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187A -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187A
KR20140031187A KR1020137018227A KR20137018227A KR20140031187A KR 20140031187 A KR20140031187 A KR 20140031187A KR 1020137018227 A KR1020137018227 A KR 1020137018227A KR 20137018227 A KR20137018227 A KR 20137018227A KR 20140031187 A KR20140031187 A KR 2014003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reinforcement
pad
reinforcement pad
pack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엠. 모렛
제임스 에이. 비몬
Original Assignee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filed Critical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2/02029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094468A1/en
Publication of KR2014003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with padding material, e.g. foamed material, in top, bottom, or side layers
    • A47C27/05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with padding material, e.g. foamed material, in top, bottom, or side layers with different layers of foam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보강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코어와 상기 매트리스 코어와 근접배치된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및 상기 보강패드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여 퀼트 패키지층에서 더 높은 조밀도를 갖는 스티치를 구비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여 증가된 지지력에 의해 매트리스 지지면에 영구적인 자국이 남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골반 영역 또는 머리와 어깨 영역과 같이 매트리스에서 더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영역들에 위치한다. 실시예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의 길이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되 매트리스 코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폭을 갖고, 퀼트 패키지층의 대응되는 영역들에는 더 높은 조밀도로 스티칭이 이뤄진다.

Description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MATTRESSES WITH REINFORCEMENT INSERTS AND DENSIFIED STITCH ZONES}
본 출원은 2009, 9, 9 일 자로 제출된 미국 특허 계속출원 제 12/552,657 호 발명의 명칭 "표면 자국 제거기술 시스템(Surface Impression Removal Technology System)" 을 계속해서 부분적으로 공유하며, 상기의 출원은 여기에서 참조적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 및 매트리스와 기본적인 수면 시스템들과 관련된 것이다.
매트리스는 일반적으로 와이어 스프링들(wire springs) 이나 "이너스프링(innerspring)" 과 같은 주요 구조적 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것들은 폼(foam)이나 섬유재들(fiber materials)로 구성된 다수 개의 층들에 삽입되어 덮여지며, 이 것들 모두는 폼 또는 섬유가 받쳐진 패브릭(fabric)에 공통적으로 퀼트재봉된(quilt stitch) '틱(tick)' 이나 덮개에 내장된다. 이러한 종래의 매트리스 구성에 있어, 각각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넓은 구역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되며 매트리스의 특정 부분에서 구조적인 차이점은 없다. 머리에서부터 발가락까지 인체의 하중과 분포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매트리스 위에서 가령, 골반과 어께 부위와 같이 다른 부분 보다 압력이 더 가해지는 지점이 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이는 매트리스의 특정 구역에 하중을 집중시키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트리스의 다른 구역 보다 두드러지게 더 큰 크기로 구조물들을 가압한다. 최근에 유행하는 일면을 갖는(one-sided) 매트리스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심해진다.
압력이 집중되며 지속되는 대부분의 주요 구역들은 머리와 발 끝단 사이에서 매트리스의 가운데 부분에 존재한다. 다음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구역은 어깨가 놓이는 구역이다. 많은 매트리스들에 있어서, 최상단 지지면의 지속적인 흔적들(permanent impressions)은 비교적 짧은 기간의 사용 후에도 눈에 보이게 인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역에서 매트리스의 구조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가령, 이너스프링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과 같은 몇몇 시도들이 있었다. 성공적이지 못했던 이러한 수정안들의 몇몇 시도들은 매트리스 지지면 전체에 걸쳐 일관적인 느낌(feel)을 유지하는 동안에 특정 지역이나 부분에서 다른 균등한 구조를 변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시되는 보강된 매트리스들은 매트리스 코어(mattress core),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놓이는 바닥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reinforcement pads)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패드들의 바닥면은 매트리스코어와 접촉된다. 또한, 매트리스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덮개층들(upholstery layers) 및 퀼트층(quilted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퀼트층은 매트리스조립체 전체를 덮는다. 첫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의 상단 또는 머리에서부터 매트리스의 하단 또는 발까지 일측의 테두리에서부터 타측으로 테두리까지 매트리스 코어의 대략 1/3 에서 중간 지점 정도에서 매트리스 코어의 폭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들은 상면과 바닥면을 갖는 이너스프링,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 첫번째 보강패드를 구비한다. 첫번째 보강패드는 상기 이너스프링 위에 위치되되, 이너스프링의 폭과 동일한 폭 치수를 갖고 이너스프링의 길이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두번째 보강패드가 매트리스조립체에 포함되며, 상기 두번째 보강패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다. 상기 두번째 보강패드는 이너스프링 위에 위치되되, 이너스프링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이너스프링의 길이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덮개층들; 및 매트리스조립체 전체와 최상층의 외부면을 덮으며 첫번째와 두번째 퀼팅패턴들(quilting pattern)을 갖되 상기 첫번째 퀼팅패턴은 첫번째와 두번째 보강패드들 위에 직접 위치하는 퀼트층(퀼트 패키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된 매트리스는 상면과 바닥면을 갖는 이너스프링; 첫번째 보강패드; 하나 이상의 덮개층; 퀼트 패키지층(quilt package layer);을 포함하며,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네 개의 측면들을 갖고,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이너스프링의 폭 보다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갖되 이너스프링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이너스프링의 첫번째 끝단 및 이너스프링의 두번째 끝단에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너스프링과 근접하여(적층되게 배치되어) 위치되며, 하나 이상의 덮개층은 이너스프링의 지지면 위에 위치되고, 퀼트 패키지층은 하나 이상의 덮개층들과 이너스프링 및 첫번째 보강패드 위로 확장되며(적층되며),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첫번째 스티치 패턴(stitch pattern)과 두번째 스티치 패턴을 갖고, 상기 첫번째 스티치 패턴은 두번째 스티치패턴 보다 스티치들의 조밀도(density)가 더 높으며, 상기 첫번째 스티치패턴은 첫번째 보강패드 (바로) 위에 놓인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두번째 스티치패턴은 첫번째 보강패드 위에 놓이지 않은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 의 보강된 매트리스의 단면도이며;
도 2b 는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보강된 매트리스에 선택적 실시예로서 발 보강패드(foot reinforcement pad)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대체가능한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대체가능한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대체가능한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대체가능한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 은 도 1 의 보강된 매트리스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매트리스조립체는, 리지드베이스(rigid base, 강성 기자재) 또는 (여기에서 "박스스프링(box spring)"으로도 언급되는) 매트리스기초(mattress foundation), 매트리스코어, 하나 이상의 인슐레이터패드들(insulator pads) 또는 인슐레이터층들, 매트리스덮개 또는 하나 이상의 안락층(comfort layer) 및 주변으로 확장되어 매트리스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덮는 퀼트(층)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공개되는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하중을 받쳐주기 위해 알려진 구역들에 추가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더 높은 하중에 의한 파임 또는 영구적 자국(흔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트리스의 특정 구간 또는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들을 포함한다.
도 1 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가령, 매트리스(100)의 머리 및/또는 허리 구간들(영역들)과 같은 매트리스의 특정 구간 또는 구역을 강화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강패드(10)는 가령, 골반과 허리 구간들로 분포된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매트리스의 특정 구간에 위치하도록 매트리스(100)의 수평면의 가운데 구간을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100)의 폭을 또는 매트리스의 코어(14)를 횡측에서 가로지르도록 확장되어, 매트리스 또는 코어의 전체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코어(14)의 전체 폭 보다 실질적으로 약간 더 작게 가령, 코어(14)의 각 테두리들에서 1 인치(inch) 이상 더 작게 이너스프링의 각 테두리들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드(1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면 및 상기 (보강패드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확장되어 실질적으로 평평한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다. 상기 보강패드(10)는 점탄성(visco-elastic)을 갖는 재질 또는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latex),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틸렌 폼 또는 다른 가요성을 갖는 폴리머 또는 섬유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층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하여 가령, 상기 보강패드의 (바로) 밑에 놓이는 스프링들에 의해서 보강패드에 자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barrier) 또는 스킨층(ski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패드(10)는 대략 1.0 lbs./in2 내지 2.0 lbs./in2 범위의 밀도(density)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되 대략 1.5 lbs./in2 의 밀도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패드들의 설명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재질들과 밀도들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상기 보강패드(10)의 두께는 대략 0.125 내지 0.75 인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0.25 내지 0.75 인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패드는 매트리스(100)의 코어(14)의 폭과 비례하거나 동일한 폭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100) 또는 코어(14)의 폭 부분을 실질적으로 덮으며, 매트리스(100)의 대부분 성인 사용자를 위해서 허리구역(lumbar region)에 걸쳐 확장되도록 매트리스(100) 또는 코어(14)에서 대표적인 길이가 대략 30 인치 전후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패드(10)는 형상에 있어서 직사각형이거나 대칭구조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균일한 두께, 균일한 표면지형(즉, 평평한 면이거나 물결모양의 면을 갖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면을 갖거나), 동일한 밀도와 강도를 가질 필요도 없다. 여기에서 명확하게 공개되지 않은 두께와 길이의 치수가 다른 보강패드들(10)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기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100)나 코어(14)의 실질적인 폭을 가로지르도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보강패드의 폭은 매트리스(100) 또는 이너스프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매트리스(100)에서 삼등분되는 수평방향 중간지점에는 매트리스(100)의 골반과 허리를 지지하는 구간이 포함된다. 이 구역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패드(10)는 더 높은 하중과 압력이 작용하는 골반과 허리 구역들을 지지하도록 추가된다. 또한, 상기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100)의 이러한 구역을 가로질러 (매트리스)본체의 눌림흔적들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도움을 주거나 그렇치 않으면 매트리스의 지지면(support surface)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 코어(14)의 상단에서 덮개층(들)(15) 및 (여기에서 '퀼트패키지', '퀼트층' 또는 '퀼트된 층'으로써도 언급되는) 퀼트 패키지층(16) 아래로 위치하고,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아우터패브릭(outer fabric), 상대적으로 얇은 폼층(foam layer) 및 부직포지지층(non-woven backing layer)을 포함하고, 퀼트스티칭(quilt stitching, 퀼트 재봉)은 이러한 세 층들 모두(아우터패브릭, 폼층, 부직포지지층)를 관통하게 이어진다. 덮개층들(15)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완충층들(layers of cushioning)이 될 수 있고, (상기 덮개층은) 하나 이상의 로프트 및/또는 위킹 물질들(loft and/or wicking materials), 직물 또는 비직물, 그리고 폼, 솜(cotton), 울(wool), 동물의 털, 가죽 등과 같은 천연소재나 합성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은 얇은 폼층이나 다른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받도록 퀼트스티치된(퀼트 재봉된) 직물로 짠 덮개와 같은 통상적인 패브릭층(직물층)(layer of fabric)이다. 인슐레이터패드(미도시)가 매트리스 코어와 보강패드(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도 상기 보강패드(10)는 매트리스 코어(14)에 근접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 실시예로써, 상기 인슐레이터패드는 가령, 매트리스(100)의 다양한 층들과 매트리스코어(14) 사이의 기본적인 인슐레이터로써, 매트리스코어(14)의 상측에 놓이며 5/32 인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패드로 실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강패드(10)는 덮개층(15) 위에서 퀼트 패키지층(16)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로써, 상기 보강패드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덮개층들(15) 사이에서 또는 덮개층(15)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써, 두번째 보강패드(12)가 가령,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분의 일 지점까지 매트리스의 일측 끝단에서 형성되는 머리와 어깨 구역 즉, 사용시 두번째로 큰 압력이 작용하는 구역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매트리스의 발 부분(발이 놓이는 부분) 또는 사용시 세번째로 큰 압력이 작용하는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매트리스의 영역에 세번째 보강패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퀼트 패키지층(16)은 보강패드들(10, 12)이 아래로 놓인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재질의 밀도나 재봉선의 조밀도가 증가된 부분을 갖는다.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에서 증가된 재질의 밀도는 가령, 더 높은 조밀도를 갖도록 스티치들(재봉선들)을 형성하거나 스티치 패턴들(161, 162)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퀼트 타입의 스티치들의 갯수를 더 증가시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티치패턴들은 덮개층까지 관통하여 연장되거나 퀼트 패키지층(16)의 원단 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들(161, 162)이 퀼팅장치(quilting machine)나 수작업에 의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에 또는 퀼트 패키지층(16)의 직물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직물은 보강패드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서 더 조밀도가 높은 스티치를 갖거나 더 많은 스티치 갯수(재봉 횟수)를 갖는다. 퀼트장치에 의해서 (스티치가) 형성될 때,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 구역들은 가령, 반복되는 스티치 패턴들과 사이의 공간들이 일정하게 행과열을 형성하여 특정 모양이나 패턴(무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들(161, 162)은 보강패드들이 위치하는 구역에서 퀼트 패키지층(16)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보강패드와 연계하여 지지 부재들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지지특성을 향상시키며 매트리스 본체 흔적의 영구적인 변형이 형성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갖는 매트리스의 구간이나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들(161, 162)은, 보강패드들(10, 12)이 아래에 놓임으로써 상승되며 추가적인 높이가 주어질 수 있는 퀼트 패키지층의 이러한 구역(스티치가 형성된 구역)을 미리 압축할 수 있는 기능을 하므로 매트리스의 지지면의 돌출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아울러,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들(161, 162)은 보강패드들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퀼트 패키지층(16)의 이러한 구역들을 미리 압축하므로, 이에 따라 퀼트 패키지층(16)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최상단을 구성하며, 보강패드의 존재가 매트리스의 여러 층들을 통하여 또는 퀼트 패키지층(16)을 통하여 느껴지지 않게 한다. 상기 보강패드들(10, 12)과 스티치들(161, 162)의 결합과 연동작용은 (보강패드가 놓이고 스티치가 형성된) 상기의 구역들에서 영구적인 파임(indentation) 이나 '본체 흔적들'의 발생을 억제시키도록 매트리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보강패드들과 이에 대응하여 조밀도가 증가된 스티치의 결합구조는 매트리스의 다른 구역들에서 보다 하중에 대한 반력을 더 크게 같은 집중된 지지력을 제공하고, 이는 매트리스 구조체를 압축시키기 위해선 더 큰 힘이 요구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 구역과 어깨 구역에 위치한 보강패드(12) 또는 "머리 보강패드"는 매트리스(100)의 일측 끝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코어(14)의 폭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확장된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면,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확장되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네 개의 측면들을 갖는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점탄성재 또는 메모리폼, 라텍스,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폼이나 가요성 폴리머 또는 섬유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되, 상기의 재질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층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령, 보강패드 아래에 놓인 스프링에 의해서 보강패드에 흔적이나 자국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패드의 일면이나 양면 모두에 배리어나 스킨층이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대략 1.0 lbs./in2 내지 2.0 lbs./in2 범위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되, 대략 1.5 lbs./in2 의 밀도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재질들과 다른 밀도 또한 보강패드들의 전술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의 두께는 대략 0.125 내지 0.75 인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되, 0.25 내지 0.75 인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의 폭은 매트리스(100)의 코어(14)의 폭에 비례하되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의 나머지부분(rest)의 두께는 매트리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나 대략 0.5 와 0.75 인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는 매트리스의 크기에 비례하여 다른 두께와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의 길이는 대략 10 인치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전술된 보강패드(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낮거나 더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된 보강패드(10)와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사용자의 머리, 목, 어께 구역을 지지하는 것에 도움을 제공하며, 영구적인 파임(자국)을 억제시키며 동일한 압력이 분포되도록 기능을 작용한다. 매트리스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강패드(12)는 덮개층(15) 및 퀼트 패키지층(16) 아래에서 매트리스 코어(14)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머리 보강패드(12)와 매트리스 코어(14) 사이에는 추가적인 인슐레이터패드가 삽입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두 개의 보강패드들(10, 12)에 추가적으로, (이후에는 '발 보강패드라고 언급될) 추가적인 발 보강패드(22)가 선택적으로 매트리스(100)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것은 매트리스(100)의 폭을 횡측으로 가로지르게 즉, 코어의 전체 폭은 아닌 것이 바람직하지만 코어(14)의 실질적인 폭을 가로지르도록 확장된다. 상기 발 보강패드(22)는 일반적으로 하중이 차위(次位)로 집중되는 것으로 파악되는 매트리스의 발 구역(foot region)에 위치된다. 상기 발 보강패드(22)는 다른 보강패드들(10, 12)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되, 상기 보강패드들(10, 12)과는 다른 재질로써 밀도가 더 낮거나 더 높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 보강패드(22)의 길이는 머리 보강패드(1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매트리스의 전체 지지력 특성의 변화 없이도 매트리스(100)가 180 도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 보강패드(22)는 위에서 설명된 머리 보강패드(12)와 동일한 것이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써,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매트리스(100)의 특정 구역의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솟은구역들(26)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보강패드(24)를 포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패드(24)는 가령, 골반과 허리 영역들을 지지하는 매트리스(100)의 구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보강패드의) 가운데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솟은구역(26)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솟은구역(26)은 골반과 등 그리고 허리 영역을 추가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100)의 이러한 솟은구역에서 본체의 자국들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받쳐주며 지지한다. 상기 보강패드(24)는 전술된 보강패드들(12, 22)과 유사하게 매트리스(100)의 머리쪽과 발쪽에서 솟은구역(26)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패드(24)는 매트리스(100)의 전체 길이와 폭에 실질적으로 걸쳐지되, 매트리스 코어(14)의 길이와 폭 보다 더 짧은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패드(24)는 매트리스 코어(14)와 하나 이상의 덮개층(15) 및 퀼트층(16) 사이에서 매트리스조립체 내에 위치하거나, 경우에 따라 매트리스 코어(14)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패드의 솟은구역(26)은 보강패드(24)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개별 층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형성된 다음에 상기 보강패드(24)에 결합되거나 접착되거나 위로 올려져 놓일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어 여기에서 공개되는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센터존(30)과 두 개의 엔드존들(32)을 포함하는 구획된 덮개부(upholstery component)(28)를 가질 수도 있다. 매트리스(100)를 대략 수평으로 삼분할하는 지점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센터존(30)은 가령, 다른 폼들 또는 다른 종류의 재질들 또는 다른 밀도를 갖도록 두 개의 엔드존들(32)을 구성하는 재질과는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동일한 종류의 폼이되 다른 폼특성들(foam attributes)을 갖도록 예를들면 인접하는 엔드존들(32) 보다 밀도나 IDL(Indentation Load Deflection: 폼이 하중을 견디는 능력에 대한 지표)이 더 높은 폼특성을 갖거나 깍임, 주름 형성, 홀의 형성 또는 부분절삭 등을 통해 치수적으로 다른 폼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100)의 허리와 골반을 지지하는 구역을 위해 상기 센터존(30)의 특성들은 두 개의 엔드존들(32) 보다 더 견고하거나 더 큰 지저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덮개부: 28)는 매트리스 코어(14)와 퀼트층(16) 사이에서 매트리스조립체 내에 위치된다.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은, 상기 패드(28)에서 밀도가 가장 높거나 상대적으로 높던지 또는 가장 단단하거나 상대적으로 단단한 위치에 대응하여 스티치들(161)이 높은 조밀도로 형성된 구역을 갖는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매트리스 코어(14) 아래에서 매트리스조립체의 바닥에 위치하는 (이후에는 '베이스패드'라고 언급될) 베이스 보강패드(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패드(34)는 본체의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도록 허리와 골반 구역들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령, 매트리스(100)가 삼분할된 중간지점이나 매트리스(100)의 머리 지점에서 수평을 가르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솟은구역들(3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드(34)는 매트리스 코어(14)의 길이와 폭과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거나 더 작은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은 베이스패드(34)의 솟은구역(36)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솟은구역 바로 위에) 스티치들(161)의 조밀도가 더 높게 형성된 구역을 갖는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이후에 "기초패드(foundation pad)" 라고 언급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패드들(10, 26, 36)과 같이 "첫번째 보강패드"로써 동일한 의미를 갖는) 매트리스기초(38)의 상면에 위치하는 기초 보강패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 보강패드(40)는 매트리스기초(38)와 매트리스 바닥패드(mattress bottom pad)(42) 사이에서 솟은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매트리스 바닥패드(42) 및/또는 매트리스 코어(14)의 바닥면에는 매트리스 코어(14)의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기초 보강패드(40)의 솟아오르거나 돌출된 형상에 맞도록 파인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매트리스 바닥패드(42)는 매트리스기초(38)와 매트리스 코어(1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매트리스 바닥패드(42)가 제외되는 선택적인 구조에서, 이 경우에는 상기 기초 보강패드(40)는 매트리스 코어(14)로 직접 돌출된다. 상기 기초 보강패드(40)는 매트리스의 골반과 허리 구역들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매트리스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되, 상기 기초 보강패드(40)는 매트리스(100)의 머리 부분과 발 부분 사이의 특정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고, 매트리스기초(38) 위에서 다수 개의 기초 보강패드(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며 압력의 분포가 일정하게 이뤄지도록 지지력과 밀도를 증가시키는 (이전의 결합과 유사 또는 동일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와 같이, 매트리스기초(38) 위로 놓이는 구간들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퀼트 패키지층(16)에는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161)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패드들의 솟은구역들은 매트리스의 머리/목 그리고 허리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됐지만, 상기 솟은구역들은 매트리스의 머리부터 발 구역 어느 곳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솟은 구역들은 (머리부터 발까지) 수직방향 및 측방향 모두에서 조절이 허용되도록 기계장치나 기계조립체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공압 매개체 및 유압 매개체를 포함한다. 상기 솟은구역들은,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점탄성 (메모리) 폼; 라텍스 폼; 목재; 고무재; 섬유재; 판지(cardboard); 옷감/이불잇(ticking); 복합직물재; 및 (나일론, 델린[delrin] 등과 같은) 하드 폴리머(hard polymers)를 포함하는 재질들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재질들로써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조립체의 덮개 또는 안락층들(덮개층)(15)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퀼트 패키지층(16) 아래에서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위에 위치하되 하나 이상의 폼층을 포함한다. 상기 안락층들(15)은 동일한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폼으로 구성된 폼층을 하나부터 다섯 개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안락층은 1 인치 내지 3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1.10 lbs/ft3 내지 1.135 lbs/ft3 범위의 밀도를 갖는 일반적인 규격이거나 매우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재질의 한개 층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락층은 어느 하나가 일반적인 규격이거나 매우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폼 또는 점탄성 폼 또는 이것들의 결합물로 제조된 두 개의 폼 층들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층들 각각의 두께는 1 인치 내지 3 인치 범위에 있으며 각각의 층들의 밀도는 1.10 lbs/ft3 내지 2.5 lbs/ft3 범위에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안락층들은 세 개의 폼층들로 구성되되, 일반적인 규격이거나 매우 부드럽거나 고성능 폴리우레탄(high performance polyurethane)이거나 점탄성 재질이거나 이 것들의 결합물로써 구성된다. 세 개의 층들 각각은 1 내지 3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1.10 lbs/ft3 내지 1.45 lbs/ft3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락층은 일반적인 규격이거나 매우 부드럽거나 고성능 폴리우레탄이거나 점탄성 재질이거나 라텍스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 네 개의 폼 층들로 구성된다. 상기 네 개의 층들 각각은 1 내지 3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1.10 lbs/ft3 내지 1.45 lbs/ft3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안락층은 일반적인 규격이거나 매우 부드럽거나 고성능 폴리우레탄이거나 점탄성 재질이거나 라텍스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 다섯 개의 폼층들로 구성된다. 다섯 개의 층들 각각은 1 내지 3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1.10 lbs/ft3 내지 1.45 lbs/ft3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폼은 층들로 분할되기 전이나 후에 또는 제조과정 동안에 눌려지거나 사전에 미리 압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공정시에 반복적으로 압축이 가해짐에 따라 폼들 간의 결합 시 접착 불량에 의해 ILD 를 저하되거나 매트리스의 특성이 변화되지지 않게한다. 또한, 상기 안락층(15)에 있어서, 다른 층 또는 직물재의 이너패널(inner panel)이 상기 안락층의 다양한 층들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직물층들이 매트리스 및 그 위로 배게가 놓이는 부분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매트리스 코어(14)는 매트리스의 하부측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균등한 반력지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상기 매트리스 코어(14)는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된 스프링 부재들 또는 코일들을 구비한 이너스프링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들은 행과 열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의 스프링들(스프링 부재들)은 첫번째 끝단과 두번째 끝단이 형성된 바디를 갖고, 각 코일들(스프링 부재)들의 바디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이되 길이방향 축과 외경을 가지며, 각 스프링들은 열과 행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되 이웃하는 스프링들 서로 간은 함께 연결된다. 상기 코일들은 나선형의 연결용 와이어들을 사용하여 서로 결속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코일들은 서로 간에 결합되거나 재봉된 직물재의 개별 포켓들(pockets)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폼 지지코어(foam support core)가 매트리스 코어로써 이너스프링의 평면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폼 지지코어는 단일 형태의 폼을 구성할 수도 있고, 한 종류 또는 폴리우레탄, 점탄성 재질 또는 라텍스 폼 등과 같이 다른 종류들의 폼으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폼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폼층은 다른 밀도와 다른 두깨를 갖는 다른 종류의 폼들로 제조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매트리스의 구성요소들 각각이 폼 코어(foam core) 또는 이너스프링 코어로써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테두리 지지시스템(edg support system)(20)이 이너스프링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써, 매트리스 기초 둘레 구조물(20)은 토대의 프레임(일측 변)에서부터 다른 연결지점(보더와이어)까지 연장된 입체적인 구조물들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폼을 이루게 제조된다. 상기 둘레 구조물(20)의 폼 구조물들은 구조적인 강성을 갖되 보더와이어(border wire) 및/또는 그리드(grid)의 움직임이나 편향력에 대응하는 탄성력과 절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둘레 구조물(20)은 폼 또는 다른 압축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되, 매트리스 코어(14)의 둘레에 맞춰지며 매트리스 토대(18)의 프레임에서부터 그리드까지 확장되는 단일 구조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둘레 구조물(20)의 내측 벽면에는 이너스프링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스프링의 외측 테두리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코일들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핑거들(fingers)이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둘레 구조물(2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둘레 구조물(20)의 일부가 코일들 안쪽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너스프링 내부에서 각 코일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도록 스캘로프트 형상(scalloped shape: 부채꼴 형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테두리 지지시스템(20)은 이너스프링 아래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베이스패드(base pad)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패드는 이너스프링의 길이와 폭을 초과하며, 상기 베이스패드의 네 귀퉁이(모서리) 각각에는 슬릿(틈)이나 개구된 부분이 미리 형성된다. 각 모서리에서의 슬릿이나 개구된 부분에서는 돌출된 곳에서 초과된 부분을 접어 넣는 것이 허용되므로, 이너스프링의 둘레를 둘러쌓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매트리스 테두리 지지시스템(20)에 추가적으로, 부차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며 이너스프링의 느낌을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매트리스 이너스프링과 결합되어 다양한 폼 삽입물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폼 삽입물들은 매트리스에서 심하게 사용되는 영역이나 대부분의 압력이 집중되는 영역에서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코일들의 나선들(convolutions)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폼 삽입물들은 이너스프링의 개별 코일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된 매트리스조립체는 스티칭된(재봉된) 구간 즉, 도 1 과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의 조밀도가 높은 구역이 통합된 퀼트 패키지층(16)을 포함하되, 스티치의 조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구역들은 보강패드들이 바로 아래에 놓이는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16)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구획된 스티칭(zoned stitching)" 또는 "구획된 퀼팅(zoned quilting)"은 퀼트 패키지층(16)의 특정 구역에서 개별 스티치들 사이의 공간의 크기나 스티치들의 패턴들 또는 조밀도가 (다른 구역과) 다른 것을 의미한다. 퀼트 스티치들을 형성할 때,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들은 덮개층을 통과하도록 확장될 수 있고 또는 매트리스의 최상층 표면에서부터 그 아래 놓인 하나 이상의 층들까지 확장될 수 있다. 부차적인 실(yarn)이 추가되거나 섬유재의 패턴 형성을 위한 재봉을 통해 실의 밀도가 증가된 이러한 구역들에서는 직물재의 밀도 또한 증가된다. 매트리스 최상층 표면의 특정 구역에서 스티치를 더 추가하거나 패턴의 배치를 더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은 스티치들을 덜 포함하는(조밀도가 낮은) 다른 구역이나 (스티치들) 사이의 공간이 더 넓게 형성된 스티치 패턴을 갖는 구역 보다 더 견고하고 더 압축된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퀼트 패키지층에서 스티치의 더 높은 조밀도는 퀼트 패키지층을 관통하게 확장되어 층들을 서로 압축시키는 터프팅(tufting)에 의해서 이뤄질 수도 있다. 터프팅(tufting)은 스티치들 또는 반복된 스티치의 패턴이나 디자인들 또는 실의 꼬아합침(twine, 트와인) 또는 실의 뀀(string, 스트링) 또는 퀼트 패키지층을 통해 확장되는 끈(tape, 테잎)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된 퀼팅은 매트리스에서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운데 구역 및/또는 머리 구역 및/또는 발 구역에 위치하는 보강패드들이 아래에 놓이는 영역을 선별적으로 미리압축시킨다. 추가적인 폼 부재들은 추가적인 폼 층들을 포함하지 않는 매트리스의 다른 구역들 보다 이러한 영역들을 상대적으로 솟아오르게 만들 수 있다. 보강을 위한 끼워넣음이 매트리스의 이러한 영역들을 솟아오르게 하는 동안에, 구획된 퀼팅은 같은 구역들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으므로, 매트리스의 퀼트 패키지층에서 더 밀집된 구역을 제공하며 최상단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시켜서 (이러한 구역이 없는) 동일한 종류의 매트리스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구적인 흔적이 이러한 구역에서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력을 통합된 구조로써 제공한다. 상기 퀼트 패키지층의 외부 직물재 또는 퀼트 스티칭의 패턴이나 색깔은 구역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폼의 추가적인 삽입이 제공된 매트리스의 구역들 또는 보강된 매트리스의 구역들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구획된 퀼팅은 추가적인 폼 보강패드의 결합 시에도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또는 취지 내에서 제공된 실시예의 다양하고 수 많은 변형예 및/또는 수정예가 당업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권리범위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들과 실시 형태가 본원과 관계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특징들과 실시 형태 및 연계된 변형예와 수정예들의 결과물과 실시예는 하기에 제공된 본 발명 청구항들의 권리범위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제한된다.

Claims (43)

  1. 매트리스 코어;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바닥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네 개의 측면들을 갖고, 상기 바닥면이 매트리스 코어에 근접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상면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덮개층;
    상기 덮개층 및 매트리스 코어를 덮는 퀼트 패키지층;을 포함하며,
    첫번째 보강패드가 매트리스 조립체의 상기 매트리스 코어의 가운데 영역에서 상기 매트리스 코어의 횡측으로 확장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에 대응하는 위치 위로 형성된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에는 스티치들의 조밀도가 다른 영역의 스티치 조밀도 보다 더 크게 형성된 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에서 이격되며 매트리스 코어의 폭을 횡측으로 가로질러 확장되게 배치되는 두번째 보강패드 및 상기 두번째 보강패드에 대응하는 위치 위로 형성된 퀼트 패키지층의 두번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영역에는 퀼트 패키지층의 다른 영역의 스티치 조밀도 보다 스티치들의 조밀도가 더 크게 형성되며 첫번째 보강패드 위로 놓은 상기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과 유사한 스티치의 조밀도를 갖는 매트리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매트리스 조립체의 최상측에 위치하고 첫번째 보강패드가 위치하는 매트리스의 영역 위에서 스티치 패턴을 갖되, 상기 스티치 패턴은 퀼트 패키지층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스티치 패턴과는 다르게 형성된 매트리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매트리스 조립체의 최상측에 위치하고 첫번째 보강패드와 두번째 보강패드가 위치하는 매트리스 영역들 위에서 스티치 패턴을 갖되, 상기 스티치 패턴은 퀼트 패키지층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스티치 패턴과는 다르게 형성된 매트리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은 0.5 내지 0.75 인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은 점탄성(visco-elastic) 폼으로 제조된 매트리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들은 대략 1.5 lb/in2 의 밀도를 갖는 매트리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의 길이는 대략 30 인치인 매트리스.
  9. 제 2 항에 있어서, 두번째 보강패드의 길이는 대략 10 인치인 매트리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코어는 이너스프링 조립체인 매트리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코어는 폼(foam)으로 구성된 매트리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코어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하는 테두리 지지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매트리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스프링 내에서 하나 이상의 코일들의 나선들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폼 삽입물을 더 포함하는 매트리스.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에서 첫번째 보강패드 위로 형성된 스티치 패턴은 퀼트 패키지층의 나머지 영역과는 다른 색상의 실(thread)로 형성되는 매트리스.
  15. 제 2 항에 있어서, 첫번째 보강패드 및 두번째 보강패드와 이격되어 매트리스 코어의 폭을 횡측으로 가로지르게 확장되어 위치하는 세번째 보강패드를 더 포함하는 매트리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보강패드 위로 놓인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에서 형성된 스티치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티치 패턴은 퀼트 패키지층에서 첫번째 보강패드와 두번째 보강패드 및 세번째 보강패드 위로 놓이지 않는 퀼트 패키지층의 구역들에 형성된 스티치 패턴과는 다르게 형성된 매트리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첫번째 보강패드와 두번째 보강패드 및 세번째 보강패드들 위에 놓이도록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들에 형성된 스티치 패턴들은 공유하는 위치(common location)를 갖는 매트리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코어 전체에 맞춰져 인접배치된 탄력성을 갖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매트리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 전체에 맞춰진 탄력성을 갖는 패드의 상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탄력성을 갖는 패드에서 확장된 매트리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의 상면 위로 위치하는 매트리스.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 아래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22. 제 1 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코어의 바닥면 전체로 연장된 바닥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패드와 매트리스 코어 사이에 첫번째 보강패드가 위치하는 매트리스.
  23. 제 2 항에 있어서, 두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의 상면 위로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24. 제 2 항에 있어서, 두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 아래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25. 제 2 항에 있어서, 두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의 머리 구역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26. 제 1 항에 있어서, 첫번째 보강패드는 매트리스의 발 구역 쪽에서부터 매트리스의 길이를 따라 대략 삼분의 일이 되는 지점과 매트리스의 머리 구역 쪽에서 매트리스의 길이를 따라 대략 삼분의 일이 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27. 상면과 바닥면을 갖는 이너스프링;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과 반대측에 위치한 평평한 바닥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된 네 개의 평평한 측면들을 가지며, 폭이 상기 이너스프링의 폭 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길이가 상기 이너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거나 동일하며, 이너스프링의 첫번째 끝단 및 이너스프링의 두번째 끝단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스프링과 인접해 위치하는 첫번째 보강패드;
    상기 이너스프링의 지지면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덮개층;
    상기 하나 이상의 덮개층과 이너스프링 및 첫번째 보강패드 위로 확장되는 퀼트 패키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첫번째 스티치 패턴과 두번째 스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첫번째 스티치 패턴은 두번째 스티치 패턴 보다 조밀도가 더 높은 스티치들을 갖고, 첫번째 스티치 패턴은 첫번째 보강패드 위에 놓인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에 형성되며, 두번째 스티치 패턴은 첫번째 보강패드 위에 놓이지 않는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들에서 형성되는 매트리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평평한 바닥면 및 상기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된 네 개의 평평한 측면들을 갖는 두번째 보강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보강패드는 이너스프링의 폭 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과 이너스프링의 길이와 첫번째 보강패드의 길이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두번째 보강패드는 첫번째 보강패드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스프링에 인접해 위치하고, 첫번째 보강패드와 두번째 보강패드 위에 놓인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들에는 첫번째 스티치 패턴이 형성되며, 첫번째 보강패드나 두번째 보강패드 위에 놓이지 않느 퀼트 패키지층의 영역들에서는 두번째 스티치 패턴이 형성된 매트리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첫번째 보강패드와 두번째 보강패드는 점탄성을 갖는 폼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로 제조된 매트리스.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보강패드는 이너스프링의 첫번째 끝단에서부터 이너스프링의 길이를 따라 대략 삼분의 일이 되는 지점과 이너스프링의 첫번째 끝단의 반대쪽인 이너스프링의 두번째 끝단에서부터 이너스프링의 의 길이를 따라 대략 삼분의 일이 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스티치 패턴은 두번째 스티치 패턴과 다른 색을 갖는 매트리스.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첫번째 스티치 패턴에 의해서 두번째 스티치 패턴에 의해 압축된 정도 보다 더 크게 압축된 매트리스.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스프링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테두리 지지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매트리스.
  34. 매트리스 코어;
    상기 매트리스 코어에 근접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덮개층;
    상기 매트리스 코어 및 하나 이상의 덮개층들 위에 위치하는 퀼트 패키지층;
    상기 매트리스 코어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퀼트 패키지층은, 매트리스의 지지면에 위치하며 퀼트 패키지층의 다른 영역에서의 스티치 조밀도 보다 더 큰 스티치 조밀도를 갖는 영역을 가지며, 퀼트 패키지층에서 더 큰 스티치 조밀도를 갖는 상기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위에서 위치하는 보강패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의 상면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매트리스 코어 아래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덮개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매트리스.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상기 덮개층과 함께 위치되는 매트리스.
  39. 제 3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 위에 위치하는 퀼트 패키지층의 상기 영역은 퀼트 패키지층의 다른 영역들과는 다른 색을 갖는 매트리스.
  40. 제 34 항에 있어서, 매트리스의 아래 놓여 지지하는 기초가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패드는 상기 기초에 근접하게 배치된 매트리스.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퀼트 패키지층에서 더 높은 조밀도의 스티치는 터프팅(tufting)으로 이뤄지는 매트리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은 트와인 터프팅 또는 테잎 터프팅으로 구성되는 매트리스.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덮개층은 미리압축된 폼으로 제조된 매트리스.
KR1020137018227A 2011-01-06 2012-01-05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 KR20140031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13985415A 2011-01-06 2011-01-06
US12/985,415 2011-01-06
PCT/US2012/020291 WO2012094468A1 (en) 2011-01-06 2012-01-05 Mattresses with reinforcement inserts and densified stitch z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187A true KR20140031187A (ko) 2014-03-12

Family

ID=5064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227A KR20140031187A (ko) 2011-01-06 2012-01-05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3114B2 (en) 2015-12-17 2021-06-15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 with variable loading response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US11051631B2 (en) 2016-01-21 2021-07-06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s with non-linear loading response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US11076705B2 (en) 2014-05-30 2021-08-03 Sealy Technology, Llc Spring core with integrated cushioning lay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705B2 (en) 2014-05-30 2021-08-03 Sealy Technology, Llc Spring core with integrated cushioning layer
US11033114B2 (en) 2015-12-17 2021-06-15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 with variable loading response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US11051631B2 (en) 2016-01-21 2021-07-06 Sealy Technology, Llc Coil-in-coil springs with non-linear loading response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9722A1 (en) Mattresses with reinforcement inserts and densified stitch zones
AU656863B2 (en) Improved top surface of a mattress
US11602227B2 (en) Mattresses including spacer fabric and related methods
CA3046626C (en) Mattress assembly with a mattress topper that includes pocketed coil spring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7454810B2 (en) Divided support mattress
US7617788B2 (en) High comfort mattresses having fiberballs
US5974609A (en) Quilt top mattress with convoluted foam cushion
US6223370B1 (en) Anti-roll off mattress construction
CA2761793A1 (en) Mattress with quilted zoned topper
KR20140031187A (ko) 보강용 삽입물들과 고밀화된 스티치 구역들을 갖는 매트리스
US6308354B1 (en) Upholstery pad with steel reinforced support
US20100024127A1 (en) Body support mattress pad
KR101159020B1 (ko) 숨이죽지 않는 3단요의 제조방법
US20240099474A1 (en) Improved cushioning material
KR200165577Y1 (ko) 탄력이 강화된 침대용 매트리스지
AU4108099A (en) Anti-roll off mattress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