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492A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492A
KR20140034492A KR1020120100861A KR20120100861A KR20140034492A KR 20140034492 A KR20140034492 A KR 20140034492A KR 1020120100861 A KR1020120100861 A KR 1020120100861A KR 20120100861 A KR20120100861 A KR 20120100861A KR 20140034492 A KR20140034492 A KR 2014003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ing
distance
brake
fron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9963B1 (en
Inventor
허건수
이동휘
김승기
김창섭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6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for a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ensing unit which has a front detection sensor detecting a front object with respect to a vehicle and a vehicle speed sensor detecting a relative velocity or an absolute velocity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a driver operating unit which has a brake reaction velocity set unit determining a brake response velocity of the vehicle and a before-crash residual distance set unit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stops; a control unit which calculates the crash risk percentage of the vehicle by using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unit; a brake unit which allows the vehicle braking according to the crash risk percentage calculated from the control unit. The brake unit adjusts a time for putting the brake on the vehicle according to a brake response velocity set in the brake reaction velocity set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rash risk percentage of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and the vehicle speed, and to put the brake on the vehicle by considering a demand deceleration designed by a designer and brake performance when the crash risk percentage is high. [Reference numerals] (110) Sensor; (111) Front sensing sensor; (116) Vehicle speed sensor; (120) Driver operating unit; (121) Brake response speed setting unit; (126) Unit for calculating remaining distance before collision; (130) Control unit; (140) Braking unit

Description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본 발명은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의 응답성능 또는 응답속도를 고려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을 막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sidering the response performance or response speed of the brake to realiz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s operation and to ensure the safety of preventing collision of the vehicle. Provided i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ing response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충돌 경고 및 충돌 경감 시스템(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mitigation system)은 차량 주행 중 차량 전방에 선행 차량 등 위험 장애물이 감지되었을 때, 충돌 위험도에 따라 운전자에게 충돌 위험을 경고하거나 필요한 경우 자동 제동을 수행하여 충돌 속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전방 장애물에 대한 충돌 위험도의 결정은 충돌 경고 및 자동 제동의 시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In general,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mitigation system of a vehicle warns a driver of a collision risk or, if necessary, when a dangerous obstacle such as a preceding vehicle is detected in front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This system minimizes collision speed by performing automatic braking. In such systems, the determination of the collision risk for forward obstacl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iming of collision warning and automatic braking.

종래 차량의 전방 충돌 경고 및 충돌 경감 시스템에서는 자차와 선행 차량 사이의 거리를 두 차량의 상대속도로 나눈 값인 TTC(Time-To-Collision), 전방 장애물에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종감속도 값인 Deceleration-To-Avoid 등과 같이 차량의 종방향 운동에 따라 충돌 위험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ollision warning and collision alleviation system of a conventional vehicle, Deceleration, which is a longitudinal deceleration value that prevents a collision to a front obstacle and a time-to-collision (TTC),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divided by the relative speed of the two vehicles. -To-Avoid is used to determine the collision risk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motion of the vehicle.

그런데 TTC의 경우 선행 차량이 급감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선행 차량의 감속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충돌 위험도를 결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Deceleration-To-Avoid를 사용하는 경우 자차와 선행 차량 간의 상대속도가 큰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으로 충분히 충돌을 회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돌 경고를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case of TTC, the decelera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suddenly decelerates,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collision risk. When using Deceleration-To-Avoid,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own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is large. In this case, although the driver can sufficiently avoid the collision by steer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lision warning is performed.

또한, 종래의 차량 자동 제동 기술은 저속에서만 선행 차량 또는 전방의 충돌물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제동하거나, 차량의 안전성을 위해서 차량의 자동 제동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면서 동시에 운전자의 설정 또는 조작으로 다양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운전자 편의 시스템이 될 수 있는 차량 자동 제동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automatic braking technology has a limitation that the driver cannot detect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collision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at a low speed and automatically brake the vehicle, or the driver cannot manipul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automatic braking of the vehicle for the safety of the vehicle. .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vehicle automatic braking technology that can be a safety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brake a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and at the same time a driver convenience system that can realize various performances by setting or manipulating a driver. hav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관없이 전방 물체에 대한 위험도로서 에너지 기법을 사용하여 전방 물체에 대한 충돌 위험도를 예측하고, 고속에서도 전방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ake capable of predicting a collision risk to a front object by using an energy technique as a danger to a front object regardless o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braking the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front object even at a high speed Provided i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response performance.

본 발명은 설계 변수를 요구감속도, 브레이크 응답 속도, 충돌 전 남은 거리로 설정하여 운전자의 설계 변수 조작에 따라 다양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brake response performance that can implement various performances according to a driver's design variable manipulation by setting design variables as required deceleration, brake response speed, and remaining distance before collision.

본 발명은 운전자의 편의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to realiz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ensure the safe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요구 감속도(target deceleration)를 고려하여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고, 브레이크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차량이 충돌하기 전에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ing response performance that can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deceleration, and can safely stop before the vehicle collides in consideration of the braking response speed.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은, 차량에 대한 전방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센서 및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 또는 상기 차량의 절대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응답속도를 결정하는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 및 상기 차량이 정지한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를 구비한 운전자 조작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브레이크 응답속도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제동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ront sensor and a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relative to the front objec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front object for the vehicle. Or a sensor unit hav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absolute speed of the vehicle; A driver operating unit including a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determining a brake response speed of the vehicle and a remaining distance setting unit before collision to determin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by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And a braking unit for brak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wherein the braking unit may adjust a time point at which the vehicle is braked according to the brake response speed set by the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물체와의 거리와 차량의 속도를 통해 전방물체와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정하고 충돌 위험이 크거나 있다고 판단되면 설계자가 설계한 요구 감속도와 브레이크의 성능을 고려하여 차량을 제동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f the collision risk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is judg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collision risk is large, the vehicl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deceleration designed by the designer and the brake performance. Can brake

상기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반응속도변수를 사용하여 제동 시점을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다.The brake response speed setting unit may accelerate or slow down the braking time using the response speed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er's propensit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응속도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예측함으로써 상기 충돌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collision risk by estim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using the response speed varia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와 상기 제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상기 충돌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collision risk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brake unit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제동부는 스탠바이모드, 주행모드, 제동모드 및 정지모드 순서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제동시킬 수 있다.The brake unit may drive or brake the vehicle in a standby mode, a driving mode, a braking mode, and a stop mode.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전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와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Detecting whether the front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Determining a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Calculating a braking force necessary for braking the vehicle; And comparing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and the target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Th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an be provided.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방감지센서가 상기 전방물체를 감지하기 전까지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면서 상기 스탠바이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The driving of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may maintain the standby mode while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until the front sensor detects the front object.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detecting of whether the front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vehicle, if it is detected that the front object does not exist, the step of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is performed, and the presence of the front object is detected. When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required to stop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of generating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모드에서 수행되고, 상기 주행모드는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며 상기 전방감지센서 및 상기 차속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is performed in the driving mode, and the driving mode drives the vehicle in the same state as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and the front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The brak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using a sensor.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서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required to stop the vehicle may calculate the braking distance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Dstop는 제동거리, Vcar는 차량속도, ax는 요구감속도, Jact는 반응속도이다.In Equation 1, D stop is the braking distance, V car is the vehicle speed, a x is the required deceleration, and J act is the reaction speed.

상기 반응속도변수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반응속도로서, 상기 반응속도변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동시점 또는 상기 제동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The reaction speed variable is a brake reaction speed of the vehicle, and a braking time or the braking distance of the vehicle may vary according to the reaction speed variable.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거리와 상기 제동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거리차이와 허용거리의 크기를 비교하여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허용거리 보다 크면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허용거리 보다 작으면 상기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may include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by comparing the distanc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and the size of the allowable distance, and the distance difference being allowed. If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is performed, if the distanc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allowable distance may b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상기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에너지 기법에 근거하고 하기 [수학식 3]에 의해서 제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based on an energy technique and the braking force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3 below.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3]에서 Brake는 제동력, Brkgain은 제동이득, Vcar는 차량속도, Dtarget은 타겟거리이다.In Equation 3, Brake is the braking force, Brk gain is the braking gain, V car is the vehicle speed, and D target is the target distance.

상기 차량이 상기 전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와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상기 타겟거리 보다 크면 상기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상기 타겟거리 보다 작으면 상기 정지모드가 수행되어 상기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vehicle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comparing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and the target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If the targe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braking forc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is performed. If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is smaller than the target distance, the stop mode is performed to stop the vehicle.

상기 정지모드는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차량 사이에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stop mode may stop the vehicle such that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is maintained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전방 물체와의 위험도로서 에너지 기법을 사용하여 충돌 위험도를 예측하여 전방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ing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nergy technique as a risk of collision with an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at high speed as well as at low speed. By predicting this, the vehicle can be braked automatically to avoid collisions with objects ahead.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요구감속도, 브레이크 응답 속도, 충돌 전 남은 거리 등과 같은 설계변수를 운전자가 설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various performances because the driver can set or manipulate design variables such as required deceleration, brake response speed, remaining distance before collision,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운전자가 브레이크의 응답성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조작 없이 전방 물체와의 충돌이 감지되면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set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nd determine the braking timing accordingly, so that the driver's convenience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driver can move forward without the driver's operation. If a collision with an object is detected, the vehicle can be braked automatically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에 따라 차량이 제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검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considering a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brak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FIG. 1.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에 따라 차량이 제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검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in consideration of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brak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a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은, 차량(260)에 대한 전방물체(280)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센서(111) 및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상대속도 또는 상기 차량의 절대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16)를 구비한 센서부(110), 차량(260)의 브레이크 응답속도를 결정하는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1) 및 차량(260)이 정지한 경우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126)를 구비한 운전자 조작부(120), 센서부(110)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130) 및 제어부(130)에서 산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차량(260)을 제동시키는 제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detection sensor 111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ront object 280 with respect to the vehicle 260. And a sensor unit 110 having a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260 relative to the front object 280 or a vehicle speed sensor 116 for detecting the absolute speed of the vehicle, and a brake for determining a brake response speed of the vehicle 260.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120 having th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1 and the remaining distance setting unit 126 before the collision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when the vehicle 260 is stopped, Braking the vehicle 260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30 that calculates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260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280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110. It may include a braking unit 140 to.

여기서, 제동부(140)는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1)에서 설정된 브레이크 응답속도 또는 브레이크 반응속도에 따라 차량(260)이 제동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braking unit 140 may adjust the timing at which the vehicle 260 is braked according to the brake response speed or the brake reaction speed set by the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1.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의 거리 그리고,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속도(즉, 상대속도)를 통해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판정하고, 충돌 위험이 판단되면 설계자가 설계한 요구 감속도와 브레이크의 성능을 고려하여 차량(260)을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차량(260)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and the speed (ie,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260 relative to the front object 280. When the collision risk is determined and the collision risk is determined, the vehicle 260 may be automatically brak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deceleration designed by the design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brake. That is,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safety of the vehicle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vehicle 260 when a collision risk is detected regardless of the driver's intention.

센서부(110)는 주행 중인 차량(260)의 앞쪽에 전방물체(280)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전방감지센서(111)와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상대속도 또는 차량(260)의 절대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0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ront object 280 in front of the driving vehicle 260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260 relative to the front object 280 or the front object 280 or the vehicle ( It may include a vehicle speed sensor 116 for measuring the absolute speed of the 260.

전방감지센서(111)로는 레이더(radar), 카메라(camera), 스캐너(scanner), 초음파센서,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종류의 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동주행제어(Auto Cruise Control)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차량이라면 본 발명이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As the front detection sensor 111, a radar, a camera, a scanne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kind of sens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easily appli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 cruise control function.

한편, 전방감지센서(111)는 전방물체(280)의 존재 유무 뿐만 아니라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간의 상대속도,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간의 상대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특히, 전방감지센서(111)가 레이더(Radar)인 경우에는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간의 상대속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sensor 111 may measure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as well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ront object 280. have. In particular, when the front sensor 111 is a radar,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may be measured.

차속센서(116)는 차량(260)과 전방물체(280)의 상대속도 즉,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속도 또는 차량(260) 자신의 절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물체(280)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 대해 차량(260)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차속센서(116)는 차량(260) 또는 전방물체(280) 중 적어도 하나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둘의 상대속도를 측정하거나 차량(260) 자신의 절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차속센서(116)는 단독으로 차량(260)의 상대운동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전방감지센서(111)와 연동하여 차량(260)의 상대운동을 측정할 수도 있다.The vehicle speed sensor 116 may measure a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that is, the speed of the vehicle 260 relative to the front object 280 or the absolute speed of the vehicle 260 itself.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vehicle 260 may be obtained for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object 280 is not moved. The vehicle speed sensor 116 may measure the relative speed of the two or the absolute speed of the vehicle 260 itself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vehicle 260 or the front object 280 moves. The vehicle speed sensor 116 may not only measure the relative motion of the vehicle 260 alone, but also measure the relative motion of the vehicle 260 in association with the front sensor 111.

센서부(110)는 전방물체(280)의 유무정보, 차량(260)의 상대속도 값 또는 절대속도 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제어부(130)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충돌 위험도를 연산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transmits the presence or absence information of the front object 280, the relative speed value or the absolute speed value of the vehicle 260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collision risk using the sensing value. can do.

운전자 조작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의 성능을 운전자가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운전자 조작부(120)는 브레이크의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1)와 충돌 전 잔여거리(Dmin)을 설정하는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r manipulator 120 is a part capable of manipulating the driver to directly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120 may include a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1 that determines a reaction speed of the brake and a pre-collision remaining distance setting unit 126 that sets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1)는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의 반응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의 반응속도를 입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브레이크 반응속도는 브레이크 응답속도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지며, 운전자 입장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급하게 밟는 사람이 있거나, 반대로 미리 밟아서 부드럽게 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브레이크 반응속도를 변수로 사용하여 운전자 성향에 맞게 브레이크의 반응속도 또는 브레이크의 응답속도를 조작할 수 있다.The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1 is a part capable of inputting or chang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brake so that the driver can directly adjust the reaction speed of the brake. Here, the brake response speed has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brake response speed, and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there may be a person who urgently presses the brake pedal or a person who can step on the brake in advance to smoothly brake the driver's propensity.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speed as a variable, the response speed of the brake or the response speed of the brake can be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6)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반응속도변수(Jact)를 설정하거나 사용하여 제동 시점을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다. 브레이크의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부분은 후술하는 [수학식 1]에서는 Jact 변수이며, 이 값을 조정함으로써 차량(260)을 급격하게 제동할 것인지 부드럽게 제동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The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6 may set or use a reaction speed variable J act according to the driver's propensity to advance or slow down the braking time. A part of determin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brake is the J act variable in Equation 1 described later, and by adjusting this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o brake the vehicle 260 rapidly or gently.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차량(260)을 조금 늦게 제동시키려면 이 값을 조정해서 제동의 시점을 늦출 수 있고, 반대로 차량을 조금 늦게 제동시키는 것이 운전자에게 위기감을 느끼기 하는 경우에는 제동 시점을 당겨 차량이 부드럽게 제동되게 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브레이크 반응속도를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If you want to brake the vehicle 260 a little later depending on the driver's preference, you can adjust this value to slow down the braking time. On the contrary, if braking the car a little late makes the driver feel a crisis, pull the braking time to pull the vehicle. The brake response spe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for a smooth and comfortable braking feel.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126)는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에 의해 차량(260)이 전방물체(280)와 충돌하기 전에 차량(260)이 완전히 정지한 경우, 전방물체(280)와 차량(260)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Dmin) 즉 충돌 전 남은 거리를 운전자로 하여금 설정하게 하는 부분이다. 운전자가 충돌 전 잔여거리(Dmin)를 길게 설정하면 차량(260)이 보다 빨리 제동하기 시작하게 되고, 충돌 전 잔여거리(Dmin)를 짧게 설정하면 차량(260)이 늦게 제동하기 시작하고 전방물체(280)에 근접한 지점에서 차량(260)이 멈추게 될 것이다. 충돌 전 잔여거리(Dmin)를 큰 값으로 설정하면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의 거리를 멀리 가져가는 것이며, 작을수록 차량(260)은 전방물체(280)에 가깝게 정지하게 된다.The remaining distance setting unit 126 before the collision is performed by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when the vehicle 260 is completely stopped before the vehicle 260 collides with the front object 280.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260, that is, the part that allows the driver to set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If the driver sets a lo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the vehicle 260 starts to brake faster, and if a short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is set, the vehicle 260 starts to brake late and moves forward. The vehicle 260 will stop at a point close to the object 280. If the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is set to a large valu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is farther away, and the smaller the vehicle 260 stops closer to the front object 280.

제어부(130)는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이 작동할 수 있는 제어 수식이 실제로 탑재된 부분이며, 센서부(110)와 운전자 조작부(120)의 센싱값 및 설정값이 입력되어 연산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충돌 위험도에 따라서 차량(260)의 주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a part in which a control formula for operating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is actually mounted, and a sensing value and a setting value of the sensor unit 110 and the driver control unit 120 are input and calculated.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r determine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60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산출된 차량의 충돌 위험도에 따라서 스탠바이모드(210, Standby mode), 주행모드(220, Cruise mode), 제동모드(230, Brake mode) 및 정지모드(240, Stop mode)로 차량(260)의 주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상기 4가지의 모드 순서대로 차량(260)의 주행 상태를 조절하며, 정지모드(240)가 수행되어 차량(260)이 완전히 정지된 후에 차량(260)이 다시 주행하게 되면 다시 스탠바이모드(210)가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as a standby mode 210, a standby mode 220, a cruise mode 230, a brake mode 230, and a stop mod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In operation 240,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60 may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adjust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60 in the order of the four modes, and the vehicle 260 runs again after the stop mode 240 is performed so that the vehicle 260 is completely stopped. In this case, the standby mode 210 may be performed again.

첫 번째, 스탠바이모드(210)는 차량(260)의 앞쪽에 충돌할 수 있는 전방물체(280)가 없기 때문에 충돌 위험도가 없는 상황이다. 즉, 센서부(110)의 전방감지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전방물체(280)가 없기 때문에 타겟거리(Dtarget)는 무한대(∞)가 되며, 이 모드에서는 차량(260)은 정상 주행 상태가 된다. 차속센서(116)는 차량(260)의 속도(Vcar)를 센싱하게 된다.First, in the standby mode 210, there is no collision risk because there is no front object 280 that may collide in front of the vehicle 260. That is, since there is no front object 280 detected by the front sensor 111 of the sensor unit 110,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becomes infinity (∞), and in this mode, the vehicle 260 runs normally. It becomes a state. The vehicle speed sensor 116 senses the speed V car of the vehicle 260.

여기서, 타겟거리(Dtarget)는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거리이다. 도 2에서는 전방물체(280)가 고정된 벽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전방물체(280)가 움직이는 물체일 수도 있다. Here,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is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In FIG. 2, the front object 280 is illustrated as a fixed wal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ront object 280 may be a moving object.

주행모드(220)는 차량(260)의 앞쪽에 전방물체(280)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고, 에너지 방법으로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의 충돌 거리를 예측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충돌 거리는 제동거리(Dstop)로써 제동을 시작하는 거리를 나타낸다. 즉, 제동거리(Dstop)는 차량(260)이 전방물체(280)와 충돌하지 않기 위해서 완전히 정지하는데 필요한 거리이다. 주행모드(220)의 경우, 예측된 제동거리(Dstop)가 차량과(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실제 거리인 타겟거리(Dtarget) 보다 짧아서 아직 충돌 위험도가 낮은 상태를 나타내고 차량은 정상 주행을 하게 된다.The driving mode 220 detects that the front object 280 is present in front of the vehicle 260, and predicts a collis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by an energy method. Here, the collision distance referred to is a distance at which braking is started by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That is, the braking distance D stop is a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260 to completely stop in order not to collide with the front object 280. In the driving mode 220, the predicted braking distance D stop is shorter tha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which is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still at a low risk of collision. Will be driving normally.

주행모드(220)에서 제어부(130)는 브레이크 반응속도변수(Jact)를 이용하여 차량(260)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예측함으로써 충돌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동거리(Dstop)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In the driving mode 220,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collision risk by estimating the braking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he vehicle 260 to stop using the brake reaction speed variable J act . The braking distance D stop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Dstop는 제동거리, Vcar는 차량속도, ax는 요구감속도, Jact는 반응속도이다. 요구감속도(ax)는 운전자가 설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변수이다.In Equation 1, D stop is the braking distance, V car is the vehicle speed, a x is the required deceleration, and J act is the reaction speed. The required deceleration (a x ) is a variable that can be set or manipulated by the driver.

[수학식 1]에서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121)에서 운전자에 의해서 설정되는 브레이크 반응속도(Jact)는 [수학식 1]의 2번째 및 3번째 항에 사용되며, [수학식 1]은 에너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브레이크 반응속도변수(Jact)를 크게 설정하면 제동거리(Dstop)가 작아져서 차량(260)은 급격하게 제동하게 되는 반면에, 작게 설정하면 제동거리(Dstop)가 커져서 차량(260)은 부드럽게 제동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반응속도변수(Jact)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 스스로 차량을 갑자기 제동시킬 것인지, 부드럽게 제동시킬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곧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의성을 만족시킬 수도 있다.The brake reaction speed (J act ) set by the driver in the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121 in [Equation 1] is used in the second and third terms of [Equation 1], [Equation 1] is Energy method is used. Further, when Equation 1 is set larger the brake reaction rate variables (J act) in the braking distance (D stop) that if less so, set smaller whereas the vehicle 260 suddenly braking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Increases, the vehicle 260 can be braked smoothly.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e driver can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suddenly brakes or gently brakes the vehicle by manipulating the brake reaction speed variable (J act ). This may take into account the driver's disposition, thereby satisfying the driver's convenience.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거리인 타겟거리(Dtarget)와 제동거리(Dstop)의 차이에 해당하는 거리차이(Derr)를 계산하고, 거리차이(Derr)에 따라 상기 충돌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거리차이(Derr)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a distance difference D err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and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distance. The collision ris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D err .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한편, 도 2에서 Derr _ offset은 허용거리이다. 여기서, 허용거리(Derr _ offset)는 차량(260)의 정지 제동이 시작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주행모드(220)에서 거리차이(Derr)는 허용거리(Derr _ offset) 보다 큰 상태가 된다.Meanwhile, in FIG. 2, D err _ offset is an allowable distance. Here,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indicates a time point at which stop braking of the vehicle 260 starts. In the driving mode 220,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is great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

세 번째, 제동모드(230)는 전방물체(280)와 차량(260) 사이의 타겟거리(Dtarget)가 제동거리(Dstop)와 일치하거나 타겟거리(Dtarget) 보다 제동거리(Dstop)가 작기 때문에 차량(260)을 자동으로 제동하기 시작하는 모드이다. 제동모드(230)의 경우에는 거리차이(Derr)는 허용거리(Derr _ offset) 보다 작은 상태가 된다.Third, the braking mode 230 is a target distance (D target )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matches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or braking distance (D stop ) tha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Is small, the vehicle starts to brake the vehicle 260 automatically. In the braking mode 230,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

제동모드(230)에서는 에너지 방법을 사용하여 제동의 량을 결정하게 된다. 제동의 량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In the braking mode 230 to determine the amount of braking using the energy method. The amount of braking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3]에서 Brake는 제동력, Brkgain은 제동이득, Vcar는 차량속도, Dtarget은 타겟거리이다. 제동의 량은 차량의 속도(Vcar)의 제곱에 비례하고 타겟거리(Dtarget)에 반비례하는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3, Brake is the braking force, Brk gain is the braking gain, V car is the vehicle speed, and D target is the target distance. The amount of braking may be expressed a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vehicle speed V car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마지막 정지모드(240)는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이 충돌하기 전 원하는 거리만큼 남겨두고 차량(260)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모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모드(240)에서 차량(260)은 전방물체(280)와 충돌 전 잔여거리(Dmin)를 남겨 둔 상태로 완전히 정지하게 된다. 정지모드(240)에서 타겟거리(Dtarget)는 충돌 전 잔여거리(Dmin) 보다 작고, 허용거리(Derr _ offset)는 타겟거리(Dtarget) 및 충돌 전 잔여거리(Dmin) 보다 큰 상태가 된다. The last stop mode 240 is a mode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for completely stopping the vehicle 260 while leaving the desired distance before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collide. As shown in FIG. 2, in the stop mode 240, the vehicle 260 stops completely while leaving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280. In the stop mode 240,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is smaller than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collision D min , and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is larger tha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and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collision D min . It becomes a state.

정지모드(240)에서는 차량(260)이 완전히 정차하게 되고 전방물체(280)와의 거리는 설계변수인 충돌 전 잔여거리(Dmin)만큼 남겨두게 된다.In the stop mode 240, the vehicle 260 is completely stopped and the distance to the front object 280 is left as much as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which is a design variable.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차량속도(Vcar) 및 타겟거리(Dtarget)와 같은 측정변수, 요구감속도(ax), 브레이크 반응속도(Jact), 허용거리(Derr _ offset), 충돌 전 잔여거리(Dmin) 등과 같은 설계변수를 이용하여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고, 충돌 위험도에 따라서 차량이 상기 4가지 모드에 따라 순서대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ler 130 may measure measurement variables such as the vehicle speed V car and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the required deceleration speed a x , the brake reaction speed J act , The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260 is determined by using design variables such as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and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D min , and the vehicle moves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four modes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Can be controlled.

한편, 제어부(130)는 차량(260)의 속도와 무관하게 제동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동부(140)는 제동부(130)에서 연산되어 나온 신호를 통해 실제로 차량(260)을 제동시키는 엑츄에이터(actuator)이다. 제동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되는데, 차량(260)이 저속으로 움직이는 경우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작동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속도 크기에 무관하게 차량을 자동으로 제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operate the brake unit 140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vehicle 260. The brake unit 140 is an actuator that actually brakes the vehicle 260 through the signal calculated by the brake unit 130. The braking unit 140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30, and may be operated not only when the vehicle 260 moves at a low speed but also when moving at a high speed. That is, the vehicle can be braked automatically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제동부(140)는 스탠바이모드(210), 주행모드(220), 제동모드(230) 및 정지모드(240)의 순서로 차량(260)을 주행시키거나 제동시킬 수 있다.The braking unit 140 may drive or brake the vehicle 260 in the order of the standby mode 210, the driving mode 220, the braking mode 230, and the stop mode 24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차량 제동을 제어하는 방법이다.Hereinafter,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a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braking using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described above.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은, 차량(260)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310), 차량(260)의 전방에 전방물체(28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320), 차량(260)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350), 차량(260)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360) 및 차량(260)이 전방물체(280)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Dmin)와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타겟거리(Dtarget)를 비교하는 단계(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th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riving the vehicle 260 at a set traveling speed 310, and a front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260. Detecting 320 whether the vehicle 280 exists; calculating a stop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he vehicle 260 to stop 340; collision of the vehicle 260 against the front object 280; Determining the risk 350,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necessary for braking the vehicle 260 (360) and when the vehicle 260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280 in front of the vehicle 260 Comparing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280 and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may include a step (370).

차량(260)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3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산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차량(260)을 스탠바이모드(210)로 주행시키는 단계이다. 즉, 전방감지센서(111)에 의해서 전방물체(280)가 감지 되기 전까지는 운전자의 의지 또는 속도 제어기(cruise controller, 미도시)로 설정된 속도로 차량은 일반적인 주행을 하게 된다.The driving 310 of the vehicle 260 at the set traveling speed is driving the vehicle 260 in the standby mode 210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30. That is, until the front object 280 is detected by the front sensor 111, the vehicle runs at a speed set by the driver's will or speed controller (not shown).

이와 같이,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310)는, 전방감지센서(111)가 전방물체(280)를 감지하기 전까지 차량(260)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면서 스탠바이모드(210)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step 310 of driving the vehicle at the set traveling speed, the standby mode 210 is driven while the vehicle 260 is driven at the set traveling speed until the front sensor 111 detects the front object 280. I can keep it.

차량(260)의 전방에 전방물체(28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320)에서, 전방감지센서(111)에 의해서 전방물체(280)가 감지되면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전방물체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이 작동하게 된다. 만약, 전방감지센서(111)가 전방물체(280)를 감지하지 않으면 일반주행 또는 스탠바이모드(210)가 실행된다. In the step 320 of detecting whether the front object 280 is present in front of the vehicle 260, if the front object 280 is detected by the front sensor 111 generates a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When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operates. If the front sensor 111 does not detect the front object 280, the normal driving or standby mode 210 is executed.

차량(260)의 전방에 전방물체(28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320)에서, 전방물체(28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260)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310)가 수행되고, 전방물체(280)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330)가 수행되며,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330)의 수행 이후에 차량(260)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가 수행될 수 있다.In step 320 of detecting whether the front object 280 is present in front of the vehicle 260, if it is detected that the front object 280 does not exist, driving the vehicle 260 at a set traveling speed ( When 310 is performed and the front object 280 is detected to exist, the step 330 of generating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is performed and the vehicle 260 after performing the step 330 of generating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is performed. Step 340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the braking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o stop .

전방물체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차량(260)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가 수행된다.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는 주행모드(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주행모드(220)는 전방물체(280)가 감지되기 전 일반주행 상태와 동일하며, 운전자 의지 혹은 설정된 속도로 차량의 주행을 시도한다. When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 step 340 of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he vehicle 260 to stop is performed. The step 340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D stop may be performed in the driving mode 220. The driving mode 220 is the same as the normal driving state before the front object 280 is detected, and attempts to drive the vehicle at the driver's will or at a set speed.

다시 말하면, 차량(260)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는 주행모드(220)에서 수행되고, 주행모드(220)는 차량(260)을 설정된 주행 속도(220)로 주행시키는 단계(310)와 동일한 상태로 차량(260)을 주행시키며 전방감지센서(111) 및 차속센서(116)를 이용하여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방감지센서(111) 및 차속센서(116)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ep 340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he vehicle 260 to stop is performed in the driving mode 220, and the driving mode 220 sets the driving speed 220 to the vehicle 260. The vehicle 260 may be driven in the same state as that of driving 310, and the braking distance D stop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ront sensor 111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16. In more detail, the braking distance D stop may be calculated us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front sensor 111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16.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는 주행모드(220)에서 실행되고 제동을 하지 않으며 상기 [수학식 1]에 의해서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할 수 있다.In operation 340, the braking distance D stop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may be executed in the driving mode 220, and the braking distance D stop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above.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브레이크 반응속도변수(Jact)는 차량(260)의 브레이크 반응속도로서, 반응속도변수(Jact)에 따라 차량(260)의 제동시점 또는 제동거리(Dstop)가 달라질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e brake reaction speed variable (J act ) is the brake reaction speed of the vehicle 260, the braking time or braking distance (D) of the vehicle 260 according to the reaction speed variable (J act ) stop ) can vary.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350)는, 타겟거리(Dtarget)와 제동거리(Dstop)의 차이에 해당하는 거리차이(Derr)와 허용거리(Derr _ offset)의 크기를 비교하여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260 against the front object 280,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 and the allowabl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and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The risk of collis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ize of (D err _ offset ).

즉, 전방물체(280)에 대한 차량(260)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350)에서, 거리차이(Derr)가 허용거리(Derr _ offset) 보다 크면 제동거리(Dstop)를 계산하는 단계(340) 또는 주행모드(220)가 수행되고, 거리차이(Derr)가 허용거리(Derr _ offset) 보다 작으면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360) 또는 제동모드(230)가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in step 350 of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260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280,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is great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 the braking distance D stop is calculated. The step 340 or the driving mode 220 is performed, and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D err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D err _ offset ,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360 or the braking mode 230 may be performed. Can be.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360)는 제동모드(230)에서 수행되고, 에너지 방법에 따라 상기 [수학식 3]에 의해서 제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제동력에 따라 차량은 제동을 시작하게 되고, 타겟거리(Dtarget)와 충돌 전 잔여거리(Dmin)을 비교하여 제동모드(230)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 step 360 of calculating a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of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in the braking mode 230, and the braking force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3 according to the energy metho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braking force, the vehicle starts braking and compares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with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and repeatedly performs the braking mode 230.

차량(260)이 전방물체(280)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Dmin)와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타겟거리(Dtarget)를 비교하는 단계(370)에서, 충돌 전 잔여거리(Dmin)가 타겟거리(Dtarget) 보다 크면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360)가 수행되고, 충돌 전 잔여거리(Dmin)가 타겟거리(Dtarget) 보다 작으면 정지모드(240)가 수행되어 차량(260)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vehicle 260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280,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and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In step 370 of comparing the target distance of D target , if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is greater tha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the braking force is calculated 360, and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 If D min is smaller tha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the stop mode 240 may be performed to completely stop the vehicle 260.

차량을 정지시키는 단계(380) 또는 정지모드(240)는 전방물체(280)와 차량(260) 사이에 충돌 전 잔여거리(Dmin)가 유지되도록 차량(26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정지모드(240)에서는 차량(260)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In operation 380 or the stop mode 240, the vehicle 260 may be stopped so that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is maintained. In the stop mode 240, a braking force may be generated to completely stop the vehicle 260.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검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a)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고, (b)는 브레이크 압력을 나타내며, (c)는 전방물체와 차량 간의 남은 거리를 나타낸다. 도 4는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의 타겟거리(Dtarget)는 500m, 차량의 요구 속도(Vcar)는 100kph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FIG. 1, (a) indicates the speed of the vehicle, (b) indicates the brake pressure, and (c) indicates the remaining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Indicates. 4 i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is 500 m and the required speed V car is 100 kph. Experimental results for 100) are graphs.

본 실험 내용은 전방물체(280)가 차량(260)의 500m 전방에 있다고 설정하였기 때문에 스탠바이모드(210)는 없다. 제동 제어시스템(100)은 바로 주행모드(220)에서 시작하게 된다. In this experiment, since the front object 280 is set 500m ahead of the vehicle 260, there is no standby mode 210. The braking control system 100 immediately starts in the driving mode 220.

주행모드(220)에서 차량은 충돌 위험도가 낮기 때문에 설정한 속도까지 가속 주행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전방물체(280)와의 타겟거리(Dtarget)와 제동거리(Dstop)가 일치하는 약 22초부터 제동을 시작하는 제동모드(230)가 작동한다. 약 10초 동안을 제동을 하게 되고, 속도가 충분히 감소하고 전방물체(280)와 차량(260)의 거리가 가까워진 약 34초에 차량이 완전히 정지하는 정지모드(240)로 작동하게 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260)과 전방물체(280) 사이에 충돌 전 잔여거리(Dmin)를 확보한 상태로 차량이 자동적으로 제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driving mode 220, the vehicle accelerates to the set speed because the risk of collision is low. Then, the braking mode 230 which starts braking from about 22 seconds when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and the braking distance D stop with the front object 280 coincides. The braking is performed for about 10 seconds, and the vehicle is operated in the stop mode 240 in which the vehicle is completely stopped at about 34 seconds when the speed is sufficiently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bject 280 and the vehicle 260 is close. As can be seen in Figure 4, according to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the remaining distance (D min )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260 and the front object 28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braked in the stat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상기 [수학식 1]을 통해서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별하게 된다. 충돌 위험도는 [수학식 1]에 의해 추정된 제동거리(Dstop)와 실제 전방물체와의 타겟거리(Dtarget)를 비교 하여 판별하는 것이다. 추정된 제동거리(Dstop)의 경우 [수학식 1]에서 브레이크 반응속도(Jact)값의 설정에 따라 제동거리(Dstop)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즉, 동일한 시점(차량의 속도)에서 추정된 제동거리(Dstop)의 값이 클수록 부드러운 제동을 시도하며, 추정된 제동거리(Dstop) 값이 작을수록 급격한 제동을 시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100)을 안전시스템의 관점에서 비상브레이크(emergency brake)로 사용할 경우, [수학식 1]의 브레이크 반응속도(Jact)값을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 편의 시스템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크 반응속도(Jact)값을 작게 조작하여 전방물체와의 거리가 충분히 먼 거리에서도 제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through [Equation 1]. The collision risk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braking distance (D stop ) estimated by Equation 1 with the target distance (D target ) of the actual front object. If the estimated braking distance (D stop) the length of Equation 1 the braking distance (D stop) in accordance with the brake reaction rate (act J) of setting at become different. That is, the greater the value of the estimated braking distance D stop at the same time point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moother the braking attempt, and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estimated braking distance D stop , the more rapid braking attempt. When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emergency brake from the viewpoint of a safety system, the brake reaction speed (J act ) value of [Equation 1] is a value capable of achieving maximum performance. In case of using it as a convenience system, the brake reaction speed (J act ) value can be manipulated so that braking can be made even if the distance to the front object is far enoug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110: 센서부 111: 전방감지센서
116: 차속센서 120: 운전자 조작부
121: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 126: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
130: 제어부 140: 제동부
100: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considering brake response performance
110: sensor unit 111: front detection sensor
116: vehicle speed sensor 120: driver control panel
121: brake response speed setting unit 126: remaining distance setting before the collision
130: control unit 140: braking unit

Claims (16)

차량에 대한 전방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전방감지센서 및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 또는 상기 차량의 절대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응답속도를 결정하는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 및 상기 차량이 정지한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충돌 전 잔여거리 설정부를 구비한 운전자 조작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충돌 위험도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브레이크 응답속도에 따라 상기 차량이 제동되는 시점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A sensor unit including a front sensor and a vehicle speed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or an absolute speed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A driver operating unit including a brake reaction speed setting unit determining a brake response speed of the vehicle and a remaining distance setting unit before collision to determin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by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And
And a braking unit for brak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And the brake unit adjusts a time point at which the vehicle is braked according to the brake response speed set by the brake response speed set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반응속도 설정부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반응속도변수를 사용하여 제동 시점을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e response speed setting unit may accelerate or slow down a braking time point using a response speed variable according to a driver's propensit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응속도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예측함으로써 상기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isk of collision by estim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using the response speed vari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와 상기 제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상기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brake risk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to operate the braking unit irrespective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스탠바이모드, 주행모드, 제동모드 및 정지모드 순서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braking unit drives or brakes the vehicle in the order of the standby mode, the driving mode, the braking mode, and the stop mode.
제6항에 따른 차량 제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전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와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bra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6,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Detecting whether the front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Determining a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Calculating a braking force necessary for braking the vehicle; And
Comparing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and the target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including a brake response performa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방감지센서가 상기 전방물체를 감지하기 전까지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면서 상기 스탠바이모드를 유지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Runn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may include:
And maintaining the standby mode while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until the front sensor detects the front objec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전방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전방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Detecting whether the front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vehicle;
If it is detected that the front object does not exist, the step of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traveling speed is performed,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front object exists, generating a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And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required to stop the vehicle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front object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is consider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모드에서 수행되고,
상기 주행모드는 상기 차량을 설정된 주행 속도로 주행시키는 단계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며 상기 전방감지센서 및 상기 차속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stop is performed in the driving mode,
The driving mode is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ing response performance, driving the vehicle in the same state as the step of driving the vehicle at a set running speed and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using the front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서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6

[수학식 1]에서 Dstop는 제동거리, Vcar는 차량속도, ax는 요구감속도, Jact는 반응속도이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required to stop the vehicle is to calculate the brak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Equation 1]
Figure pat00006

In Equation 1, D stop is the braking distance, V car is the vehicle speed, a x is the required deceleration, and J act is the reaction spe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속도변수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반응속도로서, 상기 반응속도변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동시점 또는 상기 제동거리가 달라지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action speed variable is a brake reaction speed of the vehicle, wherein the braking timing or the braking distance of the vehic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action speed variab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물체에 대한 상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거리와 상기 제동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거리차이와 허용거리의 크기를 비교하여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허용거리 보다 크면 상기 제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거리차이가 상기 허용거리 보다 작으면 상기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ront object,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by comparing the distanc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and the size of the allowable distance,
And calculating the braking distance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and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dista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에너지 기법에 근거하고 하기 [수학식 3]에 의해서 제동력을 계산하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수학식 3]
Figure pat00007

[수학식 3]에서 Brake는 제동력, Brkgain은 제동이득, Vcar는 차량속도, Dtarget은 타겟거리이다.
14. The method of claim 13,
Calculating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vehicle,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considering a braking response performance based on an energy technique and calculating a braking force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Quot; (3) "
Figure pat00007

In Equation 3, Brake is the braking force, Brk gain is the braking gain, V car is the vehicle speed, and D target is the target dista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전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충돌 전 잔여거리와 상기 차량과 상기 전방물체 사이의 타겟거리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상기 타겟거리 보다 크면 상기 제동력을 계산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상기 타겟거리 보다 작으면 상기 정지모드가 수행되어 상기 차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Comparing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and the target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object when the vehicle stops without colliding with the front object;
The braking force is calculated when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is greater than the target distance, and when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is smaller than the target distance, the stop mode is performed to stop the vehicl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모드는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차량 사이에 상기 충돌 전 잔여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차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응답성능을 고려한 차량 제동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opping mode stops the vehicle to maintain the remaining distance before the collision between the front object and the vehicle, th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brake response performance.
KR1020120100861A 2012-09-12 2012-09-12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KR101389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61A KR101389963B1 (en) 2012-09-12 2012-09-12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61A KR101389963B1 (en) 2012-09-12 2012-09-12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92A true KR20140034492A (en) 2014-03-20
KR101389963B1 KR101389963B1 (en) 2014-04-30

Family

ID=5064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861A KR101389963B1 (en) 2012-09-12 2012-09-12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9865B2 (en) 2015-12-15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Emergency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09370A (en) * 2016-06-21 2019-01-2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Methods and systems for braking a vehicle that uses electronic parking brakes to avoid crashes
KR101947278B1 (en) * 2017-09-06 2019-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elf-control driving breaking considering ride comf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46B1 (en) 2017-11-06 2022-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50550B1 (en) 2017-11-08 2022-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332Y2 (en) * 1991-11-18 1998-10-22 株式会社カンセイ Vehicle collision warning device
KR101283073B1 (en) * 2006-12-08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ling apparatus for distance between cars, collision reduction and collision preven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309582B2 (en) * 2007-05-11 2013-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traveling control method and traveling control device
JP5533532B2 (en) * 2010-10-07 2014-06-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Collision damage reduction braking control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9865B2 (en) 2015-12-15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Emergency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09370A (en) * 2016-06-21 2019-01-2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Methods and systems for braking a vehicle that uses electronic parking brakes to avoid crashes
KR101947278B1 (en) * 2017-09-06 2019-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elf-control driving breaking considering ride comf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63B1 (en)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672B2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985596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EP2042399B1 (en) Drive assist system
JP529369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170057498A1 (en) Collision avoidance support device
WO2002043029A1 (en) Vehicle collision preventing apparatus
JP2010030396A (en) Safety controller for vehicle
JP2012121534A (en) Automatic braking device of vehicle
JP2013248925A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389963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vehicle considering response-preformance of brake
JP2007186141A (en) Run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5703651B2 (en) Collision avoidance device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JP5462927B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device
JP2008296887A (en) Vehicular control device
KR20100004565A (en) Method for controlling 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mitigation system
KR101286466B1 (en) Adaptive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9070852B (e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braking system
JP2003175810A (en) Bra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11479248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KR20220026005A (en) System for collision risk prediction of lane change based on radar sensors and method thereof
KR101128271B1 (en) Collision safety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631383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23034788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timely trigger automatic emergency braking operation and to control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a vehicle
JP4831509B2 (en) Collision warning method in automobile
KR20180070343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navigation and control with Vehicle sp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