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344A -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344A
KR20140034344A KR1020120095348A KR20120095348A KR20140034344A KR 20140034344 A KR20140034344 A KR 20140034344A KR 1020120095348 A KR1020120095348 A KR 1020120095348A KR 20120095348 A KR20120095348 A KR 20120095348A KR 20140034344 A KR20140034344 A KR 20140034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synchronization
time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010B1 (ko
Inventor
김창수
이승오
조무영
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루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먼텍 filed Critical (주)루먼텍
Priority to KR102012009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0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블랙박스에서 캡처한 RF 신호의 속성 데이터와 그 RF 신호가 캡처된 환경 데이터를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RF 데이터에 동기화시켜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RF 데이터를 분석할 때 실제 캡처 및 저장된 RF 데이터와 동일한 장소와 시점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의 RF 데이터를 선택하여 정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큰 RF 데이터 대신에 그 RF 데이터와 동기화된 속성 데이터나 환경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RF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재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은 RF 블랙박스와 그 주변 장치 사이에서 상호간에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의 시간과 장소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든 데이터에 대해 상호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RF DATA SYNCHRONIZATION AND THE APPARATUS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RF 데이터 동기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캡처한 각 RF 신호의 속성 데이터와 해당 RF 신호가 캡처된 환경 데이터(혹은 해당 RF 블랙박스의 외부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RF 데이터에 각각 동기화시켜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RF 데이터를 분석할 때 실제 캡처 및 저장된 RF 데이터와 동일한 장소와 시점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데이터 간에 시간적 공간적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는 그 사용법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그 내부의 구조나 작동 원리는 숨겨진 장치를 일컫는 용어로서, 통상적으로는 항공기의 상태(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 및 교신 내용을 기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만약 항공기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블랙박스를 회수하여 그 저장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자동차용 블랙박스가 개발되어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 시 그 블랙박스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고의 원인과 잘못을 가리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비슷한 목적으로, 최근 RF(Radio Frequency) 기술 분야에서도 RF 신호(또는 EM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RF 신호를 캡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및 그 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한 후, 디코딩이나 튜닝과 같은 신호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그 RF 신호를 통째로 캡처하여 저장하는 장치를 RF 블랙박스라고 기재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 블랙박스는 칩셋 디자인 후 RF 측 필드 테스트 시에 RF 데이터를 캡처하여 저장 및 분석하거나, 방송국에서 전계강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차량용 전장 용품(car stereo 등)의 민감도를 측정하거나, EM(Electro Magnetic) 신호와 의료용 초음파 신호에 대해서도 그 신호들을 바로 저장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여 대처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통째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필요로 한다. 더구나 실제 현장에서는 RF 신호의 에러가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적어도 수 시간에서 수 일 동안 RF 신호를 캡처하고 저장할 수 있을 정도의 대용량 저장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저장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고속의 버스를 통해 연결된 HDD(Hard Disk Drive),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SAN(Storage location Network) 등에 데이터를 저장하였으며, 만약 그 RF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동이나 백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대용량의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이용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실험실 환경에서 다운로드 받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데이터를 이동(배달)시킬 경우에는 시간지연이나 데이터가 유실될 위험이 있고, 또한 통신 망을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데이터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다운로드 측에도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미리 준비해야 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켜 전송속도가 지연되고 그에 따라 전송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RF 데이터의 분석에 필요한 관련성 있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추가로 있을 경우, 또는 장치의 특성상 큰 용량을 갖는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작은 용량을 갖는 여러 개의 데이터 파일로 분할하여 저장할 경우, 그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예 : 분할된 데이터들,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로 만들거나 동기화시키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상기 RF 데이터 및 그 관련성 있는 여러 데이터들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RF 신호를 캡처 및 저장하는 장치에서는 데이터 용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그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서 이동이나 백업이 필요할 경우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전송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상기 RF 데이터 및 그 RF 데이터의 분석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일관성 있게 관리함에 있어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취급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캡처한 각 RF 신호의 속성 데이터와 해당 RF 신호가 캡처된 환경 데이터(혹은 해당 RF 블랙박스의 외부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RF 데이터에 각각 동기화시켜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데이터와 각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즈가 큰 RF 데이터를 직접 핸들링 하는 대신에 그 RF 데이터와 동기화된 속성 데이터나 환경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성 및 환경데이터로부터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RF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전송 및 재생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F 데이터의 분석에 필요한 관련성 있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큰 용량의 파일을 여러 개의 작은 용량의 파일로 분할하여 관리할 경우, 그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데이터를 분석할 때 그 RF 데이터와 동일한 장소와 시점에서 추출된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의 RF 데이터를 선택하여 정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식의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포맷과 데이터 저장 및 유지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RF 데이터와 동일한 장소와 시점에서 추출된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상호간에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블랙박스와 그 주변 장치 사이에서 상호간에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의 시간과 장소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관련성 있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상호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 데이터 동기화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캡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RF 데이터; 상기 RF 블랙박스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상기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속성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통해서 상기 RF 블랙박스의 수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단; 및 상기 동기화된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RF 데이터는 RF 신호에서 직접적으로 혹은 다운컨버전된 IF 신호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이며,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RF 신호, IF 신호, RF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속성 데이터는, 파워(Min, Max, Avg, Diff)-시간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 PAR(CCDF), Correlation, 특정 주파수 구간에 대한 스펙트럼의 시간 축에서의 변화추이,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타임 마스크, 스펙트럼(Min, Max, Avg, Diff)-주파수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 시간 축의 임펄스 노이즈,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주파수 마스크,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 데이터는, GPS, GIS 혹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지형/지리 정보, 레퍼런스 수신기로부터 추출되는 A/V 데이터, SNR, BER를 포함한 데이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특정 시험대상 장비(DUT)로부터 출력되는 SNR, BER을 포함한 신호나 정보, 외부 계측기로부터 획득된 계측 정보,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동기화 장치내의 로컬 스토리지,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 내의 로컬 스토리지,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 서버의 스토리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 시스템의 스토리지,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시간, 장소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들의 각 로컬시간 및 지연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관리하고 있으며, 각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기준시간으로부터 각 로컬시간과 지연시간에 대한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시간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 수단은,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 기준시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자신의 로컬시간을 항상 상기 기준시간과 일치시키게 하여 시간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며,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그 결합된 데이터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고, 상기 헤더 정보는,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대한 정보, 분할된 데이터일 경우 그 분할된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정보, 각 데이터의 종류와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과 장소 정보 및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던 헤더 정보 대신에 상기 결합된 데이터에 적합한 새로운 헤더 정보를 생성하여 부가하거나, 상기 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던 헤더 정보를 포함한 상태로 데이터를 결합한 후 별도의 싱크 헤더를 추가로 부가하고,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서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동기화되는 각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위치),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관련된 간략한 내용, 동기화된 다른 데이터, 동기 시간,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관한 정보, 이용 조건이나 내력,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그룹이라고 정의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메타데이터들을 묶어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각 데이터 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고, 상기 필드 정보(키 값)는, 각 데이터가 추출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장치 ID),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 또는 저장이 시작된 시간이나 종료시간에 관한 정보(time), 각 데이터들이 추출된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location), 각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각 데이터의 파일명을 나타내는 정보 및 각 데이터들이 실제로 저장된 주소 정보,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는 방식, 상기 데이터들 중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 혹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을 혼합하여 그 중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어느 하나의 동기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 수단 혹은 저장수단은, 네트워크 서버, RF 블랙박스, 외부장치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동기화 수단은, RF 블랙박스 간의 다이버시티 레코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캡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RF 데이터; 상기 RF 블랙박스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상기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속성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통해서 상기 RF 블랙박스의 수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그 결합된 데이터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고,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서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며,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각 데이터 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고, 또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는 방식, 상기 데이터들 중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 혹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을 혼합하여 그 중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어느 하나의 동기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캡처한 각 RF 신호의 속성 데이터와 해당 RF 신호가 캡처된 환경 데이터(혹은 해당 RF 블랙박스의 외부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RF 데이터에 각각 동기화시켜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RF 데이터를 분석할 때 실제 캡처 및 저장된 RF 데이터와 동일한 장소와 시점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의 RF 데이터를 선택하여 정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큰 RF 데이터 대신에 그 RF 데이터와 동기화된 속성 데이터나 환경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RF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재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은 RF 블랙박스와 그 주변 장치 사이에서 상호간에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의 시간과 장소정보를 일괄적으로 일관성 있게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든 데이터에 대해 상호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RF 블랙박스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블랙박스를 이용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장치에서 각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헤더 정보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의 속성 및 환경 데이터 간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RF 신호를 IF 신호로 다운컨버팅한 후 ADC를 수행하거나, RF 신호를 직접 샘플링하는 광대역 ADC를 통하여 디지털화된 RF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RF 데이터 중 원하는 시간과 장소의 RF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액세스하여 전송 및 분석 혹은 재생함으로써, RF 신호의 수신 환경을 점검하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통째로 캡처/저장 및 재생하여 그 RF 신호의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RF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RF 데이터에 상기 RF 신호의 속성 데이터와 그 RF 신호가 캡처된 환경 데이터를 동기화시키고, 그 동기화된 데이터들을 이용해 원하는 부분의 RF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검색하여 저장/전송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이즈가 큰 RF 데이터 전체를 핸들링하지 않더라도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RF 블랙박스와 동기화 장치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RF 블랙박스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블랙박스(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화된 RF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변환 수단(111~113),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RF 데이터 및 상기 RF 신호나 그의 RF 데이터에서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RF 데이터 또는 그 속성 데이터를 RF 블랙박스의 동작에 따라 원하는 임의의 형식으로 가공 처리하는 저장/처리 수단(141~143), 상기 저장된 RF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분석 혹은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121~123), RF 블랙박스와 인터페이스된 외부장치와 통신하고 그 외부장치와 임의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외부 데이터 처리 수단(131)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변환 수단은 RF 신호를 캡처하기 위하여 그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RF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더 낮은 주파수 대역(IF 대역)으로 다운 컨버팅 하는 다운 컨버터(111)와, 상기 다운 컨버팅된 신호를 ADC를 통하여 디지털화된 RF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12)와, 상기 RF 데이터를 I/Q 신호로 분리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I/Q 신호로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는 저장/처리 수단의 스토리지(143)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처리 수단은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RF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속성 데이터, 예컨대 특징점, 파워(전계강도), 트리거, 스펙토그램, 오류, 임펄스(시간), 포락선(envelope), Peak to Average Ratio(PAR) 등의 속성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 속성 데이터 및 상기 RF 데이터를 스토리지(14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RF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 버스(예 : PCI 버스)를 통해서 저장/처리 수단과 인터페이스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인터페이스는 그 종류와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상기 스토리지(143)는 소형이면서 고속/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장치(또는 기억장치)로서, SSD(Soid State Drive)를 일예로 들 수 있으며, 어느 한 가지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고, 내장형이나 외장형, 네트워크나 클라우드(Cloud) 방식, 또는 그들의 조합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식의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143)의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을 경우(실시간 처리에 적합할 정도로 충분히 빠르지 않을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더 빠른 속도의 메모리(RAM, 142)에 먼저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스토리지(14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리지(143)에 저장되는 RF 데이터는 상기 수신된 전체 구간의 RF 신호이거나, 그 RF 신호 중 특정 이벤트(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간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구간의 부분적인 RF 신호, 혹은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구간의 부분적인 RF 신호를 디지털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리지(143)에는 상기 RF 데이터에 동기화된 속성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스토리지(143)에 저장된 RF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분석하거나, 혹은 RF 신호로 복원/재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리지(143)에 I/Q 신호로 저장된 기저대역 신호를 다시 RF 데이터로 복원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21)와, 상기 복원된 RF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122)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최초 수신된 RF 대역의 신호로 업 컨버팅 하는 업 컨버터(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업 컨버팅된 신호는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에 출력되거나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출력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RF 신호와 동일한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카스테레오(FM, AM, DAB 등), 방송 수신기(예 : DMB, DTV), 모바일 단말기(예 : 휴대폰), WiFi 공유기(예 : 무선 모뎀, 무선 공유기) 등을 포함한 각종 A/V 방송과 유무선 통신 및 RF 신호를 수신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RF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해서는, RF 데이터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 및 업컨버전하여 안테나를 통해서 출력한 후 특정 수신기로 재생해 보는 방법과, RF 데이터에 특정 변조 및 복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RF 신호로 변환함이 없이 바로 재생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이 분명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RF 블랙박스를 이용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이다.
상기 동기화 장치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200)에 동기화 수단(20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연결된 장치(예 : RF 블랙박스, 외부장치, 클라이언트) 중, 상기 RF 블랙박스로부터 입력되는 RF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환경 데이터들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임의의 동기화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간(또는 비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스토리지(로컬 스토리지, 네트워크 스토리지,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에는 상기 각 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들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정보(예: 장소 및 시간 정보, 장치 ID, 소유자(ownership) 정보 등)를 저장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200)는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예 : RF 블랙박스 또는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수단(201)을 포함한 것으로서, 예컨대 내/외부에 연결된 GPS(132), GIS 혹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지형/지리 정보와, 레퍼런스(REF) 수신기로부터 추출되는 A/V 데이터, SNR, BER 등,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특정 시험대상 장비인 DUT(Device Under Test)로부터 출력되는 SNR, BER 등을 포함한 신호나 정보, 외부 계측기로부터 획득된 계측 정보들을 입력받고, RF 블랙박스에서 입력받은 RF 데이터 및 그 속성 데이터를 동기화 시킨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서버(2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는 상호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상호간에 동기화 정보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기화되지 않는 장치(시간 등이 일치되지 않고 각기 로컬시간에 의해서 동작하는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서버(200)는 그 자신 및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의 로컬시간 정보나 장소 정보와 같은 동기화 정보들을 입력받고, 그 동기화 정보들을 네트워크 서버(200)에서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버(200)와 그에 연결된 장치들 간에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서버(200)에 연결된 장치들로부터 개별적인 데이터를 받아서 각각에 해당하는 동기 인덱스(예: 시간, 장소, 장치 ID, 소유자(ownership) 정보 등 동기화를 위한 인덱스)를 붙여 네트워크 서버(2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나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서버(200)와 그에 연결된 장치들 간에 동기화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 동기화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기화 장치는 다수의 RF 블랙박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RF 블랙박스와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나, 또는 네트워크 서버(200)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200)내에 별도의 동기화 수단(201)을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블랙박스 내에 별도의 동기화 수단(20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동기화 장치를 구성할 경우, 상기 RF 블랙박스는 마스터로 동작하고 그에 연결되는 다른 RF 블랙박스나 외부장치는 슬래이브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장치를 별도의 독립된 장치나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할 경우, 그 동기화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예 : RF 블랙박스, 외부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 가능하며, 로컬 스토리지(또는 네트워크 스토리지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버 또는 별도의 RF 블랙박스로 구성된 동기화 장치(또는 서버나 RF 블랙박스 내에 별도의 동기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동기화 장치)는, 상기 스토리지(로컬 스토리지,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그 자신(서버 또는 별도의 RF 블랙박스)과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예 : RF 블랙박스, 외부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예 : 기준시간, 로컬시간, 지연시간)를 받아 관리하고 있으면서, 그 시간 정보(또는 타이밍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 중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동기화 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다수의 RF 블랙박스가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서 각각의 RF 블랙박스에 대하여 다이버시티 레코딩에 대한 동기화도 가능하게 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시간에 동일한 장소(location 1)에서 안테나 방향만 각기 다르게 설정된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RF 블랙박스1, RF 블랙박스2)에서 각기 캡처/저장된 데이터들의 동기화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네트워크는 특정 장비와 장비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과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기기 간(M2M) 통신 개념을 포함한 총괄적인 개념이다. 즉, 네트워크 서버(200)와 각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직접적인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서 혹은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상호 통신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특히, 다이버시티 레코딩의 경우, 장치 간에 직접적인 연결(wiring)을 통해 보다 정밀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하 상기 RF 데이터와의 동기화를 위한 속성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속성 데이터는 그 성격에 따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으로 나누어 추출해 볼 수 있다.
먼저, 시간 축에서는 파워(Min, Max, Avg, Diff)-시간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을 볼 수 있으며, PAR(CCDF), Correlation, 특정 주파수 구간에 대한 스펙트럼의 시간 축에서의 변화추이,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타임 마스크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주파수 축에서는 1초 간격의 스펙트럼(Min, Max, Avg, Diff)-주파수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을 볼 수 있고, 시간 축의 임펄스 노이즈도 관측되며,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주파수 마스크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축 및 주파수 축의 특징 데이터는 트리거 이벤트(매뉴얼 혹은 자동 트리거링 모두 가능)에 의해서 수집되거나 일정 주기를 가지고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데이터는 RF 블랙박스(100)에 연결될 장치, 예를 들어, 내/외부에 연결된 GPS(132), GIS 혹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지형/지리 정보와, 레퍼런스(REF) 수신기로부터 추출되는 A/V 데이터, SNR, BER 등,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특정 시험대상 장비인 DUT로부터 출력되는 SNR, BER 등을 포함한 신호나 정보, 외부 계측기로부터 획득된 계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RF 블랙박스(100)에 연결된 장치의 개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RF 데이터와 속성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모니터링, 변조 툴킷을 이용한 베이스밴드 파형에 대한 통신 채널 분석을 위한 패킷 스니핑, 무선 수신기 설계, 무선 트랜시버 검증을 위한 RF 녹화 및 재생, DUT의 유효성 및 검증, 디지털 비디오 방송 BER 테스트, Gabor spectrogram을 이용한 조인트 시간-주파수 분석(Joint time-frequency analysis using the Gabor spectrogram)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의 경우, 전송 에러의 결과로 사람이나 사물이 프레임 사이에서 조금씩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으며, 보조 데이터 중에서 RF 신호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는 텍스트, 바이너리 혹은 임의의 데이터 포맷으로 표현할 수 있고, 환경 정보를 나타내는 환경 데이터는 압축된 이미지, 텍스트, 바이너리 혹은 임의의 포맷을 포함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F 신호의 특성은 상기와 같이 RF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대상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간, 또는 상기 각 속성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간에 동기화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그 동기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동기화 정보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RF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RF 데이터와 그 RF 신호의 속성 정보(속성 데이터) 및 그 RF 신호의 캡처 환경을 기록한 환경 정보(환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된 상태에서 저장 및 재생(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RF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가 상호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RF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 사이의 관련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들 데이터를 통해서 필요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간의 관련성은 특정 RF 데이터와 그에 관련된 보조 데이터간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관련성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RF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를 위한 장소 정보는, 각 데이터가 수집된 장치의 아이디(ID)와 그 장치가 활용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GPS 및 GIS 정보로부터 수집하여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장소 정보(지역 정보)를 매뉴얼로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제3의 장치로부터 장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는, 예컨대 동기화 수단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그 GPS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간에 시간적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절대적인 시간 정보로 동기화). 또한 상기 동기화 수단에 연결된 외부장치들 중 어느 하나라도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동기화 수단에서 그에 연결된 각 장치의 로컬시간 정보를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관리하여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상대적인 시간 정보로 동기화). 또한 외부에 기준 클럭(또는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제3의 장치를 연결하여, 그 기준 클럭(또는 기준 시간)을 이용하여 각 외부장치의 데이터 간에 동기화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동기화 정보들 중 시간 정보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수단(201)과 그에 연결된 장치들은 각기 해당하는 데이터를 자신의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동기화 수단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장치들은 내부적으로 데이터 처리에 따른 소정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수신한 시간(t-receive)과 그 RF 신호를 A/D 변환하여 자신의 로컬 스토리지에 실제로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간(t-record) 사이에는 RF 블랙박스의 내부 처리시간 만큼의 지연시간(t-delay)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들 중 카메라를 예로 들면, 영상을 촬영한 시간과 그 영상을 인코딩과 같은 영상처리를 거쳐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간(또는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시작하는 시간) 사이에는 해당 장치의 내부 처리시간 만큼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수단(201)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된 장치(예 : RF 블랙박스, 외부장치)들의 각 로컬시간(t-local), 지연시간(t-delay) 및 네트워크 지연시간(n-delay)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관리하고 있으며, 각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기준시간(t-refer)으로부터 각 로컬시간(t-local)과 지연시간(t-delay) 및 네트워크 지연시간(n-delay)에 대한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기화 수단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치에 상기 기준시간(t-refer)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장치에서 자신의 로컬시간을 항상 상기 기준시간(t-refer)과 일치시키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장치에서 이미 기준시간으로 동기화된 데이터를 동기화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시간(t-refer)은 예컨대 동기화 수단 자신의 로컬시간이거나, 혹은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시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 수단(201)은 RF 블랙박스(100) 또는 네트워크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와 슬래이브 사이의 시간 동기화 절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마스터(예: 서버의 동기화 수단 혹은 RF 블랙박스 중 하나)가 동기화 시작명령을 전체 슬래이브들(RF 블랙박스, 외부장치 등)에게 보내면, 각 슬래이브는 마스터로부터 마스터의 로컬시간을 받자마자 자신의 로컬시간이나 자신의 로컬시간과의 차이에 해당하는 시간을 마스터로 보내며, 마스터는 자신의 로컬시간과 각 슬래이브의 로컬시간을 비교하여 각 차이시간(t-delta)을 저장하거나, 각 슬래이브에서 보내온 차이시간(t-delta)을 추출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또한 마스터는 자신과 각 슬래이브간의 네트워크 지연시간(n-delay)을 측정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마스터는 상기 네트워크 지연시간(n-delay)을 고려한 차이시간(t-delta)과 지연시간(t-delay)을 각 슬래이브에 대해서 계산하여 유지한다.
상기 동기화 절차는 동기화가 필요한 초기시간에 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후 적당한 시간을 주기로 상기 동기시간을 업데이트하여 동기시간이 지나치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이버시티 레코딩과 같이 정밀한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주기를 매우 짧게 유지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각 장치의 로컬시간이 상기 기준시간과 일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시간 정보에 대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기준시간에 일치된 시간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RF 블랙박스 내에서 추출되는 데이터(예 :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외부장치에서 추출되는 데이터(예 : 환경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상기 기준시간과 동일한 시간과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각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파일 이름을 이용하여 동기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예 : 지역이름 또는 지역코드) + 시간(예 : 년/월/일/시) + 장치ID(예 : EXDEV1 ~ EXDEVn) + 데이터의 종류(예 : RF 데이터(RFD), 속성 데이터(CHA), 환경 데이터(ENV))'와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의 파일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울에서 2012년 8월 20일 12시 00분 35초에 외부장치1에서 저장된 환경 데이터라고 가정할 경우,'seoul_2012-0820-1200-35_EXDEV1.ENV'라고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각 데이터(예 :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액세스하여 분석해 보지 않더라도, 파일 이름에 의해서 해당 데이터의 기본적인 정보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동기화 수단(201)에서도 상기 파일 이름에 포함된 동기화 정보(시간과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또는 동일한 파일 이름을 갖는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일 이름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길이는 매우 제한적일 수 있고, 또한 모든 장치에서 상기 파일 이름과 같은 포맷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더구나 RF 데이터를 캡처 및 저장하는 기간에 따라 데이터의 개수와 데이터의 종류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파일 이름만을 이용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동기화 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즉, 동기화 수단 또는 RF 블랙박스에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종류(예 : GPS, 카메라1, 카메라2, 방송 수신기)와 개수에 따라 환경 데이터의 수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의 파일 이름이 아니라, 각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 이름을 이용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수단은 RF 블랙박스에서 추출한 RF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예 : 파워, 스펙트럼) 및 외부장치에서 추출한 환경 데이터(예 : 카메라 영상, 방송 영상)와 그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또는 타이밍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그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동기화 방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기화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파일 포맷(예 : 스트림 파일, 패킷)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거나 임의의 스토리지(예 : 동기화 수단의 로컬 스토리지, 네트워크 스토리지,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화 수단은 그에 연결된 각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에 대하여 동기화에 필요한 헤더 정보를 더 부가할 수 있으며,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파일(또는 데이터)로 결합하여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동기화에 필요한 별도의 파일(예 : 인덱스 파일,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데이터(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에서 특정한 필드 정보들(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필요한 키 값이나 속성 값)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기화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들 중 서로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동기화 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 대상 데이터와 관련성 있는 그 보조 데이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헤더 정보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기화 수단은 a) RF 블랙박스 자체에서 추출되는 RF 데이터 및 그 속성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헤더 정보를 부가할 수 있고, 외부장치에서 추출되어 입력되는 데이터 각각에 대해서 별도의 헤더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 정보 + 속성 데이터), (헤더 정보 + 환경 데이터), (헤더 정보 + RF 데이터)와 같이 각 데이터마다 헤더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수단은 각 데이터에 상기 헤더 정보를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화 수단에서 관리하는 외부장치의 로컬시간 정보와 지연시간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헤더 정보는 각 외부장치에서 해당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동기화 수단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헤더 정보는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들로서,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대한 정보, 분할된 데이터일 경우 그 분할된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정보, 각 데이터의 종류와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과 장소 정보 및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와 같이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마다 별도의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관리할 경우, 특정 RF 데이터(예 : 원하는 특정 기간의 RF 데이터, 또는 원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의 RF 데이터)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 데이터들의 헤더 정보를 모두 디코딩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 정보와 유사한 형식으로 구성된 별도의 사용자 데이터를 RF 데이터에 부가하여 저장 및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나, 그 역시 상기 헤더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b)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헤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또는 파일)들 중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또는 파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 정보 + 속성 데이터 + 환경 데이터), (헤더 정보 + 속성 데이터 + RF 데이터), (헤더 정보 + 환경 데이터 + RF 데이터), 또는 (헤더 정보 + 속성 데이터 + 환경 데이터 + RF 데이터) 등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할 경우, 그 결합된 각 데이터들의 공통된 정보들을 모아서 만든 공통헤더를 부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된 각 데이터들의 시간 정보가 공통인 경우에는 그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만든 공통헤더를 부가하고, 상기 결합되는 각 데이터마다 부가되는 개별헤더에서는 상기 공통된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헤더에서 상기 공통 정보(공통헤더에 있는 정보)를 반드시 제거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상기 공통헤더에는 시간정보, 장소정보, 시퀀스 정보, 장치정보, 데이터 종류, 데이터 길이와 같은 정보들 중 공통인 것을 모아서 만들고, 공통이 아닌 것들은 개별헤더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RF 데이터는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니트(제1 유니트 ~ 제n 유니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유니트마다 개별헤더가 부가될 수 있다.
또는 c) 상기 결합되는 각 데이터들의 시간, 장소 및 시퀀스 정보로 구성된 싱크헤더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되는 각 데이터들의 개별헤더에는 데이터의 종류와 길이 정보 및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통헤더, 개별헤더 및 싱크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이며, 그 정보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헤더 정보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은 RF 데이터의 특징 분석을 위한 다수의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또는 파일)로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만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는 전송과 관리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다수의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결합에 의해서 그 결합된 데이터의 용량은 더욱 증가하게 됨으로써, 결국 통신망을 이용한 전송 시 전송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헤더 정보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해야 되기 때문에 그 결합된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원하는 데이터의 검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의 동기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란 복수의 특정 사이즈가 큰 데이터에 대해서 그 데이터의 크기, 생성시간, 장소, 성질 등 필요한 정보를 모아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에는 동기화되는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뿐만 아니라, 각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위치),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관련된 간략한 내용, 동기화된 다른 데이터, 동기 시간,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관한 정보, 이용 조건이나 내력 등이 인덱스 정보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기화 수단은 그에 연결된 각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참조하여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기화 수단은 그에 연결된 각 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분석하여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서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다른 데이터(메타데이터가 아닌 다른 종류의 데이터)과 구별되는 특정한 포맷(예 : xxxx.mta)을 갖는다. 예컨대, 서울에서 12시에 저장된 RF 데이터와 그 RF 데이터에 관련된 보조 데이터들을 동기화 시키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고 가정할 경우, 'seoul_1200.mta' 라는 포맷의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seoul_1200.mta' 라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열어보면, 12시에 서울에서 저장된 RF 데이터 및 그 속성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가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seoul_1200.mta' 라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열어보면 서울에서 12시에 저장된 RF 데이터(예 : seoul_1200.RFD)와 그 속성 데이터(예 : seoul_1200.CH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데이터(seoul_1200.ENV) 파일의 이름 정보가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재된 파일 이름의 데이터들은 그 메타데이터와 동일한 스토리지/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스토리지/폴더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데이터들이 해당 메타데이터와 다른 스토리지/폴더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에는 상기 각 데이터들이 저장된 스토리지/폴더의 어드레스(패스 정보)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는 동기화 수단내의 로컬 스토리지, RF 블랙박스 내의 로컬 스토리지,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 서버의 스토리지,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Cloud) 시스템의 스토리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은 각기 저장 주기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RF 데이터의 저장주기는 해당 속성 및 환경 데이터의 저장 주기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데, 이때 메타데이터는 저장 주기에 관계없이 동기화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장소(Location 1)에서 00:00 시부터 01:00 시까지 RF 데이터(0001.rdf)와 동일한 주기로 저장된 하나의 속성 데이터(0001.cha)와 환경 데이터(0001.env)가 동기화 될 경우에는 각 종류별 하나씩의 파일 이름을 기재하고, 만약 (b) 장소(Location 1)에서 00:00 시부터 01:00 시까지 세 개의 파일로 나누어 저장된 RF 데이터(0001.rdf, 0002.rdf, 0003.rdf)와 저장 주기가 달라 각기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그 속성 데이터(0001.cha)와 환경 데이터(0001.env)가 동기화 될 경우에는 그 동기화된 모든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을 모두 기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타데이터는 임의의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동기화된 모든 데이터들(또는 데이터 그룹들)을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구간(예 : 시간이나 지역 정보 구간)에 관련된 데이터들(또는 데이터 그룹들)을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메타데이터들을 묶어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열어 그 인덱스 정보를 참조하여 특징 분석을 원하는 대상 데이터 또는 그 보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된 데이터들이 메타데이터와 다른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파일로 관리된다고 하더라도 그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로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용량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송 측면에서 통신망의 트래픽에 대한 부담이 적으며, 또한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에 서로 연관성이 없더라도 메타데이터를 통해서 그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리스트(파일 이름들)를 알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동기화 방법은 사용자가 그 메타데이터 파일을 열어 동기화된 데이터 리스트들을 검색해야 되기 때문에, 상기 메타데이터를 통해서 동기화 되는 데이터들(또는 데이터 그룹들)이 일정개수 이상 더욱 증가할 경우, 역시 원하는 데이터의 검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2 실시예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3 실시예의 동기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기화 수단은 그에 연결된 각 장치에서 입력되는 각 데이터(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로부터 그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데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필드 정보(키 값)는 소유자 정보, 각 데이터가 추출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장치 ID),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 또는 저장이 시작된 시간이나 종료시간에 관한 정보(time), 각 데이터들이 추출된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location), 각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각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된 경로(패스) 및 파일명을 나타내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필드들(키 값)은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더 다양한 정보 필드(키 값)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임의의 소유자(xxx)의 장치(#01)를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location 1)에서 일정 시간(time1)에 RF 데이터와 그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임의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고 가정할 경우, 그 RF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에 관련된 소유자, 장치ID, 시간, 장소, 데이터 종류 및 그 저장 경로와 파일명 등에 대한 정보 필드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간편하게 액세스하여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은 RF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에서 추출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한 키 값으로 활용함으로써 RF 데이터 및 그 보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액세스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RF 데이터와 그 보조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로는 그 규모가 너무 큰 경우에 대비해서, 예컨대 각 장치의 ID와 장소 및 시간과 각 추출된 데이터를 그 저장주소 정보 및 소유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수많은 사용자와 RF 신호 측정 장소 및 장시간의 특정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으며 확장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용량이 적은 데이터를 관리할 경우에는 비용 대비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상으로 상기 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동기화 방법들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에 따라 특정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서는 최적의 동기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그 응용 환경이나 목적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동기화 방법 하나를 고정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비효율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응용할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그 효과와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동기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동기화 방법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동기화 방법들의 장점들만을 혼합하여 구성한 하이브리드 동기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동기화 방법을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실시예)
상기 하이브리드 방식의 동기화 방법은,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메타데이터 또는 각 장치에서 추출된 개별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하이브리드 방식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데이터의 용량이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용량이나 개수가 가장 적은 단계(데이터 용량과 개수에 대해 설정된 임의의 기준1 이하의 단계)에서는 헤더 방식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용량이나 개수가 중간 단계(데이터 용량과 개수에 대해 설정된 임의의 기준1과 기준2 사이의 단계)에서는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용량이나 개수가 가장 많은 단계(데이터 용량과 개수에 대해 설정된 임의의 기준2을 초과하는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동기화 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가장 적접한 동기화 방법을 선택하는 방식은 상기 기준(또는 조건) 설정 방식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방식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오랫동안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사용 후 폐기하는 경우에 임시 저장 및 동기에 적합하도록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동기화하며, 또는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적합하도록 RF 데이터에 그 속성 데이터를 헤더 데이터로 부가하여 전송하는 등, 그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동기화 방식을 선택하여 곧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RF 블랙박스 111 : 다운 컨버터
112 : A/D 컨버터 113 : DSP
121 : DSP 122 : D/A 컨버터
123 : 업 컨버터 131 : 외부 I/F
132 : GPS 141 : CPU
142 : 램 143 : 스토리지
200 : 네트워크 서버 201 : 동기화 수단

Claims (2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캡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RF 데이터; 상기 RF 블랙박스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상기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속성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통해서 상기 RF 블랙박스의 수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단; 및
    상기 동기화된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데이터는 RF 신호에서 직접적으로 혹은 다운컨버전된 IF 신호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이며,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RF 신호, IF 신호, RF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파워(Min, Max, Avg, Diff)-시간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 PAR(CCDF), Correlation, 특정 주파수 구간에 대한 스펙트럼의 시간 축에서의 변화추이,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타임 마스크, 스펙트럼(Min, Max, Avg, Diff)-주파수 축으로 신호의 포락선, 시간 축의 임펄스 노이즈,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주파수 마스크,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경 데이터는,
    GPS, GIS 혹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지형/지리 정보, 레퍼런스 수신기로부터 추출되는 A/V 데이터, SNR, BER를 포함한 데이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특정 시험대상 장비(DUT)로부터 출력되는 SNR, BER을 포함한 신호나 정보, 외부 계측기로부터 획득된 계측 정보,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동기화 장치내의 로컬 스토리지,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 내의 로컬 스토리지,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 서버의 스토리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 시스템의 스토리지,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시간, 장소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들의 각 로컬시간 및 지연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관리하고 있으며, 각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기준시간으로부터 각 로컬시간과 지연시간에 대한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시간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 기준시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자신의 로컬시간을 항상 상기 기준시간과 일치시키게 하여 시간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그 결합된 데이터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대한 정보, 분할된 데이터일 경우 그 분할된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정보, 각 데이터의 종류와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과 장소 정보 및 그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던 헤더 정보 대신에 상기 결합된 데이터에 적합한 새로운 헤더 정보를 생성하여 부가하거나, 상기 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던 헤더 정보를 포함한 상태로 데이터를 결합한 후 별도의 싱크 헤더를 추가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서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동기화되는 각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위치),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관련된 간략한 내용, 동기화된 다른 데이터, 동기 시간, 각 데이터가 추출된 장치에 관한 정보, 이용 조건이나 내력,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그룹이라고 정의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메타데이터들을 묶어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각 데이터 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필드 정보(키 값)는,
    각 데이터가 추출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장치 ID), 각 데이터가 추출된 시간 또는 저장이 시작된 시간이나 종료시간에 관한 정보(time), 각 데이터들이 추출된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location), 각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각 데이터의 파일명을 나타내는 정보 및 각 데이터들이 실제로 저장된 주소 정보, 또는 그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각 상기 RF 블랙박스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는 방식, 상기 데이터들 중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 혹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을 혼합하여 그 중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어느 하나의 동기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블랙박스에서 RF 신호를 캡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RF 데이터; 상기 RF 블랙박스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상기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속성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를 통해서 상기 RF 블랙박스의 수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RF 데이터, 속성 데이터, 환경 데이터,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기화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그 결합된 데이터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서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각 데이터 또는 그들의 결합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각 RF 블랙박스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을 결합한 후,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 스트림/파일 형태로 동기화 시키는 방식, 상기 데이터들 중 관련성 있는 각 데이터들의 파일 이름 정보를 모아 일정한 순서대로 기재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 혹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필요한 필드 정보(또는 키 값)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하는 정보 필드에 저장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식을 혼합하여 그 중 응용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어느 하나의 동기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 혹은 저장수단은,
    네트워크 서버, RF 블랙박스, 외부장치 혹은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수단은,
    RF 블랙박스 간의 다이버시티 레코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KR1020120095348A 2012-08-30 2012-08-30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48A KR101466010B1 (ko) 2012-08-30 2012-08-30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48A KR101466010B1 (ko) 2012-08-30 2012-08-30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44A true KR20140034344A (ko) 2014-03-20
KR101466010B1 KR101466010B1 (ko) 2014-12-03

Family

ID=5064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48A KR101466010B1 (ko) 2012-08-30 2012-08-30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066A (ko) * 2014-04-04 2015-10-15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77B1 (ko) * 2003-03-28 2005-04-14 임재하 스펙트럼의 저장/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5592B1 (ko) * 2008-08-14 2010-08-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신호 품질 측정 장치
US8130145B2 (en) * 2009-06-24 2012-03-06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 diversity in GNSS receiv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066A (ko) * 2014-04-04 2015-10-15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010B1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4176A (zh) 车载端电台音乐收藏方法及多媒体数据处理系统
EP23323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und monitoring over a network
EP2865192A1 (en) Time-synchronizing a parallel feed of secondary content with primary media content
CN104284234B (zh) 多个终端间共享同步图像的方法及系统
CN103178998A (zh) 一种测控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9379698B (zh) 基于信道模型特征提取的小区测量报告定位方法及系统
KR101466010B1 (ko) Rf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EP1724755B9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aring audio signals and identifying an audio source
CN106688240A (zh) 用于远程记录视频节目的方法和装置
Noorts et al. An RF spectrum observatory database based on a hybrid storage system
CN201947279U (zh) 车载移动式多媒体广播场强覆盖路测仪
CN102137414B (zh) 一种移动视频业务时延的评估方法和装置
CN103139297A (zh) 远程数据采集方法及系统
CN103152605A (zh) 一种音频数据转码的方法、装置及转码服务器
CN109309535A (zh) Ap设备无线自动化检测系统及方法
JP6060085B2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の表示方法
CN11246352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WO20180390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urcing live streams
US11308199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KR101364125B1 (ko) 메타데이터에 의한 데이터 추상화를 통한 rf 데이터의 효과적인 핸들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432511B1 (ko) Rf 데이터 저장장치 및 그 방법
CN104284173A (zh) 用于产生多视点视频的方法和电子装置
CN102045534B (zh) 基于第三代移动通信技术的视频信息处理系统、方法及装置
CN114363198B (zh) 数据采集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045913B1 (ko)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