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439A -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439A
KR20140031439A KR1020120094797A KR20120094797A KR20140031439A KR 20140031439 A KR20140031439 A KR 20140031439A KR 1020120094797 A KR1020120094797 A KR 1020120094797A KR 20120094797 A KR20120094797 A KR 20120094797A KR 20140031439 A KR20140031439 A KR 2014003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image
cut
cartoo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엔파이소프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파이소프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엔파이소프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439A/ko
Publication of KR2014003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은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인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저장수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어느 하나의 모바일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템플릿 저장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하고, 모바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이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하는 아웃풋 렌더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CONTENTS AUTHORING SYSTEM USING MOBI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산 및 편집 기술 분야에 속한다.
우리는 바야흐로 디지털 컨텐츠의 홍수라고 할 만한 시대에 살고 있다. 인터넷이나 방송, 출판물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컨텐츠의 제작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예외없이 디지털화되어 전자적인 형태로 저작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컨텐츠의 저작과정과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과거에는 펜과 물감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등 아날로그 적인 방식에 의해 저작이 이루어졌으나, 디지털 컨텐츠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디지털 컨텐츠들의 유형은 전통적인 의미의 컨텐츠의 유형과 종류만큼 다양하며, 이렇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들을 저작하기 위한 도구들도 다양하고 세분화되어 발전되어 왔다.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을 위해서는 해당 유형의 컨텐츠 자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저작도구 자체의 사용법에 대한 학습과 숙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행위는 대부분 학교 또는 학원 등지에서 상당한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 기능을 획득한 전문인력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웹 2.0의 유행 이후 동영상이나 사진 기타의 컨텐츠들의 저작에 일반 사용자들이 널리 참가하기 시작하였다.
일반 사용자들 가운데서도 전문 저작도구들을 직접 사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들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있었으나, 대체로는 기본적인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여 저작활동을 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일반 사용자들의 디지털화된 컨텐츠의 저작활동은 더욱 도드라지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간단히 후보정하는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경향성을 요약하자면, 일반 사용자들이 디지털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일반화되기에 이르렀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에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비전문적인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을 가능케하는 저작도구들이 등장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유형은 매우 제한적이어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후보정한다거나,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영상들을 연결하고 편집한다거나, 스마트폰으로 그림을 그리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제10-0658055호 "무선단말기의 플래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리 준비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선택한 다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해당 만화 템플릿의 각 컷에 들어갈 이미지와 대사 내용을 간단하게 선택하여 업로드하거나, 입력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만화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아가 홍보물, 명함, 브로셔, 대자보 등의 컨텐츠 저작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만화 템플릿을 선택하고, 간단히 이미지와 텍스트를 채워넣는 것만으로 의도한 결과물을 간단히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은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인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저장수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어느 하나의 모바일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템플릿 저장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하고, 모바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이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하는 아웃풋 렌더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모바일과 연결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기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을 제공하는 제 110 단계;
모바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이 선택되면, 모바일로부터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 제 120 단계;
상기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하는 제 130 단계; 및
생성된 아웃풋 파일을 모바일로 제공하는 제 14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인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상기 모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복잡한 오쏘링 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모바일을 이용하여 간단히 사진을 업로드하고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만화 형태의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복잡한 저작도구의 사용방법을 배우고 익히지 않아도 만화 템플릿을 선택한 다음, 해당 템플릿의 각 컷에 들어갈 이미지를 선택하여 업로드하고, 말풍선에 들어갈 대사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홍보물, 팜플렛, 명함 등 만화 컨텐츠의 제작목적에 따라서 미리 구분되어 준비된 만화 템플릿 가운데 적당한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의도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서버와 다수의 모바일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연결관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만화 템플릿에 이미지와 텍스트를 삽입함으로써 아웃풋이 오쏘링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과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서버와 다수의 모바일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연결관계도이다.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모바일(20)과 연결되며, 각 모바일(20)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2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서,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서버(10)로 접속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또는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서버(10)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만화 템플릿에 이미지와 텍스트를 삽입함으로써 아웃풋이 오쏘링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100)은 템플릿 저장수단(110),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120) 및 아웃풋 렌더링 수단(130)을 구비한다.
템플릿 저장수단(110)은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저장한다.
이때, 템플릿 저장수단(110)이 저장하는 만화 템플릿은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이다.
즉, 만화 템플릿은 적어도 일부가 라스터 그래픽 데이터일 수도 있겠으나 적어도 다수의 컷이 구획지어져 식별되며, 각 컷에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영역과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정의되어야 한다.
모바일(20)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떤 만화 템플릿들이 있는지 확인하기를 원한다.
모바일(20)로부터의 요청이 있으면,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상기 모바일(20)로 상기 템플릿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한다.
모바일(20) 사용자는 모바일(20)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만화 템플릿들은 목적 또는 내용에 따라서 몇 가지의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홍보물, 브로셔, 명함, 현수막 등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만화 컨텐츠의 형태로 회사 홍보물이나 브로셔를 만들기를 원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는 만화 컨텐츠의 형태로 자신의 명함을 만들기를 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로는, 대형 현수막에 인쇄될 내용을 만화 컨텐츠의 형태로 만들기를 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각각의 유형마다 적합한 만화 템플릿이 각각 따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명함의 경우라면 사용자의 얼굴 사진 등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며, 대형 현수막이라면 인쇄할 영역의 크기가 매우 크다는 특성을 가지며, 브로셔의 경우라면 홍보내용이 충분히 표시될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유형마다 적당한 만화 템플릿이 각각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만화 템플릿은 일부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가 삽입되나, 나머지 컷에는 미리 만화가 그려져 있어 말풍선에 대사를 집어넣는 정도의 간단한 편집에 의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유형마다 적당한 내용의 만화 템플릿이 따로 구분되어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모바일(20)로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하기에 앞서 아웃풋 파일의 유형의 선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유형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록을 보면서 적당한 유형을 선택한다.
서버(10)는 모바일(20)로부터 어느 하나의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유형에 속하는 만화 템플릿들의 목록을 더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유형에 속하는 다수의 만화 템플릿 가운데서 적당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들어갈 이미지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모바일(20)의 로컬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100)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모바일(2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여 그 결과물을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100)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20)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20)의 터치스크린에 가상키보드를 표시한 다음, 타이핑함으로써 각 말풍선 영역에 들어갈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이와 같이 모바일(20)로부터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들어갈 이미지를 입력받거나, 또는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아웃풋 렌더링 수단(130)은 이와 같이 모바일(20) 사용자가 만화 템플릿을 선택하고, 해당 템플릿의 이미지 영역에 들어갈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해당 템플릿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컷의 배경 이미지 영역에 들판의 사진을 업로드하면 해당 만화 템플릿의 컷에 들판의 사진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컷의 인물 이미지 영역에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하면 들판의 사진 위에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업로드한 컷은 컷의 크기에 비해 클 수 있으나, 배경 이미지 영역, 인물 이미지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은 크롭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는 해당 컷의 말풍선에 표시된다.
이후, 라스터화되어 이미지 파일 기타의 미리 정해진 데이터 포맷으로 저장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최종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이 여러 개의 컷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순차 선택하여 이를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각 만화 템플릿의 컷들은 순번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아웃풋 렌더링 수단(130)은 모바일(2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들을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각 순번의 컷에 순차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텍스트를 순차 입력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각 순번의 컷의 말풍선 영역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아웃풋 렌더링 수단(130)이 만화 템플릿에 이미지와 텍스트를 삽입한 후 렌더링하기 이전에, 모바일(20) 사용자는 이미지와 텍스트가 삽입될 컷의 위치를 바꾸는 등의 편집을 원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바일(20)을 조작하여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또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을 선택하면, 서버(1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위치를 상기 선택된 컷의 이미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20)을 조작하여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텍스트를 선택하고, 또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을 선택하면, 서버(10)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컷의 말풍선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버(1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사용자가 모바일(20)을 조작하여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요청함에 따라 서버(10)가 상기 모바일(20)로 기 저장된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한다(S110).
이에 따라, 모바일(20)이 제공받은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바로 제공하기에 앞서 서버(10)는 사용자로 하여금 아웃풋 파일의 유형의 선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모바일(20)로 기 설정된 유형들의 목록을 우선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아웃풋 파일의 유형이란 예컨대, 홍보물, 브로셔, 명함, 현수막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유형을 선택하면, 서버(10)는 비로소 해당 유형에 속하는 만화 템플릿들의 목록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때 만화 템플릿이란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를 지칭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바일(20)을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함에 따라, 모바일(20)이 서버(10)로 사용자가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는 모바일(20)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선택하여 업로드하거나, 또는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서버(10)는 모바일(2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또는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게 된다(S120).
이후 서버(10)는 상기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한다(S130).
이때, 만일 사용자가 단말기(20)를 조작하여 다수의 이미지 또는 다수의 텍스트를 입력하면, 서버(10)는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에 순서대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번 컷을 선택하고, 또 해당 컷의 이미지 영역을 선택한 다음에야 이미지 파일을 올리고, 또 해당 컷의 말풍선 영역을 선택한 다음에야 텍스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에 삽입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의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와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컷의 이미지 영역으로 옮겨 줌으로써 극히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편집이 행해질 수 있다.
텍스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단말기(20)의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텍스트와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컷의 말풍선 영역으로 옮겨 줌으로써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아웃풋 파일이 생성되면 서버(10)는 생성된 아웃풋 파일을 모바일(20)로 제공한다(S14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푸쉬 방식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으로 분류되는 하드웨어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즉, IOS 또는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휴대전화 이외에도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ata Assistant)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등과 같이 지칭되는 공지의 유무선 통신방식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모바일이 서버로 스틸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스틸 이미지의 업로드를 통한 컨텐츠의 재구성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즉, 스틸 이미지 대신 동영상이나 애니메이티드 GIF와 같은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산 및 편집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서버
20 : 모바일
100 :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110 : 템플릿 저장수단
120 :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
130 : 아웃풋 렌더링 수단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모바일과 연결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기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을 제공하는 제 110 단계;
    모바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이 선택되면, 모바일로부터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 제 120 단계;
    상기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하는 제 130 단계; 및
    생성된 아웃풋 파일을 모바일로 제공하는 제 14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인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상기 모바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10 단계에서, 모바일로 아웃풋 파일의 유형의 선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유형들의 목록을 제공하되,
    모바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유형에 속하는 만화 템플릿들의 목록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10 단계에서, 모바일로 제공하는 유형들의 목록은 홍보물, 브로셔, 명함, 현수막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30 단계에서, 모바일로부터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에 순서대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30 단계에서, 모바일로부터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위치를 상기 선택된 컷의 이미지 영역 또는 말풍선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 다음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는 방법이 기재된 기록매체.
  7. 다수의 컷으로 구획지어지되, 각 컷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 또는 인물 이미지가 삽입될 이미지 영역이 미리 정의되고, 각 컷에 대하여 대사가 삽입될 말풍선 영역이 미리 정의된 데이터인 다수의 만화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저장수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어느 하나의 모바일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템플릿 저장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만화 템플릿의 목록을 제공하고, 모바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제공받거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될 텍스트를 입력받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이 제공받은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이미지 영역에 삽입하고, 입력받은 텍스트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의 말풍선 영역에 표시한 다음 소정의 포맷에 의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아웃풋 파일을 생성하는 아웃풋 렌더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은 모바일로 아웃풋 파일의 유형의 선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유형들의 목록을 제공하되, 모바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유형에 속하는 만화 템플릿들의 목록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수단이 모바일로 제공하는 유형들의 목록은 홍보물, 브로셔, 명함, 현수막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 렌더링 수단은 모바일로부터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상기 만화 템플릿의 각 컷에 순서대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풋 렌더링 수단은 모바일로부터 상기 만화 템플릿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상기 만화 템플릿의 어느 하나의 컷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위치를 상기 선택된 컷의 이미지 영역 또는 말풍선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 다음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KR1020120094797A 2012-08-29 2012-08-29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97A KR20140031439A (ko) 2012-08-29 2012-08-29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97A KR20140031439A (ko) 2012-08-29 2012-08-29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439A true KR20140031439A (ko) 2014-03-13

Family

ID=5064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97A KR20140031439A (ko) 2012-08-29 2012-08-29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4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3387B2 (ja) リソース共有方法、端末、および記憶媒体
RU2488232C2 (ru) Сеть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екста в речь и текста в анимацию лица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US20150143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digital content
US20150143256A1 (en)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a Compendium by Members of a Group
US8952989B2 (en) Viewer unit, server unit, display control method, digital comic edi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616013B1 (ko) 맞춤형 텍스트 메시지를 갖는 개인화 비디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977B1 (ko) 카툰 제공 시스템, 카툰 제공 장치 및 카툰 제공 방법
US2015005870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haracter dialog generation
CN105302834B (zh) 一种信息聚合显示的方法及装置
CN108269295B (zh) 一种幻灯片主题色彩智能引用的方法及装置
CN115606190A (zh) 显示增强现实内容与教程内容
CN115836292A (zh) 与旅行相关联的基于增强现实的翻译
Hjorth Frames of discontent: Social media, mobile intimacy and the boundaries of media practice
US10120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user interface
CN104835105B (zh) 图片处理方法和装置
US201403516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or browsing digital comics
CN112445400A (zh) 视觉图形创建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eep The Liquid Aesthetic of the Cameraphone
US9639533B2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group of image product designs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Pearson et al. PaperChains: Dynamic sketch+ voice annotations
KR20140031439A (ko) 모바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오쏘링 시스템 및 방법
CN11283557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KR102581745B1 (ko)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