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150A -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150A
KR20140031150A KR1020130105907A KR20130105907A KR20140031150A KR 20140031150 A KR20140031150 A KR 20140031150A KR 1020130105907 A KR1020130105907 A KR 1020130105907A KR 20130105907 A KR20130105907 A KR 20130105907A KR 20140031150 A KR20140031150 A KR 20140031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channel access
beacon
station
s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476B1 (ko
Inventor
정민호
권형진
이재승
박재우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1910181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33646B/zh
Priority to CN201380057625.5A priority patent/CN104770046B/zh
Priority to PCT/KR2013/007979 priority patent/WO2014038846A1/ko
Priority to US14/425,617 priority patent/US9807797B2/en
Priority to CN201910181659.4A priority patent/CN110034790B/zh
Publication of KR2014003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150A/ko
Priority to US15/706,085 priority patent/US10219298B2/en
Priority to US16/245,179 priority patent/US106873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채널 액세스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복수 개의 섹터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Sector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동안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를 제외한 나머지 섹터에 대하여 상기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모두에 대하여 옴니 비콘(Omni-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의 BSS 인터벌(BSS Interval) 동안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CHANNEL AC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의 채널 액세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히든 노드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는 충돌 회피 관점의 채널 액세스 방식(channel access scheme)의 특성에 의하여, 같은 기지국(BSS) 내에 있는 여러 대의 스테이션(STA)(111, 112)들이 동시에 AP(Access Point)(100)와 데이터 전송을 하려고 할 시에 불가피한 에어 타임(air-time) 충돌이 일어나는 히든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가 발생한다.
또한, 인접한 다른 BSS에 위치한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시도 역시,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간섭(interference)으로 작용하게 되어 원래 목적한 데이터 송수신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OBSS 간섭 문제/ Overlapped BSS interference problem). 도 2는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OBSS 간섭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지국(BSS)마다 스테이션(STA)들의 접속기회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주파수 자원 상에서 충돌이 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가진 AP를 사용함으로써 채널 접속 시도를 공간적으로(spatially) 분산시켜줌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섹터화(sectorization)라 한다.
일반적으로 섹터 안테나는 복수 개의 평면 안테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선별적으로 점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중 안테나 조합을 이용하여 빔 포밍(beam forming) 등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섹터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장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섹터화(sectorization)는 그 운용 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기존 무선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기술적으로 논의되지도 않았다.
그러나, 센서 어플리케이션(sensor application), 인도어/아웃도어 M2M(indoor/outdoor M2M), 확장 범위 셀룰러 오프로딩(extended range cellular offloading)을 주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고려하는 IEEE 802.11ah, IEEE 802.11af에 이르러서는 범위(coverage)가 1km 내외까지 넓어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BSS가 관장하는 스테이션의 개수가 수천 대 내지 수만 대까지 늘어남에 따라 기존의 히든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 및 OBSS 간섭 문제(OBSS interference problem)로 인하여 도저히 실효 있는 데이터 송수신 자체가 불가능한 지경에 다다르게 되었다. 따라서, 섹터화(sectorization)을 통하여 스테이션들의 운용을 공간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들을 획기적으로 완화하는 기술이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 받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복수 개의 섹터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Sector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동안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를 제외한 나머지 섹터에 대하여 상기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모두에 대하여 옴니 비콘(Omni-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의 BSS 인터벌(BSS Interval) 동안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스윕(Sector Sweep)을 수행하여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 섹터화를 적용함으로써, 히든 노드 문제, OBSS 간섭 문제 등에 강인한 BSS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무선랜 센서 어플리케이션을 다루는 802.11ah 및 802.11af에서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히든 노드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OBSS 간섭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섹터의 개수가 3일 때의 BSS의 공간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된 경우의 비콘 및 인터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스윕의 시간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인터벌 내에서 채널 액세스가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메시지 및 인터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된 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 타입 0에서의 섹터 트레이닝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RAW 및 섹터 리포트 RAW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해 구성되는 BSS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섹터의 개수가 3일 때의 BSS의 공간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은 환경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AP의 섹터 안테나의 점멸 시간을 시간적으로 구분하고, 각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는 각 방향에 위치한 스테이션들의 송수신을 담당하도록 전담시킬 수 있다. 즉, AP는 제1 섹터(311), 제2 섹터(312), 제3 섹터(313) 별로 점멸 시간을 시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복수 개의 섹터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Sector 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410).
채널 액세스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동안, 색터 비콘을 전송한 어느 하나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420). 즉,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각 섹터 안의 스테이션의 데이터 송수신은 해당 스테이션이 매핑(mapping)된 섹터에 대한 섹터 인터벌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섹터 인터벌이 지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복수 개의 섹터 중 나머지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410 단계)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420 단계)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430).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모든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복수 개의 섹터 모두에 대하여 옴니 비콘(Omni-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440). 이는, 연관(association),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및 멀티 섹터 전송(multi-sectors transmission)을 위해서는 섹터화(sectorization)의 경우에도 모든 섹터에 동일하게 전송되는 옴니 비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의 BSS 인터벌(BSS Interval) 동안 복수 개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450).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TIM(Traffic Indication Map)의 경우, 섹터 전용 스테이션(sector-dedicated STA)에 대한 TIM은 섹터 비콘에서, 그 외의 것은 옴니 비콘에서 통지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전용 송수신(Sector-dedicated 송수신)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MU-MIMO 어크로스 섹터(MU-MIMO across sectors) 등의 그 외의 송수신은 각각 섹터 인터벌 및 BSS 인터벌로써 시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내에서도 일부 시간 구간을 다른 섹터 또는 멀티 섹터(multi-sectors) 송수신을 위하여 반납할 수 있다.
비콘을 듣지 않고 슬립 모드(sleep mode)에 있는 것이 허용되는 비-TIM 장치(Non-TIM device)의 경우 자신의 섹터 번호를 알지 못하므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전방향(omni-directional) 송수신을 허용하고, 시간적으로 주기가 고정되어 있는 BSS 인터벌에 가서 어웨이크(awake)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비콘과 옴니 비콘을 그 등장빈도를 고려하여, 쇼트 비콘(short beacon)과 풀 비콘(full beacon)의 관계에 매핑(mapping)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된 경우의 비콘 및 인터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섹터가 3개가 있는 경우,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제1 섹터에 대한 섹터 비콘(510)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제1 섹터 인터벌(511) 동안 제1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섹터 인터벌(511)이 지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제2 섹터에 대한 섹터 비콘(520)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제2 섹터 인터벌(521) 동안 제2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섹터 인터벌(521)이 지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제3 섹터에 대한 섹터 비콘(530)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제3 섹터 인터벌(531) 동안 제3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섹터 인터벌(531)이 지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모든 섹터(제1 섹터, 제2 섹터, 제3 섹터)에 대하여 옴니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을 섹터에 관계 없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특정 섹터 전용(sector-dedicated)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우에 대한 TIM 및 그룹별 윈도우(window) 시간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이에는 섹터 스윕(sector-sweep)을 위한 RAW, 멀티 섹터 MU-MIMO(multi-sectors MU-MIMO) 전송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섹터 스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각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내에서 기타 섹터(sectors)로의 시간 구간 반납(또는 재반납)에 대한 시간적 정보도 옴니 비콘에 수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에 섹터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다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AP의 섹터 안테나의 수신 모드는 전방향(omni-directional)일 수 있다.
이는 비콘을 듣지 않고서 연관(association)을 하려는 스테이션의 경우,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 때 액티브 스캐닝을 시도하는 스테이션이 어느 섹터의 영역에 속해있는 지는 AP가 아직 알지 못하므로, 프루브 요청(probe request)를 성공적으로 AP가 수신할 수 있기 위해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의 수신 모드는 전방향(omni-directional)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AP의 안테나(antenna)는 송신(downlink)의 경우에만 섹터 전송(sector transmission)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루브 요청(probe request)도 전방향으로 왔고, 프루브 응답(probe response)도 전방향으로 발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이후에 스위핑 옴니 비콘(sweeping omni beacon)을 보고,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가 어디인지 알려주는 교환 시퀀스(exchange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캐패빌리티 교환(Sector Capabilities Exchange)을 위하여, 섹터화된 빔 캐퍼블 필드(Sectorized beam capable field), 섹터화 타입 필드(Sectorization type field), 전체 섹터 개수 필드(Total sector number field) 등의 필드를 포함하는 색터 캐패빌리티 정보 엘리먼트(Sector Capabilities I.E.)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터 캐패빌리티 정보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Elements ID Length Sectorized beam capable Sectorization type Total sector number reserved
8 8 1 2 4 1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dot11S1GSectorImplemented이 참(true)인 경우, 스테이션은 연계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에서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의 섹터화된 빔 캐퍼블 필드에 1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또한,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에서, 섹터화 동작이 타입 0인지 타입 1인지에 따라 섹터화 타입 필드에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섹터화 동작의 타입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dot11S1GSectorImplemented이 거짓(false)인 경우, 스테이션은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에서, 섹터화된 빔 캐퍼블 필드에 0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dot11S1GSectorImplemented이 참(true)인 경우, AP는 연계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에서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의 섹터화된 빔 캐퍼블 필드에 1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AP는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에서, 섹터화 동작이 타입 0인지 타입 1인지에 따라 섹터화 타입 필드에 값을 설정하고, 설정 섹터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도록 섹터화 타입 필드에 값을 설정할 수 있다. dot11S1GSectorImplemented이 거짓(false)인 경우, AP는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에서 섹터화된 빔 캐퍼블 필드에 0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섹터화 된 빔의 전송 가능한 AP(A sectorized beam-capable AP)는 연계(association) 이후에 섹터화된 빔의 수신이 가능한 스테이션(a sectorized beam-capable STA)으로 특정 섹터 아이디를 (재)할당할 수 있다. 섹터화 된 빔의 전송 가능한 스테이션(A sectorized beam-capable STA)은 선택적으로, 연계된 섹터화된 빔의 수신이 가능한 액세스포인트(a sectorized beam-capable AP)로 섹터 아이디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섹터화 된 빔의 전송 가능한 스테이션(A sectorized beam-capable STA)은 선택적으로, 연계된 섹터화된 빔의 수신이 가능한 AP(a sectorized beam-capable AP)로 섹터 트레이닝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스윕(Sector Sweep)을 수행하여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연관 시의 각 스테이션은 아직 자신이 어느 섹터에 속하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섹터를 알아내기 위하여 추가적인 섹터 발견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때, 연관 동작은 옴니 비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섹터 스윕(sector sweep)은 시간적으로 고정되거나 가변된 위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절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섹터화(Sectorization)의 경우에 각 스테이션은 자신이 어느 섹터에 속해있는지 알아내어야 하며, AP와도 해당 정보(자신이 어느 섹터에 속해있는지)를 공유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AP가 추후에 해당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구간에 스테이션과의 송수신 기회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발견 절차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섹터를 시간적 중첩 없이 모두 듣도록 하기 위한 섹터 스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스윕을 NDP(No Data Protocol) 타입의 신호열로 정의하여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시간 지속(time duration)을 줄일 수 있다(reduction). 이와 같은 NDP 타입의 섹터 스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스윕의 시간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NDP 타입의 섹터 스윕(NDP sector sweep) 신호는 STF-LTF1-SIG로 구성될 수 있다(data는 없음). 각 섹터 NDP의 신호는 섹터의 전체 개수(Total number of sectors), 이번 NDP의 현재 섹터 넘버(current sector number of this NDP), AP 주소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채널 액세스 방법은 802.11ah의 1MHz 또는 2MHz BSS의 경우에는 1MHz 또는 2MHz 프리엠블 포맷(preamble format)을 사용할 수 있으며, 4/8/16MHz BSS의 경우에는 해당 전 채널에 대한 신호(SIG) 또는 1 또는 2MHz 단위의 주파수 듀플리케이트(duplicate) 형태의 SIG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섹터 NDP의 신호는 섹터의 전체 개수(Total number of sectors), NDP, AP 주소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802.11ah의 1MHz BSS에서의 NDP 타입의 섹터 스윕의 신호 비트 필드(SIG bit field)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Unused MCS field in normal data packet
TA 9 (partial) BSSID
Total number of sectors 4(or less)
Current sector number 4 0~15
Reserved 5
Tail bits 6 TBD(Depending on group's decision on tail bit support)
CRC 4
TOTAL 36 2MHz case, there are 12 reserved bits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스윕을 RAW(Restricted Access Window)로 지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 섹터 스윕을 RAW로 지정하여 진행함으로써, 다른 임의의 섹터(또는 여러 섹터들) 송수신에 의한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성능 열화를 막고, 또 섹터 발견에 의한 기타 송수신의 성능 열화도 막을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스윕을 RAW로 지정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해당 시간 구간 동안에는 다른 목적의 송수신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BSS 인터벌 내에 섹터 스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AW로 보호되는 NDP 타입의 섹터 스윕은 옴니 비콘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그룹별 스케쥴링(scheduling) 정보에 의하여 BSS 인터벌 내에 필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필수적인 NDP 타입의 섹터 스윕 RAW는 패시브 스케닝 장치(passive scanning device)의 경우에 옴니 비콘을 들은 이후에 섹터를 미리 알고 연관(association)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옴니 비콘 바로 직후(또는 SIFS 시간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옴니 비콘은 미리 설정된(pre-scheduled) BSS 인터벌 내에서의 섹터 스윕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NDP 타입 섹터-스윕 RAW의 위치는 BSS 인터벌 내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옴니 비콘에 의하여 사전에 공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NDP 타입 섹터 스윕 RAW를 BSS 인터벌 내에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섹터 인터벌 내에서 멀티 섹터(multi-sectors) 송수신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시간 구간 내에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BSS 인터벌까지 기다리지 않고서도 조속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섹터 인터벌 내에 NDP 타입 섹터 스윕 RAW를 배치한 경우에도, 채널 액세스 방법은 NDP 타입 섹터 스윕 RAW의 위치를 미리 설정(pre-scheduled)하고, 그 위치를 옴니 비콘을 통하여 공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섹터 발견 절차를 통하여 자신의 최적 섹터를 찾을 수 있다. 자신이 속할 최적 섹터를 찾은 경우, 스테이션은 그 결과를 AP로 보고(Report)할 수 있다. 이 때, 스테이션은 연관 요청(association request)를 통하여 보고할 수 있으며, 또는 AID 재할당(AID re-assignment)을 요청하는 별도의 프레임(frame)을 통하여 보고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발견 절차를 통하여 자신이 속한 최적 섹터를 발견한 스테이션으로부터 발견 견과를 보고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스테이션의 해당 섹터 넘버에 대하여 해당 섹터 전송으로 이루어지는 AP의 확인(confirmation)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은 BSS 인터벌 내에 위치한 (기본적인/ mandatory) 섹터 스윕 RAW를 수신하거나, 섹터 인터벌 내의 (예외적인 구간에) 미리 정의된 (추가/ additional) 섹터 스윕 RAW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의 최적 섹터를 발견할 수 있다. 다만, 옴니 비콘에 의하여 사전에 섹터 스윕 RAW가 공지되지 않은 구간에 대해서도 스테이션들이 섹터 발견 요청(sector discovery request)을 할 수 있으며, 섹터 발견 요청들에 기반하여 AP의 판단에 의하여 추가적인 섹터 스윕 RAW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액세스 방법은 빠른 섹터 발견(Fast Sector Discovery)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빠른 섹터 발견(Fast Sector Discovery) 절차를 진행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섹터 발견 요청(Sector Discovery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미리 설정된 섹터 스윕 외에 추가적인 섹터 스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스테이션으로부터 빠른 섹터 발견 절차의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사전에 섹터 스윕 RAW가 정의되어 있지 않았던 구간에 대해서도 스테이션이 전송하는 빠른 섹터 발견 요청에 기반하여 (AP의 판단을 거쳐) 예외적인 섹터 스윕(sector-sweep) RAW를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의 기타 섹터로 반납된 시간 구간 동안에 추가적으로 둘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스테이션이 섹터 발견 요청(AP 주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AP에 전송하고, 여러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기반하여 판단을 거쳐 추가적인 섹터 스윕을 AP가 전송하면, 해당 스테이션들이 알아낸 섹터 보고(sector report)를 하는 절차일 수 있다. 한편, 빠른 섹터 발견 요청(fast sector discovery request) 시에 스테이션은 AP에게 발견의 긴급성(urgency)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인터벌 내에서 채널 액세스가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스테이션의 데이터 송수신은 해당 스테이션과 매핑(mapping)된 섹터 인터벌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인터벌 내에서 장치(device) 종류 등에 따른 논리 그룹핑(logical grouping)에 의하여 추가적인 RAW(Restricted Access Window)를 삽입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인터벌 내에서 미리 설정된(pre-scheduled)된 (그리고 섹터 비콘 및 옴니 비콘에 의해 공지된) 섹터 전용(sector-dedicated) RAW들이 시간적으로 종료되면, 해당 섹터 인터벌의 남은 시간은 다른 섹터 또는 모든 섹터의 송수신을 위한 부가적인 자원 사용을 위하여 반납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제2 섹터에 대한 섹터 인터벌(710)이 전부 지나기 전에 제2 섹터 내의 스테이션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경우,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제2 섹터에 대한 섹터 인터벌(710)의 남은 시간(720)을 다른 섹터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반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납 역시 사전에 스케쥴(scheduled)되어 옴니 비콘에서 미리 공지될 수 있다. 단, 사전에 스케쥴(scheduled)되지 않은 반납 필요가 발생했을 시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전방향(omni-directional) 전송으로 일종의 싱크 프레임(sync. Frame)을 모든 섹터에 대해서 (또는 반납 이후 사용 가능한 섹터들에 대해서) 보내주어 공지할 수 있다. 해당 싱크 프레임(sync. Frame)은 BSSID와 같은 AP의 주소와 반납 이후 사용 가능한 섹터의 넘버 조합을 포함하는 NDP 타입의 시퀀스(sequence)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섹터의 넘버 조합은 원래 섹터에 추가되는 섹터 번호를 수록할 수 있다. 이 때, 원래 섹터로의 재반납 필요성이 있을 때라면 채널 액세스 방법은 같은 용도의 싱크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색터 인터벌 내에서 추가적인 NDP 섹터 스윕을 두는 경우, 타색터들에의 반납시점 직후에 NDP 섹터 스윕을 둘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채널 액세스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을 섹터드 빔(sectored beam)의 스윕핑(sweeping)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과 섹터 비콘 간의 커버리지 미스매치(coverage mismatch)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비콘 발송 이전에 어느 섹터에 어느 시간 슬롯으로 할당되었는지의 정보가 AP와 스테이션 간에 사전 약속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AP로부터의 방향성에 따라 스테이션들의 분포 정도가 다를 수 있음을 반영하여, 각 섹터 타임 윈도우(sectored time window)를 조정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비-TIM 장치(Non-TIM device)의 상대적 각도 위치를 AP가 미리 알고 있어서, AP가 윈도우 배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비-TIM 장치(Non-TIM device)의 경우에는 논리적 그룹핑(logical grouping)의 경우와는 달리 진입을 해도 AP가 듣지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OBSS에 의해서 동일 BSS 내에 있더라도 섹터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도 있고 받지 않을 수도 있고, 따라서, 특정 섹터에서는 간섭 때문에 쓸 수 없는 채널이 다른 섹터에서는 사용 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별로 채널을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섹터에 속한 스테이션으로 MU-MIMO 그룹핑(채널 직교성(channel orthogonality) 관점에서 더 부합)을 만들기 위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동시 전송을 위하여 불가불 복수 개의 섹터의 동시 전송이 가능한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섹터에서 섹터로 옮겨가는 경우(mobility), 이로 인하여 스테이션이 어느 섹터로 옮겨가게 되었는지를 AP가 알 수 있도록 TIM MAP에서의 주소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일종의 재할당 프로토콜(re-assignment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논리 그룹핑(logical grouping)에서의 여러 변화를 공지하는 프로토콜(TIM/non-TIM switch와 비슷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메시지 및 인터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빔 스위핑이 연결된 오직 하나의 비콘(Only one beacon as concatenated beam sweeping)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섹터 인터벌(810), 제2 섹터 인터벌(820) 및 제3 섹터 인터벌(83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각 섹터에 대한 섹터 비콘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Sectored beacon for each sector at the same time). 이 경우, 제1 섹터에 대한 비콘(910), 제2 섹터에 대한 비콘(920) 및 제3 섹터에 대한 비콘(930)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AP에서 스테이션을 위한 최고의 섹터를 학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섹터화된 빔 트레이닝/피드백(Sectorized Beam Training/Feedback)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AP는 섹터/그룹 아이디들과 함께 섹터화된 빔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어느 섹터가 최고인지를 관찰하고, 섹터/그룹 아이디를 액세스포인트로 피드백 할 수 있다. 고정 스테이션에 대해서, 최고 섹터는 아주 안정적일 수 있어서, 한 번 또는 빈번하지 않은 피드백만 필요할 수 있다. AP는 스테이션의 최고 섹터를 알 수 있다. AP는 스테이션의 섹터에 기초하여 특정 그룹의 스테이션과 연관(associate)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된 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P는 주기적 섹터 빔 트레이닝 세션(1010)을 가지는 옴니 비콘들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섹터/그룹 피드백을 AP로 전송하고, AP는 스테이션의 섹터에 대응하는 특정 그룹으로 스테이션과 연계(associate)할 수 있다. AP는 특정 TIM 그룹에 대한 RAW 안에서 또는 한 섹터 안에서 하나의 스테이션에 대한 특정 TXOP 동안 섹터화된 빔 동작을 스위치 할 수 있다. NDP(예를 들어, 사운딩 NDP with Nsts=1)를 사용하는 RAW 동안 섹터 빔 트레이닝은 비콘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AP는 트레이닝 RAW에 대해 고정된 스케줄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 섹터/그룹 피드팩 포맷은 정의될 예정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NDPA+) NDP 또는 섹터 스윕의 새로운 프레임들이 타임 듀레이션(duration)의 감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섹터 스윕은 섹터화된 또는 전방향 전송에 의한 데이터 전달과 섹터 스윕 사이에 서로 미치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독립된 RAW로써 그룹핑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RAW로 그룹핑된 섹터 스윕은 옴니 비콘에 포함된 GRPS에 의해 가리켜지는 기 설정된 시간에 시작될 수 있다(Sector sweep (grouped as a RAW) comes at a pre-determined time which is indicated by GRPS included in the Omni beacon). 이 때, 섹터 스윕 RAW는, 섹터들의 전체 개수, 현재 섹터 넘버(각 섹터 넘버 당), 각 섹터(각 섹터 프레임 당)에 대한 섹터 리포트 RAW의 지속 시작 시간, AP 어드레스, 공간 스트림 넘버, 대역폭(BW)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섹터 스윕을 수신함에 의하여, 섹터 넘버를 알게 된 후에, 스테이션은 섹터 스윕 다음에 이어지는 BSS 인터벌 동안 AP로 스테이션의 섹터 넘버를 보고할 수 있다. 일반 섹터 데이터 전달(또는 옴니 방향 데이터 전달)로부터 간섭을 피하기 위해, TX 및 RX 사이에서 섹터화된 커버리지를 매칭하기 위해, 섹터 넘버를 알게 된 스테이션에 대해, 대응하는 섹터는 섹터 리포트를 위해 전용(dedicated) RAW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섹터 스윕 RAW(1110)에 따라 섹터 넘버를 알게 된 스테이션은 AP로 제1 섹터 보고 RAW(sector report RAW)(1120)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섹터 스윕 RAW에 따라 섹터 넘버를 알게 된 스테이션은 AP로 제2 섹터 보고 RAW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섹터 스윕 RAW에 따라 섹터 넘버를 알게 된 스테이션은 AP로 제3 섹터 보고 RAW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모든 비콘들이 옴니 비콘들인 경우, 모든 비콘 인터벌은 섹터 또는 옴니(omni)에 대해 AP의 결정에 따라서, RAW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옴니 비콘에서 모든 스케줄링 정보는 GRPS 정보에 의해 서포트 될 수 있다.
섹터 비콘들과 하나의 옴니 비콘인 경우, 섹터 비콘 인터벌의 기본 사용은 섹터 전용의 데이터 전달일 수 있다. 옴니 비콘 인터벌(BSS 인터벌)의 기본 사용은 옴니 또는 멀티 섹터 데이터 전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섹터 비콘 인터벌의 남은 듀레이션을 옴니 방향(또는 멀티 섹터) 데이터 전달로 돌려 주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옴니 비콘에 있는 GRPS 정보는, BSS 인터벌 동안 멀티 섹터 RAW들의 시작 시간 및 듀레이션, BSS 인터벌 동안 어느 섹터들이 대응하는 멀티 섹터 RAWs에 턴온(turn on)될 것인지 여부, 모든(또는 일부) 섹터들로 반환되는 인터벌의 시작 시간(및 듀레이션), 각 섹터 인터벌 내에서, 반환되는 인터벌 동안 어느 섹터들이 대응하는 멀티 섹터 RAWs에 턴온(turn on)될 것인지 여부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섹터 비콘에 있는 GRPS 정보는, 각 섹터 인터벌 동안 섹터 전용 RAWs의 시작 시간, 듀레이션(이 정보는 옴니-풀 비콘의 GRPS에서 재 반복(re-iterate)될 수 있음)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빠른 섹터 발견 절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섹터화 타입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화 타입은 타입 0(섹터에 기초한 비콘 인터벌)과 타입 1(섹터에 기초한 RAW 또는TXOP)의 2종류일 수 있다. 또한, 비콘 타입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타입은 섹터 비콘(타입 0), 옴니 비콘(타입0 또는 타입 1)의 2종류일 수 있다. 섹터 캐패빌리티 교환(Sector capabilities exchange)은 연관 동안 AP의 섹터 전송 캐퍼블(capable), 스테이션의 섹터 보고 캐퍼블(capable), 전체 섹터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 동작 인디케이션(Sector operation indication)의 경우, 섹터 비콘의 주기 및 미리 결정된 섹터 아이디/그룹아이디(타입 0), 다음 섹터 트레이닝의 시간(타입 1)을 비콘 또는 응답 상태에 놓일 수 있다. AID 변화(AID change)의 경우, 섹터에 기초하여 제1 AID를 획득 또는 먼저 옴니에 기초하여 AID를 획득하고, AID를 재할당할 수 있다.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절차는 섹터화 타입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동작할 수 있다.
타입 0(섹터에 기반한 비콘 인터벌)의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비콘(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섹터 ID) => 섹터 디스커버리 => 연계(association)(AID 획득,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 비콘(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비콘(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 연계(association)(AID 획득,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 섹터 디스커버리 => AID 재할당 => 비콘(섹터 아이디/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 연계(association)(AID 획득,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 섹터/옴니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디스커버리 => AID 재할당 => 비콘(섹터 아이디/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옴니 비콘(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 옴니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디스커버리 => 연계(association)(AID 획득,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 비콘(섹터 아이디/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프로브 요청 및 응답(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및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 연계(association)(AID 획득) => 섹터 또는 옴니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디스커버리 => AID 재할당 => 비콘(섹터 아이디/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액세스 방법은, 프로브 요청 및 응답(액세스포인트의 섹터 용량 및 스테이션의 섹터 용량, 섹터 비콘의 주기) => 옴니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디스커버리 => AID 재할당 => 비콘(섹터 아이디/그룹 아이디)의 순서로 섹터 발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섹터화 타입인 타입 0 및 타입 1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로서, 연계(association) 동안 교환되는 섹터 캐패빌리티들(섹터 타입)에 따른 선택 구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타입 1은 비콘에 섹터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특정 RAW에 대해서는 섹터 아이디를 구체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트레이닝을 위한 PRAW(NDP 스윕 타입)가 사용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섹터 비콘 사이클이 대부분 롱 비콘(long beacon)에 해당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닝을 위한 PRAW(NDP 스윕 타입)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서브 필드를 추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11ac 사운딩에서 NDP 폼 체크).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 타입 0에서의 섹터 트레이닝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테이션은 섹터 트레이닝 요청으로, ASELC 세트를 1로 한 +HTC 프레임(1210)을 전송함으로써, 섹터 트레이닝을 초기화할 수 있다. AP는 TXOP에서 SIFS에 의해 분리되는 트레이닝 NDP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연속적인 트레이닝 NDP들은 다른 섹터화된 빔들에 대해 ACK 없는 TXOP 홀더일 수 있다. 각 트레이닝 NDP는 한 섹터 빔에 대해 전송될 수 있다. 어나운스먼트 서브필드(announcement subfield)가 1로 설정된 +HTC프레임(1210)은 제1 트레이닝 NDP 프레임에 선행하여 위치할 수 있다. 트레이닝 NDP 프레임의 위치는 섹터화된 빔들의 섹터 아이디들에 대응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각 트레이닝 NDP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함으로써,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섹터 트레이닝 프레임들을 수신함으로써, 트레이닝에 참여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뒤이어오는 TXOP에서 TBD 섹터 아이디 피드백을 사용하여, 선택된 섹터 아이디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VHT를 위한 NDP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NDP(참조)의 경우, 스테이션에 의해서 자신의 최고 섹터 넘버를 찾기 위해 초기화되는 타입 1 섹터 디스커버리와 다르게, 타입 0 섹터 디스커버리는 최고의 섹터 아이디들을 찾는 많은 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AP에 의해 초기화되는 브로드캐스팅 타입의 사운딩 시그널링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S1G 섹터 사운딩에 적용하려면, NDPA 어나운스먼트 프레임 중에서, TA => AP의 AID, RA => 스테이션의 AID 또는 브로드캐스트 타입일 수 있다. TA 또는 RA는 NDP의 SIG 필드에 삽입될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NDP 중에서, 각 섹터 빔에서 SIFs가 그 사이에 위치한 연속적인 NDP들이 위치하고, 현재 섹터 아이디는 NDP의 SIG 필드에 삽입되고, 섹터의 전체 개수는 NDP의 SIG 필드에 삽입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트 섹터 디스커버리를 위한 NDP 1MHz 모드 포맷(NDP 1MHz mode format for Broadcast sector discovery)을 나타내는 표이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0 All broadcast
TA 9 PBSSID
Current sector number 4 From 0
to total sector number-1
Total sector number 4 Up to 16
Time to sector report 4 Time to sector report when current sector is chosen. TBD.
Reserved bit 1
Tail bits 6
CRC 4
TOTAL 36
또한,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브로드캐스트 섹터 디스커버리를 위한 NDP 2MHz 모드 포맷(NDP 2MHz mode format for broadcast sector discovery)을 나타내는 표이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9 AID or
"all Zero" for Broadcast
TA 9 PAID
Current sector number 4 From 0
to total sector number-1
Total sector number 4 Up to 16
Time to sector report 4 Time to sector report when current sector is chosen. TBD.
Reserved bit 4
Tail bits 6
CRC 4
TOTAL 48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안정적인 브로드캐스트 섹터 사운딩을 위해서, SIFs 가 사이에 위치한 브로드캐스트 섹터 NDP들이 주기적 RAW(액세스포인트에서만 접근 가능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섹터 NDP PRAW는 비콘의 RPS I.E.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각 트레이닝 NDP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함에 의하여, 섹터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섹터 트레이닝 프레임들을 수신함으로써, 트레이닝에 참여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섹터 아이디 피드백을 사용하여 선택된 섹터 아이디에 응답할 수 있다. 수많은 섹터 리포트들로부터 히든 노드 문제를 피하기 위해, 특정 섹터(최고 섹터로써 선택된)에 대한 섹터 리포트가 RAW(상기 특정 섹터를 최고로써 선택한 스테이션에 의해서만 접속 가능한)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대응하는 섹터 사운딩으로부터 RAW에 대한 시간은 대응하는 NDP 사운딩의 SIG 필드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섹터화 타입 0의 섹터 발견 절차(Type 0 Sector Discovery)는 (MAC에서 정의되는) 섹터 피드백 정보 엘리먼트(Sector Feedback I.E.)를 가질 수 있고, 이 때의 섹터 피드백 정보 엘리먼트는 TA, RA(OBSS로부터 충돌을 피하기 위한 AP), 선택된 섹터 아이디 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피드백 정보 엘리먼트의 필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Elements ID Length RA TA Chosen Sector ID Reserved
1 1 6 6 1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 피드백을 위한 NDP 1MHz 모드 포맷(NDP 1MHz mode format for Sector Feedback)(PHY에서 정의되는)을 나타내는 표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섹터 디스커버리를 위한 모든 NDP 타입들은 하나의 메시지 타입을 가질 수 있다(All the NDP types for sector discovery can have only one message type).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9 PBSSID
TA 9 PAID
Chosen sector ID 4
Reserved bit 0
Tail bits 6
CRC 4
TOTAL 36
또한, 아래 표는 섹터 피드백을 위한 NDP 2MHz 모드 포맷(NDP 2MHz mode format for Sector Feedback)(PHY에서 정의되는)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 때, 섹터 디스커버리를 위한 모든 NDP 타입들은 하나의 메시지 타입을 가질 수 있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9 PBSSID
TA 9 PAID
Chosen sector ID 4
Reserved bit 12
Tail bits 6
CRC 4
TOTAL 48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트레이닝 NDP(Training NDP)는 NDPA 포맷(NDPA format), NDP 포맷(NDP format)(섹터 아이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에 의한 섹터 리포트(Sector Report by STA)는 AID 재할당 요청 프레임(reassignment request 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P에 의한 엑크(ACK by AP)는 AID 재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AP의 동작은 비콘(Beacon)(타입 0 또는 타입 1로 섹터화), 사운딩 RAW 시점 공고할 수 있다. 타입 0에서도 섹터 아이디 미정인 스테이션들을 위해 별도의 사운딩 RAW를 공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콘 RPS에서 전송은 하지 않고 수신하는 용도의 RAW 시그널링(signaling)을 집어 넣을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사운딩 RAW에 이은 섹터 간 히든 노드(hidden node) 및 알려지지 않은 스테이션(unknown STA)에 의한, 히든 노드(hidden node) 방지를 위해 리포트 RAW를 둘 수 있다. 또한, 리포트 RAW내 또는 섹터별 RAW에 슬롯들이 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동작은 스테이션은 연관(Association) 시에 섹터 캐퍼빌러티(sector capabilities) 정보를 AP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연관(Association) 시에 섹터 아이디(sector ID)를 할당 받았거나, 아니면 아직 섹터 아이디를 알지 못해 임시 AID(temporary AID)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스테이션은 비콘을 통해 섹터화 타입을 알고, (이번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동안에 있을 수 있는) 사운딩 PRAW의 시점을 알며, 이에 따른 섹터 리포트 RAW의 시작시점도 알 수 있다. 스테이션은 사운딩 PRAW 시에는 (전송은 일체 하지 않고) 수신하여, 수신되는 섹터 아이디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한 SNR을 측정하여, 선호되는 섹터 아이디(preferred sector ID)를 선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섹터 리포트 RAW의 시작 시점에 깨어서, 섹터 아이디(AID)와 함께 (NDP) PS-POLL를 보내고, 이를 통해 섹터의 재배정 대상을 알게 된 AP는 ACK에 새로 설정될 AID를 집어넣어서 보내줄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섹터 리포트 RAW의 시작 시점에 깨어서, (NDP) PS-POLL을 보내고, AP로부터 ACK를 받은 다음, 별도의 RAW 시작시점에 깨어 자신의 슬롯(slot) 정보를 알고 해당 슬롯에 깰 수 있다. 채널 액세스 방법은 그 슬롯 시작시점에 섹터 리포트를 보내고, ACK로서 AID 재할당을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섹터화를 위한 동작 절차로서, 연관 동안, AP와 스테이션은 어떤 타입의 섹터화된 전송이 가능할 것인지, 또는 섹터화된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발견하기 위해 그들의 섹터 캐패빌리티(Sector Capabilities)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AP는 섹터 동작 필드(타입 0 또는 타입 1)를 포함하는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섹터화를 위한 동작 절차에서 섹터 캐패빌리티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표이다.
Subfield Bits Definition Encoding
Element ID 8    
Length 8    
Sectorization Beam Capable 1 indicate whether the AP or STA supports the sectorized operation Set to 0 if not supported,
Set to 1 if supported
Sectorization Type 2 indicate supports of which type of sectorization scheme Set to 0 if only Type 0 Sectorization is supported,
Set to 1 if only Type 1 Sectorization is supported,
Set to 2 if both Type 0 Sectorization and Type 1 Sectorization are supported,
Set to 3, else
Total Sector Number 3 Indicate the total number of sectors AP supports in the BSS Set to 0 to 7 to represents number of sector 1 to 8, respectively
Sector ID Feedback Capable 1 indicate whether the STA supports sector ID Feedback Set to 0 if not supported,
Set to 1 if supported
Sector Training Capable 1 Indicate whether the AP or STA supports sector training Set to 0 if not supported,
Set to 1 if supported
Reserved TBD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스테이션을 위하여 섹터 ID를 검색할 수 있다. 타입 0의 섹터화(In Type 0 sectorization)의 경우,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화된 비콘 인터벌 동안, 스테이션이 연관 되는 경우에,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섹터 아이디를 AP로 전송하고, AP는 상기 섹터 아이디에 기초하여 AP의 AID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은 견고한 통신을 위한 최대 섹터를 검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섹터화된 비콘들을 대기할 수 있다. 옴니-비콘 인터벌 동안, 스테이션이 연관 되는 경우에, AP는 스테이션이 자신의 최고 섹터를 발견할 때까지 스테이션의 AID를 임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AP는 자신의 최고 섹터아이디에 적합한 실제 AID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임시 AID만을 가지는) 스테이션들과 지속적으로 연관(associated) 될 수 있다. 모든 임시 스테이션들이 각자 최소의 섹터를 빠르게 매치하기 위해서는 온 디맨드(On-demand)의 빠른 섹터 트레이닝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타입 0의 섹터화에서 모든 섹터화된 비콘 인터벌의 전체 사이클 동안 필요한 커다란 에어 타임을 줄이기 위해서는 온 디맨드(On-demand)의 빠른 섹터 트레이닝이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의 빠른 섹터 발견 절차에 있어서, 타입 0의 섹터화(In Type 0 sectorization)의 경우, AP의 정보에서 임시 AID들이 파일드 업(piled up)된 섹터 가능한 스테이션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AP는 사운딩(주기적인) RAW를 설정할 수 있다. 모든 AID들 또는 몇몇의 제한된 AID들에 대한 사운딩 RAW 동안, 대응하는 AID를 가지는 비-AP 스테이션(a non-AP STA)은 안정적인 사운딩을 위해 어디로도 전송이 금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사운딩을 듣고 깨어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스테이션들의 동작은 원 비트 인디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비트는 엑스플리시트(explicit) FST 채널 디스커버리에 적용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RAW 파라미터 세트 엘리먼트(Parameter Set element)를 나타내는 표이다.
Feature Value Interpretation
Page ID TBD bits Indicates the page index for hierarchical AID (based on hierarchical AID) of the allocated group
Block Offset TBD bits Assuming 32 blocks per page, these bits indicate the starting block index of the allocated group
Block Range TBD bits Indicates the number of blocks (starting from the block offset) for the allocated group
RAW Start Time 8 bits Duration in TU from end of beacon transmission to RAW Start time
RAW Duration TBD
bits
Duration of RAW in TU
Access restricted to paged STA only 2 bits Bit 1: Set to 1 if only STA with their TIM bit set to 1 are allowed to perform UL transmissions
Bit 2: Set to 1 if RAW is reserved for frames with duration smaller than slot duration, such as PS-Polls / trigger frames (ignored if Bit 1 is not set)
Group/Resource allocation frame indication 1 bit Set to 1 to indicate if STAs need to wake up at the beginning of the RAW to receive group addressed frames such as resource allocation (format of the resource allocation frame TBD)
Sounding RAW 1 bit Set to 1 to indicate if non-AP STAs are prohibited to transmit but have to listen the entire RAW
Set to 0 otherwise
Slot definition TBD bits Include
- Slot duration signaling
- Slot assignment to STA
- Cross boundary transmissions allowed/not allowed
Format is TBD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RAW 및 섹터 리포트 RAW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사운딩 RAW(1310)에서 +HTC NDPA-NDP 필드를 모디피케이션(modification)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NDPA는 섹터 사운딩에서 생략될 수 있다. NDP CTS는 섹터 트레이닝을 위한 NDP 스윕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섹터 디스커버리를 위해, NDP 컴포넌트를 위한 섹터 아이디는 NDP CTS의 SIG 필드에 추가될 수 있다. 현재 액세스하는 매체와 스테이션을 보호하기 위해, 스테이션들에 NAV 세팅을 위한 TBD 핏츠가 정의될 수 있다. 사운딩 RAW 동안에는 AP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섹터 아이디는 듀레이션 필드를 공유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NDP 컴포넌트의 필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Message Type Indicator Address Indicator RA Address/ Partial BSSID Duration/Sector ID Early
Sector Indicator
Reserved CRC Tail
Bits    TBD  1 TBD   TBD TBD (1)  TBD 4  6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AP는 연관(Association) 동작 시, 섹터 캐패빌리티(sector capabilities) 정보를 스테이션(STA)들과 주고 받을 수 있다. AP는 비콘(타입 0 섹터화)으로 사운딩 RAW 및 섹터 리포트 RAW(s)의 시작 시점을 공고할 수 있다. AP는 섹터 아이디 미정인 스테이션들을 위해 별도의 사운딩 RAW를 공고할 수 있다. 비콘 RPS에 전송은 하지 않고, 수신하는데 사용할 용도의 별도 RAW 시그널링을 집어넣을 수 있다. 이 때, 여러 개의 사운딩 RAW에 이은 섹터 간 히든 노드 및 알려지지 않은 스테이션에 의한 히든 노드 방지를 위해 보고 RAW를 둘 수 있다. AP는 보고 RAW1내(섹터 별 RAWs도 필요하면 가능)에 슬롯들을 배정하고, 섹터 아이디 보고를 하려는 스테이션들로부터 PS-POLL을 받을 수 있다. AP는 해당 스테이션들로부터 PS-POLL을 받으면, 임시 아이디에 대하여 ACK를 통하여, 섹터 리포트 RAW2 내에서의 해당 전용 보고 슬롯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AP는 섹터 리포트 RAW2 내의 각 슬롯에서 선호 섹터 아이디를 보고 받으면, 이에 대한 ACK로서 새롭게 할당될 AID를 알려줄 수 있다.
스테이션은 연관(Association) 동작 시에 섹터 캐퍼빌러티(sector capabilities) 정보를 AP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관(Association) 동작 시에 섹터 아이디(sector ID)를 할당 받았거나, 아니면 아직 섹터 아이디를 알지 못해 임시 에이아이디(temporary AID)를 할당 받은 상태일 수 있다. 스테이션은 비콘을 통해 섹터화 타입을 알고, (이번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동안에 있을 수 있는) 사운딩 PRAW의 시점을 알며, 이에 따른 섹터 리포트 RAW의 시작시점도 알고 있을 수 있다. 스테이션은 사운딩 PRAW 시에는 (전송은 일체 하지 않고) 수신하여, 수신되는 섹터 아이디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한 SNR을 측정하여, 선호되는 섹터 아이디(preferred sector ID)를 선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섹터 리포트 RAW1의 시작 시점에 깨어서 (NDP) PS-POLL을 현재의 임시 AID를 가지고 보내고, 이를 통해 섹터의 재배정 대상들을 알게 된 AP가 ACK 내에 섹터 리포트 RAW2 내의 해당 리포트 슬롯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섹터 리포트 RAW2의 해당 리포트 슬롯에 깨어서, NDP 섹터 리포트를 보내고, 이 결과 AP로부터 AID 할당 정보가 포함된 ACK를 수신하여, 섹터 디스커버리에 대한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섹터 리포트 프레임(1MHz)의 필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때의 섹터 리포트는 섹터 리포트 RAW2 동안 스테이션에서 전송될 수 있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9 PBSSID
TA 9 PAID
Preferred sector ID 3
Reserved bit 1
Tail bits 6
CRC 4
TOTAL 36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섹터 리포트 프레임(2MHz)의 필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때의 섹터 리포트는 섹터 리포트 RAW2 동안 스테이션에서 전송될 수 있다.
Field Bit width Comments
Message type indicator 4 1 bit: NDP indication
3bits: sub-type indication
RA 9 PBSSID
TA 9 PAID
Preferred sector ID 3
Reserved bit 13 SNR (5bits) + Received Sector Bitmap (8bits) 고려 할 수도
Tail bits 6
CRC 4
TOTAL 48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섹터 확인 프레임(Sector Confirm Frame)은 섹터 리포트 RAW2 동안 AP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섹터 확인 프레임은 아래 표와 같은 AID 응답 엘리먼트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Element ID Length AID AID Switch Count Wakeup Interval
Octets: 1 1 2 1 2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섹터 인터벌에서 남는 시간이 있는 경우, 이를 다른 섹터들을 위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각 섹터화된 비콘 인터벌은 대응하는 섹터화된 스테이션들을 동일한 개수씩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섹터화된 비콘 인터벌은 AP의 전방향 전송을 위해 재 사용이 허용될 필요가 있고,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후에 다른 섹터들에 대해서도 재사용이 허용될 수 있다. 비콘 인터벌 동안 섹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후에, 다음 비콘까지 남아있는 인터벌을 위해 다른 섹터들 또는 옴니 섹터들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될 수 있다.
동기 프레임은 섹터화된 비콘 인터벌의 남은 듀레이션이 필요하면, 다른 섹터들에서도 재사용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모든 섹터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아래 표는 일실시예에 따른 NDP CTS의 SIG 필드(모든 섹터들에 스위치로서의 동기 프레임)를 나타내는 표이다.
  Message Type Indicator Address Indicator RA Address/ Partial BSSID Duration Early
Sector Indicator
Switch to All Sector Reserved CRC Tail
Bits    TBD  1 TBD   TBD TBD (1) 1  TBD 4  6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방법은, 스테이션을 위하여 섹터 ID를 발견할 수 있다. 타입 1 섹터화(In Type 1 sectorization)의 경우,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비콘들이 옴니 비콘들(omni-beacons)이기 때문에, 모든 스테이션들은 섹터에 대한 정보 없이 연관 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의 온 디맨드(on demand)에 따라 +HTC NDPA-NDPs을 사용한 섹터 트레이닝이 수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동일하게 채널 액세스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액세스 장치는 AP에 삽입되는 하나의 모듈(Module)일 수 있다.
채널 액세스 장치는 비콘 전송부 및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전송부는 복수 개의 섹터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Sector 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동안 어느 하나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전송부와 데이터 송수신부는 복수 개의 섹터 중 나머지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전송부는 복수 개의 섹터 모두에 대하여 옴니 비콘(Omni-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BSS 인터벌(BSS Interval) 동안 복수 개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채널 액세스 장치는 섹터 발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섹터 발견부는 섹터 스윕을 수행하여 섹터 발견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통하여 설명한 채널 액세스 방법은 채널 액세스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AP
111: 제1 스테이션
112: 제2 스테이션

Claims (9)

  1.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에서 섹터 안테나(Sector Antenna)를 갖는 AP(Access Point)에 의한 채널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섹터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섹터 비콘(Sector 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섹터 인터벌(Sector Interval) 동안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섹터를 제외한 나머지 섹터에 대하여 상기 섹터 비콘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모두에 대하여 옴니 비콘(Omni-Beacon)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의 BSS 인터벌(BSS Interval) 동안 상기 복수 개의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안테나의 수신 모드는 전방향(omni-directional)인
    채널 액세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섹터 스윕(Sector Sweep)을 수행하여 섹터 발견(Sector discovery)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발견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 스윕을 NDP(No Data Protocol) 타입의 신호열로 정의하여 진행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발견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 스윕을 RAW(Restricted Access Window)로 지정하여 진행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발견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BSS 인터벌 내에 상기 섹터 스윕을 수행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옴니 비콘은
    미리 설정된(pre-scheduled) 상기 BSS 인터벌 내에서의 상기 섹터 스윕의 위치를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발견 절차를 통하여 자신이 속한 최적 섹터를 발견한 스테이션으로부터 발견 견과를 보고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빠른 섹터 발견(Fast Sector Discovery) 절차를 진행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섹터 발견 요청(Sector Discovery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섹터 스윕 외에 추가적인 섹터 스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빠른 섹터 발견 절차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
KR1020130105907A 2012-09-04 2013-09-04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81657.5A CN110233646B (zh) 2012-09-04 2013-09-04 进行扇区训练操作的方法和装置
CN201380057625.5A CN104770046B (zh) 2012-09-04 2013-09-04 信道接入装置及其方法
PCT/KR2013/007979 WO2014038846A1 (ko) 2012-09-04 2013-09-04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US14/425,617 US9807797B2 (en) 2012-09-04 2013-09-04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CN201910181659.4A CN110034790B (zh) 2012-09-04 2013-09-04 进行扇区训练操作的方法和装置
US15/706,085 US10219298B2 (en) 2012-09-04 2017-09-1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US16/245,179 US10687357B2 (en) 2012-09-04 2019-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61 2012-09-04
KR20120097761 2012-09-04
KR20130025310 2013-03-08
KR1020130025310 2013-03-08
KR1020130026535 2013-03-13
KR20130026535 2013-03-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28A Division KR102148426B1 (ko) 2012-09-04 2020-05-06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150A true KR20140031150A (ko) 2014-03-12
KR102109476B1 KR102109476B1 (ko) 2020-05-12

Family

ID=506434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07A KR102109476B1 (ko) 2012-09-04 2013-09-04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00053628A KR102148426B1 (ko) 2012-09-04 2020-05-06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00104745A KR102191340B1 (ko) 2012-09-04 2020-08-20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28A KR102148426B1 (ko) 2012-09-04 2020-05-06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00104745A KR102191340B1 (ko) 2012-09-04 2020-08-20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07797B2 (ko)
EP (3) EP2894927B1 (ko)
KR (3) KR102109476B1 (ko)
CN (3) CN110233646B (ko)
WO (1) WO20140388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20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상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7155359A1 (ko) * 2016-03-10 2017-09-1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7894B (zh) * 2013-01-25 2018-07-27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分区传输的方法、发起方站台和响应方站台
US10084515B2 (en) * 2013-10-16 2018-09-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millimeter wave hotspot (mmH) backhaul and physical (PHY) layer transmissions
US10056958B2 (en) * 2014-10-27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beamforming in mmWave wireless LAN systems
WO2016099139A1 (ko) * 2014-12-16 2016-06-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43179A1 (ja) 2015-09-09 2017-03-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425193B2 (en) * 2015-12-23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requirement signaling and rate setting
US10141994B2 (en) * 2016-03-10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 for reducing responding sector sweep time for millimeter-wave devices
US10063302B2 (en) * 2016-04-15 2018-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rt SSW frame format for SLS beamforming process between enabled, associated sta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less communication
JP6750985B2 (ja) 2016-04-15 2020-09-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490895B2 (en) 2016-06-07 2019-11-26 Sony Corporat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o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461819B2 (en) * 2016-11-04 2019-10-29 Intel IP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range extension
US11343851B2 (en) 2017-05-16 2022-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rrier sensing
US11696330B2 (en) 2017-05-31 2023-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handling interfere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689A (ko) * 2010-10-26 2012-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전송기
WO2012093794A2 (en) * 2011-01-03 2012-07-12 Lg Electronics Inc. Channel sounding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679A (en) * 1994-01-27 1996-06-18 Primary Access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of digital call paths in a telephone system
DE10140532A1 (de) * 2001-08-17 2003-02-27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s globalen Pilotsignals zwischen Stationen eines Funk-Kommunikationsystems und Station dafür
JP3880554B2 (ja) * 2003-07-18 2007-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方式ワイヤレス媒体アクセスコントローラ
UA89172C2 (ru) * 2003-10-17 2010-01-11 Квелко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иска несущей частоты
CN100407598C (zh) * 2004-07-13 2008-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多载波的公共物理信道分配方法
US7630343B2 (en) * 2005-04-08 2009-12-08 Fujitsu Limited Scheme for operating a wireless station having directional antennas
US7778226B2 (en) * 2006-03-30 2010-08-1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ordination among multiple transceivers
US7515577B2 (en) * 2006-06-29 2009-04-0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acon transmi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US7616617B2 (en) * 2006-06-29 2009-11-10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acon transmi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US8095069B2 (en) 2008-03-11 2012-01-1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MWAVE WPAN communications with high-directional steerable antennas combining omni-directional transmissions with beamforming training
US8532001B2 (en) 2008-03-11 2013-09-10 Intel Corporation Beaconing and frame structure for directional antenna communications
US8027702B2 (en) * 2008-03-11 2011-09-27 Intel Corporation Combined omni- and directional- communications in high-frequency wireless networks
US20090233635A1 (en) * 2008-03-11 2009-09-17 Li Guoqing C Discovering neighbors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9100068B2 (en) 2008-03-17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resolution beamforming in MIMO systems
US8019296B1 (en) * 2008-04-17 2011-09-13 Sprint Spectrum L.P. Selective scanning for WLAN coverage by a multi-mode device
US20100034126A1 (en) * 2008-08-08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easurement gaps in wireless networks
US8730873B2 (en) * 2008-11-04 2014-05-20 Nokia Corporation Asymmetric beam steering protocol
US8369257B2 (en) * 2008-12-31 2013-02-05 Stmicroelectronics, Inc. Reliable and deterministic communication protocol
US8625570B2 (en) * 2008-12-31 2014-01-07 Stmicroelectronics, Inc. Robust unicast/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 protocol
WO2010095791A1 (en) * 2009-02-18 2010-08-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access
US8422961B2 (en) * 2009-02-23 2013-04-16 Nokia Corporation Beamforming training for functionally-limited apparatuses
US8331265B2 (en) * 2009-04-20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training using fixed time window for heterogeneous antenna systems
KR101599988B1 (ko) 2009-05-12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공간분할 다중접속 기반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섹터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95326B2 (en) * 2009-06-23 2015-03-3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broadcast/multicast delivery in wireless networks
US8743838B2 (en) * 2009-09-15 2014-06-03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scheduling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with collision avoidance
US9112741B2 (en) * 2009-09-18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8625565B2 (en) * 2009-10-06 2014-01-07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multiple-access beamforming in a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network
US9088873B2 (en) 2009-10-20 2015-07-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group address in wireless local network area,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request frame and response frame in plurality of station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group address
CN102598769B (zh) * 2009-11-12 2015-07-2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提供用于无线通信的甚高吞吐量操作和能力信令的方法和设备
US9401753B2 (en) * 2009-12-23 2016-07-26 Intel Corporation Native medium access control support for beamforming
CA2789791A1 (en) * 2010-02-24 2011-09-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s
US8305271B2 (en) * 2010-03-17 2012-11-06 Microsoft Corporation Cuckoo hashing to store beacon reference data
US8437333B2 (en) * 2010-07-06 2013-05-07 Stmicroelectronics, Inc. Contention based period beamforming
US8737987B1 (en) * 2011-02-23 2014-05-2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nhanced wireless device network rescan rate determination
US8923225B2 (en) * 2011-04-05 2014-12-30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Canada Cognitive WiFi radio network
US9294926B2 (en) * 2011-10-07 2016-03-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204371B2 (en) * 2011-11-23 2015-12-01 Marvell World Trade Ltd. 802.11 restricted access windows
US8817756B1 (en) * 2012-01-11 2014-08-26 Cisco Technology, Inc. Channel assignment and scheduling for centralized clustering in 60 GHz Wireless Networks
EP2844015B1 (en) * 2012-04-28 2017-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WO2013184889A1 (en) * 2012-06-08 2013-12-12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channel access to a wireless station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a power saving scheme
CN104365156B (zh) * 2012-06-13 2018-06-1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无线局域网系统的操作模式改变方法及无线局域网系统
US9094940B2 (en) * 2012-06-14 2015-07-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packet transmission time
US9179502B2 (en) * 2012-06-17 2015-11-03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DTIM) per device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9451637B2 (en) * 2012-06-27 2016-09-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dicating channel access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019874B2 (en) * 2012-06-27 2015-04-2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lving hidden node in synchronized DCF based channel access
US9941940B2 (en) * 2012-07-10 2018-04-10 Mediatek Singapore Pte. Ltd. Sectorized beam operation for wireless networks
US9144072B2 (en) * 2012-09-07 2015-09-2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assign slots in restricted access windows in wireless networks
KR102068283B1 (ko) * 2012-09-28 2020-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 섹터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US9066265B2 (en) * 2012-10-19 2015-06-2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GB2507278A (en) * 2012-10-23 2014-04-30 Broadcom Corp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frame to instruct the end of a contention-free period
WO2014074071A1 (en) * 2012-11-09 2014-05-15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ccess points, radio communication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150104568A (ko) * 2012-12-11 201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한된 액세스 윈도우 기반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JP6437923B2 (ja) * 2013-01-11 2018-12-1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lanオーバラッピング基本サービスセットのネットワーク内での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4937894B (zh) * 2013-01-25 2018-07-27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分区传输的方法、发起方站台和响应方站台
US20140269628A1 (en) * 2013-03-13 2014-09-1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verlapping bss coordination of macro/pico wi-fi networks
KR102175543B1 (ko) * 2013-05-10 2020-11-0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숨겨진 노드 문제의 완화 방법
WO2015006637A1 (en) * 2013-07-11 2015-0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procedures for scheduling to sector-edge and non-sector-edge station groups
WO2015006537A2 (en) * 2013-07-11 2015-0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ctorization coordination
US9485658B2 (en) * 2013-09-11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mmunication on a wireless network
KR102197028B1 (ko) * 2013-11-04 2020-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 주파수 선택적 전송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689A (ko) * 2010-10-26 2012-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전송기
WO2012093794A2 (en) * 2011-01-03 2012-07-12 Lg Electronics Inc. Channel sounding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20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상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US10512108B2 (en) 2015-05-15 2019-12-17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US10660136B2 (en) 2015-05-15 2020-05-19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US11153916B2 (en) 2015-05-15 2021-10-19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US11784743B2 (en) 2015-05-15 2023-10-10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WO2017155359A1 (ko) * 2016-03-10 2017-09-1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US10750403B2 (en) 2016-03-10 2020-08-18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11304094B2 (en) 2016-03-10 2022-04-12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KR20220107335A (ko) * 2016-03-10 2022-08-0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US11700546B2 (en) 2016-03-10 2023-07-11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9664A1 (en) 2020-04-01
US10219298B2 (en) 2019-02-26
CN104770046B (zh) 2019-04-05
WO2014038846A1 (ko) 2014-03-13
KR102148426B1 (ko) 2020-08-26
US20150208439A1 (en) 2015-07-23
US10687357B2 (en) 2020-06-16
KR102109476B1 (ko) 2020-05-12
EP3629664B1 (en) 2021-07-21
US20190191455A1 (en) 2019-06-20
EP2894927A1 (en) 2015-07-15
CN110233646B (zh) 2022-07-01
CN110034790A (zh) 2019-07-19
KR20200102972A (ko) 2020-09-01
EP3379888A1 (en) 2018-09-26
EP2894927A4 (en) 2016-04-20
CN104770046A (zh) 2015-07-08
CN110233646A (zh) 2019-09-13
KR102191340B1 (ko) 2020-12-15
US9807797B2 (en) 2017-10-31
EP2894927B1 (en) 2018-05-30
CN110034790B (zh) 2022-06-03
US20180007713A1 (en) 2018-01-04
KR20200051549A (ko) 2020-05-13
EP3379888B1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426B1 (ko) 채널 액세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2226524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사운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485714B2 (en) Addressing multip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4585068B (zh) 使用多基本服务标识符集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KR10211845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섹터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US11700546B2 (en)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10448333B2 (en) Power saving mode oper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