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759A -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 Google Patents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759A
KR20140032759A KR1020120099434A KR20120099434A KR20140032759A KR 20140032759 A KR20140032759 A KR 20140032759A KR 1020120099434 A KR1020120099434 A KR 1020120099434A KR 20120099434 A KR20120099434 A KR 20120099434A KR 20140032759 A KR20140032759 A KR 2014003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g
electrocardiogram
casing
fetal heart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정
홍성수
권자영
남기창
Original Assignee
(주)비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스토스 filed Critical (주)비스토스
Priority to KR102012009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759A/ko
Publication of KR2014003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of foet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PCB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도플러 프로브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심전도 전극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로브 모듈과;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의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프로브 모듈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고 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본체와; 상기 처리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심전도 전극;으로 구성되어, 태아의 정확한 심전도를 추출하여 이 심전도로부터 정확한 태아의 심박수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All-in-one Probe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Fetal Heart and EC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산모의 복부 심전도와 태아의 심전도 및 태아의 심박수를 한 번에 추출할 수 있는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분만감시장치(태아감시장치: Fetal Monitor)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추출한 도플러 신호로부터 태아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산모의 자궁수축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플러 신호로부터 태아의 심박수를 측정함에 있어 태동이나 산모의 움직임 등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태아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보다 정확한 태아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산모의 복부 심전도에서 태아의 심전도를 추출하여 그것으로부터 추출된 태아심박수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도플러 프로브와 자궁수축도 측정 프로브를 비롯한 산모의 복부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전극이 다수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플러 프로브와 심전도 전극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산모의 복부 심전도와 태아의 심전도 및 태아의 심박수를 한 번에 추출할 수 있는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PCB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도플러 프로브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심전도 전극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로브 모듈과;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의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프로브 모듈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고 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본체와; 상기 처리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심전도 전극;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심전도 전극은 상기 도플러 프로브 주변에 4개가 설치되되, 상기 4개의 심전도 전극은 90도 각도로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심전도 전극에서 각각 발생되는 신호는 쉴드(Shield) 처리된 4개의 전선을 통하여 각각 처리본체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는 중앙에 도플러 프로브가 설치되고 그 주변에 심전도 전극이 설치되어 도플러 프로브와 심전도 전극이 일체화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산모의 복부 심전도를 추출함과 아울러 태아의 심전도와 심박수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플러 프로브와 심전도 전극이 일체화됨으로써 여러 가닥의 전선들이 필요 없게 되어 진단시 측정자와 피측정자 모두에게 불편함을 덜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의 일체형 프로브 모듈 저면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의 일체형 프로브 모듈 내부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의 일체형 프로브 모듈 저면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의 일체형 프로브 모듈 내부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는 일체형 프로브 모듈(10)과,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에 연결되는 처리본체(20)와, 상기 처리본체(20)에 연결되는 기준 심전도 전극(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은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12)과, 상기 PCB기판(12)에 연결되는 도플러 프로브(13)와, 상기 PCB기판(12)에 연결되는 심전도 전극(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1)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그 수용공간에 상기 PCB기판(12)과 도플러 프로브(13) 등이 설치된다.
상기 PCB기판(12)은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PCB기판(12)에는 PCB기판(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홀(12a)이 형성된다.
상기 도플러 프로브(13)는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상기 PCB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플러 프로브(13)는 상기 PCB기판(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1)의 바닥판을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한다. 즉, 도플러 프로브(13)의 상측에 PCB기판(12)이 위치되도록 도플러 프로브(13)와 PCB기판(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심전도 전극(14)은 상기 케이싱(11)의 저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케이싱(11)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심전도 전극(14)은 상기 PCB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앞서 기재한 대로 상기 PCB기판(12)에 형성된 연결홀(12a)에 전선 일단을 연결하고, 이 전선의 타단을 심전도 전극(14)에 연결함으로써 심전도 전극(14)과 PCB기판(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심전도 전극(14)은 총 4개가 설치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상기 도플러 프로브(13) 주변에 설치된다. 이렇게 4개의 심전도 전극(14)을 도플러 프로브(13) 주변에 설치하되, 일정간격을 이루면서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4개의 심전도 전극(14)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90도 각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본체(20)는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의 PCB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프로브 모듈(1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고 그 신호를 처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처리본체(20)는 4개의 전선(W1,W2,W3,W4)을 통하여 상기 4개의 심전도 전극(14)과 각각 연결됨으로써 심전도 전극(14)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이 4개의 전선(W1,W2,W3,W4)을 통하여 전송받는다. 그리고, 상기 처리본체(20)는 심전도 전극(14) 뿐만 아니라 도플러 프로브(13)로부터도 신호를 제공받아서 전송받은 신호를 처리한다.
따라서,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을 산모의 복부에 부착하면 처리본체(20)는 전송된 신호로부터 산모의 복부 심전도를 추출하고, 이 산모의 복부 심전도로부터 태아의 심전도를 추출하며, 다시 태아의 심박수를 획득한다. 이렇게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을 산모의 복부의 부착하는 것만으로 태아의 심전도와 심박수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좀 더 부연하면, 상기 처리본체(20)와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은 총 6개의 전선으로 연결된다. 6개의 전선 중에서 4개의 전선(W1,W2,W3,W4)은 앞서 말한 대로 산모의 복부 심전도 신호가 전송되는 라인이고, 남은 2개의 전선 중에서 하나의 전선(W5)은 태아에 대한 도플러 신호가 전송되는 라인이며, 나머지 하나의 전선(W6)은 접지하는 라인이다.
상기와 같은 6개의 전선은 커넥터(C)를 통해 하나의 라인으로 합쳐져서 상기 처리본체(20)와 연결이 된다.
한편, 상기 심전도 전극(14)과 처리본체(20)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전선(W1,W2,W3,W4)과 태아에 대한 도플러 신호가 전송되는 전선(W5) 및 접지하는 전선(W6)은 외부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각각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쉴드(Shield) 처리를 한다.
상기 기준 심전도 전극(30)은 상기 처리본체(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기준 심전도 전극(30)은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과 연결되는 라인과는 별도의 라인으로 처리본체(20)에 연결된다.
부연하면,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은 심정에 가까운 측정 지점(Active point)에 부착을 하고, 상기 기준 심전도 전극(30)은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이 부착된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심장에서 떨어진 지점(기준 지점, Reference point)에 부착하여 태아의 심전도와 심박수를 추출한다.
10: 일체형 프로브 모듈 11: 케이싱
12: PCB기판 12a: 연결홀
13: 도플러 프로브 14: 심전도 전극
20: 처리본체 30: 기준 심전도 전극
C: 커넥터 W1 내지 W6: 전선

Claims (3)

  1.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12)과,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PCB기판(12)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도플러 프로브(13)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11)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PCB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심전도 전극(14)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로브 모듈(10)과;
    상기 일체형 프로브 모듈(10)의 PCB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프로브 모듈(1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고 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본체(20)와;
    상기 처리본체(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심전도 전극(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전극(14)은 상기 도플러 프로브(13) 주변에 4개가 설치되되, 상기 4개의 심전도 전극(14)은 90도 각도로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심전도 전극(14)에서 각각 발생되는 신호는 쉴드(Shield) 처리된 4개의 전선(W1,W2,W3,W4)을 통하여 각각 처리본체(2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KR1020120099434A 2012-09-07 2012-09-07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KR20140032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34A KR20140032759A (ko) 2012-09-07 2012-09-07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34A KR20140032759A (ko) 2012-09-07 2012-09-07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59A true KR20140032759A (ko) 2014-03-17

Family

ID=5064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434A KR20140032759A (ko) 2012-09-07 2012-09-07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7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87B1 (ko) * 2014-05-23 2015-03-23 광주과학기술원 태아의 심박동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CN107320132A (zh) * 2016-04-29 2017-11-07 惠州市源医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孕期母婴检测综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87B1 (ko) * 2014-05-23 2015-03-23 광주과학기술원 태아의 심박동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CN107320132A (zh) * 2016-04-29 2017-11-07 惠州市源医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孕期母婴检测综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57529B2 (en)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fluid changes
US108980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bdominal electrophysiological signal
US20130261464A1 (en) Conformal fetal heart monitor and system for use therewith
US20110270118A1 (en)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ropagation velocity of uterine action potentials to determine the onset of labor
CN104840220B (zh) 一种检测胎心信号的多普勒超声装置及方法
EP2937037B1 (en) Physical shielding for ecg electrical connections
WO2011094609A3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displaying uterine emg signals
CN104887269A (zh) 一种穿戴式胎儿监护仪
CN106175838B (zh) 一种基于阵列探头的背散射超声骨质诊断系统
US20220133213A1 (en) Multi-Sensor Patch
KR20140032759A (ko) 태아 심박수와 심전도 동시 측정을 위한 일체형 프로브 구조
WO2014134318A3 (en) Imaging devices with an array of transducers
US20220142476A1 (en) An apparatus for acquiring signals from a pregnant subject
KR20190057344A (ko) 태아 모니터링 전자 시스템
WO2017095184A1 (ko) 혈관 내 초음파 변환자를 위한 하우징
US9622723B2 (en) Ultrasonic sensor for a cardiotocograph to be used within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CN218075010U (zh) 电极安装系统以及胎儿监护设备
CN211658145U (zh) 检测仪器
US10321839B2 (en) Lead cable for electrocardiograph systems
CN206499480U (zh) 一种胎儿监护仪探头套
KR20130125085A (ko)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CN110613435B (zh) 一种胎心率和宫缩压力的检测方法
GB2600840A (en) Using data from a body worn sensor to modify monitored physiological data
CN208404563U (zh) 一种生物电检测装置
CN115137337A (zh) 胸腔成像及呼吸监测测量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