기차단막(144)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고 그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공기차단막(144)의 상단부는 음각으로 형성된다.Of course, when the outer edge 110 has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edge 130, the air barrier layer 144 is also not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he start portion and the end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air barrier layer 144 is formed in an intaglio.

밀폐용기의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 결합하는 경우, 커버(21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서 패킹(100)이 약 0.35mm~1mm 정도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차단막(144)에 형성되는 곡선부(146)의 깊이를 패킹(100)이 수축되는 길이(예를 들면, 0.35mm~1mm 정도)에 비해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곡선부(146)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결합되는 경우 커버(210)의 내측에 흡착되어, 공기가 제1공기홈(142)에서 제2공기홈(148)으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곡선부(146)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은 커버(210)의 내측에 대한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패킹(100)이 커버(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선부(146)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커버(210)의 내측에서 분리되어 제1공기홈(142)과 제2공기홈(148)을 연통시킨다.When the cover 210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the packing 100 is contracted by about 0.35 mm to 1 mm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cover 210. Therefore, the depth of the curved portion 146 formed in the air barrier film 144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for example, about 0.35 mm to about 1 mm) in which the packing 100 shrinks. The curved portion 146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dsorb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210 when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so that air is absorbed from the first air groove 142 to the second air groove ( 148). And the curved portion 146 formed in this way, even if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can maintain the adsorption state for the inside of the cover 21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the cover 210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packing 1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210. 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146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210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first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The groove 148 communicates.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에서, 공기차단막(144)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공기차단막(144)이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패킹(100)에서 일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공기차단막(144)의 일 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공기차단막(144)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타 측에 형성된 공기차단막(144)도 커버(210)의 내측에 흡착되어 패킹(100)이 커버(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air blocking film 144 may be understood that a pair of air blocking films 144 are formed in symmetrical directions. One side of the pair of air barrier membranes 144 formed on one side of the packing 10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0 corresponding to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on the pair of air barrier membranes 144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protrusion 120 is not formed. The air barrier layer 144 formed on the other side is also adsorbed inside the cover 210 to prevent the packing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210.

제1공기홈(142)의 일 측에는 돌출부(120)가 외측테두리(110)에서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0)의 상면에는 외측공기통로(122)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120)의 시작점에서 끝까지 연장되어 제1공기홈(142)까지 연결되어 있다. 외측공기통로(122)에 의해 제1공기홈(142)은 용기본체(23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groove 142,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border (110). An outer air passage 122 is formed in an intaglio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extending from the start point of the protrusion 120 to th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groove 142. The first air groove 14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230 by the outer air passage 122.

외측공기통로(122)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재(220)의 가압돌기(228)에 의해 가압되어 폐쇄된다. 그리고 외측공기통로(122)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서 분리되는 경우, 가압돌기(228)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됨으로써 개방되어 제1공기홈(14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er air passage 122 is closed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28 of the coupling member 220 when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In addition, when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opened by being released from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rotrusion 228 so that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Make sure

그리고 제1공기홈(142)의 일 측에서 돌출부(120)의 반대편에는 내측테두리(130)에 내측공기통로(13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공기통로(132)는 내측테두리(130)의 상단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공기통로(122)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공기통로(122)가 개방되는 경우 내측공기통로(132)도 개방되어 제1공기홈(142)에 유입된 공기가 용기본체(23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 대해 개방하는 경우, 외측공기통로(122) 및 내측공기통로(132)를 통해 용기본체(23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본체(23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이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서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inner air passage 132 is formed at the inner edge 130 at an opposite side of the protrusion 120 at one side of the first air groove 142. The inner air passage 132 is intaglio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rder 130, as shown in Figure 4 is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outer air passage 122. When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opened, the inner air passage 132 is also opened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230. When opening the cover 21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230, the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230 through the outer air passage 122 and the inner air passage 132,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230 And outside air pressure become equal. This makes it easy to open the cover 210 in the container body 230.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은 직사각 형상으로서 네 개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원형, 타원형 또는 라운드 처리가 되지 않은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In addition, although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illustrated as having four corner portions rounded as a rectangular shape, i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oval or a rectangle that is not rounded.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aling packing 100 and the sealing container 200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서,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결합부재(220)가 분리된 후에도 공기차단막(144)이 커버(210)의 내측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패킹(100)에 형성된 외측공기통로(122)가 개방되고 공기차단막(144)이 커버(210)의 내측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in the sealed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upling member 220 in FIG. 8.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arrier film 144 is adsorb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210 even after the separation is perform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air passage 122 formed in the packing 100 is opened and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210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of FIG. 9. to b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커버(210)와 용기본체(2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210)의 외측에는 결합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부재(220)는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 대해 결합하여 용기본체(23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게 한다.8 to 10, the airtight contai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ver 210 and a container body 230. And the outer side of the cover 210, the coupling member 220 is formed, the coupl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cover 210 to the container body 230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230 do.

커버(210)는 외측둘레(212) 및 내측둘레(214)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패킹(10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홈(216)에서 패킹(100)의 돌출부(120)가 형성된 부분에는 내측둘레(21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내측테두리(130)에 형성된 내측공기통로(132)를 통해서 용기본체(230) 내부의 공기가 제1공기홈(14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ver 210 has an outer circumference 212 and an inner circumference 214, and a packing groove 216 into which the packing 100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re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214 is not formed at a por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20 of the packing 100 is formed in the packing groove 216. This is to allow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230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through the inner air passage 132 formed on the inner edge 130.

결합부재(220)는 커버(21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버(210)가 용기본체(230)에 결합하게 한다. 결합부재(220)는 회전중심(222)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220)의 내측에는 커버걸림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커버걸림돌기(224)는 용기본체(23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232)에 걸리면서, 결합부재(22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coupling member 220 is rotatably formed around the cover 210 and allows the cover 210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The coupling member 220 may rotate to the rotation center 222. And the cover engaging projection 22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220, the cover engaging projection 224 is caught by the main body engaging projection 232 formed around the container body 230, the coupling member 220 To keep it locked.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부재(220)의 내측에는, 커버걸림돌기(224)의 상부에 가압돌기(2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220)가 본체걸림돌기(232)와 결합하여 커버(210)가 용기본체(230)를 밀폐하고 있는 경우, 가압돌기(228)는 돌출부(120)의 하면을 가압하여 외측공기통로(122)를 밀폐한다. Inside the coupling member 220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the pressing protrusion 228 is formed on the cover engaging protrusion 224. As can be seen in Figure 8, when the coupl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232, the cover 210 seals the container body 230, the pressing projection 228 is a protrusion 120 Pressurizes the bottom surface to seal the outer air passage 122.

가압돌기(228)에서 패킹(100)의 돌출부(120)와 접하는 부분에는 패킹걸림단부(229)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걸림단부(229)는 돌출부(12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돌출부(120)의 단부에 밀착되어 돌출부(120)를 상향 가압한다. The packing engaging end 229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228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0 of the packing 100. The packing engaging end 229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to press the protrusion 120 upward.

결합부재(22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손잡이(226)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26)는 결합부재(22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220 is formed with a handle 226 protruding obliquely outward. The handle 226 facilitates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member 220.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220)가 용기본체(230)의 본체걸림돌기(232)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커버(210)는 용기본체(230)의 상단부를 하향 가압하여 용기본체(230)가 밀폐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패킹(100)은 커버(21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수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차단막(144)의 상단부 즉, 곡선부(146)는 패킹홈(216)의 내면에 대해 흡착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에 형성된 외측공기통로(122)는, 결합부재(220)에 형성된 가압돌기(228)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되어 있다. 또한, 내측테두리(130)에 형성된 내측공기통로(132) 역시 커버(21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8, when the coupling member 220 is coupled with the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232 of the container body 230, the cover 210 is pressed dow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230 container The main body 230 is to be in a sealed state. At this time, the packing 100 is contrac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cover 21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that is, the curved portion 146 is adsorb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216 It is. The outer air passage 122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20 is pressuriz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28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220 to be sealed. In addition, the inner air passage 132 formed on the inner edge 130 is also closed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cover 210.

이와 같이, 외측공기통로(122) 및 내측공기통로(132)가 밀폐되어 있는 경우, 용기본체(23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용기본체(230)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공기홈(142) 및 제2공기홈(148)에는 용기본체(230)의 외부 및 내부의 공기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the outer air passage 122 and the inner air passage 132 are sealed, the inflow of air into the container body 230 is blocked, and thus the container body 230 maintains the sealed state. The air groove 142 and the second air groove 148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air outside and inside the container body 230.

도 9에서와 같이, 결합부재(220)가 용기본체(23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232)에서 분리되는 경우, 수축된 패킹(100)이 자체 탄성력 등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또한 결합부재(2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228)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외측공기통로(122) 및 내측공기통로(132)가 개방된다. 그러나 공기홈(14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차단막(144)의 곡선부(146)는, 패킹(100)이 수축되는 길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100)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 동안은 패킹홈(216)의 내부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coupling member 2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232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30, the contracted packing 10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elastic force or the like. While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protrusion 228 formed inside the coupling member 220 is released, the outer air passage 122 and the inner air passage 132 are opened. However, since the curved portion 146 of the air barrier film 144 formed in the air groove 14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ength of the packing 100 being contracted, the packing 10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The process maintains a state adsorbed inside the packing groove 216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와 같이, 패킹(100)에 형성된 공기차단막(144)이 패킹홈(216)의 내부에 흡착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게 됨으로써,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100)이 용기본체(230)에 부착되어 커버(210)의 패킹홈(216)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formed in the packing 100 maintains the state adsorbed inside the packing groove 216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ver 2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30, the packing 10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2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cking groove 216 of the cover 210.

결합부재(220)의 개방에 의해서 외측공기통로(122)가 개방되는 경우, 제1공기홈(142)에 공기가 유입되지만, 공기차단막(144)이 패킹홈(216)의 내면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공기홈(148)에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결합부재(220)의 개방에 의해서 내측공기통로(132)도 개방되는 경우, 외측공기통로(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용기본체(230)의 내부에도 유입되어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opened by the opening of the coupling member 220, air flows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but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is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216. Therefore, air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air groove 148. And when the inner air passage 132 is also opened by the opening of the coupling member 220,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also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230 to cover the cover 210 to the container body. It can be easily separated at 230.

결합부재(220)가 용기본체(230)의 본체걸림돌기(232)에서 분리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수 십분의 일 초~수 초)이 경과하면, 공기차단막(144)의 음각 구조의 곡선부(146)에 의해서, 곡선부(146)가 패킹홈(216)의 내측면에서 떨어져서 도 10의 상태와 같이 된다. 공기차단막(144)이 패킹홈(216)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1공기홈(142)에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홈(148)에도 유입된다. 따라서 커버(210)를 용기본체(230)에 다시 결합하는 경우, 패킹(100)의 전체에 공기가 다시 충전되었기 때문에 패킹(100)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coupling member 2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locking protrusion 232 of the container body 230,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ens of seconds to several seconds) elapses, the engraved structure of the air barrier membrane 144 By the curved portion 146, the curved portion 146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216, as in the state of FIG.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144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21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142 also flows into the second air groove 148. Therefore, when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30 again, since the air is filled in the entire packing 100 again,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1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and the constant sealing force may be maintained. .

결합부재(220)가 본체걸림돌기(232)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걸림단부(229)는 결합부재(220)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돌출부(120)와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부(120)가 하강하도록 한다. 즉, 패킹걸림단부(229)는 도 8에서와 같이 돌출부(120)의 단부와 밀착되어 있다가, 결합부재(220)가 개방되는 경우, 돌출부(120)의 단부를 아래로 내려서, 외측공기통로(122)가 쉽게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다수 개의 결합부재(220) 중에서, 하나의 결합부재(220)만을 개방하더라도, 패킹걸림단부(229)에 의해 외측공기통로(122)가 쉽게 개방되기 때문에, 커버(210)의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When the coupling member 2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locking protrusion 232, the packing locking end 229 rotates together with the coupling member 220 such that the protrusion 120 descend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0. do. That is, the packing engaging end 22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coupling member 220 is open,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is lowered, the outer air passage Allow 122 to open easily. Therefore, in the airtight contai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only one coupling member 220 is opened among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20,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easily opened by the packing catching end 229. As a result, opening of the cover 210 is facilitated.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300)과, 패킹(300)을 구비한 밀폐용기(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1 to 14, the sealing packing 300 and the sealing container 400 having the packing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300)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packing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300)은 도 3 내지 도 7에 예시된 밀폐용 패킹(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다만, 외측테두리(310)의 일 측에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만 차이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sealing packing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aling packing 100 illustrated in FIGS. 3 to 7, but has a protrusion part on one side of the outer edge 310. The only difference is that 120 is not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30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외측테두리(310) 및 내측테두리(330)를 구비한다. 외측테두리(310)에는, 외측공기통로(122)가 형성된 돌출부(120)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내측테두리(330)에는 내측공기통로(332)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테두리(310)는 내측테두리(330)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데, 이는 커버(41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The sealing packing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border 310 and an inner border 3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outer edge 310 is not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120 in which the outer air passage 122 is formed. Inner circumference 330 has an inner air passage 332 formed in an intaglio. The outer border 310 has a lower height than the inner border 330, which corresponds to the edge shape of the cover 410.

외측테두리(310) 및 내측테두리(330) 사이에는 공기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홈(340)은 공기차단막(344)을 기준으로 제1공기홈(342) 및 제2공기홈(348)으로 구분된다. 제1공기홈(343)은 두 개의 공기차단막(344)에 의해 구분되는 구간으로서, 그 일측에 위치하는 내측테두리(330)에는 내측공기통로(33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공기통로(332)을 통해서 용기본체(430) 내부의 공기가 제1공기홈(34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공기홈(348)은, 공기차단막(344)이 커버(410)의 내면에 대한 흡착이 해제되는 경우 제1공기홈(343)과 연통된다. 제1공기홈(343)과 제2공기홈(348)이 연통되는 경우, 제1공기홈(343)에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홈(348)에 유입되어 공기홈(340) 전체에 공기가 균일하게 유입되게 한다.An air groove 34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border 310 and the inner border 330. The air groove 340 is divided into a first air groove 342 and a second air groove 348 based on the air blocking membrane 344. The first air groove 343 is a section divided by two air barrier membranes 344, and an inner air passage 332 is formed in the inner edge 330 positioned at one side thereof.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430 flows into the first air groove 342 through the inner air passage 332. The second air groove 348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ir groove 343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344 is relea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10. When the first air groove 343 and the second air groove 34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343 flows into the second air groove 348 to provide air to the entire air groove 340. Ensure uniform inflow.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irtight contain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도 12는 커버(410)가 용기본체(43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결합부재(420)가 개방되어 내측공기통로(332)가 개방되고, 공기차단막(344)이 커버(410)의 내측면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결합부재(420)가 개방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공기차단막(344)이 커버(410)의 내측면에 대한 흡착이 해제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4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430, and FIG. 13 is a coupling member 420 opened in the state of FIG. 12 to open the inner air passage 332, and air.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illustrates the state in which the blocking film 344 is adsorb | suck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10. As shown i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dsorption of the air barrier layer 344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10 is relea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upling member 420 is open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는 커버(410)와 용기본체(430)를 포함하고, 커버(410)의 측면에는 결합부재(4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재(420)는 커버(410)를 용기본체(430)에 대해 결합하여 용기본체(43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sealed contain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ver 410 and a container body 430, and a coupling member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ver 410. . The coupling member 420 couples the cover 410 to the container body 430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430.

커버(410)는 외측둘레(412) 및 내측둘레(414)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패킹(30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4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홈(416)에서 패킹(300)의 내측공기통로(332)가 형성된 부분에는 내측둘레(41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내측테두리(330)에 형성된 내측공기통로(332)를 통해서 용기본체(430) 내부의 공기가 제1공기홈(34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ver 410 has an outer circumference 412 and an inner circumference 414, and a packing groove 416 into which the packing 300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re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414 is not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inner air passage 332 of the packing 300 is formed in the packing groove 416. This is to allow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430 to flow into the first air groove 342 through the inner air passage 332 formed on the inner edge 330.

결합부재(420)는 커버(41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버(410)가 용기본체(430)에 결합하게 한다. 결합부재(420)는 회전중심(42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420)의 내측에는 커버걸림돌기(4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커버걸림돌기(424)는 용기본체(43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432)에 걸리면서, 결합부재(42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oupling member 420 is rotatably formed around the cover 410, the cover 4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430. The coupling member 420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center 422. And the cover engaging projection 424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member 420, the cover engaging projection 424 is caught by the main body engaging projection 432 formed around the container body 430, the coupling member 420 To keep it locked.

결합부재(42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손잡이(426)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26)는 결합부재(42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420 is formed with a handle 426 protruded outwardly. The handle 426 facilitates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420.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420)가 용기본체(430)의 본체걸림돌기(432)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커버(410)는 용기본체(430)의 상단부를 하향 가압하여 용기본체(430)가 밀폐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패킹(300)은 커버(41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수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차단막(344)의 상단부 즉, 곡선부(346)는 패킹홈(416)의 내면에 흡착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테두리(330)에 형성된 내측공기통로(332)는 커버(41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2, when the coupling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432 of the container body 430, the cover 410 is pressed dow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430 container The body 430 is to be in a sealed state. At this time, the packing 300 is contrac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cover 410, thereby the upper end of the air barrier membrane 344, that is, the curved portion 346 is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416 have. The inner air passage 332 formed on the inner edge 330 is closed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f the cover 410.

이와 같이, 내측공기통로(332)가 밀폐되어 있는 경우, 용기본체(43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용기본체(430)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공기홈(342) 및 제2공기홈(348)에는 용기본체(430) 내부의 공기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the inner air passage 332 is sealed, the inflow of air into the container body 430 is block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430 is kept in a sealed state, and the first air groove 342 and the first air groove 342 are closed.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430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two air grooves 348.

도 13에서와 같이, 결합부재(420)가 용기본체(430)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432)에서 분리되는 경우, 수축된 패킹(300)이 자체 탄성력 등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면서 내측공기통로(332)가 개방된다. 그러나 공기홈(34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차단막(344)의 곡선부(346)는, 패킹(300)이 수축되는 길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300)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초기부터 일정 시간 동안은 패킹홈(416)의 내부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coupling member 4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432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430, the contracted packing 30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 force or the like. The air passage 332 is opened. However, since the curved portion 346 of the air barrier film 344 formed in the air groove 340 is formed lower than the length of the packing 300 being contracted, the packing 3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The initial state of the adsorption is maintained within the packing groove 416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와 같이, 패킹(300)에 형성된 공기차단막(344)이 패킹홈(416)의 내부에 흡착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게 됨으로써, 커버(410)를 용기본체(430)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300)이 용기본체(430)에 부착되어 패킹홈(416)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344 formed in the packing 300 maintains the state adsorbed in the packing groove 416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ver 4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430, the packing 30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4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packing groove 416.

결합부재(420)의 개방에 의해서 내측공기통로(332)가 개방되는 경우, 제1공기홈(342)에 공기가 유입되지만, 공기차단막(344)이 패킹홈(416)의 내면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공기홈(348)에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When the inner air passage 332 is opened by the opening of the coupling member 420,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342, but the air barrier membrane 344 is adsorb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416. Therefore, air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air groove 348.

결합부재(420)가 용기본체(430)의 본체걸림돌기(432)에서 분리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수 십분의 일 초 ~ 수 초)이 경과하면, 공기차단막(344)의 음각 구조의 곡선부(346)에 의해서, 곡선부(346)가 패킹홈(416)의 내측면에서 떨어져서 도 14의 상태와 같이 된다. 공기차단막(344)이 패킹홈(416)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1공기홈(342)에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홈(348)에도 유입된다. 따라서 커버(410)를 용기본체(430)에 다시 결합하는 경우, 패킹(300)의 전체에 공기가 다시 충전되었기 때문에 패킹(300)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a certain time (for example, tens of seconds to several seconds) after the coupling member 4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locking protrusion 432 of the container body 430, the engraved structure of the air barrier membrane 344 By the curved portion 346 of the curved portion 346, the curved portion 346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416, as in the state of FIG.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344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41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342 also flows into the second air groove 348. Therefore, when the cover 4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430 again, since the air is filled in the entire packing 300 aga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force of the packing 300 from being lowered and maintain a constant sealing force. .

이상에서는, 밀폐용 패킹(100, 300)에 공기통로에 해당하는 외측공기통로(122) 및 내측공기통로(132, 332)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공기통로는 커버(210, 410) 또는 용기본체(230, 43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또는 용기본체에 음각으로 형성된 공기통로는, 결합부재가 본체걸림돌기에 결합하는 경우 패킹 또는 결합부재에 구비된 돌기 등에 의해 폐쇄되고, 결합부재가 본체걸림돌기에서 분리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또는 용기본체에 형성된 공기통로는 패킹의 제1공기홈과 연통되어, 결합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용기본체 내부 및/또는 외부의 공기를 제1공기홈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er air passage 122 and the inner air passages 132 and 332 corresponding to the air passages are engraved in the enclosed packing 100 and 300, but such air passages are covered with the cover 210. 410 or the container body 230 or 430 may be formed. As such, the air passage formed intaglio on the cover or the container body may be closed by a protrusio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packing or the coupling member when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ody locking protrusion, and may be opened when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locking protrusion. have. And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cover or the container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groove of the packing, when the coupling member is open to allow the air inside and / or outside the container body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패킹은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밀폐용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ealing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being used in a sealed container, bu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s well as a sealed container.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500)과, 밀폐용 패킹(500)을 구비하는 밀폐용기(6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8, the sealing containe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aling container 600 having the sealing packing 500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500)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600)에서,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15 is a plan view of a sealing packing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5. And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6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630 in the sealed contain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over 610 i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630 is separated.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500)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외측테두리(510) 및 내측테두리(530)와, 외측테두리(510) 및 내측테두리(530) 사이에 형성된 공기홈(5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측테두리(510)에는 외측돌출부(520)가 외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측테두리(530)에는 내측돌출부(535)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공기가 유입 및/또는 유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공기통로(522)가 외측돌출부(520)에서 내측테두리(530)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15 to 18, the sealing packing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border 510 and an inner border 530, and an outer border 510 and an inner border 5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includes an air groove 540 formed between). An outer protrusion 520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outer edge 510, and an inner protrusion 535 protrudes inwardly from the inner edge 530. In addition, an air passage 522 corresponding to a passage through which air enters and / or flows is formed from the outer protrusion 520 to the inner edge 530.

외측테두리(510) 및 내측테두리(530)에 의해 형성된 공기홈(540)에는 공기차단막(544)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차단막(544)에 의해서 공기홈(540)은 제1공기홈(542) 및 제2공기홈(546)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500)에서, 외측테두리(510) 및 내측테두리(530)와, 공기홈(540) 및 공기차단막(544)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패킹(100)의 외측테두리(110) 및 내측테두리(130)와, 공기홈(140) 및 공기차단막(544)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n air barrier layer 544 is formed in the air groove 540 formed by the outer border 510 and the inner border 530. The air groove 540 is divided into the first air groove 542 and the second air groove 546 by the air blocking membrane 544. In the sealing packing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border 510 and the inner border 530, the air groove 540 and the air barrier film 544 are the sealing packing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outer border 110 and the inner border 130 and the air groove 140 and the air barrier film 544 are the same, specific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외측테두리(5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출부(520)는, 도 17 내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밀폐용기(600)의 커버(610)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외측돌출부(520)는,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 결합하는 경우, 가압돌기(628)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커버(610)에 밀착된다. 외측돌출부(520)가 커버(610)에 밀착되는 경우, 외측돌출부(5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522)가 폐쇄된다. 그리고 외측돌출부(520)는,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서 분리되는 경우, 가압돌기(628)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어 커버(610)로부터 분리된다. 외측돌출부(520)가 커버(610)에서 분리되는 경우, 외측돌출부(5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522)가 개방된다. As illustrated in FIGS. 17 to 18, the outer protrusion 5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border 510 has an end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cover 610 of the hermetic container 600. And the outer protrusion 520, as illustrated in Figure 17, when the cover 6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630, is pressed upward by the pressing projection 6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610. When the outer protrusion 5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610, the air passage 522 formed in the outer protrusion 520 is closed. And when the cover 6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630, as illustrated in FIG. 18, the outer protrusion 520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projection 628 is separated from the cover 610. When the outer protrusion 52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610, the air passage 522 formed in the outer protrusion 520 is opened.

공기통로(522)가 개방되는 경우, 밀폐용기(600) 외부의 공기는 공기통로(522)를 통해서 커버(610)의 패킹홈(616)으로 유입된 후, 내측돌출부(535)와 커버(610)의 내측둘레(6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용기본체(630)의 내부로 유입된다(도 18의 화살표 참조). When the air passage 522 is opened, air outside the sealed container 600 flows into the packing groove 616 of the cover 610 through the air passage 522, and then the inner protrusion 535 and the cover 610. It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63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614 of () arrow (see Fig. 18).

공기통로(522)는 외측돌출부(520)부터 내측테두리(530)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외측돌출부(520)에는 공기통로(522)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돌출부(520)의 단부가 아닌 중간에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통로(522)는 공기홈(540)에 형성된 한 쌍의 공기차단막(544)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차단막(544)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로(522)는, 도 17 내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패킹홈(616)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게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및/또는 유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The air passage 522 extends from the outer protrusion 520 to the inner edge 530. An air passage 522 is formed in an intaglio in the outer protrusion 520, and is formed from the middle of the outer protrusion 520 instead of the end of the outer protrusion 520. The air passage 522 is formed by a pair of air barrier membranes 544 formed in the air grooves 540. As illustrated in FIGS. 17 to 18, the air passage 522 formed by the air barrier membrane 544 is formed such that its cross sectio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groove 616 so that air may flow in and / or out. It will provide a passageway.

내측돌출부(535)는 내측테두리(530)에서 내향 돌출된 것으로,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 결합하는 경우, 커버(610)의 내측둘레(614)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돌출부(535)는, 공기통로(522)가 폐쇄되어 공기의 유입 및/또는 유출이 차단된 경우, 용기본체(630)의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공기통로(522) 및 밀폐용 패킹(500)과 패킹홈(616)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ner protrusion 535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edge 530, and as illustrated in FIG. 17, when the cover 6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630, the inner circumference 614 of the cover 610 is provided. You will encounter Therefore, when the air passage 522 is closed and the inflow and / or outflow of the air is blocked, the inner protrusion 535 has the contents (not shown) of the container body 630 for the air passage 522 and the sealing packing. It serves to block the outflow through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500 and the packing groove 616.

내측돌출부(535)는 가압돌기(628) 등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8에서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서 분리되는 경우, 용기본체(63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용기본체(630)의 내부에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커버(610)의 내측둘레(614)에서 분리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Since the inner protrusion 535 is not pressuriz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628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8, when the cover 6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630, the inner protrusion 535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630. By air or air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body 630, it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614 of the cover 61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can move.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600)는 커버(610)와 용기본체(6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610)의 일 측에는, 커버(610)를 용기본체(63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6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The sealed contain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ver 610 and a container body 630. And on one side of the cover 610, a coupling member 620 for rotatable the cover 610 to the container body 630 is provided rotatably.

커버(610)는 외측둘레(612) 및 내측둘레(614)를 구비한다. 외측둘레(612) 및 내측둘레(614)에 의해 밀폐용 패킹(50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616)이 형성된다. 외측둘레(612)에서 밀폐용 패킹(500)의 외측돌출부(520)가 돌출되는 부분은, 외측돌출부(520)의 단면 형성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을 통해서 외측돌출부(520)가 외측둘레(612)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둘레(614)에는, 내측돌출부(53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615)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610 has an outer circumference 612 and an inner circumference 614. A packing groove 616 into which the sealing packing 500 can be inserted is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ce 612 and the inner circumference 614. The portion where the outer protrusion 520 of the sealing packing 500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612 is formed 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formation of the outer protrusion 520. The outer protrusion 5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612 through the groove. In the inner circumference 614, an insertion groove 615 into which the inner protrusion 535 may be inserted is formed.

결합부재(620)는 커버(6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결합부재(620)는 커버걸림돌기(624) 및 가압돌기(628)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member 620 is rotat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cover 610. Coupling member 620 is provided with a cover engaging projection 624 and the pressing projection 628.

커버걸림돌기(624)는, 용기본체(630)의 외측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632)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 밀착 결합된다.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624 is caught by the body locking protrusion 63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630, which is why the cover 610 is tight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630.

가압돌기(628)는 외측돌출부(520)을 상향 가압하거나 또는 하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 결합되는 경우, 가압돌기(628)는 외측돌출부(520)를 상향 가압하여 공기통로(522)를 폐쇄한다. 이때, 가압돌기(628)의 단부는 외측돌출부(520)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610)가 용기본체(630)에서 분리되는 경우, 가압돌기(628)는 도 17의 상태에서 외측돌출부(520)를 하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외측돌출부(520)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향 이동하면서 공기통로(522)가 개방된다. The pressing protrusion 628 presses the outer protrusion 520 upward or downward. As illustrated in FIG. 17, when the cover 6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630, the pressing protrusion 628 presses the outer protrusion 520 upward to close the air passage 522. At this time, the end of the pressing projection 628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outer protrusion 520.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8, when the cover 6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630, the pressing protrusion 628 presses the outer protrusion 520 downward in the state of FIG. 17. As a result, the air passage 522 is opened while the outer protrusion 520 moves downward as illustrated in FIG. 18.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600)의 커버(610)에서, 내측둘레(614)에는 내측돌출부(535)가 삽입되는 삽입홈(6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삽입홈(615)을 형성하지 않고 내측돌출부(535)가 내측둘레(614)의 내측면 또는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cover 610 of the airtight contain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circumference 614 is illustrated as an insertion groove 615 into which the inner protrusion 535 is inserted, but the insertion groove 615 is formed. Instead, the inner protrusion 535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61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300: 밀폐용 패킹 200, 400: 밀폐용기
110, 310: 외측테두리 120: 돌출부
122: 외측공기통로 130, 330: 내측테두리
132, 332: 내측공기통로 140, 340: 공기홈
142, 342: 제1 공기홈 144, 344; 공기차단막
146, 346: 곡선부 148, 348: 제2 공기홈
210, 410: 커버 220, 420: 결합부재
230, 430: 용기본체
100, 300: Airtight packing 200, 400: Airtight container
110, 310: outer border 120: protrusion
122: outside air passage 130, 330: inside border
132, 332: inner air passage 140, 340: air groove
142 and 342: first air grooves 144 and 344; Air block
146 and 346: curved portions 148 and 348: second air groove
210, 410: cover 220, 420: coupling member
230, 430: container body

Claims (12)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 및
상기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공기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홈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차단막은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커버에 흡착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면 일정 시간 동안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가 해제되는 밀폐용 패킹.
Outer border and inner bord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ir groove formed between the outer edge and the inner edge,
An air barrier is formed in the air groove,
The air barrier membrane is adsorbed to the cover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when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airtight membrane maintains the adsorption state for the cov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airtight packing for the cover is releas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의 상단부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of claim 1,
Sealing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air barrier membrane is formed in an intagli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에 의해 상기 공기홈은 제1공기홈 및 제2공기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공기홈에는 용기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제2공기홈에는 상기 공기차단막이 커버에 대한 흡착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1공기홈에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groove is divided into a first air groove and a second air groove by the air blocking membrane.
The air inside or outside the container body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Sealing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when the air blocking membrane releases the adsorption state to the cover to the second air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테두리의 일 측에는 돌출부가 외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용기본체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측공기통로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공기통로는 상기 제1공기홈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of claim 3,
One side of the outer edge protrudes outward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 outer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flows is formed in an intaglio,
The outer air passage is sealed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공기통로는,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폐되어, 용기본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용기본체 외부 공기가 상기 제1공기홈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air passage,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airtight container is closed to block the inflow of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is opened, the airtight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outside the container body flows into the first air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테두리에는 내측공기통로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공기통로는 제1공기홈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edge of the inner air passage is formed in an intaglio,
The inner air passage is sealed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공기통로는,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폐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용기본체 내부 공기가 상기 제1공기홈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air passage,
When the cover of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t is sealed to block the inflow of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is opened, the sealing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테두리에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돌출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통로는 내측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외측돌출부는 가압되어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며,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외측돌출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edge is formed with an outer projection, the outer projection is formed with an air passage,
The air passage extends to the inner edge,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outer protrusion is pressed to close the air passage,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packing for sea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ization of the outer projection is released to open the air pa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테두리에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내측돌출부는 밀폐용기의 커버와 접하고 있으며,
밀폐용기의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내측돌출부는 커버에서 분리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 패킹.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ner edge is formed with an inner projection,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inner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When the cover of the sealed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inner packing is separated from the cover sealing packing,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passage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밀폐용 패킹을 구비하는 밀폐용기로서,
상기 밀폐용 패킹이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밀폐용 패킹이 수축되는 밀폐용기.
An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any one of the packings for seal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cover to which the sealing packing is coupled, and a container body coupled to the cover,
When the cover and the container body is combined, the hermetic packing shrink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패킹은 외측공기통로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외측공기통로를 폐쇄하게 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돌기의 단부에는 패킹걸림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걸림단부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외측공기통로가 개방되게 하는 밀폐용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ling packing has a protrusion formed with an outer air passage,
The cov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protrusion to close the outer air passage,
Packing end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projection,
The packing catching end is a closed container to open the outer air passage by lowering the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when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밀폐용 패킹을 구비하는 밀폐용기로서,
상기 밀폐용 패킹이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측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외측돌출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돌출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게 하는 밀폐용기.

10.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provided with a hermetically sealed pack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A cover to which the sealing packing is coupled, and a container body coupled to the cover,
The cov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closing the air passage by pressing the outer projection,
The pressurizing protrusion, when the coupl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airtight container to open the air passage by lowering the outer projection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projection.

KR1020120128076A 2012-09-12 2012-11-13 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1400346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267 2012-09-12
KR1020120101267 2012-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64A true KR20140034664A (en) 2014-03-20

Family

ID=5064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076A KR20140034664A (en) 2012-09-12 2012-11-13 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66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70A1 (en) * 2016-03-07 2017-09-14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Storage container
KR20220054740A (en) * 2020-10-25 2022-05-03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Cover for airtight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70A1 (en) * 2016-03-07 2017-09-14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Storage container
KR20220054740A (en) * 2020-10-25 2022-05-03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Cover for airtight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05B1 (en) Airtight container and cover for the same
KR101390289B1 (en) Airtight cosmetic case
KR102172527B1 (en) Container and lid
MX2008011708A (en) Vacuum storage container.
JP2011518727A (en) One-way valve with flapper for vacuum bag
JP6380998B2 (en) Valve member and pouring container provided with the valve member
CA2615462C (en) Packaging with sealing lid and method for filling the package
EP277742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JP6670340B2 (en) Closed container
US20070262044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KR20140034664A (en) Packing for airtight container and airtight container having the same
JP2012501920A (en) Vacuum conversion device for food vacuum compression pack
KR101108080B1 (en) Packing for a vacuum container
KR20180000673U (en) vaccum airtight container
KR101608825B1 (en) Storing vessel
CN205738686U (en) A kind of integrated form protection against the tide combination pharmaceutical containers and drying receptacle
KR101781112B1 (en) Cosmetic Receptacle
KR101876324B1 (en) Vacuum desiccator
KR20140011901A (en) Airtight container and cover for the same
KR101561128B1 (en) Check valve and vacuum packing envelope having the same
KR20170103589A (en) Cover for airtight container
WO2010130089A1 (en) Vacuum non-return exhaust valve
KR101738011B1 (en) Air Exposure Packing Type Airtight Container
KR20210017639A (en) Air pump and zipper bag with the same
KR102123681B1 (en) check valve assembly for a vacuum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